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栗谷思想中的 「理」 與 「心」

        후지 미치아키(藤井倫明) (사)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2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properties of Li(理) which is invisible and inactive, the relation between mind and nature, and the structure of the theory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in Yi Yulgok’s thought. Based on my analysis, I point out the structure of Yi Yulgok’s learning of Zhu Xi. Li and Qi(氣) are one substance in Yi Yulgok’s thought and never be apart. It will not form only have one of Li and Qi without the other. Qi is the force of this substance, and Li is the content of it. There is no any problem even if Li has no activity, since Li can exert its content through Qi in the structure of substance. Therefore, for Yi Yulgok, Li concretely exist and has the meaning of being substance. I think that we can not ignore Yi Yulgok’s thought about Li and Qi if we want to repute Yi Yulgok’s learning of Zhu Xi. 본 논문의 주요 내용은 율곡(栗谷) 사상 중 ‘무형무위(無形無為)’의 리(理)의 성질, 심성관계,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의 이론적 구조 등의 문제이다. 이에 관한 연구는 이미 상당히 풍부한 성과가 있다. 필자의 짧은 소견으로 볼 때, 과거의 연구에서는 율곡의 ‘리’의 ‘무형무위’라는 이 성질에 과도하게 주목하여 율곡 사상의 특색이 리의 활동성이라는 점을 부정하였다고 보았다. 그러나 필자는 율곡의 문제의식은 리가 ‘활동하느냐’ ‘하지 않느냐’라는 문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리기호발(理氣互發)이 가능한가”의 여부에 있다고 생각한다. 바꾸어 말하면, 두 가지 본체, 두 가지 근원이 성립될 수 있는가이다. 율곡은 인간의 심정의 근원은 오직 하나이며, 즉 ‘리기혼합(理氣混合)’, ‘기발리승(氣發理乘)’이라 생각했다. 리기 양자는 혼융 일체되어 상호 협조하여 하나의 본체, 근원을 형성한다. 이 본체, 근원은 만약 한쪽이 부족하면 성립될 수 없다. 분석해 보자면, 기(氣)는 이 본체가 작용할 때 동력의 근원이며, 리(理)는 이 본체의 자원과 정보 내용이다. 여기서 설사 ‘리’ 스스로 활동성을 갖추지 못하여도 전혀 장애가 없다. 왜냐하면 ‘리기혼합’의 구조에서 리는 기의 동력으로 인해 여전히 자기의 내용을 발휘할 수 있고 본체로서의 역할을 유지한다. 율곡은 비록 리를 ‘무형무위’로 규정하였지만, ‘리의 발용’의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인정하였다. 필자는 율곡의 사상을 정확히 평가하려면 ‘리기혼융불상리(理氣渾融不相離)’의 관점을 소홀히 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인심도심설에 관하여 필자는 율곡이 이해하고 있던 사단칠정(四端七情)과 인심도심(人心道心)은 인간의 심정에 대한 서로 다른 분류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율곡의 이해에 따르면, 사단칠정은 단순하고 움직이지 않는 심정의 종류로 서술하고 있으며, 동시에 그 가운데서 특수한 부분을 골라낸다. 칠정이 가리키는 것은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감정의 전체이다. 사단이 가리키는 것은 그 가운데 선(善)의 부분이며, 칠정 중에 사단을 포함한다. 양자의 관계는 바로 전체와 부분이며, 그러므로 대립 모순되지 않는다. 이와 상대적으로 인심도심은 심정이 발생시키고 형성한 구조에 주목하여 분류한 것이다. 인심, 도심은 모두 동일한 성리(性理; 天性)에 근거한 심지용(心之用), 정지발(情之發)이다. 양자의 차별은 바로 ‘발(發)’을 일으키는 동기에 있다. 다시 말해 도심은 ‘도의(道義, 理義)를 위해 발하는 것’이며, 인심은 ‘구체(口體, 食色)을 위해 발하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도심은 ‘성명지정(性命之正)’에 따라 생겨난 ‘도덕정감(道德情感)’이며, 인심은 ‘형기지사(形氣之私)’에 따라 생겨난 ‘자연정감(自然情感)’이다. 양자의 성질은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인심도심은 서로 겸할 수 없고 서로 종시(終始)를 이룬다”, “도심은 인심이 아니며, 인심은 도심이 아니다”라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관점이 율곡에게서 시종일관 변화가 없으며 주자에 부합하는 본인의 이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율곡의 소통론에 반영된 장자 제물론의 철학사상

        이종성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50 No.-

        Among the 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few who were as well-versed i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s Yulgok. Yulgok is a person who critically responded to the limitations of various dichotomous worldviews while avoiding academic uniformity. He has a characteristic of pursuing academic openness on the premise of philosophical communication theory. In particular, this article examines the specific contents of Yulgok's communication theory, paying attention to the reflection of Zhuangzi's way of thinking of the Equality of Things. Most of the concepts and contents of Zhuangzi's philosophy found throughout Yulgok's collect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way of thinking of the Equality of Things, which is the core idea of Zhuangzi. This leads us to think the result Yulgok tacitly admitted that the Equality of Things contains is a high-level view of the world that does not remain in vain logic or sophistry. In fact, it is confirmed that Yulgok, while living in an era that requires social reform and great integration, requested that the Equality of Things be applied as a philosophical metho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the time. This article covers three main topics. First, it is a task of the times or a request for communication in the midst of non-communication. Second, it is the communication of the Equality of Things about individualized beings. Third, it is the communication of the Equality of Things about the opposing party theory. These three themes are not separate and are not independent, but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thus have interactivity. In short, Yulgok paid attention to the Equality of Things of Zhuangzi in order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theory to achieve great social and political integration with various ideologies beyond all confrontations and divisions. This article is the first achievement of introducing Yulgok's view of Zhuangzi to academia, and continuous follow-up research on related topics is requested in the future. 조선조 유학자 가운데 율곡만큼 유불도 삼가사상에 조예가 깊었던 인물도 드물다. 율곡은 학문적 획일주의를 지양하면서 각종의 이분법적 세계관의 한계에 대해 비판적으로 대응한 인물이다. 그는 철학적 소통론을 전제로 학문적 문호 개방성을 지향한 특성이 있다. 이 글은 특히 율곡의 소통론에 장자의 제물론적 사유방식이 반영되어 있음을 주목하고, 그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한 것이다. 율곡의 문집 곳곳에서 확인되는 장자철학의 여러 개념과 내용들은 대부분 장자의 핵심사상인 제물론의 사유방식과 깊은 연관성이 있다. 이러한 점은 율곡이 장자의 제물론이 결코 허황된 논리이거나 궤변론에 머물지 않는 차원 높은 세계관을 담고 있는 것임을 암암리에 인정한 결과라고 여기게 한다. 실제로 율곡은 사회적 개혁과 대통합이 요청되는 시대를 살면서 장자의 제물론이 당대의 난국을 타개할 수 있는 철학적 방편으로 적용될 수 있기를 요망하였음이 확인된다. 이 글은 크게 세 가지 주제를 다룬다. 첫째, 시대의 과제 또는 불소통 속 소통의 요청이다. 둘째, 개별화된 존재에 대한 제물론의 소통이다. 셋째, 대립적 당론에 대한 제물론적 소통이다. 이와 같은 세 가지 주제는 별개의 것으로 독립된 것들이 아니라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어서 상호 작용성을 갖는다. 요컨대 율곡은 일체의 대립과 분열을 넘어 각종의 이념과 사회정치적인 대통합을 이루기 위한 소통론을 확립하고자 장자의 제물론에 주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글은 학계에 율곡의 장자관을 최초로 소개한 성과로서, 향후 관련 주제의 지속적인 후속 연구에 토대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南溪 朴世采의 예학과 사회 정치 개혁 ― 變通, 蕩平論을 중심으로―

        최영성 (사)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This study is aimed to search out the academic and ideological relation between Namgye Park Se Chae (1631~1695) and Yulgok Lee Yi. This study starts from the cognition that Park Se Chae was the scholar who led Yulgok School and he was quite related with the Study of Yulgok. The existing studies have projected the aspects that he had objection to Yulgok's Theory of Sung Confucianism and was pond of the Theory of Toigye and that he was inclined to the Study of Woogye in terms of practice, so that he has been recognized as a figure who was out of Yulgok's academic stem. In this study, however, I avoided such side cognition of Namgye's idea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Study of Yulgok on his idea in the general and macro viewpoints. In this study, I could understand that Park Se Chae's academic and political viewpoint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authentic Yulgok School in only few aspects and his idea was naturally derived from Yulgok School as time went by toward the late period of Yulgok School. In addition,such derived idea of his was mainly caused by his life attitude that he kept for his study and life under the word, 'Compromise'. As a result, his idea was thought to be derived as a third way that was not against the Theory of Yulgok or Yulgok School. In this study, I looked into his idea for reform of social political system focusing on ‘Yechi (禮治: Courtesy based Governing)’, ‘Byeontong (變通:Smoothly Handling with Flexibility)’ and ‘Tangpyeong (蕩平: Not Inclined to One Side)’ to investigate such ideas of his on their roots. He generally followed Yulgok on the Theory of Universe in his Theory of Sung Confucianism while he tended to be inclined to Toigye Lee Hwang and Woogye Sung Hon in his Theory of Heart, Theory of Personality Training and etc. He added his idea to or extended the policies proposed by Yulgok in his Theory of Political Economy. Among his social political ideas, the Theory of Byeontong, Theory of Yechi and Theory of Tangpyeong succeeded faithfully Yulgok and Yulgok School's tradition. In this point of view, his idea is thought to be focused on not his Theory of Sung Confucianism but his political idea,Idea of Courtesy and Theory of Tangpyeong, which were all thought to be largely influenced by the Theory of Yulgok. 이 글은 남계(南溪) 박세채(朴世采: 1631∼1695)와 율곡 이이 사이의 학문적 사상적 연관 관계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박세채가 율곡학파의 중추적 학인으로서 율곡학과 지대한 관련이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박세채가 율곡 성리설에 이의를 표하고 퇴계설에 호의를 가진 것, 실천적 측면에서우계학(牛溪學)에 경도된 것 등이 부각되어, 그가 율곡학통에서 벗어난 인물로 인식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부면적(部面的) 인식을 피하고 전체적이고 거시적 관점에서 남계사상에 끼친 율곡학의 영향을 여러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박세채의 학문적정치적 입장이 정통 율곡학파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일부에 국한되며, 율곡학파가후기로 가면서 자체 분화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파생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그런 입장은 ‘절충(折衷)’ 두 글자로 학문과 삶을 일관한 박세채의 태도에서기인한 바 크다. 결과적으로 율곡설이나 율곡학파의 입장과 배치되지 않으면서도제삼의 입장으로 도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예치(禮治)’, ‘변통(變通)’, ‘탕평(蕩平)’ 등을 중심으로 박세채의 사회 정치 개혁사상을 고찰하면서, 그 사상의 연원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박세채는성리설에서 우주론과 관련된 것은 대체로 율곡을 따랐으며, 심성론․수양론 등에서는 퇴계 이황과 우계 성혼 쪽에 경도되는 경향을 보였다. 경세론에서는 율곡이 제시했던 정책들을 부연하거나 확대시켰다. 그의 사회 정치사상 가운데 변통론과 예치론, 탕평론은 율곡과 율곡학파의 전통을 충실하게 계승한 것이었다. 이를 보면박세채의 사상은 성리설에 중점이 있는 것이 아니고, 정치사상, 예학사상, 탕평론등에 있었으며, 또 그것들이 율곡설에서 지대한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율곡철학 내 意·念의 철학상담적 의미와 적용 방법 연구

        황정희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50 No.-

        This study reviewed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meaning of Eui(意)·念(Yeom) in Yulgok philosophy and applied it to suggest a metho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 noted that Yulgok distinguished 念(Yeom), one of Eui(意), in 『SonghakJibyo(聖學輯要)』, and among them, the method of cultivating Bunyeon(浮念) was different. In addition, since Eui(意) is a conscious action such as moral judgment and moral determination, it is related to today's social and moral problems, and 念(Yeom) is related to modern people's problems such as reduced concentration. Therefore, among the methods of cultivating the meaning and ideology of Yulgok philosophy, Sincere Thought(誠意) and Recirfying Heart(正心) have philosophical counseling meanings, respectively. Sincere Thought(誠意) is a method of theory and practice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people caused by moral judgment, and helps them understand themselves as moral beings and reach self-change through moral judgment. In the context of Bunyeon(浮念), Recirfying Heart(正心)은 helps to grasp the situation clearly and change the attitude of one's life comfortably. I envisioned 'Yulgok Eui(意)·念(Yeom) Philosophical Counseling' based on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meaning of Eui(意)·念(Yeom) in Yulgok philosophy. And I presented the subject suitable for this counseling and the process and content of the counseling. Yulgok Eui(意)·念(Yeom) Philosophical Counseling, which uses text in Yulgok philosophy as a philosophical asset, is in line with the proces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in terms of self-understanding, self-change, and self-transcendence. In this paper, I showed that Yulgok's philosophical assets are now useful for the lives of Koreans here, and that it can be expand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본 연구는 논자가 율곡철학 내 意·念의 철학상담적 의미를 검토하고 이를 적용하여 철학상담의 방법을 제시한 것이다. 논자는 율곡이 『성학집요(聖學輯要)』에서 意의 하나인 念을 구분하고 그 가운데 浮念의 수양 방법을 달리한 점을 주목하였다. 意는 도덕 판단과 도덕 결단과 같은 의식 작용이므로 오늘날 사회 도덕적 문제와 관련되고, 念은 집중력 저하와 같은 현대인의 문제와 연관된다고 보았다. 또한 율곡철학 내 意·念 수양 방법 가운데 성의와 정심은 각각 철학상담적 의미를 지니는데, 誠意는 도덕적 판단에 따라 생기는 현대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론과 실천의 방법이며, 도덕적 존재로서 자기를 이해하고 도덕 판단으로 자기 변화에 이를 수 있도록 돕는다. 正心은 浮念의 상황에서 사태를 명료하게 파악하고 자기 삶의 자세를 편안하게 변화시킴으로써 도덕 주체로의 본성을 실현하도록 할 수 있다. ‘율곡 의념 철학상담’은 자기 이해와 자기 변화 그리고 자기 초월이라는 측면에서 철학상담의 과정에 부합하고, 율곡의 『격몽요결』, 『성학집요』등 텍스트를 철학적 자산으로 삼고 있다. 논자는 율곡 의념 철학상담을 통하여 자기의 意·念을 이해하고 이를 誠意·正心의 과정을 통하여 변화시킬 수 있다고 보았으며 현대인의 마약 중독과 집중력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논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율곡의 철학적 자산이 고전으로 머물지 않고 지금 여기에서도 여전히 삶에 유용하며 현대의 철학상담과 소통을 통하여 그 외연을 확장할 수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栗谷과 旅軒의 四七論에서 理의 발현과 公의 실현

        홍성민 (사)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1 No.-

        This article researches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s on manifestation of Principle(理) and Realization of Publicness(公) in Yulgok(栗谷 李珥) and Yeoheon(旅軒 張顯光)’s moral emotions theory comparatively. First, This article compares Yulgok&Yeoheon's Li-Gi metaphysics, and then illuminates the two structures of their moral emotions theory. According to research, Yulgok&Yeoheon both criticized Toegye(退溪)'s metaphysics and claimed undetachability of Li-Gi, it signified to provide moral legitimacy for seven general emotions. Further, This article analyzes the appropriateness of emotions(中節) in their theories each other, and reexaminates the meaning of it as conditions of moral emotions. In this way, This article pays attention to Publicness in their theories, elucidates that Publicness is indeed conditions of moral emotions as well as manifestation of Principle and the Universal Way(達道). 이 논문은 율곡과 여헌의 사단칠정론에서 理의 발현과 公의 실현의 문제를 비교 고찰하고 있다. 먼저 이 논문에서는 율곡의 氣發理乘一途說과 여헌의 理經氣緯說를 비교 고찰하면서 사단칠정론의 형이상학적 구조를 탐색한다. 고찰에 따르면, 율곡과 여헌은 공통적으로 퇴계의 互發說을 비판하고 理氣不相離를 강조하면서 기를 통한 리의 발현을 주장하는데, 이는 칠정의 도덕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존재론적 토대가 된다. 나아가 이 논문은 율곡과 여헌의 四七論에서 中節의 의미를 비교 분석하고 중절이 도덕의 근거가 될 수 있는 조건을 검토한다. 율곡과 여헌은 칠정이 상황에 적절한 것(中節)이 도덕의 조건을 충족한다고 주장하는데, 이것의 의미가 무엇인지 밝힌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公의 의미에 주목하여 율곡과 여헌의 사칠론에서 감정의 도덕성 조건을 해명한다. 고찰에 따르면, 율곡과 여헌의 사칠론에서 칠정의 중절은 公의 조건을 충족한다는 것이며 이는 理의 발현이자 達道의 실현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율곡(栗谷)의 문학론과 문무책(文武策)·문책(文策)으로 본 선조대의 문화

        윤인현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2 No.-

        The cultural policy of Seonjo period is in line with the cultural background behind Yulgok's literary thought and 「Moonmoochaek」 and 「Moonchaek」. This indicates that Confucian's cultural  background from the late Goryo Kingdom period was passed down to Yulgok's peiord. As a result, sentences including Tao(道) was the top priority compared to modified sentences. Politician should grow in virtues first to achieve this. It is because the man with virtues can purify his nature. As a result of researching Seonjo period culture through Yulgok's Chaekmoon, the virtues, the edification of mores Moonyijaedoron(文以載道論) from Confucianism were highly valued and civil service examination focused on career-oriented Sajang(詞章) was criticised. On the basis of this, the cultural policy of Seonjo period was enforced grounded on Confucian culture. Learning focused on virtues rather than studying based on the cult of success was emphasized hoping that national discipline would be tightened and mores would be righteous. However, Yulgok's opinion did not consist with the policy of Seonjo's period Hyangyak, a local self-governing system. Yulgok asserted the theory of Hyangyak and its enforcement while Seonjo did not enforce Hyangyak in that it would be premature. Anyway, Yulgok's efforts served as a foundation of cultural prosperity.  Seonjo's cultural policy and Yulgok's claim being in succession to traditional culture view from Confucianism Confucius's cultural view paved th way for erecting national discipline. This led to practical study, being handed down to Silhak scholars. 율곡의 문학론 및 「문무책」・「문책」에 나타난 문화적 배경은 전대의 사장론 우대의 문화와는 차이가 있었다. 율곡이 주장한 기(氣) 중심의 문이재도의 태도는 조선 중종 때의 사장론의 부각에도, 고려 말기 이후 이어져 온 전통적 유가(儒家)의 문학론을 계승한 것이다. 유가의 시관이란 시는 성정에 근본을 두고 인격을 도야하는 데 필요한 것이라는 말이다. 그래서 율곡도 문장만 꾸미는 글보다는 도(道)를 싣는 문장을 최우선으로 여겼으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작시자와 위정자의 덕행을 우선시하였다. 또한 성리학(性理學)을 바탕으로 수기치인(修己治人)을 비롯하여 국가를 개혁하고자 하였으며 궁극적으로 실천궁행(實踐躬行)을 중시하였다. 조선 중기 율곡 같은 철저한 유자(儒者)가 있었기에 도(道)를 숭상하고 실천을 중시하는 성리학으로 계승 발전할 수 있었다. 이처럼 율곡의 문학론과 율곡이 지녔던 문화에 대한 생각은 전대의 사장(詞章) 중시의 문학론을 극복하고 후대의 실학자에게로 계승되어 실용적인 학문과 도덕론의 배경이 되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마키아벨리와 율곡의 리더십 비교 - 군주론과 성학집요를 중심으로

        리기용 (사)율곡학회 2019 율곡학연구 Vol.40 No.-

        This paper analyzes the leadership of Niccolo B. Machiavelli(1469~1527) and Yulgok Yi I(栗谷 李珥, 1536~1584) by comparing“The Prince(君主論)” and“Complete Compendia on Sage Learning(聖學輯要)”, two books dedicated to the Kings of Italy and Chosun. Machiavelli and Yi I, the greatest political philosophers of the West and the East, have in common that they dedicated their books to kings. The former is dedicated to Lorenzo de' Medici in 1512 (published in 1532) whereas the latter is dedicated to king Seonjo(宣祖) of Chosun in 1575, both being political guides for the lords. This paper examines both books and finds that the former focuses power and efficiency of the prince while the latter emphasizes morality of the king based on trust between the king and his liegemen. This research seeks to provide fundamental discussion needed to propose leadership model for contemporary Korea that complementarily combines morality and efficiency by comparing Machiavelli and Yi I’s understanding and ideal model of kings, and necessary virtues. First, this paper discusses the era when the two books were written and compare their respective motives and objectives. Second, this paper looks at the task they faced in the era and their understanding on how to approach and reform the tasks. Third, this paper compares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n the nation, prince, liegemen, and the people. Lastly, this paper compares Machiavelli’s efficient leader who achieves his goal by any means to Yi I’s moral leader that bases himself on trust of liegemen. Despite contemporary Korean politics following modern western political system, Korean politicians are asked to maintain high standard of morality and integrity, the virtues of Confucianism.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political-economical circumstance that requires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t suffices to propose a new form of leadership that complementarily combines the efficient leadership of Machiavelli and moral leadership of Yi I. 이 논문은 이탈리아와 조선의 군주를 위해 약 500여년전 헌정된 책, 구체적으로는 마키아벨리의 군주론과 율곡의 성학집요 비교를 통해 양자의 리더십을 분석한 글이다. 16세기 동서양의 대표적인 사상가였던 마키아벨리와 율곡은 군주를 위한 책을 각각 저술하여 헌정하였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전자가 1512년 이탈리아 로렌초 메디치에게 헌정된 책(1532 간행)이라면, 후자는 1575년 조선의 선조에게 헌정된 책으로 모두 군주의 정치지침서이다. 이 논문에서는 헌정된 이 두 책의 대비를 통하여, 전자는 군주의 집권과 효율성을, 후자는 군주와 신하의 신뢰를 전제로 한 도덕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고찰을 통하여 마키아벨리와 율곡이 지향하고 있었던 군주의 정치에 대한 이해와 이상적 모델, 그리고 군주에게 필요한 덕목들의 특징을 비교하는 한편, 현대 한국의 현실 속에 필요한 도덕성과 효율성이 상보相補, 상자相資적으로 융합된 리더십 모델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적 논의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헌정된 두 책 – 군주론과 성학집요 – 이 집필된 시대적 배경을 살펴보면서 두 책의 집필 목적과 동기를 비교할 것이다. 둘째, 두 사상가가 직면했던 현실 속에서 당면한 시대적 과제 즉 시무時務와 이를 어떻게 변통變通하고 개혁시킬 것인지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고, 셋째, 두 책에 나타난 마키아벨리와 율곡의 국가와 군주, 그리고 군주의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비교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마키아벨리의 목표의 성취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효율적 리더십과 율곡의 군주와 신하의 신뢰를 바탕으로 정립되어야 함을 촉구하는 도덕적 리더십을 대비시켜 볼 것이다. 우리나라의 현실 정치는 철저하게 서구 근대정치 체계를 답습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정자들에게 전통 유가 가치체계의 원형 그대로의 도덕성과 청렴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공직자의 도덕적 청렴성 이상의 업무 역량과 효율성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면서도 절대 역량을 갖춘 리더십이 필요한 우리의 정치, 경제 현실을 의식한다면, 500여년전 동서양의 두 사상가였던 마키아벨리의 효율적 리더십과 율곡의 도덕적 리더십이 상보적으로 융합된 형태의 리더십으로 제시되어야 하는 이유는 충분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율곡학의 관점에서 본 호락논쟁의 쟁점과 낙론의 성격 -미발론과 인물성론을 중심으로-

        유연석 (사)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6 No.-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ssues of Horak debate occurred in the 18th century, in terms of the branch of Yulgok school. To this end, the theory of Weifa and the theory on the nature of human and things which is two main issues of the debate, were examined based on the Yulgok's theory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Exponent of Horon, Han Wonjin argued that there are impure condition of kijil in the area of weifa and the Five constant virtues of Humans and things are different. As such, his opinion is based on Yulgok's fundamental view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On the other hand, Exponent of Nakron, Yi Gan and Yi Jae criticized that Horon's theory of Weifa was contrary to Mengzi's theory of good human nature. It shows that the debate of Weifa is related to validity of the theory of good human nature. They separated pure original mind from physical mind and considered pure original mind as Weifa where is not impure condition of kijil. They also argued that the five constant virtues of humans and things are the same. But their opinion was out of Yulgok's fundamental view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As a resurt, Horon deepened Yulgok's fundamental position, whereas Nakron escaped from Yulgok's fundamental position and pioneered new academic route. Therefore Horak debate arised to a branch of Yulgok school. 본 논문은 18세기 율곡학파 내부에서 발생한 학술논쟁인 호락논쟁을 ‘율곡학파의 분기’라는 문제의식 하에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 성리학의 근본 입장을 氣發理乘一途說과 理通氣局說로 설정하고, 이에 입각하여 호락논쟁의 양대 쟁점인 未發論과 人物性論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未發論辯은 氣發理乘一途說에 대한 해석과 관련되고 人物性論辯은 理通氣局說에 대한 해석 차이에 기인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호론의 대표적 인물인 한원진은 未發의 영역에 氣質의 淸濁․美惡이 존재하지만 用事하지는 않으므로 湛然虛明한 明德의 本體가 되는데 지장이 없다는 未發氣質有善惡論을 제기하였는데, 이는 淸濁의 氣가 動靜하고 純善한 理가 그 가운데 탑재되어 있다는 율곡의 氣發理乘一途說에 입각한 것이다. 또한 太極과 五常을 각각 超形氣와 因氣質로 구분하여 太極은 人․物이 같고 五常은 人․物이 다르다는 人物性論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理一을 理通으로 해석하여 人․物의 동일성을 설명하고 理分殊를 氣局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人․物의 차별성을 설명하는 율곡의 理通氣局說을 계승한 것이다. 반면 낙론을 대표하는 이간과 이재는 未發의 영역에 氣質의 淸濁이 존재한다는 湖論의 입장을 未發有善惡論으로 간주하고 揚雄의 善惡混說로 귀결된다고 비판하였다. 이들은 氣質의 淸濁이 제거된 本然之心을 제시하여 未發로 규정하였는데, 이는 心善에 기반하여 性善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心은 淸濁의 氣이고 性은 純善한 理라는 설정 하에 氣의 動靜에 理가 탑재된 것으로 설명하는 율곡의 氣發理乘一途說에서 이탈한 내용이다. 또한 이간은 太極과 五常을 동일시하여 理를 單指한 本然之性은 人․物이 같고 理氣를 兼指한 氣質之性은 人․物이 다르다는 人物性論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율곡의 理通氣局說에서 人․物의 동일성을 理一로 설명하고 人․物의 차별성을 氣局에 기인한 理分殊로 설명하는 것과는 차별화되는 입장이다. 이렇게 볼 때 호락논쟁의 양대 쟁점인 未發論과 人物性論은 각각 氣發理乘一途說과 理通氣局說에 대한 해석과 직결되는 문제로, 한원진으로 대표되는 湖論이 율곡 理氣論의 근본 입장을 논리적으로 심화시킨데 반해, 낙론의 대표적 인물인 이간과 이재는 율곡 理氣論의 근본 입장에서 이탈하여 새로운 학문적 노선을 개척함으로써 율곡학파의 분기를 초래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율곡의 시문학관(Ⅱ)

        조기영 (사)율곡학회 2008 율곡학연구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Yulgok's point of view in his literature and poetic world. This thesis considered the poetic definition, description, utility, personality, selection of poems, composition of poem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ao(道), insist on the contemporary writings express tangibly the Tao. He uses several terms to explain his views on the relation of Tao and literature. It 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ao and writings(道本文末), that is the means and the end for the mutual effect of enlightenment and moral cultivation. He expound importance and what should be of morality through various type. He cut a conspicuous figures in a fineness selection of poems as presented in Jeongunmyoson(精言妙選), that included his poetic viewpoint and poetic fondness. It is based on the poetic style of a distinctive quality(풍격), that is characterized by a moral sense and effective value and an adequate expression. The first, He pursue a freedom from avarice and tranquility in poetic world. The second, He long for a quietness and tranquil life in poetic world, that is live in easy retirement. The third, He watch with deep concern a new and fresh style in poetry. The fourth, He give attention to a creative activity carefully arranged and a profound intention of a creative work. The fifth, He prefer to a great emotion and a lofty aspiration in poetic world. The sixth, He point to neatness and wholesome in rules of versification and poetic language. The seventh, He head for exquisiteness and gracefulness in a rhetorical device and a decoration. The last, He pursue an sagacious and intelligent reason in poetic world. He study the philosophy of a propriety in the world. 율곡 이이(1536-1584)의 시문학관 양상을 고찰하였다. 도를 꿰뚫는 그릇(貫道之器), 시를 고르는 기준(精言妙選)이라는 항목에서 시문학의 효용, 풍격, 선시(選詩), 시도(詩道) 등에 대한 율곡 이이의 관점 및 태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도를 꿰뚫는 그릇’에서 율곡은 학문이란 도를 밝히는 것이며, 도가 구현된 것이 글이라고 하였다. 이는 도덕을 구명하고 도덕으로써 심신을 수양하며, 이 세상에 도덕을 실현하는 순리적이고 교화적인 학문론인 것이다. 이에 ‘관도지기(貫道之器)’와 ‘문이형도(文以形道)’를 말하여 ‘도본문말(道本文末)’의 태도를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였고, 인간사회에 있어 도덕의 중요성과 당위성을 다양한 유형을 통하여 진술하였다. 도본문말(道本文末)의 도덕적 문학론의 입장에서 다양한 현실세상의 군상을 유형별로 그 내용을 제시하였는데, 세상을 위한 진정한 근본인 도를 꿰뚫는 학문, 도에 근본을 두고 세상에 절실한 선무를 다스리는 정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바로 율곡의 지론이었다. 따라서 율곡이 말한 ‘관도지기’나 ‘형도지기’는 요약하면 ‘도본’이자 ‘무분(務本)’에 연유한 시문학관이 되는 것이다. 넷째, ‘시를 고르는 기준(精言妙選)’에서는 율곡은 38세인 1573년에 시선집인 『정언묘선(精言妙選)』을 만들었다. 중국의 시 가운데 가장 뛰어나고 아름다워 시도(詩道)의 모범으로 삼을 만한 작품들을 가려 뽑아 8편으로 만들었다. 충담소산(沖澹蕭散), 한미청적(閒美淸適), 청신쇄락(淸新灑落), 용의정심(用意精深), 정심의원(情深意遠), 격사청건(格詞淸健), 정공묘려(精工妙麗)라는 풍격을 위주로 하여 시작품을 정선하였다. 이에 『정언묘선』에는 율곡의 시적 관점뿐 아니라 시적 취향이 담겨 있으며, 시작품이 지니는 구체적인 특징 및 효용성 등을 고려하여 시를 선별하였다. 박세채는 『정언묘선』의 ‘지’편의 내용이 이아(爾雅)한 것, 곧 아정(雅正)한 풍격의 시작품이라고 밝혀 율곡이 시의 진정성을 고려하여 마지막 ‘지’편을 명도(明道)한 내용의 운어로써 끝을 맺었다고 말한 부분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마지막 ‘지’편의 작품 내용은 ‘명도이아(明道爾雅)’의 풍격을 지니는 것으로 추정하였는데, 이는 도본문말에 근본을 둔 율곡의 문학적 태도나, 시는 문사 가운데 정수이고 시의 근본은 성정이며 시문은 도를 꿰뚫는 그릇이라고 말한 그의 시관과 일치하였다.

      • KCI등재후보

        栗谷의 가계(家系)와 한국가정교육문화(韓國家庭敎育文化)의 정초(定礎)

        김익수 (사)율곡학회 2008 율곡학연구 Vol.17 No.-

        This study tries to propose the principle and direction of the most traditional Korean family educational culture through Yulgok's family lineage and family education. First, Yulgok's father's line from Lee Don-Soo, the Duksoo Lee family's founder to Lee Won-Soo, Yulgok's father has consistently involved high ranked governmental offices and the family atmosphere has gravely influenced Yulgok's royal spirit to the King. The atmosphere of Yulgok's mother's line also influenced Yulgok's filial piety to his parents. The family education of Yulgok's mother's line includes mother's grandfather's strict education style, mother's father's gentle personality, and grand mother's education of the three basic human relations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father and son, husband and wife. Yulgok's family educational culture thus greatly influenced his philosophy of filial piety leading to his royal spirit to the King.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Yulgok's filial piety is his mother's unique female educational philosophy, which has been formed through three generations from his great grandmother. Many serious problems of current society have been caused by family dissolution leading to great political and educational risk to our society. The family educational culture should thus act an important role in educational direction of current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new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e family educational culture.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가치기반의 가정교육문화를 모색하기 위하여 율곡의 가계(家系)와 가정교육문화에 관하여 해석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고찰한 것이다. 가정교육문화의 바탕이 되는 가풍(家風)과 가계(家系)를 살펴 보면 우선 부계(父系)에서 덕수 이씨 始祖인 이돈수(李敦守) 에서부터 12대인 부친 李元秀까지 문․무 관직이 일관되고 있었음을 것이다.여기에서 느낀바 있어 후일에 율곡이 뜻한 바있어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까지 되어 확고한 소신과 사명감을 갖고 국정에 참여하여 국익에 크게 공헌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모계(母系)에서는 외할머니 용인 이씨부인(龍仁李氏夫人)을 훈도한 외증조 할아버지(外曾祖父/최응현 참판)의 위엄 있는 가정 교육과 외할아버지의 온화한 인품이 율곡의 올바른 성정(性情)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극한 효행(孝行)으로 일관된 율곡의 성장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어머니 사임당이 실천한 가정에서의 교육원칙은 三代( 강릉 최씨 외증조할머니, 용인 이씨 외할머니, 평산 신씨 어머니)에 걸쳐 전승된 남다른 가정 교육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율곡의 가계가 우리나라의 모범적인 가정교육문화의 정향(定向)과 정초를 세우고, 율곡이 우리의 사상과 문화 형성에 크게 기여한 교육사상가가 될 수 있었던 기반은 바로 어머니의 탁월한 교육적 인식과 실천에서 비롯되었음을 확인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개인 이기주의, 출세주의에서 비롯된 가정이 해체위기에 직면(直面)해 있고 국정(國政)전반의 도덕성 위기로 특징지을 수 있다. 정치 및 사회문화와 가정문화는 서로 유기적인 관련성이 있다. 한마디로 국격(國格)의 상실은 곧 가정교육의 위기에서 비롯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우리 사회문화의 격조를 한층 고양(高揚)시키기 위하여 가장 우선시해야 할 것으로 가정교육의 위기 파악과 해결책임을 국정 운영의 방향으로 인식시키는데 유용한 지침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확고한 국가관과 효를 축으로 하는 바른 가정관과 가정교육관이야말로 새로운 국정의 대본(大本)임을 인식케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