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18세기 서학서 연구의 몇 문제에 대하여

        김철범 동양한문학회 2024 동양한문학연구 Vol.67 No.-

        17·18세기는 동아시아에 서학이 형성되고 발전하였던 시기이다. 유럽의 예수회 선교사들이 중국으로 진출하면서 계기가 마련되었고, 중국 지식인들의 관심과 상호교섭을 통해 발전하였다. 그 결실이 서학서이다. 서학서 안에는 기독교 신학과 서구 철학 등의 사상적 영역과 천문·수학·역사·지리 등의 자연과학적 영역이 두루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당시 “天學”이라고 불렀던 서학은 자연학을 형이상적인 신학이나 철학과 별개의 학문으로 인식한 것이 아니라, 자연학을 통해 신의 섭리를 인식할 수 있다는 통합적인 학문체계를 지니고 있었다. 그럼에도 청나라 시기 사고전서 편찬자의 서학에 대한 비평관과 이와 연장선상에 있었던 19세기말 동도서기론에 의해 서학은 이른바 “西敎”와 “西器”로 분리되고 말았다. 문제는 오늘날 서학을 연구하는 우리들도 이런 시각을 고수해 왔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조선지식계와 서학의 사상적 교섭은 접어둔 채 자연과학의 수용에 주된 관심을 두었고, 이로 인해 조선 지식계와 서학의 영향 관계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에 문제제기를 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함께 서학서에 대한 書誌的 검토의 오류를 짚어보았다. 일반적으로 17·18세기 서학서가 모두 서양 선교사들의 저작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거기에는 선교사와 중국 지식인의 공동저술도 있고, 중국 지식인의 저술도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사실이 17·18세기 서학과 동양 지식계의 관계를 단순히 “전달과 수용”으로 설명해 왔던 논리에 대해 당시 서구 지식을 수용하고 변용하고자 했던 동양 지식인들의 주체적 역할을 정당하게 평가하는 단초를 열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또 한편 17·18세기 서학서 연구에 새로운 활기가 살아나기를 기대하며, 향후 서학서 번역에 관한 소박한 제언도 덧붙여 보았다. The 17th and 8th centuries is when Western studies were formed and developed in East Asia. As European Jesuit missionaries entered China, an opportunity was provided, and it developed through the interest and mutual negotiations of Chinese intellectuals. The result is Western leaning books. This books includes ideological areas such as Christian theology and Western philosophy, as well as natural science areas such as astronomy, mathematics, history, and geography. However, the Western Learning which was called "Celestial Learning[天學]" at the time, did not recognize natural science as a separate discipline from ideal theology or philosophy, but had an integrated academic system that could recognize God's providence through natural science. Nevertheless, in the Qing Dynasty, the so-called "Western Religion[西敎]" and "Western Tools[西器]" were separated by the 『Siku Quanshu(四庫全書)』editor's critique of the Western Learning and the theory of Western tool in Eastern though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ich was an extension of it. The problem is that those who study the Western Learning today have adhered to this perspective. Therefore, the main focus was on the acceptance of natural science, leaving aside the ideological negotiations between the Joseon intellectual community and the Western Learning. And it seems that there was a limit to properl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seon intellectual community and the Western Learning. This study attempts to raise a problem from this perspective. In addition, the errors that occurred in the bibliographic review of the Western Learning books were also pointed out. In general, this book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re known as the works of Western missionaries. Howev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are joint writings between missionaries and Chinese intellectuals, as well as writings by Chinese intellectuals. This fact will open the door for the legitimate evaluation of the subjective role of Eastern intellectuals who sought to accept and transform Western knowledge at the time for logic that had simply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Western studies and Eastern knowledg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s "transmission and acceptance." On the other hand, I hope that new vitality will be revived in the study of Western Learning books in the 17th and 8th centuries, and I added simple suggestions for translating books in the future.

      • KCI등재

        서학동점(西學東漸)과 주자학적 ‘격물궁리(格物窮理)’ - 『대학장구(大學章句)』와 『서학범(西學凡)』의 ‘격물궁리’ 명제를 중심으로

        이원준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7 No.-

        Zhu Xi’s Commentary on the Great Learning(Daxuezhangju)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roduction to the academic system. The reason is that he presented the goals and methods of learning in the higher education stage in the two-stage learning system of the Elementary Learning(Xiaoxue) and the Great Learning(Daxue) as the composition of the Three Cords(Sangangling) and Eight Steps(Batiaomu). Here, Zhu Xi defined the first step of the Eight Steps, Gewu, as investigating principle of external things, Qiongli. “Gewu-Qiongli” in the learning of Zhu Xi is an academic methodology that recognizes the fundamental homogeneity of my mind and the principle of things. And this becomes the basis for subsequent learning, self-cultivation. Xixuefan is a book written in Chinese by Julio Aleni, a Jesuit missionary, introduced the teaching system of European universities in six subjects and three stages in the early 17th century. In this text, the ‘Philosophia’, which forms the center of the educational system, is translated into the term “Gewu-Qiongli”. Because Gewu-Qiongli in Zhu Xi’s thought was focused on investigating external objects, during the period of the Eastward transmission of Western Learnings, which mediated the Jesuit missionaries in 17th century, Gewu-Qiongli was used to introduce Western academic methodologies. However, in the Western studies introduced by Xixuefan, the Catholic doctrine was in charge of acquiring the moral principles as base of the self-cultivation that Zhu Xi’s Gewu-Qiongli study ultimately aimed at. Therefore, from the point of view of Western studies connected with Catholic ethics, ‘li’, the core of Zhu Xi’s learning, is nothing more than an acquired attribute of things. From the standpoint of a Confucian scholar who is familiar with Zhu Xi’s thought of the investigation of things, Gewu-Qiongli, in which the self-cultivation an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are separated, only means contact with objects without considering the its principle. In other word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Zhu Xi, Gewu-Qiongli in books of Western Learning written by Chinese is contact with things without Qiongli, the investigation of principle of things. 『대학장구(大學章句)』는 소학(小學)-대학(大學)이라는 초등-고등교육 체계 하에서 대학 단계의 학습 목표와 방법을 삼강령(三綱領)-팔조목(八條目)의 구도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해당 텍스트는 주자학의 교학 체계 개론서의 성격을 지닌다. 여기서 주자는 팔조목의 출발점인 ‘격물(格物)’을 “외부 사물에 나아가 그 이치를 탐구하는 것[卽物窮理]”으로 정의하였다. 여기서의 격물궁리는 외부 사물의 이치를 이해함으로써 나의 마음과 사물의 이치의 근원적 동질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서 수신(修身)의 기틀을 다지는 학문방법론이다. 『서학범(西學凡)』은 예수회 선교사 줄리오 알레니(Julio Aleni, 艾儒略, 1582~1649)가 당시의 유럽 대학의 교학 체계를 교육 과정을 여섯 교과와 문과(文科, Rhetorica)-이과(理科, Philosophia)-분과학문의 세 단계로 소개한 한역서학서로, 이 텍스트에는 교학 체계의 중추를 이루는 이과, 즉 ‘Philosophia’를 ‘격물궁리’로 번역하였다. 『서학범』에서 소개하는 ‘격물궁리’의 세부 항목은 논리학, 물리학, 형이상학, 기하학/수학, 윤리학으로, 수리적 지식이 보다 강조되면서도 주자학적 격물 공부의 각 요소와 상통하는 지점이 있다. 외부 사물을 인식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주자학적 격물궁리는 서양 학문이 동아시아에 전래되던 서학동점(西學東漸)의 시기에 ‘격물궁리’ 명제가 서양의 학문방법론을 소개하는데 활용되는 동인(動因)을 제공해 주었다. 그러나 주자학적 격물궁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수신의 기반으로서의 도덕원칙 체득은 서학 내에선 천주교 교리가 담당하고 있었다. 더욱이 천주교 윤리와 결부된 서학의 입장에서 주자학의 핵심인 ‘리’는 객관 사물에 후천적으로 생성된 속성 정도에 불과하다. 주자학자에게 있어 수신과 궁리가 이격된 ‘격물궁리’는 단순한 사물과의 접촉을 의미할 뿐이다. 즉, 주자학의 입장에서 볼 때 한역서학서의 ‘격물궁리’는 사실상 궁리가 결여된 접물(接物)에 불과할 뿐이다.

      • KCI등재

        금대 이가환의 서학(西學) 연구와 그 파장

        김선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9 No.-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scholarly trends and implications of Yi Gahwan, who was favored by the King Jeongjo but victimized by the 1801 Catholic persecution, with a focus on Western Learning. Although he is considered an ‘astronomical expert’ in academic circles and a ‘victim of persec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atholicism, and has been treated with great importance,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comprehensively address his academic interests and research tendencies in Western Learning.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context in which Yi Gahwan is singl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f Western learning from various ang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Taking the contemporary assessment of Yi as a starting point, I will identify the transverse network of Yi’s interest in astronomy and mathematics outside the longitudinal network of being a member of Southerners, who inherited Seongho Yi ik’s Western Learning research, and enter Yi’s understanding of Western Learning through articles such as Annals of King Jeongjo and the Record of Daily Reflections. I will also examine the records of Hwang Yunseok, who interacted with Yi centered on Western mathematics, and examine Yi’s understanding of Western Learning and its orientation through discussions on Western astronomy with Jeong-jo. Examining the ripples of Western learning and their resonances within and between him through these multiple foci will be one route to explaining the Western learning he encountered—the paths he took and the barriers he encountered—in the context of late Joseon intellectual transition. 이 연구는 정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신유옥사(辛酉獄事)에 희생된 남인계 학자 금대 이가환(錦帶 李家煥, 1742-1801)의 학문적 경향과 그 파장을 서학(西學)을 중심으로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가환은 학문적으로는 ‘천문역산 전문가’로, 정치적, 종교적 맥락에서는 ‘교난의 희생자’로 평가되며 여러 분야의 연구에서 언급되어 왔다. 그러나 그의 학문의 경향과 운명의 향방을 결정한 서학에 대한 그의 학술적 관심과 연구 경향을 포괄적으로 다룬 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특히 서학 수용과 이해라는 관점에서 이가환의 학문적, 정치적 변곡점을 조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가환에 대한 당대의 평가를 출발점으로 두고 서양 수학을 중심으로 이가환과 교류했던 황윤석의 『이재난고』를 통해 서학의 자원과 이론을 공유했던 당대 지식인들의 횡적 네트워크를 확인할 것이다. 나아가 서학을 주제로 한 정조의 질문과 그에 대한 이가환의 답을 확인할 수 있는 『정조실록』과 『일성록』 등의 기사를 통해 이가환의 서학 연구의 범위와 수준 그리고 그에 따른 정치적 파장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여러 초점을 통해 서학 연구의 파장과 그 안팎의 공명들을 살피는 일은 그가 만난 서학, 즉 그가 향했던 길과 그가 부딪친 벽을 조선 후기 지적 전환의 맥락에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경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근대 중국에서 중학,서학의 위상변화와 중체서용 -장즈둥의『권학편』을 중심으로-

        송인재 ( In Jae Song ) 한림과학원 2010 개념과 소통 Vol.0 No.6

        19세기 중반 이후 서학은 점차 중국 근대인에게 필수 불가결한 신학(新學)으로 위상이 높아졌다. 반면, 학(學) 혹은 문(文)이라는 말로만 표현되던 중국의 기존 학문은 중학(中學)이나 구학(舊學)으로 불리면서 상대화되었다. 장즈둥(張之洞)의『권학편(勸學篇)』에 등장하는 ``구학위체, 신학위용``이라는 구절은 바로 이런 지식지형의 변화를 반영했다. 훗날 이 구절은 ``중학위체, 신학위용``으로 변용되면서 중체서용론을 대표하는 명제로 인식되었다. 다른 한편으로『권학편』에서 중학은 내학(內學), 서학은 외학(外學)이라 불리며 그 담당 영역이 명확히 구분되었다. 아울러『권학편』에서는 중학과 서학의 핵심내용과 습득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 구상에서 중학의 지분은 서학 수용의 필연성 속에서 줄어들 수밖에 없다. 장즈둥은 중학의 본질성과 근본성을 역설하면서도 중학의 핵심내용을 빠른 시일 내에 습득하는 일종의 다이제스트식 학습방안을 제시했다. 반면 서학에 대해서는 관리 선발 시험에서 서학 도입, 서학 교육 보급 확장, 유학, 신문구독, 번역 등 실질적으로 서학의 확장을 도모하는 구상을 제시했다. 이런 구도는 중학의 영역을 내면으로 수렴하고 서학의 영역을 점점 확장시키는 계기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권학편』의 중체서용 개념에서는 서학이 근대 중국에서 영역을 점차 확장하고 있고 중학은 독존적 지위를 상실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중체서용은 용어의 축자해석에 근거하여 중학을 우선시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그보다는 중국 문화의 근대전환 과정에 서 지식의 중심이 서학으로 이동하는 흐름에 부응하여 형성된 개념으로 파악해야 한다. 장즈둥이『권학편』에서 이를 말하고 있다. After the middle of 19th century, Western learning rose as new learn for Chinese gradually. On the contrary to this, existing learning of China was called as Chines learning or Old learning. The phrase, The old is to form the basis and the new is for practical purpose in China`s Only Hope (『勸學篇』) reflected this change of the composition of knowledge. After this times, the old and new in this phrase was changed to Chinese and Western, and this phrase has been known as representative phrase of Zhongtixiyong (中體西用) thesis. On the other hand, in China`s Only Hope Chinese learning is regarded as moral, Western learning is regarded as practical. Through this way, the realm of each learning is separated clearly. Besides, China`s Only Hope introduce the core and learning method of Chinese learning and Western learning. In this conception, the importance of Chinese learning can be reduced. Although Zhang Zhidong(張之洞) regarded Chinese learning as essence and basis, but he suggested the way of ``digest`` as learning method. In this suggestion, he explained that this method can make students learn as quickly as they can. In the contrary, he suggested importing Western learning, studying abroad, extensive translation, newspaper reading, etc. This plan can extend the realm of Western learning. This composition gives Western learning opportunity for extension. It is contrary to Chinese learning. So we can find that Western learning can grow as new main knowledge and Chinese learning can lose its absolute position gradually in the concept of Zhongtixiyong of China`s Only Hope. In conclusion, it is more resonable that definite the concept of Zhongtixiyong as weight shift of the knowledge-subject in modern transition of civilization than criticizing or protecting through the lens of cultural conservatism.

      • KCI등재

        조선후기 서학 연구의 주제 확장에 대한 제언-번역, 척사파 연구와 서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소진형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7

        본 연구는 서학 연구가 기존의 철학, 사상사, 과학사, 종교사 영역에뿐만 아니라 번역 과정과 척사 연구까지를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학은 누가 누구에게 어떤 목적으로 무엇을 전달하기 위해 번역하고 수용했는지를 모두 포함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유럽어가 동양어로 번역되어 수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사유의 교환과 새로운 사유에 대한 개방적 태도와 배척 방식을 모두 포함할 때만 조선에서 서학이 일으킨 변화가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 조선시대 서학 수용의 지적 맥락을 재현할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언어라는 장벽으로 인해 출발어와 도착어 사이의 의미 차이가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번역과정의 복잡성을 통해 설명한다. 둘째, 서학의 연구 대상이 개방적 태도를 가진 지식인들의 텍스트에만 한정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개방적 태도로 서학을 받아들였던 사람들이 재구성한 사유의 결과 및 서학에 대응하기 위한 척사파들의 지적 활동을 포함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endeavors to posit that the ambit of Western learning research should transcend conventional boundaries, encompassing not only established realms such as philosophy, intellectual history, history of science, and religious history but also extending its purview to encompass the intricacies of translation processes and the scrutiny of anti-Western learning. Western learning, as a scholarly discipline, involves an examination of the agents responsible for transla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probing the nuances of both the act of translation and the subsequent reception. Consequently,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transformations wrought by Western learning during the Joseon Dynasty necessitates an exploration of the nuanced exchange of reasoning that unfolds in the course of translating European languages into East Asian languages, and the comprehensive scrutiny of attitudes toward novel reasoning that materialize during this translational process. To underscore the imperative of reconstructing the intellectual milieu surrounding the assimilation of Western learning in the Joseon era, this study, firstly, expounds upon the inescapable semantic differentials between the source language and the target language attributable to linguistic barriers. This intricacy is exemplified by the convolution inherent in the translation process. Secondly, it contends that the purview of Western learning research should not be circumscribed solely to the texts authored by open-minded intellectuals. In this vein, the study elucidates how individuals adopting a receptive stance toward Western learning engaged in the reconstruction of reasoning. Furthermore, it accentuates the endeavors of scholars in the domain of Chinese learning, who actively amassed and scrutinized Western knowledge as a response to the influx of Western learning.

      • KCI등재

        서학의 수용과 ‘격치’에 대한 인식: 상하이격치서원의 ‘고과(考課)’를 중심으로

        박영순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8 외국학연구 Vol.- No.45

        Shanghai Gezhi Academy carried out the essay test for general intellectuals during the years 1886 ~ 1894. The questions, examiners, examinees and the content of answers of the ‘Essay Test’ by Gezhi Academy at the time were included in the book “Ge Zhi Shu Yuan Ke Yi”. In this book, th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intellectuals of westernization in China on the Western Learning in modern times were reflected. Most of those among the total 88 questions set in 9 years, between 1886 and 1894, are concerning westernization (current affairs, thriving and powerful, etc.). This article is intended to make “Ge Zhi Shu Yuan Ke Yi”, where the content of the test paper of the dean’s list, Ge Zhi Academy, is included, as the subject for study. I intend to make an analysis on the perception and point of view of the people on the Western Learning and their significance, through which we would have a look into the perception, point of view and others of the intellectuals of westerniz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Chinese and Western Learning. This will be divided roughly into three parts. First, we have a discussion centered on the understanding of categories of Western Learning such as understanding of the Western Learning (Ge Zhi), the relation between Chinese and Western Learning, academic significance, and so on. Second, through analyzing the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Western Learning Being of Chinese Origin’, ‘The Theory of Western Learning and Chinese Learning are of Different Origin’, ‘Valuing Morality and Despising Art’, and ‘Justice and Physics’, which are presented as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Western Learning, we shall get to understand the knowledge and recognition of Chinese and Western Learning by the intellectuals of westernization at the time. Third, we also have a look at the impact, significance and uppermost limit with the recognition, point of view, etc., on the Western Learning reflected in the essay test managed by Ge Zhi Academy. Through the above study, we get to know the awareness, knowledge and point of view of general intellectuals of westernization in China on the acceptance of Western Learning and Ge Zhi in the stage of Dissemination of Western Learning to the Orient.

      • KCI등재

        조선후기 西學 수용과 배척의 논리 - 星湖學派의 西學觀을 중심으로 -

        구만옥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8 동국사학 Vol.64 No.-

        The acceptance of western studies(西學) of the Seongho School(星湖學派), represented by Yi, Ik(李瀷), has seve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ly,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is regarded separately from Catholicism. While he has asserted that Catholicism was a heresy, Yi, Ik ha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ly, they have affirmed the academic excellence and practicality of Western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on historical awareness and perception of reality. They have had historical awareness that Science and technology becomes more and more precise as it goes down later, and even the wisdom of the saints can not grasp the whole truth, At the same time, they have had perception of reality that China’s academic ability was lagging behind the West at that time. Thirdly, based on the open-minded attitude of study, they have raised the selective acceptance of the doctrine of heresy. Yi Ik has the view that even if it is a book of heresy, they can remove the nuisance part and can adopt only outstanding discussion. Finally, they have explored the doctrines of Catholic and other heretic theories thoroughly. Scholars of the Seongho School have read a wide range of books related to Western learning and extracted pros and cons. This differentiates them from those scholars who have never read books of Western learning and raised criticism. Unlike the acceptance of Western learning of the Seongho School, it is difficult to find a discussion on the excellence of Western science in the Heterogeneism and the traditional logic of heretical rejection, held by those scholars belong to Southerners group and those who have strong opinion of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Based on the tradition of heretical rejection, they have categorized Catholicism into the heresy which acknowledges neither king nor father. They have also expressed a negative view on the excellence of Western science. Their criticisms of Western science are as follows. Firstly, they have not recognized the academic ability of Westerners. They scorned, exaggerated, and abused Western knowledge as ‘one-sided wisdom’ at best. Secondly, they have looked down on the excellence of Western science as a mere handicraft. They considered the excellence of Western astronomy no different than the special abilities of animal and poultry. The sophistication of Western studies was compared to the “delicate handicraft of Japan and Vietnam”. Third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inese academic and Western skills were compared with that between the fundamental comprehension of the aristocracy and a handicraft of the lower class. Finally, in their view,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thodoxy and the heresy is in ‘academic goal’. They pointed out that heresy focuses on the material force as the principal[主氣] and qi(氣) with physical form[形氣], while the orthodoxy focuses on the nature and external necessity[性命] and the moral principle[道理]. 李瀷으로 대표되는 星湖學派의 서학 수용론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째, 서양의 과학기술과 천주교를 분리하였다. 이익은 천주교는 이단이라고 단언한 반면 서양의 과학기술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수용의 태도를 보였다. 둘째, 서양 과학기술의 학문적 우수성과 실용성을 긍정하였다. 이익은 과학기술은 후대로 내려갈수록 더욱 정밀해지고, 비록 聖人의 지혜라고 할지라도 그 이치를 모두 알 수는 없다는 역사적 인식, 그리고 당시 중국의 학문적 능력이 서양보다 뒤떨어져 있다는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서학 수용론을 전개하였다. 셋째, 개방적 학문 태도를 기초로 異端의 학설에 대한 선별적 수용론을 제기했다. 이익은 이단의 책이라고 해도 그 가운데 잡스러운 부분을 제거하고 뛰어난 논의[明論]만 채택하면 된다고 보았다. 넷째, 천주교를 비롯한 이단의 학설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탐구하였다. 성호학파의 학자들은 다양한 서학 관련 서적을 폭넓게 읽고 장단점을 적출하였다. 이는 서학과 관련된 책을 전혀 읽지 않고 비판론을 제기했던 학자들과 비교할 때 분명한 차별성을 보인다. 성호학파의 서학 수용론과 달리 南人 계열과 衛正斥邪 계열의 闢異端論·斥邪論에서는 서양과학의 우수성에 대한 논의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들은 전통적인 이단 배척의 논리에 기초해서 천주교를 ‘無父無君’의 邪學으로 단정했으며, 서양과학의 우수성에 대해서도 부정적 견해를 피력하였다. 서양과학에 대한 비판의 논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인의 학문적 능력을 인정하지 않았다. 서양의 지식은 ‘한쪽으로 치우친 지혜’라고 폄하되거나 과장되고 황당한 말로 치부되었다. 둘째, 서양과학의 우수성을 소기(小技: 조그마한 재주)의 차원으로 낮추어 보았다. 서양 천문학의 우수성은 禽獸가 지니고 있는 특별한 능력과 다를 바 없다고 여겼고, 서양 학문의 정교함은 ‘日本이나 安南의 정교한 工技’에 비유되었다. 셋째, 중국의 학문과 서양의 기예를 君子의 上達과 小人의 下達로 대비하였다. 넷째, 正學과 異端의 차이를 ‘학술의 차이’에서 찾고 있었다. 그것은 바로 主氣·形氣를 위주로 하는 학문과 性命·道理를 위주로 하는 학문의 차이였다.

      • KCI등재

        『성리정의(性理精義)』와 서학(西學)

        안대옥 ( Dae Ok Ah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7 No.-

        청 전기의 서학수용은 강희제 통치시기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시헌력이 반포되어 서양 역산학 체계가 관학으로 수용된 점과 함께 사대부 중심에서 황실 중심으로서 학수용의 주체가 바뀐 점 등 서광계와 마테오 리치에 의해 정립된 명말의 보유론적 수용과는 그 양상이 판이하게 달랐다. 서교(종교)와 서학(과학)의 분리는 청대 서학수용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였다. 수용의 패러다임이 보유론과는 달리 주자학적 학적 체계에 준해서 이루어진 점도특징적이다. 따라서 주자학적 격물치지의 한 분야로 서학을 수용하는 이상 그 수용의 대상이 역산학에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서학=역산학이 내포하는 학적 내용이 모두 곧바로 주자학적 학적 체계 속에 범주적으로 결합 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지원설 등과 같이 일부 서학의 언설은 분명하게 전통 역산학적 지식체계와 모순되거나 적어도 상보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주자학적 언설이든 서학의 언설이든 주자학적 틀 안에서 논리적으로 공존 가능한형태로 변형 혹은 절충시킬 필요가 있었다. 강희 54년에 편찬된 『성리정의』는 청초를 대표하는 성리학서이다. 청대의 학술에 서 주자학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과 절충을 극명하게 보여 준다는 점에서 『성리정의』의 편찬이 갖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 결론적으로 보면 월식에 대한 재이론적 해석을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서학의 언설로 주자학적 언설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한편 월식의 재이론적 해석을 유보한 점 또한 자연학과 주자학적 내성주의가 균열하는 지점을 우리에게 제시한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The acceptance of Western learning (西學) in the early Qing dynasty was culminated under the reign of emperor Kangxi. Its acceptance, however, was in a way quite different in the sense of the policy (補儒論)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in two aspects: first, Shixian li (時憲曆), the new official calendar of the Qing dynasty was relying on the Western method (西法); and second, in its acceptance the Manchu imperial family played more important role than the Chinese literati did.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Western learning under the new dynasty was her success in separating Western Science from Christianity. Moreover, the paradigm of the acceptance was established on the base of Neo-Confucian discipline. Because Western learning was accepted as a branch of investigation of things (格物致知), it was logically natural that the extension of Western learning had to be limited to mathematical astronomy only. To combine all the Western astronomical knowledge with Neo-Confucianism, however, could not be possible, because some concepts of Western learning were not compatible with the doctrine of Neo-Confucianism in itself. As it were, the theory of a round earth (地圓說) was obviously contradictory to and not complementary with any other Chinese traditional concepts such as the "flat earth". Therefore, it was inevitable that one or both theories were to be modified or with in the Neo-Confuciandoctrine. Xingli Jingyi (性理精義), published in 1715, is a representative work of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Qing period. Though Neo-Confucianism of the Qing period in general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by Qing scholars afterwards, nonetheless the publication of Xingli Jingyi was not meaningless as at the least it showed such manipulation stated above clearly. As a result, except the moralistic interpretation of the lunar eclipse, almost all arguments of the Neo-Confucian doctrine in question were eventually modified and replaced by the alternatives of Western learning without hesitation. The tendency that Neo-Confucianists were reluctant to reject the moralistic view of the lunareclipse,inmyopinion,couldbethe very point. Hence, this gives us a significant implication about why later Neo- Confucianists in the modern period would rather sacrifice all of natural science for the sake of Neo-Confucian metaphysics.

      • KCI등재

        안정복<SUP>安鼎福</SUP>의「천학문답<SUP>天學問答</SUP>」에 대한 비평과반서학적<SUP>反西學的</SUP> 인식의 확산 - 손재<SUB>損齋</SUB> 남한조<SUB>南漢朝</SUB>의 「안순암천학혹문변의<SUB>安順菴天學或問辨疑</SUB>」

        조지형(趙志衡)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8

        본고는 영남 출신 남인 학자 남한조南漢朝의 학문적 계보와 생애사를 검토하여 그가 지녔던 반서학적 인식의 형성 과정과 실질을 살피고, 그를 통해 영남지역으로 서학 비판의 흐름이 확산되어 가는 국면을 탐색하였다. 남한조는 경상도 상주尙州 출신으로서 본래 이상정李象靖 문하에서 수학한 영남 이학파理學派의 학통을 계승한 인물이었다. 그는 스승 사후에 다시 안정복安鼎福에게 나아가 수학하면서 당시 근기 남인 사이에서 큰 문제거리가 되고 있던 서학西學의 실체를 인지하고 비판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는 스승의 권유로 「천학문답天學問答」에 대한 교정 작업을 담당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과 비평을 개진한 「안순암천학혹문변의安順菴天學或問辨疑」라는 저술을 남기게 되었다. 또한 조선에 서학이 치성하게 된 원인을 탐색하다가 「이성호천주실의발변의李星湖天主實義跋辨疑」를 작성하기도 하였다. 이 두 저술은 남한조가 지녔던 반서학적 인식을 가장 잘 보여준다. 18세기 후반 근기 남인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서학 비판의 흐름은 남한조를 매개로 하여 이상정 문하의 영남 이학파 문인들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이에 남한조와 교유하던 영남 지역의 여러 문인들, 예컨대 정종로鄭宗魯‧조술도趙述道‧황용한黃龍漢‧신체인申體仁‧이동급李東汲은 각각 반서학적 인식을 담은 저술들을 남기게 되었다. 한편 남한조의 제자였던 류건휴柳健休는 『이학집변異學集辨』을 찬술하였다. 이처럼 18세기 후반 반서학적 인식과 흐름이 근기 지역에서 영남 지역으로 확산되고, 영남 지역 안에서 반서학 정서가 확고하게 자리잡게 된 배경에는 남한조의 역할이 매우 컸음을 짐작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academic pedigree and life histories of Nam Han-jo, a scholar from Yeongnam region, to research the process of formation of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at he had, and to investigate the phases that the flow of criticizing Western learning was spread into Yeongnam region through him. Nam Han-jo originally studied under Lee Sang-jeong and succeeded to Yeongnam Yi School scholastic mantle. As he studied under Ahn Jeong-bok after his teacher died, he recognized the true nature of Western learning that was very problematic among Geungi Namin scholars and held critical position on it. While he was in charge of correction of 「Cheonhakmundab (天學問答)」 by his teacher’s recommendation, he left a book 「Ansunamcheonhakhokmunbyeonui (安順菴天學或問辨疑)」 that states his opinions and criticitisms. This book well shows Nam Han-jo’s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e tendency of criticizing Western learning done by 18th century Geungi Namin scholars affected Yeongnam region’s Namin with the medium of Nam Han-jo. Therefore, such scholars who had academic exchange with Nam Han-jo as Jeong Jong-ro, Jo Sul-do, Hwang Yong-han, Shin Che-in and Lee Dong-geub left their own books that contain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In addition, Ryu Geon-hyu, who was a pupil of Nam Han-jo, wrote 『Yihakjibbyeon (異學集辨)』. As shown above, Nam Han-jo played a great role in spreading anti-Western learning awareness throughout Yeongnam region in the late 18<SUP>th</SUP> century.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수양론과 서학사상

        장승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2022 다산학 Vol.- No.41

        While Tasan’s ideas externally seem to return to the primitive Confucianism of Confucius and Mencius, he, in fact, tried to establish a new Confucianism through his encounter with Western Learning. In terms of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he showed many fundamental differences when compared with the teachings of Cheng-Zhu. Tasan criticize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of Neo-Confucianism based on the doctrine of li and ch’i and presented a new theory of self-cultivation based on mind-body dualism and Sangje(上 帝). Internally, it emphasizes the sympathy with Sangje through Sindok(愼獨) and Gyesingonggu(戒愼恐懼). Externally, it emphasizes the practice of virtue in social relations. In particular, it pursues virtue-building cultivation through practice in a specific human relationship. It emphasizes the outcome of actions, stating that doing good deeds is to build merits and conversely, doing evil is to commit sins. There are common points with the contents of Western Learning in that Tasan put the Lord of Heaven rather than the Taegeuk as the metaphysical basis i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humans and animals and the free will and responsibility of human beings, and emphasizes the specific practice of virtue and behavioral love. It is clear that Tasan was heavily inf luenced by the Western Learning through such books as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天主實義) and The seven victories(七克), but he accepted it more selectively and critically. For example, in Tasan cannot see the idea that the world that appears in Western thought, that is, this world, is an ephemeral place that has passed for a while, and that the true world is heaven. While emphasizing the personality of heaven, it is seen as an object of fear and service rather than an object of lov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Learning. And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Western Learning to recognize that it is always in humanity(人倫) that Heaven searches for good and evil of people with an emphasis on human relationships. Tasan sees the moral mind(道心) as the voice of Sangje. He emphasized the self-cultivation through actual practice(行事) and understands that “self-cultivation” “moral practice,” and “serving Sangje” are closely related without separation from each other, which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asan’s theory of self-cultivation. Although Tasan was inf luenced by the ideas of the Western Learning, he didn’t accept it as it was, but used it as an opportunity to reinterpret Confucianism. Through the integration of East-West thought, Tasan’s thought tries to establish a new Confucianism. He sought a new logic that embodies the Confucian philosophy of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the people(修己治人) in the direction of contributing to society while cultivating himself by practicing benevolence(仁) socially while serving Sangje internally. 다산은 외면적으로는 수사학 즉 원시유학으로 돌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서학과의 만남을 통해서 새로운 유학을 정립하고자 하였고, 수양론에 있어서도 주자학과 비교할 때 많은 근본적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기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성리학의 수양론을 비판하고 인격적 상제론과 신형묘합의 인간론에 기초한 새로운 수양론을 다산은 제시하였다. 내면적으로는 신독과 계신공구를 통한 상제와의 교감을 중시하고, 외면적으로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덕의 실천을 중시한다. 특히 구체적인간관계에서 실천을 통해 덕을 쌓는 수양을 추구한다. 선한 행위를 하는 것은 공을 쌓는 것이고, 반대로 악을 저지르는 것은 죄를 범하는 것이라고 하여 행위 결과를 중시하는 태도를 보였다. 다산이 수양론에서태극이 아니라 인격적 상제를 형이상학적 근거로 삼고, 인간과 동물의차이와 인간의 자유의지와 책임을 강조하고, 덕의 구체적 실천과 행동적 사랑을 중시하는 점은 일정 부분 서학서의 내용과 공통된다. 다산이 수양론을 비롯한 그의 사상에서 서학의 영향을 상당히 받았음은 분명하지만, 그는 서학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나름의 선택적 비판적 수용을 하였다. 예컨대 서학사상에 나타나는 이 세상 즉 현세는 잠시 왔다가 지나가는 덧없는 곳이고 참된 세상은 천국이라는 관념이 다산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천의 인격성을 강조하면서도 천을 사랑의 대상으로 여기기보다는 두려워하고 섬기는 대상으로 본 것도 서학과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인간관계를 중시하여 하늘이 사람의 선악을 살피는 것은 항상 인륜에 있다고 인식하는 것도 서학과 차이가 있는 부분이다. 다산이 도심을 상제의 목소리와 다르지 않다고 보고, 인륜을 실천하는 것과 하늘을 섬기는 것과 수양이 서로 다르지 않다고 인식하는 것은 다산 수양론의 중요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다산은 서학사상의 영향을 받았지만 있는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유학을 새롭게 재해석하는 계기로 삼았다. 동서사상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사상의 정립에 있어서 서학의 영향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가 깊다고할 수 있다. 서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한 다산은 한편으로는 내면적으로상제를 섬기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으로 인을 실천함으로써 자신을 수양함과 동시에 사회적으로 이바지하는 방향으로 수기치인의 유교적 이념을 구현하는 새로운 논리를 모색하였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