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학(美學)과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신학적 미학의 ‘방법론적 유비(methodological analogy)’를 중심으로

        채혁수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7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55

        This thesis is a study of aesthetics and Christian education.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esthetics as a thoughtful conception and Christian education as a practical theology, I will offer suggestions for fields of local churches as a methodological analogy based upon Maria Harris's aesthetic approaches. If Karl Barth's "Analogy of Faith" to recognize God's goodness comes from "the Analogy of Being" of the Middle Ages, I think that the fields of theological aesthetics are extended even to the practical theology by methodological approach of Richard Viladesau through "the Analogy of Being," which is renewed by Hans Urs von Balthasar. Therefore, this thesis will try "methodological analogy" through the approach of Christian education as a practical theolog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components. In chapter I, as the introduction, I will explain the outline of the study. In the next chapter, I will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Christianity. This chapter will consist of two sections. First, I will find the introductional understanding of aesthetics. Second, I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Christianity in more detail. Chapter III will explore the understanding of beauty in theology. There I will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s and theology; biblical theology, church history, systematic theology in more detail. In chapter IV, based on the research above, I will find the point of application of the theological aesthetics for practical the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Chapter V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aesthetic approach with Maria Harris's theory. And in chapter VI, as the last chapter, offering sever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Christian education, I will close this study. The Father God heard His people's groaning and cried out, often sent his servants, and finally, He became a human being, Son of God. And he also sent the helper, The Holy Spirit. If the Triune God's incarnation is the methodological analogy of His expression of love, Christian education would be the incarnation of theology as subject matters which are messages and doctrines of Gospel that can apply and express to the context through this methodological analogy. Aesthetics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give spiritual challenges to Christian teachers, extend the scope of curriculum, broaden the fields of education through mystery, connect between knowing and living methodologically, and let us admit the praxis deeply. In this way, with aesthetics approach, Christian education can enjoy the richness with incarnation of faith and theology to the praxis. 본고는 미학적 신학과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개념적 사유인 미학과 실천신학의 기독교교육과의 관계들을 탐구해 보며, 방법론적 유비(methodological analogy)로써 교회현장을 위한 적용점을 마리아 해리스(Maria Harris)의 미학적 접근에 근거하여 살펴보고 앞으로의 제언을 시도하려 한다. 하나님의 선하고 아름다우심에 대한 인식이 중세의 존재유비에서 비롯되어 칼 바르트(Karl Barth)가 말하는 믿음을 필요로 하는 신앙유비로 이해되었다면, 다시 한스 발타살(Hans Urs von Balthasar)에 의해 부활한 존재유비를 통해 신학적 미학이 리차드 빌라데서(Richard Viladesau)의 방법론적 접근으로 말미암아 그 장이 실천신학으로 확장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미학에 대한 실천신학의 한 분야인 기독교 교육적 접근을 통해 신학적 미학의 방법론적 유비를 시도해 보려는 것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I장인 서론에서 이 연구의 개요를 설명하고, 다음 장인 II장에서는 미학과 기독교와의 관계를 살펴 볼 것이다. 미학에 대한 개론적 이해를 먼저 알아보고, 미학과 기독교와의 관계들을 보다 깊이 연구해 볼 것이다. 또한 III장에서는 신학 속 미에 대한 이해를 살펴 볼 것이다. 성서신학, 교회사, 조직신학과 미학과의 관계를 통해 신학적 미학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볼 것이다. IV장에서는 위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신학적 미학의 실천신학, 기독교교육에서의 적용점을 찾아보려 한다. 특별히 V장에서는 마리아 해리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심미적 접근들의 교육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들을 알아보고 마지막 VI장은 미래를 위한 기독교교육적 제언들로 연구를 마무리 할 것이다. 부르짖는 기도와 탄식을 들으시고, 그의 종들을 보내시던 성부 하나님께서는, 결국 인간의 몸을 입으시고 오신, 그리고 돕는 성령님을 주신, 삼위일체 하나님의 성육신의 사건이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의 방법론적 유비라면, 기독교교육은 이 방법론적 유비를 통해 그 복음의 메시지와 교리를 상황가운데 적용시키고 표현하는 소재인 신학의 성육화이다. 기독교교육에서 미학은 기독교사에게 영적인 도전을 주며, 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신비를 매개로 교육의 장을 넓히며, 방법론적으로 앎과 삶을 연결하여 프락시스(praxis) 속에 깊이 들어오게 한다. 이처럼 미학적 접근을 통해 기독교교육은 신앙과 신학의 삶과 현장으로의 성육화라는 풍성함을 누릴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중국 현대 미학의 주제와 디자인

        이상옥(Lee Sangok)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2

        현대 중국 미학의 사상과 내용 형식에 대한 논의의 주제를 분석하여 이것이 중국 현대 디자인 미학에 미치는 유산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미학 논의의 주제를 미학 사상의 본질과 형식 그리고 내용의 세 부분으로 나누고 이러한 개념과 체계 하에 디자인 미학의 역사적 단계와 과제에 대해 분석했다. 첫째 미학 주제인 현대 중국 미학 사상의 본질은 "역사주의"로 표상되는 특징과 한계를 지녔다. 전통 미학 심미의 개념 "실천미학"의 이데올로기성 및 "생명미학"의 중국과 서양 미학 개념의 절충 혼용성 등이 중국 역사의 본질적 자아 중심적 사관이 미학과 미학사의 맥락에 주류로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형식에 주로 관한 것으로 미학의 현대화 작업의 노력이다. 중국 미학 형식의 합법성 획득 문제와 현대성의 확보가 주요 관건이다. 셋째 내용에 대한 것으로 철학 범주인 본체론 인식론과 가치론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본체론은 중국 전통의 "의경"의 개념이 근대를 거쳐 당대에까지 주요한 핵심 개념으로 자리하며 인식론은 "직관"과 "논리" 사이의 인식 방법에 대한 통합을 모색하고 있다. 가치론 부분에서는 예술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가치에 따라 미학의 위치와 역할이 달라진다. 중국 미학의 주제에 대한 결론은 중국 미학은 마르크시즘의 연원에 의해 특수한 지위를 누리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개혁 개방의 정신적 노선과 원리의 가장 원리적인 기초가 된다. 디자인 미학은 이러한 미학의 유산 하에 자신의 정위(定位)를 위해 부단한 모색을 시도했다. 서양 디자인 미학 전통과 현대적 의미의 전반적 이해 중국 디자인 미학과 서양 것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 계승 및 단절 그리고 중국적 현대적 의미의 디자인 미학 체계의 건립 등의 단계와 방법으로 디자인 미학 세계의 건립이 진행되었다. The article purposes to discuss three themes of Chinese aesthetics in contemporary China. To analyse aesthetical themes I suggest three categories on basic characteristics structure and contents. Basically I rather define the core concept of contemporary Chinese aesthetics as "historicism" boundary. First "historicism" in aesthetics represents three elements: concepts of beauty as mind of subjectivity "practical aesthetics" that is influenced by Chinese Marxism and "life aesthetics" as complex patterns of traditional aesthetical concepts and Western philosophical and aesthetical concepts. Second the structures of Chinese aesthetics are being changed the formations as follows: the legitimation of aesthetics being and modernization of the theorization level.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formation and the Chinese transformation of Western advanced theory or thoughts. Third the contents of contemporary aesthetics are considered deeply: according to the philosophical categories ontology epistemology and axiology. On ontology the "mind subjectivity" is the mainstream. Aesthetical epistemology means the co-existence of "institution and logic. Axiology of aesthetics shows the basic meanings of arts literature and mass culture. In the context of Chinese aesthetics tradition modern Chinese design aesthetics system and thinking methods w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critical inheritance of Western and/or Chinese design tradition and/or modern design aesthetics the ways of they would be available. In conclusion I would discuss the core position and value establishment of Chinese design aesthetics in contemporary China.

      • KCI등재

        예술가에게 미학은 쓸모없는 것인가? - 버넷 뉴먼이 바라본 미국미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

        민주식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硏究 Vol.- No.62

        What aesthetics and aesthetician are like for the artist? There are many concerns on the dialogue between artist and aesthetician, although the opportunity is few. It is worth to notice Barnett Newman's reference against the role of the American Society of Aesthetics. Newman, one of the representative American painters in 20th century, mentioned that “the role of aesthetics for an artist is no more than that of ornithology for a bird”. This phrase has been called as a trite saying to blame aesthetic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ay attention to Newman's lecture, which was occurred in the American Society of Aesthetics, as an index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art and aesthetic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American art and contemporary aesthetics research in the middle of 20th century. Newman was an artist standing for abstract expressionism and at the same time has written a lot of art criticism or aesthetic writing, such as “The Sublime is Now”. He was expected as a man who was able to link together aesthetics with contemporary art. But he criticize the basic attitude of ‘the aesthetics as a science' which was formulated by American Society of Aesthetics, especially by Thomas Munro. The controversial point on the aesthetics as a science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ly, the refusal of value judgement, secondly, the its immaturity as a science and the doubt on its objectivity, and thirdly, the overlooking the ontological difference between the work of art and the simple things. Newman still rejected Susanne Langer's theory of art as symbol. Because artist does not create the sign or word which designate the real, but the reality itself. Artist does not interpret the nature or the real, but make it. While the phenomenological problems of the artistic experience in contemporary American art grows important, academic concerns of aesthetics proceed to analytic aesthetics. The wholehearted devotion to analytic aesthetics not only kept at a distance from the practical aesthetics, but also brought about the delay of phenomenological aesthetics in America. The concept of aesthetic experience has been degenerated rapidly during the development of analytic aesthetics. One of the reason to make distance from the works of art in American aesthetics can be found out in the transference of aesthetic concern from the experience of work of art to semantic phase of it. The period of Newman's lecture was overlapped on the period of flowing to investigate aesthetic experience with phenomenological method and the period of emerging the semiology of art and the analytic aesthetics instead of aesthetics as a science as well. Richard Shusterman's intention to argue the degeneration of aesthetic experience in American aesthetics is basically coincide with the critical verification on the analytic aesthetics. He tries to restore the vivid connection between our lives and the arts, which becomes vague in the process of American aesthetics. Conferring Dewey's aesthetics, Shusterman noticed on the phenomenon of popular art. He attempt to accomplish pragmatic aesthetics beyond the border between the ordinary life and art, and the opposition between the aesthetic and the practical. 본 논문은 예술가에게 있어서 미학이 어떠한 존재로 비쳐지고 있는지를, 20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화가의 한 사람인 버넷 뉴먼의 경우를 출발점으로 삼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미술과 미학간의 거리를 계측하는 하나의 지표로서, “화가에게 있어서 미학이란, 새에게 있어서 조류학이 갖는 의미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는 뉴먼의 발언에 주목하고, 이로부터 20세기 중엽 미국의 예술가 및 예술작품과 동시대의 미학연구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자한다. 같은 사회, 같은 문화적 환경에 있으면서도 현대미술과 아카데믹한 미학 사이에 이러한 커다란 거리가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미학회의 연구방향은 1960년대 이후 예술기호론과 분석미학이라고 하는 언어철학 계열의 예술철학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그러한 상황 속에서 미니멀리즘과 퍼포먼스 아트 같은 현대미술과, 그리고 그 비평이 의거한 것은 오히려 현상학 쪽이었다. 1980년대 후반에 이르러 리처드 슈스터먼은 미국미학의 전개과정 속에서 미적경험의 쇠퇴를 논하였다. 그의 의도는, 분석미학에 대한 비판적 검증과 근본적으로 상통하고 있다. 그는 미국의 철학적 미학의 전개 속에서 희미해져가고 있는 사안, 특히 인간의 삶과 예술 사이의 생생한 관련을 회복시키려 한다.

      • KCI우수등재

        환경미학의 다변화와 일상미학의 부상 - 유리코 사이토의 일상미학 이론의 의제와 쟁점을 중심으로 -

        배정한 한국조경학회 2023 韓國造景學會誌 Vol.51 No.2

        This paper explores the recent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aesthetics and critically examines the main agendas, claims, issues, and implications of everyday aesthetics, which is emerging as an important branch of environmental aesthetics. Environmental aesthetics began in the context of cultural change and environmentalism in the 1960s and expanded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with a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it entered a process of diversification of objects and subjects. Having reached academic maturity, environmental aesthetics has expanded into theoretical territory considering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human environment, providing practical coordinates as a discourse for planning and designing urban environments and landscapes. The most notable achievement of environmental aesthetics since the mid-2000s is the establishment of ‘everyday aesthetics’. Yuriko Saito, who is leading the research on everyday aesthetics, expanded the objects and scope of aesthetic theory to everyday objects, events, activities, and environments. She excavates the microscopic and sensory aspects of everyday life, which have been overlooked by conventional art-centered aesthetics, through the lens of aesthetics. She reinterprets various layers of phenomena in contemporary urban landscapes and analyzes how the ‘power of the aesthetic’ hidden in everyday life profound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and the state of the world. Saito examines the appreciation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ambiance inherent in everyday objects and environments and proposes a ‘moral-aesthetic judgment’ to alert citizens to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of everyday aesthetic appreciation and response. This paper identifies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everyday aesthetics as first, the expansion of aesthetics and the ambiguous everyday, second, the moral-aesthetic judgment and the aesthetics of care, and third, urban regeneration landscapes and aesthetic literacy. In particular, the moral virtues of everyday aesthetics that Saito proposes, such as care, thoughtfulness, sensitivity, and respect, provide a critical reference for the practice of contemporary urban regeneration landscapes. The ‘aesthetic literacy’ is a key concept demonstrating why an environmental aesthetics perspective is necessary to interpret everyday urban environments and landscapes.

      • KCI등재

        현대 중국 실천 미학의 담론

        이상옥 ( Sang Ok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0 No.43

        현대 중국의 실천미학의 함의와 그 의의, 그리고 비판 등을 미학의 일반이론과 중국 전통 미학의 사상에 의해 논의한다. 논의의 중점은 이론의 합법성으로 우선실천철학의 핵심 개념인 ``실천``의 의미가 미학의 일반적인 의미와 차원이 다른 담론 체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 미학의 관련 이론으로는 실천미학이 마르크스 철학과 미학에 그 사상적 연원을 두고 있다는 가정 하에 미학의 일반 이론과 범주에 의거하여 가치론에 해당하는 것으로 규정한다. 중국 미학의 전통에 대한 검토는 실천미학이 전통 중국의 미학 이론과 형식적 그리고 내용상의 연관 관계가 성립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모색의 차원에서 살펴본다. 전통 미학과 실천미학의 관계에 대한 검토에서 세 가지 범주가 귀납되었는데 이는 미의 본질과 미적 감각이 외재적으로 표출된 상태와는 별개인 패러다임이다. 실천미학의 논리와 함의, 그리고 그것의 현대적 의의는 무엇인가? 마르크스의``자연의 인간화`` 개념에서 연용(延用)하여 ``실천``을 핵심 개념으로 상정한다. 주광잠은 ``주관과 객관의 통일``설을 주장하고 이택후는 ``심미 객관화를 통한 사회성``적기능을 미적 본질로 파악하였다. 이택후는 미를 기본적으로 인간의 이데올로기적 의지를 실현하는 수단의 의미로 파악하여 이것이 마르크스주의 미학의 중국화의 원형이 되었다. 실천미학은 그 군체(群體)성과 사회성이라는 애매모호한 이데올 로기적 경향의 개념으로 비판을 받는다. 이에 대체하기 위한 서양 미학적 요소와 중국 전통적 미학의 요소들이 새로운 신시대에 걸 맞는 이론이 창출되고 있다. 결론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실천미학은 마르크스 규범 혁명론의 수단화 담론의 전형(轉形)이다. 둘째, ``실천``은 고대 중국의 정치 이데올로기의 범주와 개념인 ``의경``의 현대적 재생산의 양식을 지니는 미적 심미관이 결여된 수단적 의미의 미학 이론이다. 셋째, 실천미학은 새로운 중국의 사상 해방의 미학 사상에 걸 맞는 과도기적 기능을 하고 있다. The paper aims to explain the meanings of the practice aesthetics in contemporary China. The practice aesthetics had been the mainstream in the 1950 and until now. The main idea of the paper is to illuminate the core concept, ``practice`` in the aesthetics theory. I would suggest that the ``practice`` be not coincidence with general theory in aesthetics thought. The background of practice aesthetics would be the generalized theory of aesthetics and ancient tradition of aesthetics in China. The Marxist philosophical tradition had been legacies to the practice aesthetics in contemporary China. The normative characteristics of Marxist philosophy and aesthetics had direct influences to the practical aesthetics. The ancient Chinese aesthetics theory had also effects on the practice aesthetics. The practice aesthetics intended the practice function in the recognition and judgement of beauty. And the critics to the practice aesthetics mainly put the stress on the societal character and neglect on the individual as the subjectivity. In conclusion, I would suggest that first, the practice aesthetics be the Marxist ideology legacies, second, the practice aesthetics would be the contemporary version of the ancient Chinese aesthetics theories, and third, the practice aesthetics would be the transformative function in the New Age.

      • 제품디자인에 있어 전형성과 심미성요소(균형, 리듬)의 상호작용과 조절변수에 의한 사용자의 심미적 반응에 관한 연구

        홍정표 ( Hong Lung Pyo ),조경숙 ( Cho Kyoung Sook ) 한국감성과학회 2004 추계학술대회 Vol.2004 No.-

        Recently, design has emerged as a key factor of successful product development. This study reviewed the elements of shape with a view point of addressing and defining the elements of aesthetics and how they influence consumer aesthetic response. Though past researches related to shape aesthetics reported that shape aesthetics exist as a single element with other sub-elements, this research made further investigations into shape aesthetics and reported that form aesthetics in product desig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form aesthetics and content aesthetics. Empirical studies on each category was undertaken and from the results obtained, it was concluded that typicality is a dominant element in content aesthetics while balance are a dominant element in form aesthetics. Also, the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onditional variables such as price and people on each category and it was observed that both content and form aesthetics elements are affected by conditional variables such as price, people. Furthermore, the study reports that both content and form aesthetics elements are mutually correlated and both categories affect user``s aesthetics response. It is intended tha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work will contribute to theoretical knowledge of aesthetic elements and can be put to use by product design and manufacturing companies.

      • KCI등재

        공간 체험 메커니즘을 통한 관계적 미학 연구- 본인의 공간 실험 작품을 중심으로 한 융복합 연구 -

        이선정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6 No.-

        This paper is discussing exploration process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relational aesthetics (which Nicolas Bourriaud, a French art critic and curator, defined in his book) through a space experimentation installation work where visitors are unintentionally exposed to experience and participate in the experience mechanism that the author has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e work is to make visitors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al aesthetics (which exists only as an invisible theory) thru a participation, importantly by themselve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following process and scope. First, the introduction describes background and scope of the study. In particular, it is focused on role changes of visitors who experience and participate in contemporary art. It further discusses that (i) a new theory is needed to understand recent art tendencies which cannot be explained nor criticized by traditional art, but (ii) B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can explain such tendencies. In addition, a brief mentioning was provided on the space experimentation work for an experiencing mechanism which makes visitors to experience and participate for an better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al aesthetics. The paper is based on two consecutive works of ‘Triple Expression’ (aiming at understanding of philosophical thoughts and concepts through the mechanism of light and color) as a part of two group exhibitions. Second, an theoretical investigation in the relational aesthetics was done. (a) analyzed and compared a set of characteristics of both the art in the modern white cube era and the contemporary art in the relational aesthetics era. (b) The presented basic philosophical basis on why the modern art contains some characteristics related to perceptual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a phenomenology point of view, and explained how it supported an evolution towards the relational aesthetics. © explained why contemporary work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ime were not explained by traditional esthetics, therefore the theory of the relation art was shaped and developed. (d) discussed the micro-community created by an accidental, unintended participation as well as its meaning in the relational aesthetics. Third, based on the theoretical bases explained in the previous sections, the author presented the process of the works and exhibitions in two aspects, a methodological development aspect and a conceptual development aspect. In the methodological development aspect, the author explained how the space experiment based on an installation mechanism utilizing light and color, made visitors to deeper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relational aesthetics through an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process. In the conceptual development aspect, which is ultimately related to the relational aesthetics, the author I further explained the concept of perceptual phenomenology that is considered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to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al aesthetics.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 First, in a broader sense, this research is a result of methodological convergence in that an art theory typically described in text, was realized as a real-world work. Second, this research is particularly meaningful because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visitors or experienced people to better perceive the relational aesthetics (which is considered to be difficult, existing as a theory)through an installation work using light and color, involving direct sensing, feeling and understanding. 본 논문은 작품논문으로 프랑스 예술 비평가이자큐레이터인 니꼴라 부리요(Nicolas Bourriaud)가 그의저서를 통해 정립한 관계 미학을 실재하는 공간 실험설치 작품을 통해 확인하고 이해하는 탐구 과정에 대한 것이다. 관람객들은 본 연구자가 설치해 둔 체험 메커니즘에 우발적으로 체험·참여하게 된다. 관람객들이 작품에 참여하는 과정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이론으로만 존재하는 관계의 미학을 스스로 이해하게 유도하는 것이 공간 실험 작품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서론에서 연구의 배경 및 범위에 관해 설명하였다. 본고에서는 현대 미술의 체험과 참여라는 관람자의 역할 변화에 주목하였다. 과거 전통 미학으로는 설명하거나 비평하기 어려운 현대 미술의 작품 경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대 변화에 맞는 새로운 이론이 필요하며 이는 부리요의 관계적 미학을 통해 가능하다는 사실을 언급하였다. 또한 관계 미학이라는개념을 체험·참여를 통해 관람자들이 직접 이해할 수있도록 유도하는 체험 메커니즘을 설치작품으로 한공간 실험을 실시하였다는 사실을 밝혔다. 작품의 범위는 철학적 사유와 개념을 빛과 색의 메커니즘을 통해 이해하도록 유도했던 트리플익스프레션(Triple expression)의 연작이며 연구자의 두 단체전을 범위로하였다. 둘째, 관계 미학의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먼저전통적인 미학이 적용되던 근대 화이트큐브 시대 미술과 관계적 미학 시대의 현대 미술의 특징을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현대 미술이 지각적 체험성과 참여성이라는 특성을 갖게 된 기본적인 철학적 근거를 현상학을 통해 제시하였으며 이것이 어떻게 관계적 미학이 발전되도록 뒷받침을 했는지 설명하였다. 그리고 시간성이 더해진 현대 작품이 전통적 미학 이론으로 설명되지 못하여 관계 미학이라는 이론이 생성되고 발전된 경위를 살폈다. 마지막으로 우발적 체험참여로 인해 만들어지는 마이크로 커뮤니티에 대해이해하고 이것이 관계적 미학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언급하였다. 셋째, 앞서 제시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전시와 작품의 프로세스를 기법적 전개 양상과 개념적전개 양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기법적 전개는관계 미학이라는 개념을 체험·참여를 통해 관람자들이 직접 이해할 수 있도록 빛과 색을 사용한 체험의메커니즘을 설치하여 공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개념적전개 양상은 관계 미학에 관한 것이며 관계 미학이발전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되는 지각의 현상학에 대한 개념도 함께 언급하였다. 본 논문은 글로 설명되는 미학 이론이 체험이 동반된 실제 작품으로 해석되었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융합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이론으로만 존재하여 이해하기 어려웠던 관계적 미학의 내용을 관람자들(체험자들)이 빛과 색이라는 설치 작품을 통해 직접 지각적으로 느끼고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본 작품논문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道家美学思想在中国古代陶瓷作品中的体现研究

        이로 한국도자학회 2015 한국도자학연구 Vol.12 No.1

        In this paper,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are the main study objects. Taoist aesthetics of Chinese traditional aesthetics is the research perspective. It summarizes Taoist aesthetics, and analyzes some related Chinese works of ancient ceramics according to the classic and traditional Taoist aesthetics. To provide further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aesthetic study of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Taoist aesthetics that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traditional Taoist thoughts and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are both originated in ancient China. At the same time, they are both the most important part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They are mixed together in th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which has a long history. There are two main parts of the study on the thoughts of Taoist and the aesthetics, which is expressed by Chinese ancient ceramics. First, the study on the philosophical theory of Taoist Aesthetics. Second, the study on the Taoist Aesthetics that is expressed through the Shape, color, decoration, material and technology of some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inly four parts, on which the thoughts of Taoist Aesthetics is expressed by the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First, the thoughts of Taoist Aesthetics that "Tao models itself after nature", which is expressed in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Second, the thoughts of Taoist Aesthetics that "Man is an integral part of nature", which is expressed in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Third, the thoughts of Taoist Aesthetics that "To have little is to have more", which is expressed in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Fourth, the thoughts of Taoist Aesthetics that "Plain is the most beautiful thing in the world", which is expressed in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本文以中国古代陶瓷作品为研究对象,以中国传统美学思想中的道家美学思想为研究视 角。通过对道家美学思想的概述,以及结合道家经典美学思想对与其相契合的中国古代陶瓷作 品的具体分析。为中国古代陶瓷作品的审美研究提供进一步的理论参考。所举实例均为中国古 代陶瓷中具有代表性的精品。以传统道家思想为哲学基础的道家美学思想与中国古代陶瓷均起 源于中国,且都是中国传统文化具有代表性的重要组成部分。 两者共同交织于中国源远流长的传统文化之中。对于中国古代陶瓷中所表现的道家思想和 审美性主要从以下两方面进行研究: 第一,对道家美学思想的哲学理论之研究; 第二,对中国古代陶瓷作品的造型、色彩、装饰、材料、工艺等方面表现出的道家美学思 想之研究。 中国古代陶瓷中所表现出的道家美学思想主要有以下四个方面: 第一,中国古代陶瓷中所表现出的“道法自然”的道家美学思想; 第二,中国古代陶瓷中所表现出的“天人合一”的道家美学思想; 第三,中国古代陶瓷中所表现出的“少则得,多则惑”的道家美学思想; 第四,中国古代陶瓷中所表现出的“朴素而天下莫能与之争美”的道家美学思想。

      • KCI등재후보

        중국 고대 도자기 작품에 나타난 도가의 미학사상 연구

        이로 한국도자학회 2015 한국도자학연구 Vol.12 No.1

        본고(本稿)는 중국 고대 도자기 작품들을 연구 대상으로 중국 전통 미학 사상 중의 하나인 도가(道家) 미학 사상을 연구의 시각으로 논하고 있다. 도가 미학 사상을 개술(槪述)하고 도가 고전 미학을 잘 나타내는 중국 고대 도자기 작품의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중국 고대 도자기 작품에 나타난 도가사상 및 심미성(審美)을 탐구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나타난 모든 실례는 모두 중국 고대 도자기 중에 제일 대표적인 정품이다. 도가의 전통적인 철학 사상을 바탕으로 삼고 있는 도가미학 사상은 중국 고대 도자기와 같이 중국에서 기원될 뿐만 아니라 중국 전통 문화 중 대표적인존재이기도 한다. 역사가 유구한 중국 전통 문화에서 서로 섞이며 흘러가고 있기 때문에 중국고대 도자기에 나타난 도가사상 및 심미성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탐구되어야 한다. 첫째, 도가사상의 철학적 이론이 되어야 한다. 둘째, 중국 고대 도자기 작품의 조형(造型), 색채(色彩), 장식(裝飾), 재료(材料), 공예(工藝) 등의 분야에 도가미학 사상 및 미적(美的) 표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고대 도자기에 나타난 도가사상의 미적표현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고대 도자기에 나타난 도가사상의 “도법자연”의 미적표현이다. 둘째, 중국고대 도자기에 나타난 도가사상의 “천인합일”의 미적표현이다. 셋째, 중국고대 도자기에 나타난 도가사상의 “적으면 도리어 많이 얻을 수 있고, 많으면 도리어 미혹된다”의 미적표현이다. 넷째, 중국고대 도자기에 나타난 도가사상의 “세상에서 단순함에 비할 것은 없다”의 미적표현이다. In this paper,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are the main study objects. Taoist aesthetics of Chinese traditional aesthetics is the research perspective. It summarizes Taoist aesthetics, and analyzes some related Chinese works of ancient ceramics according to the classic and traditional Taoist aesthetics. To provide further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aesthetic study of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Taoist aesthetics that is based on the philosophy of traditional Taoist thoughts and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are both originated in ancient China. At the same time, they are both the most important parts of Chinese traditional culture. They are mixed together in th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which has a long history. There are two main parts of the study on the thoughts of Taoist and the aesthetics, which is expressed by Chinese ancient ceramics. First, the study on the philosophical theory of Taoist Aesthetics. Second, the study on the Taoist Aesthetics that is expressed through the Shape, color, decoration, material and technology of some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inly four parts, on which the thoughts of Taoist Aesthetics is expressed by the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First, the thoughts of Taoist Aesthetics that Tao models itself after nature, which is expressed in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Second, the thoughts of Taoist Aesthetics that Man is an integral part of nature, which is expressed in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Third, the thoughts of Taoist Aesthetics that To have little is to have more, which is expressed in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Fourth, the thoughts of Taoist Aesthetics that Plain is the most beautiful thing in the world, which is expressed in Chinese ancient ceramics works.

      • KCI등재

        Research on the Structural Change of Aesthetic Theory from Social Sciences to Natural Sciences

        Lyu, Xin(류신),Cho, Taig Youn(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본 논문은 서로 다른 학과의 지식 프레임 기반의 미학 이론 구조를 분석하고 미학 이론의 구조적 변화에 관해 연구하려 한다. 현재 미학 연구는 미학 개념에 대한 해석이 아주 다르다. 사회과학 범주에 미학개념은 대부분 미학 기본 문제에 대한 철학적 사고하며, 미학의 기본적인 문제가 철학적 기본 원리를 통해 해석한다. 그리고 심리학적 관점에서 심미 객체의 현상과 미적 형식, 미적 방식의 원리 등의 내용이다. 자연과학 범주에 미학 개념은 대부분 생물학이나 신경과학의 관점으로 심미 진화, 심미 경험, 미감 원리 등의 내용이다. 현 단계의 미학 연구는 인지과학 원리에 의존하여, 인지과학 범주에 미학 개념은 대부분 구체적인 심미 관련 두뇌 신경 구조와 심미 인지 원리 등의 내용이다. 이러한 연구 배경과 이론 발전의 배경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서로 다른 학과의 지식 프레임을 기반 미학 이론의 구조를 개괄적으로 연구한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미학 개념을 더 구조화된 이해하기 위해 미학 이론의 발전 및 구조적 변화에 대해 분석하고 해석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조사와 이론 분석방법이다. 미학 이론 관련된 주요 역사적 인물과 저작에 대한 분석을 통하며, 관련 이론의 주요 특성을 정리한다. 연구범위는 서로 다른 학과 범주에 미학 개념내용, 미학 개념 발전의 구조적 변화 요소, 그리고 미학은 다른 학과 범위 내의 이론적 근거를 정리와 분석한다. 본 논문의 연구 내용은 주로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심미와 관련된 이론 구조를 분석한다. 사회과학 범주에 미학의 발전과 자연과학 범주에 미학의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인지과학은 미래 미학 발전에 대한 영향을 개술한다. 그다음에 미학 이론의 구조적 변화를 분석하고 미학 이론의 구조와 특징, 이론 구조의 다원화 발전 경향을 설명한다. 다른 분야의 이론적 구조에 미학의 연구 방법, 연구 범위 및 연구 대상의 주요 차이점을 정리한다. 마지막에 사회 과학, 자연 과학, 인지과학 범주에 미학 이론 구조의 특징을 총괄한다. 본 연구는 미학 이론 개념을 잘 이해하기 위한 도움을 줄 수 있고 미학 이론 발전의 구조적인 프레임을 제공한다. This paper analysis the aesthetic theory structure based on the knowledge framework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there is a summary of the structural change of aesthetic theory. By far, there are different explanations on the aesthetics concept in the studies. In social sciences, the aesthetics concept is greatly related to the philosophical thinking of some basic problems of aesthetics. The basic problems are explained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philosophy, and the phenomenon of aesthetic, the form of beauty and the method principle of beauty are discussed form the prospect of psychology. While in natural sciences, the concept is analyzed with aesthetic evolution, aesthetic experience and aesthetic principle from the prospect of biology or neuroscience. And the current aesthetical studies are most dependent on the principles of cognitive science. Under the background of such study background and theory development, there is a conclusive study of the aesthetic theory structure based on the knowledge framework of different disciplines. The stud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ave an organization and conclusion of the aesthetic theory development for a more structured understanding of aesthetic concepts. The study method is the methods of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theoretical analysis. There is an analysis of the main historical figures related to aesthetic theory and works to sort and conclude the main features of relevant theories. This study scope is the aesthetics concept in different disciplines, structural change factor of the aesthetics development concept, so as to sort and analyze the theoretical basis of aesthetics in different disciplines. In this study, there is mainly organizing on the aesthetic theory in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and there is the conclusion of the aesthetics development in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the impact of cognitive science on aesthetics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n, there is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change in the aesthetic theory. There is a summary of the structure and features of aesthetic theory and the diversified development trend of theoretical structure. The following of aesthetics in different disciplinary theory structures are concluded, including study methods, study ranges, differences of study objects. Finally, the features of the aesthetic theory structure in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cognitive science are concluded. This study can help people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aesthetic theory and provide a structural framework for aesthetic theory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