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矢津昌永의 「中學萬國地誌」에서 나타나는 근대적 지리 지식의 표상체계

        강창숙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1

        World geography textbooks from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1894~1910) were heavily influenced by Japanese counterparts. 「Jungdeongmangukjiji」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is world geography textbook was published in 1902 by Hakbu. Since there are few studies on this field,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fundamental details of the original textbook. This study sought to discuss the system of representing modern geographical knowledge in 「Junghakmangukjiji」 by focusing on the purpose it was written and organization of its conten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Junghakmangukjiji」 was written by Masanaga Yazu and was published in three volumes in 1896. This textbook was written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Japanese national situation and the character of earth-surface features as well as to inspire patriotism. The geography of the five continents is described as modern geographical concepts ranging from location to historical current affairs. This modern geographical knowledge was based on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nd presentism. Recognition of world geography was compressively represented in 10 maps with lines indicating longitude, latitude and international border. 우리나라 근대계몽기(1894~1910)의 세계지리 교과서는 일본의 영향을 크게 받았는데, 1902년 학부에서 공식 편찬한 「中等萬國地誌」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중등만국지지」에 대한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번역 저본인 「中學萬國地誌」에 대한 기초적인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896년 일본에서 발간된 「중학만국지지」의 편찬배경과 내용체계를 중심으로 근대적 지리 지식의 표상체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만국지지」는 지리학자 矢津昌永이 메이지 중기에 3권으로 저술한 세계지리 교과서이다. 일본 국세의 이해, 지표와 인류생활의 상태에 관한 지식의 획득, 애국정신 함양이 편찬 배경이다. 세계 각 지역을 5대주로 대분하고, 위치에서 연혁시사에 이르는 근대적 지리 지식을 인과관계와 현재주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당시 세계에 대한 인식은 경위선과 국경선이 그려진 10장의 근대 지도에 압축적으로 재현되었다.

      • KCI등재후보

        주요 지리개념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발달

        강창숙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5 사회과교육연구 Vol.12 No.1

        Vygotsky's discussion of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oncepts can only be acquired as a result of deliberate and systematic instruction in an educational activity setting. Its development is by focusing on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teaching and learning. The everyday concepts are spontaneously developed in a dialectical relation to the geographical concepts, which are mediated through the teaching and learning. The everyday concepts development depends upon systematically organized geographical concepts of a high degree of generality, so the geographical concepts must be systemized as a knowledge structure. For this,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ing on the learning. Thus, This study focused on the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n the 'nature environment', 'human environment' in the geographical concepts. Among the conclusions are: 1) Students'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n the 'nature environment' consist of 'landform' and 'climate' as a basic element concept. Students'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n the 'human environment' consist of 'city', 'village', 'industry', 'population', 'religion' as a basic element concept. 2) The students' geographical concepts is developed from concrete facts, subordinate element concept to basic element concept hierarchically. The most difficult concept that the learner should internalize was represented as the basic element concept. 3) The most of students' is not different relationship between the subordinate element concept and basic element concept hierarchically.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is development procedure was that there was a quality change based on quantity extensive. 지리교과의 주요 내용이면서 학습자 인지발달의 기본요소인 지리개념을 어떻게 가르치고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인가에 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학습자의 지리개념 발달은 교과내용으로 제시된 지리개념의 지식구조를 학습자 자신의 인지구조로 새롭게 내면화하는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때문에 학습자의 인지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은 보다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이끌기 위한 바탕이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요 지리개념인 ‘자연환경’과 ‘인문환경’ 개념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구조(개념도)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자연환경’ 개념에 대한 인지구조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기후’와 ‘지형’이라는 기본요소개념을 중심으로 ‘자연환경’ 개념을 이해하고 있었다. ‘자연환경’ 개념에 대해 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 구체적 사실은 상위 개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하고 자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생들의 ‘인문환경’ 개념에 대한 인지구조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도시’, ‘촌락’, ‘산업’, ‘인구’, ‘종교’ 개념을 기본요소개념으로 ‘인문환경’ 개념을 이해하고 있었다. ‘인문환경’ 개념에 대해 학생들이 이해하고 있는 하위요소개념과 구체적 사실은 상위 개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다양하고 자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환경’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구조는 ‘인문환경’ 개념에 비해 상대적으로 질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었다. 반면에 ‘인문환경’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인지구조는 양적으로는 발달했지만, 질적으로 체계화되어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주요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에서 나타난 공통된 특징은 ‘기본요소개념’과 ‘하위요소개념’간의 위계적 관계를 잘 구분하고 못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의 개념발달은 구체적 사실에서 상위주제개념으로 상향 발달하고, 개념 발달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는 부분은 ‘기본요소개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자의 지리개념 발달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는 물론, 좀더 효과적인 교수 활동을 위한 실증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 변천과 지역 단원 구성의 특징

        강창숙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0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8 No.2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Geography in high school were analyzed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It focuses on internal demand aspects and external influence asp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tent organization of Korean Geography was composed of systematic geography centered on human geography after 『Geography I』 in the second period. Until the second period, 『Geography I』 was composed of the traditional regional geography, and in the fourth period, 『Geography II』 was changed to a regional geography method. Second, in the national curriculum, Korean Geography was changed to 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Our Country Geography』→ blank period for Our Country Geography→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National Geography』→chaotic period of National Geography→ 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Korean Geography』→and elective subject period of 『Korean Geography』. Third, in the systematic geography-centered content organization, regional geography was composed of one or two units, including ‘geography of living in each region,’ which is a key topic, or in conjunction with ‘the meaning of the region and regional classification’ or ‘unification and division of national territory.’ Finally, the regional classification was centered on functional regions, but in actuality was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gional names according to regional classification were made up of different names, such as different hierarchical names, at different times when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ir regional scop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지역 단원 구성, 지역 구분 등 내재적 측면과 사회과 편제 등 외재적 측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지리는 제2차 교육과정기 『지리 I』부터 인문지리 중심의 계통지리로 구성되었다. 지역지리 단원은 제2차 시기 『지리 I』까지 전통 지역지리(지방지) 체계로 구성되었고, 제4차 시기 『지리 II』부터 지역지리 체계로 변화되었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에서 한국지리는 『우리나라 지리』 필수 과목기→우리나라 지리 학습 공백기→『국토지리』 필수 과목기→국토지리 학습 혼란기→『한국지리』필수 과목기→『한국지리』 선택 과목기로 변천되었다. 셋째, 계통지리 중심 내용 체계에서 지역지리는, 핵심 주제가 되는 ‘각 지역의생활’이 1개 단원으로 포함되거나, ‘지역의 의미와 지역 구분’ 혹은 ‘국토 분단과 통일’ 단원과 연계되어 2개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 구분은 기능 지역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그 실제는 행정구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지역 구분에 따른 지역명칭은 그 범위와 지역성을 가늠하기 어렵게 명명되거나 위계가 다른 명칭이 혼용되었다.

      • KCI등재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실습에서 나타난 언어상호작용의 관찰과 분석

        강창숙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3

        This study sought to observe and analyze six pre-service teachers’ verbal interaction for enhancing their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social studies class using the self-supervision experience. For this purpose, six social studies classes observed and analyzed by six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were videotaped and transcripts were mad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Advanced Flanders’ verbal Interaction Analysis softwar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st proportion category consisted of the teacher’s lectures (around 43%), followed by silence or confusion and asking questions among the 10 Flanders categories. The proportion of the teacher’s direct talk was around 46% more than the proportion of the teacher’s indirect talk (around 25%). Second, the main verbal interaction patter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as the teacher’s initiated question→student’s simple word response→teacher’s acceptance of ideas of students or praising students pattern. Finally, from the results of the Flanders index (indirect/direct ratio), their teaching style involves directive teaching influence. These results show that pre-service teachers do not tend to interact with students by accepting their feelings and ideas. Teachers talk for lecturing or asking convergent question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lassroom verbal interaction. In addition, their classroom communication was a univocal pattern from the teacher-oriented classes. When faced with such a result, the pre-service teachers realized and reflected the importance of ‘expository instruction’ which is characterized with the lively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learners, the effective questioning strategy and providing proper atmosphere of learning in clas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자기장학을 통한 사회과 수업전문성 함양을 위해 자신들의 수업실습에서 이루어진 언어상호작용을 관찰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6명의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 중에 이루어진 자신들의 수업을 동영상으로 녹화하고 전사하였으며, 이를 플랜더스 언어상호작용 분석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플랜더스 분석의 10개 항목 중에서 교사의 ‘강의’가 가장 높은 비중(약 43%)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침묵 및 혼란’과 교사의 ‘질문’이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수업 전체 발언 중에서 교사의 지시적인 발언의 비중이 약 46%로 비지시적인 발언(약 25%)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들 수업의 주요 언어상호작용 패턴은 교사가 질문하고→학생이 단순하게 응답하면→교사가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거나 칭찬하는 패턴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플랜더스 주요 지수(비지시비)는 예비교사들의 수업형태가 지시적 경향의 수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예비 사회과 교사들의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감정이나 아이디어를 수용하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교사의 강의나 수렴적 질문이 중심이 되는 단방향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수업과정과 분석 결과에 대해 예비교사들은 효과적인 질문전략과 수업분위기 조성으로 학습자와 활발하게 상호작용하는 ‘설명식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반성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 예비교사의 시각자료 설명에서 나타나는 몸짓의 특징

        강창숙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9 사회과교육연구 Vol.26 No.1

        Teachers' gestures are a representative body language, that have an important effect on communication with learners. In this study, the types and functions of four pre-service teachers’ gestures in describing various visual materials are observ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presented various visual materials, including photographs, in high school teaching practice. They represented the position, shape, orient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contents with body orientation, position, hand and arm movements alongside various functional gestures. Second, the teachers' gestures were divided into seven functions as follows: deictic(highlighting, pointing, outlining), iconic(representing, add-representing, positioning) and metaphoric(contents metaphoring) gestures. Although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among pre-service teachers, the function of highlighting, pointing and add-representing were observed as general gestures, while the remaining four functions were observed as special gestures with relatively low utilization rates. Finally,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case classes was poor and the majority of communication was found to be of the simple question-response type. However, when teachers' 'pointing' gestures are organically linked to visual materials and questions, students are more active, specifically in terms of responding and communicating. 교사의 몸짓은 대표적인 신체언어로 학습자와의 의사소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명의 사회과 예비교사들이 다양한 시각자료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몸짓의 유형과 기능을 관찰,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비교사들은 고등학교 수업실습에서 사진 등 다양한 시각자료를 제시하고, 학습대상의 위치, 형상, 방향, 특성 등을 몸의 방향과 위치 및 손과 팔의 움직임을 통해 다양한 기능의 몸짓으로 표상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몸짓은 지시적(주목하기, 지적하기, 외곽선 그리기), 도상적(표상하기, 추가 표상하기, 위치 짓기), 은유적 유형(내용 은유하기)에서 나타나는 7개 기능으로 구분되었다. 예비교사별로 개인차는 있지만, 주목하기, 지적하기, 추가 표상하기는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몸짓이고, 나머지 4개 기능은 상대적으로 활용 비중이 낮은 특수한 몸짓으로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사례 수업에서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은 부진했고 의사소통의 대부분은 단순 질의-응답(recitation) 유형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사의 ‘지적하기’ 몸짓이 시각자료 및 질문과 유기적으로 연계될 때 학생들은 좀 더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반응하고 의사소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국의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사고기능과 MTTG 전략(II)

        강창숙 국토지리학회 2005 국토지리학회지 Vol.39 No.1

        지리 교육의 주요 목적인 학습자의 지리적 사고력 함양은 지리적 기능 중심의 교수-학습 과정의 실제이에 본 연구는 최근 영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교육과정과 지리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사고기능과 주요개념을 고찰했다. 그리고 그것을 지리교육과정으로 구체화한‘지리를 통한 더 나은 사고(MTTG)’전략의 각각과 그 사례를 탐색해 보았다. 하나의 사고력 교수 방법으로 제시되는 MTTG는, 무엇보다도 다양한 차이를 가리나라 지리교육에서 학습자의 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학습 내용과 방법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이론적,실제적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 Recently more emphasis geographical thinking is high order thinking. Improving studentsgeographical thinking should ensure that geographical skills are used when develop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Much have been written about importance of geographical thinking, but less research have been geographicalskills. As such,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thinking skills of National Curriculum in England and strategy of morethinking through geography(MTTG). MTTG is the strategy with teaching thinking as a teaching style. Mainconcern of MTTG is not with geography, it is with students learning and that is difference. Thus, this study provideinsight into improving contents and method of teaching thinking in geography education.

      • KCI등재후보

        사회 교과서 지리 영역 구성자료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특성 : 전문계 고등학생을 사례로

        강창숙,최혜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3

        This study attends to surve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resources(texts·maps·photographs·pictures·cross-sectional views·tables·diagrams and combined learning resources) in a geography textbook and the objects of the study are the 10th grade students in a technical high school. Here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of all the chapters, chapter Ⅱ has the most various learning resources and the main text has much more learning resources than the other parts in each chapter. Texts, which are followed by photographs, maps, cross-sectional views, diagrams, tables, pictures, and combined learning resources, most account for the textbook of all the sorts of learning resources. On the whole, simple learning resources take up most of the textbook while combined learning resources don't. Second, the resources that most help students learn geography are pictures and text resources are not preferred. In the case of combined resources and tables, students choose simpler ones. The number of students who pick pictures as the first effective learning resource or as the second one is highest, which means that pictures are a very helpful learning resource to make students understand geography.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preference of learning resources in each part, pictures are needed when the contents which students can comprehend to see them are presented. Third, it is analyzed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 terms and long sentences on the text resources which are not effective for the students who have little ability to read and analyze the text. Maps are small and not definite compared to the maps on the internet and many students cannot read maps. Moreover, photographs have old scenes, are not full of movement in comparison with the pictures on the internet and need to be related with the daily life. Also, cross-sectional views will be efficient when geomorphological process are added to them. Futhermore, it is desirable that tables, diagrams, and combined resources should be shown with more simplicity. 교육과정상 지리 수업 시간이 제한적이고, 그로 인해 학생들의 지리 학습 횟수가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지리 교과서의 영향은 특히 결정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계 공업고등학교 10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 교과서 지리 영역을 구성하고 있는 자료들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와 인식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 교과서 구성자료를 단일 구성자료(언어 자료, 지도 자료, 사진 자료, 그림 자료, 단면도 자료, 표 자료, 그래프 자료 )와 복합 구성자료로 구분하여 단원별·단원 체제별·자료별 비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Ⅱ단원의 자료 비중이 가장 높았고, 단원 체제에서는 본문의 자료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별 구성자료의 비중으로는 언어 자료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사진 자료와 지도 자료의 비중이 높았으며, 단면도 자료, 그래프 자료, 표 자료, 그림 자료, 복합 구성자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자료 비중이 가장 높은 ‘Ⅱ. 자연 환경과 인간생활’ 단원을 사례로 학습 주제별로 학생들의 이해와 인식 특성을 질문지로 조사하였다. 조사·분석 결과, 대부분의 지리 학습에서 가장 도움이 된 자료로는 사진 자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 구성자료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특성은, 모든 자료에 대해 공통적인 특성이 나타나기도 했지만, 학습 주제와 성별 그리고 자료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 KCI등재

        『열하일기』 연행노정의 장소와 경관에 대한 지리적 고찰

        강창숙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9 문화 역사 지리 Vol.3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Yeonam (朴趾源)’s regional perception on the route of diplomatic envoy (route) in the 『Yeolhailgi (熱河日記)』, explored the geographical meaning of the major places and landscapes, from the Abrok river to the Beijing.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eonam’s experience of the route from May to October 1780 was edited of 『Yeolhailgi』 in 7 diary prose books and 21 subject-specific prose books, with the most content on the Yeolha. Second, the route divided according to regional perception was described 「Dogangrok (渡江錄)」, 「Seongkyongjobji (盛京雜識)」, 「IlsinSupil (馹汛隨筆)」,「Gwannaejeongsa (關內程史)」, 「Makbukhaengjeongrok (漠北行程)」 and 「hwanyeondojungrok (還燕道中錄)」. Third, major places or landscapes such as Abrok river and Joyangmun have become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boundaries where the regional perceptions of Yeonam are being conflicted or changing. Finally, at the boundary point where positive and negative views coexist, Yeonam reflected himself in the ways of seeing based on the habit of observing in detail. This is an empirical example of the attitudes and ways of seeing that travelers to other regions should have. In the 「Yeolhailgi」, ‘Yeolha’ metaphorizes not only the unknown land far north of Peking Province, but also both the unfamiliar and new Qing Dynasty’s prosperous realities observed and experienced by Yeonam. 본 연구에서는 『열하일기』 연행노정에 대한 연암 박지원의 지역인식을 살펴보고, 압록강에서 연경까지의 주요 장소와 경관에 대한 지리적 의미를 답사, 고찰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암의 1780년 5월에서 10월까지의 연행 체험은 일기체 산문 7권과 주제별 산문 21권의 『열하일기』로 편차되었고, 열하에 대한 내용 비중이 가장 높다. 둘째, 연암의 지역인식에 따라 연행노정은 「도강록」, 「성경잡지」, 「일신수필」, 「관내정사」, 「막북행정록」과 「환연도중록」으로 구분된 일기체 산문으로 서술되었다. 셋째, 압록강에서 조양문에 이르는 주요 장소나 경관은 연암의 소중화나 화이 등의 인식이 갈등, 변화하는 지리적이고 심리적인 경계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긍정과 부정의 시선이 공존하는 경계 지점에서 연암은 관찰유근을 바탕으로 혜안, 평등안, 여시관 등의 보기 방식으로 자신을 성찰했다. 이는 다른 지역을 유람하는 여행자가 갖추어야 할 지역인식의 태도와 방식의 실증적 사례이다. 『열하일기』에서 ‘열하’는 북경성 밖 멀리 북쪽에 있는 미지의 땅 뿐만 아니라, 연암이 관찰하고 체험한 낯설고 새로운 청나라의 번성한 실상 모두를 은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