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 창의융합역량 계발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창의력, 그릿, 고차적 학습경험의 관계 탐색

        변현정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9 글로벌교육연구 Vol.11 No.4

        이 연구는 예비교사의 창의융합역량 계발을 위한 교직 교육과정에서 창의성, 그릿, 고차적 학습경험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예비교사의 창의성과 그릿의 관계에서 고차적 학습경험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 소재 사립대학에서 교직교육과 정을 이수하는 예비교사 6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각 변인과의 관계를 검증 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그릿은 창의성과 고차적 학습경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고차적 학습경험은 창의성에 통계 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릿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고차적 학습경험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의 창의융합역량 계발을 위해 고차적 학습경험이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예비교사의 창의융합역량 계발을 위해 고차적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higher-order learning experience between grit and creativity of pre-service teachers for fostering creativity-convergence competency. Sixty three preservice teachers of the private university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analysis,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grit, creativity and higher level learning experience.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Sobel test,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As a result, first, grit, creativity and higher level learning experie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grit positively influenced higher level learning experience and creativity. Second, Higher level learning experience positively predicted creativity. Third, the effect of grit on creativity was fully mediated by the higher level learning experience. This result suggests that higher level learning experiences were worth to be offere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creativity-convergence competency.

      • KCI등재

        대학 수업에서 창의성을 촉진하는 수업평가 도구 개발

        변현정,김누리,유지현,이용민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9 창의력교육연구 Vol.19 No.4

        This study is to develop course evaluation inventory to enhance creativity in higher education. In developing the course evaluation inventory, ADDIE from instructional design model, CIPP from evaluation model, and 4P from creativity research were adapted to construct evaluation categories and items. After development of course evaluation items, first and second expert reviews for content validity and face validity were conducted. Six categories and items of course evaluation inventory for enhancing creativity were developed. The inventory include instructor’s self evaluation version and student’s course evaluation version. The course evaluation inventory for enhancing creativity consists of six factors including learning goal, creative learning environment, teaching methods for promoting creativity, creative outputs, evaluation method and learning outcomes. The effect of this inventory were verified by applying this tool to course evaluation of two different types of courses, both creativity promoting courses and general lecture based courses. 이 연구는 대학생 창의역량 증진을 위하여 창의성 수업평가 도구의 영역과 문항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수업평가 도구개발을 위하여 교수체제개발모형인 ADDIE, 교육평가모형인 CIPP와 창의성 4P모형을 기반으로 평가요인 및 문항을 구성하였고, 1차, 2차 전문가 내용타당도와 학생 안면타당도 검증을 거쳐 총 6개 문항으로 창의성 수업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평가도구는 교수자 자기평가와 학생 수업평가로 구성되었으며, 6개의 영역인 ‘학습(수업)목표, 창의적 학습환경, 수업방법, 창의적 결과물, 평가방법, 학습성과’에 대한 문항이 포함되었다. 또한 개발된 도구를 활용하여 창의성을 촉진하는 수업과 일반 수업에 적용하여 평가도구의 결과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창의성 수업평가 도구를 대학생 창의역량을 증진하고자 하는 수업평가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수업 중간평가를 통한 수업 내용 이해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 요인 탐색

        변현정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교육과학연구 Vol.22 No.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ing and learning factors to improve course instruction by analyzing midterm course evaluation. For this study, the midterm course evaluation data from thre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our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tepwise-method were performed. Two dependent variables are understanding contents and midterm course satisfac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awareness of learning goal, systematic class management, the luculent explanation of knowledge, friendly relationship with instructor, learning reflection note, and class preparation. As a result, understanding of cont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uculent explanation of knowledge, learning reflection note, and awareness of course goal. The midterm course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uculent explanation of knowledge, learning reflection, systematic course management, and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instructor. This result suggests that both the luculent explanation of knowledge by instructor and learning participation of students including tasks should be meaningfully considered to improve courses. 이 연구는 수업 중간평가 결과분석을 통해 나타난 수업 내용 이해와 수업 중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습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소재 A대학에서 교직교육과정을 수강하는 83명의 학생으로, 교직이론과목의 세 수업에서 실시한 수업 중간평가 자료를 수집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단계적 입력 방식(stepwise)을 적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은 수업의 내용이해와 수업 중간 만족도이고, 독립변인은 교수 변인(4가지: 학습목표, 체계적인 수업진행, 명확한 내용 전달, 교수자와의 친밀감)과 학습 변인(2가지: 예습, 학습성찰을 통한 복습)이다. 분석 결과, 수업의 내용이해에는 ‘명확한 내용 전달, 학습성찰을 통한 복습, 학습목표 이해’세 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에 대한 중간 만족도에는‘명확한 내용 전달, 학습성찰을 통한 복습, 체계적인 수업진행 및 교수자와의 친밀감’ 네 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종속변인에 공통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명확한 내용전달과 학습성찰을 통한 복습’이다. 수업 설계 및 운영 시 교수자의 명확한 내용 전달과 더불어 학습의 내면화를 위한 학습 촉진 활동이 함께 설계되고 수업운영에 반영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디자인 사고과정(Design Thinking Process)의 경험이 대학생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

        변현정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5 창의력교육연구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sign thinking process as a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 for undergraduates’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 The participants are 62 students enrolled in 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Korea. 32 students of experiment group are taking ‘Creative Thinking’ course in which design thinking process is applied as educational treatment to enhance creativity, while 30 students of control group are taking ‘Educational Sociology’ course without any treatment for developing creativity. The paired t-test of pre and post betwee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is used as a research method. As a result, the creativity in overall of design thinking grou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Especially, the improvement of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 in creativity is reveal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ognitive domain. To sum up, design thinking process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is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improve undergraduates’ development of creativity.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으로써 디자인 사고과정(Design Thinking Process)의 적용이 대학생 창의성 계발(인지, 정의, 행동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서울 소재 S대학에서 교양과목인「창의적 사고」를 수강하는 학생 32명과 통제집단으로 다른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디자인 사고과정의 적용이 창의성 계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험집단(32명)에 10주간 디자인 사고과정을 운영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사후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 사고과정을 경험한 학생들의 창의적 성향이 향상되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창의적 성향의 하위요인으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 중 정의적 및 행동적 측면의 창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요컨대, 10주에 걸친 디자인 사고과정의 경험이 호기심, 끈기, 모험심, 창의적 감수성과 같은 정의적 측면과 창의적 문제해결에 관련된 행동적 측면의 창의성 계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진출을 앞둔 대학생의 인지․정의․행동적 측면에서의 통합적이고 실천적인 창의성 계발을 위하여 디자인 사고과정의 활용이 유용하리라고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문제 유형의 새로운 개념적 틀 탐색

        변현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6

        목적 이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문제 유형의 새로운 개념적 틀을 탐색하고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질문은 첫째. 문제의 구조와 속성에 따른 새로운 문제 유형은 무엇인가? 둘째, 새로운 문제 유형이 내포한 학습목표의 지향성은 무엇인가? 셋째, 수업에서 문제 유형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 이다. 방법 1960년대부터 2020년까지 약 60년간 수행된 문제의 구조와 유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다룬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관련 문제 사례를 비교⋅검토하였다. 결과 첫째, 문제의 유형을 문제의 구조와 조작의 속성을 고려하여 「정구조-반구조-비구조-무구조」의 네 가지로 새롭게 구성하였다. 기존의 구조와 비구조로 양분된 설명에서 반구조를 구분해 냄으로써 수업에서 활용되는 문제 유형을 세분화하고, 무구조를 추가하여 문제에 대한 관점을 확장하였다. 둘째, 네 가지 문제 유형이 추구하는 지향성을 「문제해결」과 「문제발견」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셋째, 수업에서의 활용을 위해서 학습목표를 중심으로 문제 유형을 선정하고, 문제 유형이 가진 구조와 조작의 속성을 고려한학습경험의 설계가 이루어져야 함을 설명하였다. 결론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의 능동적 수업 참여가 계속하여 강조됨에 따라 문제의 유형과 속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에 기반한 문제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제안한 네 가지 문제 유형의 새로운 개념적 틀은 수업과 교육과정 차원에서 활용되고 있는문제의 유형과 학습 목표의 방향을 성찰하고 교육과정의 방향을 계획하기 위한 지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