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대 피해아동보호명령제도의 실태와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봉수 한국교정학회 2017 矯正硏究 Vol.- No.77

        The study is the protection of victim of abuse involved in allegations of child abuse. Many incidents of child abuse occur all the time. But the real risk of child abuse comes from within their near-relatives: uncles, aunts, mothers, fathers, sisters, brothers The study showed that 81 percent of child abuse last year took place in homes and 83 percent of the children were mistreated by their own parents. The real figures of child abuse are shocking, and child abuse wrecks lives. It perpetuates a cycle of child abuse. It has been serious. So, the study is tackling the issue of victims of abuse. The consequences of child abuse and neglect can be devastating and far-reaching. The truth is, of course, that we do not really know the extent of child abuse. However, I rest on the argument that something needs to be done for the sake of victims of abuse. The incidences of child abuse have been shown to cause much criminal activity later on in the victim's life. Cases of child abuse often go unreported. A victim of abuse needs someone to keep building up his or her self –esteem. Family structure also plays a big part in the risk of child abuse. The government has instituted victim protection system to help keep victim together after an instance of child abuse. A high percentage of child abuse takes place within family, involving physical and/or mental assault. There is a real need for professionals, social workers, teachers, parents and health visitors to be able to detect early signs of child abuse. It would be so much more effective if these “watchdogs” actually did something constructive about the problem of child abuse. Working Together notes that professional staff who come into contact with children should know of the predisposing factors and signs and indicators of child abuse. The police have a duty to investigate all allegations of child abuse fully and thoroughly, and in accordance with the law. Government must do more to encourage people to report cases of child abuse to authorities, and follow through when such reports come in. 이 연구는 학대피해아동의 학대후유증에 대한 치유를 위하여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하 아동학대처벌법)」 제47조 제1항의 피해아동 보호명령과 제49조 보조인 조치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2016 정책개선 권고 결정을 바탕으로 피해아동보호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아동학대의 심각성을 이유로 아동학대를 방지하기 위한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 강조되었고, 이에 대한 피해아동보호와 학대 행위자의 처벌을 강화하기 위한 아동학대처벌법이 제・개정 되었다(강동욱, 2014a: 235). 아동학대처벌법의 제정・시행에 따라 종래 아동훈육으로 치부되던 아동학대를 범죄로 인식하고, 아동학대에 대한 국가가 개입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두었다.(김성규, 2014: 23) 아동학대는 심각한 신체・심리・정서적 후유증을 동반하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발달권, 모든 형태의 학대나 폭력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등 아동의 권리에 대한 중대한 침해에 해당한다. 특히 신체손상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정서적 손상과 같은 후유증을 동반하여 충분한 상담과 안정적인 환경에서의 치료가 절실하다. 하지만 아동학대처벌법 제47조에서는 피해아동보호명령 조치중 이러한 치료 규정이 없으며, 장기간 학대를 당한 아동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나 학대행위자에 대한 과도한 공포 등으로 진정한 의사가 왜곡되거나 자신의 진술이 해당 절차나 본인의 삶에서 가지는 법적인 의미와 효과 등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보조인의 조력이 절실하다. 따라서 피해아동보호명령제도에 대해 피해아동이나 그 법정대리인은 제대로 알지 못하고, 대부분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의해 활용되는데,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여러 사정으로 인하여 대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2016년 5월 29일 아동학대처벌법이 개정되어 신고의무자 불이익 금지, 인적사항 공개 금지 등 신고자 보호 규정이 신설되었다. 피해아동의 보호명령은 반드시 필요하다. 특히 피해아동의 의견은 존중되어야 하고,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현행 피해아동보호명령제도의 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교사-영유아관계가 또래선호와 또래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윤수정 ( Soo Jung Y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교사-영유아관계가 또래선호와 또래 괴롭힘에 미치는 영향력과 관련성에 대해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3세, 4세 남아 55명과 여아 47명을 포함한 총 102명의 영유아와 담임교사 10명이다. 교사는 교사-영유아관계와 영유아의 또래 괴롭힘을 보고하였고, 영유아는 또래의 긍정적 지명과 부정적 지명으로 또래선호를 보고하였다. 연구방법은 교사-영유아관계와 영유아의 또래선호, 그리고 또래 괴롭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correlation을 산출하였다. 또한 교사-영유아관계가 영유아의 또래선호와 또래 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사-영유아관계의 친밀감은 또래선호와 정적상관관계, 또래 괴롭힘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갈등적인 교사-영유아관계는 또래선호와 부적상관관계, 또래 괴롭힘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영유아의 또래선호는 또래 괴롭힘과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한 교사-영유아관계는 영유아의 또래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갈등적인 교사-영유아관계는 또래선호와 또래 괴롭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establishes and analyzes the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individual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peer victimization. Subjects were 102 children (47 girls and 55 boys), all three and four years of age and attending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nd 10 of their teachers. The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ir perception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peer victimization and the children reported on peer preference through positive and negative peer nomination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hree categorie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on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peer victimiz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AMOS 18.0 Program. Findings indicate that 1)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aracterized by closeness hav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hildren`s peer preference but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er victimization; 2) teacher-child relationships characterized by conflict for the child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peer preference but have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eer victimization; 3) negative correlations are also found between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peer victimization. Specifically, the effects on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of closeness to children`s peer victimization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s of conflict to children`s peer preference and victimization. In sum, the character of individual teacher-child relationships has an influential role in classroom peer preferences and peer victimization.

      • KCI등재

        성범죄 및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형사절차에 있어서 아동 피해자 진술의 확보 방안

        전윤경(Yoon Kyung CHUN)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연구소 2022 이화젠더법학 Vol.14 No.1

        전문법칙 예외 규정인 ‘미성년 성폭력범죄 피해자의 영상녹화진술’의 증거능력 규정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단순위헌결정으로 인하여, 아동 피해자는 피고인이 부인하는 형사재판에 반드시 출석해야 하고 피고인과 변호인의 적대적이고 격렬한 반대신문으로 인한 2차 피해에 놓이게 되었다. 피고인의 반대신문권을 보장하는 것은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의 보장을 위하여 중요하나, 성범죄 및 아동학대범죄의 아동 피해자가 형사절차 내에서 2차 피해로 인한 고통을 겪지 않도록 보호할 필요성은 매우 중대한 공익이고, 아동 피해자가 가장 정확한 진술을 할 수 있는 시기에 피해사실 진술을 확보함으로써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고 사법정의를 실현하는 것 또한 형사소송의 중요한 목적이다. 따라서 일련의 형사절차를 진행함에 있어서 반대신문권과의 조화의 관점에서 아동 피해자 보호를 실현할 수 있는 절차로 아동 피해자 진술을 확보하는 방안을 시급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방안은 전문법칙의 예외 규정을 다시 만드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바르나후스 모델과 같이, 아동 피해자 진술을 ①피해사실에 대한 가장 정확한 진술을 확보할 수 있는 시점인 수사단계에서, ②최소한의 횟수로, ③아동 친화적인 장소에서, ④아동 조사기법을 훈련받은 전문조사관에 의해, ⑤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는 개방형 질문에 의한 조사기법으로 확보하고, ⑥공정한 재판을 받을 피고인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변호인이 전문조사관을 통해 반대신문을 할 수 있도록 하며, ⑦이러한 조사 내용은 영상녹화되고, ⑧그 영상녹화물에 대한 증거능력이 인정됨으로써 아동 피해자가 신속하게 형사사건에서 빠져나와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는 아동 피해자 조사를 전담할 판사, 검사, 전문조사경찰관 등의 증원, 전문조사기법의 훈련, 아동 친화적인 장소의 확보 등 인적, 물적 자원의 확충이 그 전제로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provision on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Video Recorded Statements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Crimes under the age of 19’, which is an exception to the hearsay rule, was unconstitutional. Child victims must attend all criminal trials denied by the defendant, and face secondary damage due to the hostile and violent cross-examination of the defendant and his lawyer. The defendant’s right to cross-examination is important for ensuring the right to a fair trial. However, the need to protect child victims from suffering from secondary damage in criminal proceedings is a very grave public interest. In addition, it is an important purpose of criminal procedure to discover the substantive truth and realize judicial justice by securing the statement of the damage facts at a time when the child victim can make the most accurate statement. Therefore, it is urgently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lan to secure the statements of child victims in the process of protecting child victims while guaranteeing the right to cross-examination. First, it is to re-create the exceptional rule of professional law. Specifically, like the Varnahus model, in the investigation stage, when the most accurate statement of the victim can be obtained, child investigation techniques are secured by trained professional investigators at a minimum number of times, in a child-friendly place, with open questions appropriate to the child’s development stage. In order to ensure the right of the defendant to receive a fair trial, the defense counsel shall be allowed to cross-examine through a professional investigator. And the statements of victim are videotaped.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video recordings is recognized. Thus, child victims can quickly get out of a criminal case and return to their daily life. In order to realize thi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hould be expanded, such as increasing the number of judges, prosecutors, and professional investigation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investigating child victims, training specialized investigation techniques, and securing child-friendly locations.

      • KCI등재

        아동학대 특례법 시행 후 현장변화와 대응체계의 개선과제

        전경숙 국회입법조사처 2016 입법과 정책 Vol.8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the child abuse preventive system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pecial Act on the Child Abuse Crime initiated on September 29, 2014 to propose policies for child abuse prevention and support for child victims. As it is in the initial stage of the law enforcement, currently there is no sufficie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for policy and institutional realization. Further, its focus is on solving the intensified problems of various confusions and heavy workloads in the field. This study includes the sections of current conditions of child abuse, improvements of child abuse prevention, and plans to establish a system to prevent child abuse and to protect child victims. Study methods include various administrative and statistical data, legal provisions, reports from child protection agencies, and Delphi survey. The major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 poor environment to provide preventive education programs to raise social awareness on child abuse issue, inadequate counseling and education for child-batterers, insufficient child victim shelters and treatment services, difficulty of cooperation between police and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 improvement of counselors' working conditions and ensuring their professionalism. In summary of the study findings, presented are suggestions to prevent child abuse and to operate child victim protective projects effectively. 본 연구는 2014년 9월 29일부터 아동학대 특례법이 시행됨에 따라 현장에서 제기되고 있는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분석하여 법 제정의 취지를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였다. 현재 법 시행 초기단계로 정책과 제도를 실현하기 위한 제반 인적・물적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고, 다양한 혼란과 업무과중 현상이 현장에서 심화되고 있는 실태를 파악하여 정책적 개선점을 제안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연구내용은 아동학대 특례법의 제정취지와 주요내용, 특례법 시행 후 현장변화와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개선점, 아동학대 예방 및 피해아동 보호체계 구축방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종 행정・통계자료 분석 및 법률 검토, 현장실무자 의견조사(Delphi survey) 방법을 활용하여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도출된 주요 정책시사점은 사회적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여건 미흡, 학대행위자에 대한 상담 및 교육의 한계, 피해아동 보호시설 및 치료지원 서비스 부족, 경찰과 아동보호전문기관 간 업무협력의 어려움, 상담원 근무여건 개선 및 전문성 확보방안 마련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피해아동 보호지원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A Brief Review on Actual Problems related to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Child Abuse: In terms of protection and support for the Abused Child

        이은혜,정보경 한국교정복지학회 2018 교정복지연구 Vol.0 No.5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actical issues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from the point of view of protection and support of child victims.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all children should be brought up with secured rights and safety in a healthy manner, the incidents of child abuse are steadily increased. Specifically, after the enactment of this act of child abuse in 2014, the incident cases in nursery and kindergartens have been more increased. Day-care teachers and staffs, as the next to parents, occupy the largest portion of child abuser. With a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74.8% of 5 years old and younger children attend nursery and kindergarten, it is a serious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gulation of child abuse special act and the real situation when the increasing number of nursery- kindergarten teachers and staffs are considered as a child abuser. Then,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are proposed. The problems are as follows; i) lack of sensitivity and social agreement on child abuse, ii) lack of consideration on various types of child abusers, iii) existing legal limit due to the scope of punishment regulations and differences in determination, iv) negative role of child protection institution, v) insufficient measures for protecting abused child. The alternatives to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an improvement of punishment: it is to reorder various related laws and preparing punishment protocol for different types of abusers. Second, an improvement of processing procedure: it is to unify report and investigation protocol, to establish one-stop support system and enhance authority of Child Protection Institution, and to strengthen expertise of case processing through professional personnel training. In order to acknowledge that child abuse is a crime, regular education as well as limiting opportunities of working at related institutions for those abusing assaults, and abuse-related monitoring and screening – such preventive level regulations should be also expanded. Third, an improvement of protecting abused chil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 for effective protection of the victims and prevention of the recurrence of the abusers, with implementation of strengthening the obligation to report child abuse incident and treatment for victims. Particularly, a detailed guide line or manual should be prepared with consideration of the cases of child abusers other than par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pproaches the viewpoint of victims considering the incidents of abusers including others, specifically, day-care teachers and staffs under special act of child abuse, while most of previous studies on child abuse focuses on the parents as child abusers. It is necessary to view the problems of child abuses so that children can grow healthy with recognition them as a whole human being and social interests about child protection. Based on high leveled social consensus, it looks forward to improving social conception, awareness, laws, and regulation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the appropriate procedure of abusive cases.

      • KCI등재

        아동학대의 대처현황과 가해자 및 피해자 처우의 개선방안

        박찬걸 ( Park Chan-keol ) 한국소년정책학회 2014 少年保護硏究 Vol.24 No.-

        Child abuse does not stop at inflicting physical and mental pain on a victim child. When the child grows up and becomes a juvenile or an adult, the person has the high possibility of having various disorders such as emotional disorder, physical disorder and behavior disorder. Therefore, child abuse should not be connived by taking it as a family matter and active intervention of society and state is required. A child abuse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causes insensibility toward the pain of others, lack of conscience pang and aggressiveness based on hostility or anger, which lead the child toward misconduct and crime during adolescent period. There is an analysis that most criminals who committed variety of violent crimes suffered child abuse and spent unfortunate childhood. Therefore, the issue of child abuse is the issue of the future generation who will lead ou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arching for advanced responding plan on assailants and victim children (as defined in the Child Welfare Act) based on current status of child abuse. In order to effectively resolve the issue of child abuse, it is necessary to learn current status of child abuse first. Therefore, the concept of child abuse in Child Welfare Act will be discussed and current handling status of child abuse will be verified focusing on the child abuse reporting status and child abuse occurrence status. Next, the roles of child abuse related agencies will be learned focusing on child-protection agencies, judicial police management and Family Court(Ⅱ). Next, an improvement plan on the treatment of child abuse assailants will be suggested focusing on the issues in current measures such as general measure, service provision, restriction of parental right and criminal punishment(Ⅲ). As last, an improvement plan on child abuse victims will be suggested focusing on the issues of protection measure, temporary measure and introduction of intermediary system(Ⅳ).

      • KCI등재

        A Brief Review on Actual Problems related to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Child Abuse : In terms of protection and support for the Abused Child

        Lee Eun Hye,Jeong Bo Kyung 한국교정복지학회 2018 교정복지연구 Vol.0 No.54

        본 논문은 아동학대특례법에 대한 실제적 문제점을 피해아동의 보호와 지원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모든 아동의 권익과 안전이 존중되고 건강하게 양육되어야 함에도 아동학대 사건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14년 아동학대특례법 시행 이후, 어린이집, 유치원의 학대 사건 신고는 더욱 증가하였다. 아동학대 행위자는 부모 다음으로 보육교직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5세까지의 영아가 74.8%나 되는 것에 비추어 볼 때, 심각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증가하고 있는 어린이집, 유치원 교직원이 아동학대 행위자 일 때, 아동학대특례법상 규정과 현실의 차이점을 피해아동의 보호와 지원 관점에서 파악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찾아보았다.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대에 대한 민감성 및 사회적 합의 부족, 둘째, 다양한 학대행위자에 대한 고려 부족, 셋째, 처벌규정의 적용범위와 양형의 차이로 법적 한계 존재, 넷째,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소극적 역할, 다섯째, 피해자 보호절차 미흡이다. 이에 대한 개선점은 첫째, 처벌에 관한 개선이다. 다수의 관련법 재정비와 학대행위자 유형에 따른 처벌 규정 마련이다. 둘째, 처리 절차에 관한 개선이다. 신고 및 조사절차 단일화,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원스톱지원시스템 구축 및 위상 강화, 전담인력양성을 통한 사건처리의 전문성 강화이다. 정기적인 교육, 아동학대 행위자에 대한 관련 기관 취업 제한, 학대관련 점검 및 모니터링 등 예방적 차원의 규정 또한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피해아동 보호에 관한 개선이다. 아동학대 신고의무 강화, 피해아동을 위한 치료 등 피해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보호와 학대 행위자의 재발 방지를 위한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부모 이외의 학대행위자일 경우를 고려하여 세부 매뉴얼을 마련해야 한다. 본 논문은 아동학대 관련 연구 대부분이 학대행위자가 부모인 경우에 초점을 두었다는 한계점에서 출발하여 아동학대특례법상 학대행위자가 타인, 특히 보육‧유치원 교사인 경우를 고려하여 피해자 입장에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동을 완전한 인격체로 인정하고 사회전체가 아동보호에 관심을 가지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아동학대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사회적으로 인식된 높은 수준의 사회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예방과 적절한 조치를 위한 사회적 개념과 인식, 법, 제도의 개선을 기대해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actical issues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from the point of view of protection and support of child victims.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all children should be brought up with secured rights and safety in a healthy manner, the incidents of child abuse are steadily increased. Specifically, after the enactment of this act of child abuse in 2014, the incident cases in nursery and kindergartens have been more increased. Day-care teachers and staffs, as the next to parents, occupy the largest portion of child abuser. With a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74.8% of 5 years old and younger children attend nursery and kindergarten, it is a serious proble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gulation of child abuse special act and the real situation when the increasing number of nursery- kindergarten teachers and staffs are considered as a child abuser. Then, alternatives to the problems are proposed. The problems are as follows; i) lack of sensitivity and social agreement on child abuse, ii) lack of consideration on various types of child abusers, iii) existing legal limit due to the scope of punishment regulations and differences in determination, iv) negative role of child protection institution, v) insufficient measures for protecting abused child. The alternatives to these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an improvement of punishment: it is to reorder various related laws and preparing punishment protocol for different types of abusers. Second, an improvement of processing procedure: it is to unify report and investigation protocol, to establish one-stop support system and enhance authority of Child Protection Institution, and to strengthen expertise of case processing through professional personnel training. In order to acknowledge that child abuse is a crime, regular education as well as limiting opportunities of working at related institutions for those abusing assaults, and abuse-related monitoring and screening – such preventive level regulations should be also expanded. Third, an improvement of protecting abused chil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 for effective protection of the victims and prevention of the recurrence of the abusers, with implementation of strengthening the obligation to report child abuse incident and treatment for victims. Particularly, a detailed guide line or manual should be prepared with consideration of the cases of child abusers other than par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pproaches the viewpoint of victims considering the incidents of abusers including others, specifically, day-care teachers and staffs under special act of child abuse, while most of previous studies on child abuse focuses on the parents as child abusers. It is necessary to view the problems of child abuses so that children can grow healthy with recognition them as a whole human being and social interests about child protection. Based on high leveled social consensus, it looks forward to improving social conception, awareness, laws, and regulation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the appropriate procedure of abusive cases.

      • KCI등재

        부모학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 학교폭력 피해경험의 매개효과

        김재철 ( Jae Chul Kim ),최지영 ( Yi Young Cho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부모학대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자존감 및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부모학대와 공격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였다. 또한 학년에 따라 공격성에 대한 부모학대의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1차년도 자료 중 아동용 부가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했고, 부모학대의 효과가 학년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활용하여 조절효과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에게 학대를 받고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많은 학생일수록 공격성은 증가하며, 자존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공격성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부모로부터 학대 경험이 증가할수록 학교폭력 피해경험도 증가하는 반면, 자존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줄어들었다. 셋째, 부모로부터 학대 경험이 증가할수록 학생의 자존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학대는 자존감과 학교폭력 피해경험을 매개로 하여 공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학대는 자존감을 통하여 그리고 학교폭력 피해경험을 통하여 각각 공격성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부모학대는 학생의 자존감에 일차적으로 영향을 주고 자존감이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이차적으로 영향을 주어 이것이 공격성으로 표현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격성에 대한 부모학대의 직접효과는 4학년에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4학년에서 부모학대가 자존감을 매개로 하여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학대를 받은 아동들의 자존감을 향상시킨다면 학교폭력의 피해자가 될 가능성과 비행을 저지를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victimization on children abused by their parents and child aggression using a data called "1st year Korea Welfare Panel".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highlight several areas of interest. First, students abused by their parents and victimized by peers show increased aggression, compared to students with higher self-esteem exhibit decreased aggression. Second, students abused by their parents show increased victimization, compared to students with higher self-esteem show decreased victimization. Third, students abused by their parents show decreased self-esteem. Fourth, students abused by their parents affect child aggression by the mediation of self-esteem and victimization. Parental influence can be directly correlated with a child`s self-esteem, victimization and aggression. Fifth, the direct effect of child abuse by their parent on child aggression is the largest among fourth graders. Finally, child abuse during fourth grade significantly affects child aggression by the mediation of self-esteem. The current study provide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abused children`s self-esteem that may decrease misbehaviors and attitudes of victimization.

      • KCI등재후보

        국제협약에 기반 한 오스트리아의 아동학대 피해자 보호에 관한 고찰

        한종욱(Han, Jong-Wook)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19 법률실무연구 Vol.7 No.3

        아동학대는 그 피해경험이 평생 지속될 수 있고, 실제 아동학대를 당했던 상당수의 피해자들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후유증 속에 살아가기 때문에 그 심각성이 크므로 사회적 약자로서의 특별한 형사법적 관심이 필요하다. 오스트리아의 경우 아동권리협약, 유럽인권협약, 유럽형사사법공조조약 등을 국내의 법률로 충분히 반영함으로써 아동학대에 대한 아동의 형사사법적 권익을 최대한 보장하는 노력을 본 연구를 통해서 간파할 수 있었다. 특히, 형사절차상의 신문시 아동의 복지 고려나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의 보장을 비롯하여 피해자를 배려하는 신문과 원격 화상신문의 확대는 물론, 심리·사회적, 법적 조력인 시스템 등 섬세한 제도를 통하여 아동학대 피해자를 적극 보호하고 있다. 또한, 국제협약과 오스트리아의 제도를 통해 알 수 있는 아동학대 등 범죄 피해자 관련 제도에서의 가장 중요한 쟁점은 아동이 법정에서 증언을 해야 하는지 여부보다 어떻게 하면 피해자 아동이 절차에 최적의 방법으로 개입될 수 있도록 할 것인지에 있다. 아동이 어떤 방식으로, 어떤 환경에서 형사절차에 개입되어야 실체 진실 발견,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이라는 기존 법 원리들과 아동의 인권보호라는 가치가 충분히 조화될 것인지의 고민이 제도에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결국 경찰, 검찰, 법원, 국회 및 아동보호전문기관 등 유관단체는 근본적으로 아동학대 피해자 보호제도에 관련된 국제적 고심의 흐름을 파악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개선된 제도를 잘 소화해 낼 인력의 전문화라는 전통적 대안과 함께 장기적인 사례추적 및 심층 분석까지 필요하다. 그리고 아동학대 피해자들이 사건 이후 제대로 치료되고 보호되었는지 등에 대한 사후 모니터링에 의해 환류 되어야 한다. 형사절차에서 파악된 아동학대 피해자에 대한 의료적·복지적 조치에 이르는 종합적 문제해결 시스템까지 구축할 때, 우리 사회는 아동학대 문제에 대한 본질적 해결에 더 가까이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The harm of child abuse can last a lifetime and many victims of actual child abuse live with aftereffects even after they reach adulthood, so they need special attention through criminal justice procedure as social underdogs. We fully understood that the Europea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and the European Convention on Criminal Justice and the Treaty of Cooperation were fully reflected in the domestic law to ensure that children’s criminal justice rights in Austria through this review. In particular, the medical institution actively protects child abuse victims through delicate systems such as the expansion of psychological, social, and legal awareness as well as the consideration of children’s welfare and the right to receive information in the investigation, as well as the expansion of criminal and remote virtual investigations that take care of victims in accordance with the criminal procedure.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system regarding victims of crimes, such as the abuse of the lower body, as identified by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the Austrian system, is how to ensure that children enter the procedure of consent with the victims in the optimal way rather than whether they should testify in court. Only when a child enters criminal proceedings in any environment in any way should the system fully reflect the existing legal principles of ensuring the defendant’s right to defend and whether the protection of the child should be well enough. After all,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police, the prosecution, the court,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child abuse victims’ protection need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 of concern regarding the child abuse victims’ protection system, along with the traditional alternative of specialization of manpower to handle the improved system well. And child abuse victims should be reverted by post-monitoring, such as whether they are properly treated and protected after the incident. When we even establish a comprehensive problem-solving system, ranging from the medical, welfare and proper treatment of child abuse victims identified in criminal procedures, our society will be able to approach an essential solution to the problem of child abuse.

      • KCI등재

        성폭력 피해아동의 보호 현황과 개선방안

        신은식,신애리 한국경찰연구학회 2015 한국경찰연구 Vol.14 No.4

        성범죄 피해아동의 보호방안에 대해서는 그동안 소년법이나 그 밖의 관련법에 의하여 대책이 강구되어 왔다. 그러나 범죄피해자나 혹은 그 증인이 된 아동의 경우 성인과 구별이 없이 성인의 형사절차를 따라야만 하는 것이 그간의 현실이었다. 다행히 최근 아동범죄피해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형사사법절차에서 피해아동에 대한 적절한 보호 방안이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2012년 8월 ‘나주 초등생 성폭행사건’에서 보듯이 수사기관이 각고의 노력 끝에 범인을 검거했음에도 피해자의 보호와 인권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여 수사기관은 물론 형사사법제도 전반에 대한 비난을 받아왔다. 또한, 형사사법제도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가형벌권의 행사 뿐 만 아니라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의 갈등의 해소까지 포함된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형사사법에서 성폭력피해아동에 대한 적극적 관심과 배려는 범죄의 궁극적 해결책으로서 파악해야지 단순히 실체적 진실확인을 위한 보충적 의미로 보아서는 안된다. 결국 이러한 문제제기는 형사사법절차의 운영과정에서 요구되는 피해아동에 대한 권리보호장치의 확대를 포함한 보다 적극적인 피해아동정책의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의 의미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행 형사사법체계는 피해아동의 권리보호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아동성폭력범죄의 정의와 범죄추이 발생 및 현황, 이와 관련되는 개정 법률을 살펴보고 현재 우리나라의 아동 성범죄대응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검토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피해아동을 위한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보호방안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So far, to strengthen and protection of child sex crime victim had been measures were made by the Juvenile Act or other laws and procedures. But crime victims or witnesses of the insured adults of children and adults without distinction of criminal procedures must, as has been the standard of reality. Fortunately, recent child crime victims in criminal judicial procedures, increasing concerns about the child and the pertinent protection measures is emerging as an important concern. As illustrated in August 2012 ‘Naju Elementary student rape’ of the investigating agencies made every effort, arrested the culprit and protection of victims, even though human rights considerations by poorly, Investigators of course criminal justice system has been criticized for the overall. In addition, the ultimate aim of a criminal justice system is National punishment, not just for the exercise of offenders and victims of conflict between to solve the problem includes a fact. Therefore, active attention and consideration accorded to children victims of sexual violence in the criminal justice is looking as a fundamental solution of the crime should be taken for identifying the real truth just a complementarily. It should not be regarded as relevant. Finally, these required during the workings of criminal judicial procedure that is non-nuclear level, including an expansion of measures to protect a right accorded to children who were victimized by the damage more positive child policy. The meaning of the guidelin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amage is that even though the current criminal justice system, with their concern about protecting rights of the Child and the lack of consideration. Therefore, this paper, first relate to the definition of child sex abuse crime associated with remarks and status, in the act revised and now look at the nation's response on the child sex offences Problems and Improvement from various angles by reviewing damage, I thought I would shed light on the specific and reasonable protection fo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