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상자산에 대한 민사집행 연구

        이혜정 ( Lee Hyejeong ),김정환,서용성 사법정책연구원 2022 연구보고서 Vol.2022 No.12

        대표적 가상자산인 비트코인에 대해 대법원이 그 재산적 가치를 인정하고, 전 세계 상위 10대 가상자산의 각 시가총액의 합이 1,700조원에 이르렀다. 따라서 민사집행 대상에 가상자산이 등장한 것은 당연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유와 이전에 개인정보가 필요하지 않다는 ‘익명성’과 보유와 이전을 관리하는 중앙기관이 없다는 ‘탈중앙화’를 특징으로 하는 무체(無體)의 가상자산은, 집행 대상의 성격에 따라 민사집행법이 정한 절차에 따라 행해져야 한다는 집행절차 일반 법리의 적용에 난제를 안겨 주었다. 더구나 민사집행절차에서 가상자산을 어떻게 취급할지에 대한 기준이나 방향을 제시하는 법률이 아직 없는 상황에서 가상자산 관련 소송과 집행신청은 꾸준히 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가상자산과 관련된 민사집행절차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급변하는 정책 등을 참고하여 가상자산에 대한 민사집행절차 입법안과 그 운영안을 제안하였는바,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단 가상자산에 대한 민사집행절차를 금전채권을 집행권원으로 하는 ‘금전집행절차’와 비금전채권을 집행권원으로 하는 ‘비금전집행절차’로 나누고, 금전집행절차는 다시 가상자산을 누가 관리하는지에 따라 집행방안을 각각 제시하였다. 이때 민사집행법상 가상자산의 성질을 ‘그 밖의 재산권’으로 보고, 이를 기초로 채권집행, 동산집행 규정 등을 적절히 조화하여 가상자산에 대한 집행 규정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금전집행절차에서, ① 채무자가 그의 가상자산을 관리할 경우에는 ‘그 밖의 재산권’인 가상자산 자체를 압류하고, ‘가상자산 이전명령’에 의해 집행관이 채무자의 가상자산을 이전 받으면, 매각명령에 의해 환가된 금전을 집행법원이 배당하는 절차로 집행안을 구상하였고, ② 제3자가 가상자산을 관리하고 채무자가 제3자에 대해 가상자산이전청구권을 가지는 경우에는 ‘가상자산이전청구권’ 자체를 ‘그 밖의 재산권’으로서 압류한 후, ‘가상자산 이전명령’에 의해 집행관에게 이전된 ‘가상자산’ 자체를 위 ①의 현금화절차, 배당절차와 동일하게 처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비금전집행절차와 관련하여 직접강제, 대체집행, 간접강제가 가상자산 이전채무의 강제이행에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국내외 논의 현황을 참조하여 검토해 보았다. 특히 “가상자산 이전의무는 대체적 작위의무이므로 대체집행에 의해 이행이 강제되어야 한다.”는 독일고등법원 판결과 그와 관련된 입장들은, 가상자산 이전채권을 집행권원으로 하면서 그 집행불능 시 전보배상토록 하는 국내 판결의 집행절차에 대한 논의 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상자산 관련 비금전적 간접강제 수단으로 채무불이행제도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 외 가상자산 관련 집행 시 고려해야할 여러 사항들을 가상자산의 특징을 감안하여 살펴보았고, 집행 대상인 가상자산의 탐색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본 보고서를 마무리 하였다. 국가에 의해 개인 경제가 무너지는 것에 대한 반항으로 등장한 가상자산은 본질적, 기술적으로 제도권에 의한 제한이 곤란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이에 대해 ‘법’이라는 잣대로 그 가치를 이전하고 현금화하려는 시도는 무모한 것일지 모른다. 또한 수 천 가지의 알트코인은 비트코인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어, 비트코인 기술을 기본으로 민사집행 방안을 연구한 본 보고서의 내용을 알트코인 전체에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는 민사집행절차에서 가상자산을 어떻게 취급하는 것이 적정하다는 확고한 방안을 제안하기 어렵다. 이에 본 보고서는 비트코인과 알트코인의 공통된 특징을 중심으로 가상자산에 대한 민사집행의 큰 틀이 될 수 있는 사항을 제안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보고서에서 제안된 내용이 실무에서 바로 적용되기는 어려울 수 있으나, 가상자산에 대한 민사집행 방안 마련과 관련된 다른 연구나 정책 마련 또는 입법 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Supreme Court recognized the property value of bitcoin, a representative Virtual asset, and the sum of the market caps of each of the world's top 10 Virtual assets has reached 1,700 trillion won. Considering these facts, it seems natural that Virtual assets appeared in the civil execution target. However, intangible Virtual assets, which are characterized by their “anonymity” in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not required for their retention and transfer and “decentralization” inthat there is no central authority to manage their retention and transfer present difficulties in the application of general legal principles of the execution procedure that must be carried out pursuant to the procedure stipulated by the Civil Execution Act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object of execution. Moreover,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yet no law that provides standards or directions for how to handle Virtual assets in civil execution procedures, litigation related to Virtual assets and applications for their execution are steadily increasing. Therefore, by referring to various perspectives and rapidly changing policies on civil execution procedures related to Virtual assets, we proposed in this report a legislation bill on civil execution procedures for Virtual assets and their operation. The details are as follows: We divided the civil execution procedures for a Virtual asset into “monetary execution procedures” whose execution title is based on monetary claims and “non-monetary execution procedures” whose execution title is based on non-monetary claims, and then presented re spective execution methods for the monetary execution procedures depending on who manages the Virtual asset. Here, considering the nature of Virtual assets as “other property rights” under the Civil Execution Act, we proposed execution provisions for Virtual assets by appropriately harmonizing the provisions on execution of claims and execution of movables. First of all, in the monetary execution procedure, ① in one case where a debtor manages his/her Virtual assets, we devised an execution procedure in which the Virtual asset itself, which is “other property rights,” shall be seized, and when the execution officer receives the debtor’s Virtual assets according to the “Virtual asset transfer order,” the execution court shall distribute the money converted by the sale order; ② in the other case where a third party manages Virtual assets and the debtor has the right to claim transfer of Virtual assets to the third party, we proposed that the “right to claim transfer of Virtual assets” itself shall be seized as “other property rights” and that the “Virtual asset” itself, which was transferred to the execution officer by the “Virtual asset transfer order,” be treated in the same way as in the procedure for cashing out and distribution in ① above. With regard to non-monetary execution procedures, we reviewed how direct compulsion, substitute execution, and indirect compulsion should be applied to the compulsory performance of Virtual asset transfer obligations, referring to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discussions. In particular, the German High Court judgment and its related positions that “the obligation to transfer Virtual assets is the substitute obligation of an act, so performance must be compelled by substitute execution” are expected to be an important reference when discussing judgment execution procedures in Korea that the claim to transfer Virtual assets is the execution title and compensatory damage should be made in case of inability to execute. Also, we proposed a method using the default system as a non-monetary means of indirect compulsion related to Virtual assets. In addition, we looked at various factors to consider when executing Virtual asset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assets and ended this report by examining ways to search for Virtual assets to be executed. Virtual assets, which emerged as a rebellion against the collapse of the individual economy by the state, are inherently and technically implemented so that they are difficult to restrict by institutional systems. With regard to Virtual assets, it may be reckless to try to transfer their value and turn them into cash by the standard of “law.” Moreover, thousands of altcoin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bitcoin, so there may be limitations in applying the contents of this report that studied civil execution methods based on bitcoin technology to all altcoins.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difficult to propose a firm method for how to properly handle Virtual assets in civil execution procedures. Accordingly, this report focused on suggesting matters that can become a major framework for civil execution of Virtual assets with a focus o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bitcoin and altcoins. Therefore, although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the contents proposed in this report directly in practice, we hope that they would be of some help in preparing other research, policy preparation, or legislation related to the preparation of civil execution methods for Virtual assets.

      • KCI등재

        고 상호작용 클라이언트 허니팟을 이용한 실행기반의 악성 웹 페이지 탐지 시스템 및 성능 분석

        김민재(Min-Jae Kim),장혜영(Hye-Young Chang),조성제(Seong-J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5 No.12

        Drive-by download와 같은 클라이언트 측 공격은, 악의적인 서버와 상호작용하거나 악의적인 데이터를 처리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전형적인 공격은 특정 브라우저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 웹 페이지와 관련된 웹 기반 공격으로,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멀웨어를 실행하거나 클라이언트의 제어를 악의적인 서버에게 완전히 넘겨주기도 한다. 이러한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Capture-HPC를 이용하여 가상머신에서 실행기반으로 악성 웹 페이지를 탐지하는 고 상호작용(high interaction) 클라이언트 허니팟을 구축하였다. 이 실행기반 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악성 웹 페이지를 탐지하고 분류하였다. 또한 가상머신의 이미지 개수 및 한 가상머신에서 동시 수행하는 브라우저 수에 따른 시스템 성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가상머신의 이미지 수는 하나이고 동시 수행하는 브라우저의 수가 50개일 때 시스템이 적은 리버팅 오버헤드를 유발하여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Client-side attacks including drive-by download target vulnerabilities in client applications that interact with a malicious server or process malicious data. A typical client-side attack is web-based one related to a malicious web page exploiting specific browser vulnerability that can execute malware on the client system (PC) or give complete control of it to the malicious server. To defend those attacks, this paper has constructed high interaction client honeypot system using Capture-HPC that adopts execution-based detection in virtual machine. We have detected and classified malicious web pages using the system. We have also analyzed the system's performance in terms of the number of virtual machine images and the number of browsers executed simultaneously in each virtual machin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ystem with one virtual machine image obtains better performance with less reverting overhead. The system also shows good performance when the number of browsers executed simultaneously in a virtual machine is 50.

      • KCI등재

        안전한 스마트 단말을 위한 가상화 기반 도메인 분리 보안 플랫폼 구현

        김정녀(Jeong Nyeo Kim)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7 스마트미디어저널 Vol.5 No.4

        최근 들어, 스마트 단말에서 오피스, 화상회의 등 스마트워크 업무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들을 다루는 경우가 많아졌다. 또한 스마트 단말의 실행환경이 공개 소프트웨어 환경 위주로 발전하면서, 사용자들이 임의의 응용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됨에 따라, 스마트 단말이 보안적 측면에서 취약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TEE(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기반의 격리된 안전실행환경 영역을 가지는 모바일 단말 플랫폼인 가상화 기반 스마트 단말 보안 기술의 특징을 알아본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단말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도메인 분리 기반의 안전한 스마트 단말 보안 플랫폼에 대한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Recently, important information related with smart work such as office and video conference are handled in smart device quite a lot compare with before. Also, execution environment of smart devices is getting developed as open software environment. It brought convenience to download and use any kind of application software. By that, security side of smart devices became vulnerable. This paper will discuss characteristics of smart device security technology based on virtualization that is a mobile device platform with isolated secure execution area based on TEE (Trusted Execution Environment). Also, this paper will suggest an implementation method about safe smart device security platform based on domain separation for application software which can be executed in smart devices.

      • KCI등재

        비트코인에 대한 민사상 강제집행 방안

        전승재,권헌영 한국정보법학회 2018 정보법학 Vol.22 No.1

        “Agreements must be kept(Pacta Sunt Servanda)” principle can not be an exception to Bitcoin holders. When a person who does not repay the debt, the nation takes away the property of debtor and returns the money to the creditor. This process is called civil execution. The meaning of ‘take away’ is to restrict the right to dispose of the property. Then, How to prevent the debtor from disposing of his/her Bitcoin? There are different ways of restricting disposal depending on whether the type of property is real estate, movable property, or bonds. First, in case of real estate, the nation manages the register book, which is the transaction ledger, so that even if the debtor disposes of the seized property, the nation can erase the entry. But the Bitcoin ledger is decentralized and nobody, including the nation, can fix transaction encry that have already been recorded in the ledger. Therefore, real estate seizure methods cannot be applied to Bitcoin. In order to seize the bonds, the garnishee is obliged. The obligation is "Do not return the object of the bond seized to the debtor. It will not be effective even if it is returned, and later it must be repaid to the executive creditor." But Bitcoin networks are self-running unattended algorithms without a central control institution(Trusted Third Party), so there is no way to impose such legal obligations. On the other hand, if the bit coin passes through the exchange to be changed into lawful money, the exchange, which is the central control institution, is subject to the law, so the exchange can be used as the garnishee to seize the bit coin deposited by the debtor. In the case of Bitcoin that is not stored on the exchange, i. e. Bitcoin stored in the debtor’s wallet, there is a method of foreclosure by transferring it to a wallet by the nation. However, in order to retrieve a bit coin from a wallet, it is necessary to know the private key, and if the debtor does not cooperate with it, there is no technical means by which the nation can forcibly find out the private key. In this case, monitoring the balance of the debtor’s wallet after foreclosure, and if the bit coin is withdrawn,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prohibit the disposal by punishing the debtor. Consequently, In the end, if you do not get the help of the exchange, the seizure of the way of taking the Bitcoin of the debtor is difficult to enforce effectively. In order to deal with Bitcoin in current legal system, the registration system of the exchange and the real account of the Bitcoin transaction account must be prepared..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legalize the exchange and attract it as a partner for government policy operation 약속은 지켜져야 한다(Pacta Sunt Servanda)는 원칙은 비트코인 보유자에게도 예외 가 될 수 없다. 채무를 갚지 않는 자의 재산을 국가가 빼앗아 이것을 판 돈을 채권자 에게 돌려주는 절차가 민사상 강제집행이다. 빼앗는다는 것은 처분권을 제한한다는 의미이다. 어떤 방법으로 채무자가 비트코인을 처분하지 못하도록 할 것인가. 재산의 종류가 부동산, 동산, 채권 중 어느 것이냐에 따라 처분을 제한하는 방법이 다르다. 먼저 부동산의 경우 거래원장인 등기부를 국가가 관리하므로, 채무자가 압류 된 부동산을 처분하더라도 국가가 그 내역을 직권말소할 수 있다. 그러나 탈중앙화되 어 관리되는 비트코인 거래원장은 국가뿐만 아니라 그 누구도 이미 기록된 거래내역 을 고칠 수 없으므로, 부동산 압류 방법은 비트코인에 대해 적용할 수 없다. 채권을 압류하는 경우 제3채무자를 상대로 “채무자에게 압류된 채권의 목적물을 돌려주지 말라. 돌려주더라도 효력이 없고 나중에 집행채권자에게 다시 변제해야 한 다.”는 의무를 부과함으로써 그 채권에 대한 채무자의 처분권을 박탈한다. 그런데 비 트코인 네트워크는 중앙 통제기관 없이 스스로 동작하는 무인 알고리즘이어서 그러 한 법적 의무를 부과할 방법이 없다. 이와 달리, 비트코인이 법정화폐와 교환되기 위 해 거래소를 거치는 경우, 중앙 통제기관인 거래소가 법의 지배를 받으므로 거래소를 제3채무자로 삼아 채무자가 입금해 둔 비트코인을 압류할 수 있다. 거래소에 보관되지 않은 비트코인, 즉 채무자의 전자지갑에 보관된 비트코인의 경 우, 이를 국가가 관리하는 전자지갑으로 송금함으로써 압류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전자지갑에서 비트코인을 꺼내려면 개인키(private key)를 알아야 하는데, 여기에 채무 자가 협조하지 않으면 국가가 그 개인키를 강제로 알아낼 기술적 수단이 마땅히 없 다. 이 경우 압류집행 후 채무자의 전자지갑 잔액을 모니터링하다 비트코인이 빠져나 가면 채무자를 처벌하는 방법으로 처분금지를 간접적으로 강제할 수 있을 따름이다. 결국 거래소의 도움을 얻지 않으면 채무자의 비트코인을 빼앗는 방법의 압류는 실 효적으로 집행하기 어렵다. 현행 법제도 안에서 비트코인을 다루려면 거래소 등록제, 암호화폐 거래계좌 실명제와 같은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거래소를 양성화하고 제도 운영의 동반자로 끌어들이는 접근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가상재산(假想財産)에 대한 민사강제집행(民事强制執行)

        이현종 한국민사집행법학회 2022 民事執行法硏究 : 韓國民事執行法學會誌 Vol.18 No.2

        In the civil execution law system in which property execution is the principle, effective enforcement on debtor's assets is very important in realizing creditor's rights. Recently, as virtual property, a new type of property such as Bitcoin, has become an important transaction subject, the need for effective enforcement on virtual property has also become important. Legal discussions in the perspective of civil substantive law on the concept and legal nature of virtual property are still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both the legal interpretation and the legislation. Although the Specific Financial Information Act introduced the definition of virtual assets, this law is an administrative and regulatory legislation to prevent money laundering and public intimidation financing using virtual assets, and many electronic assets are excluded from the regulation. Therefore, it cannot be considered as a legal source on the legal nature, proprietary rights or civil execution of general virtual property.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current Civil Act, which defines tangible objects and natural forces that can be managed as movabl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virtual property that exists in electronic form as movable. In the civil enforcement law system that classifies the compulsory execution procedures based on the property to be executed, the compulsory execution on virtual properties must be carried out in the form of ‘compulsory execution on other property rights’. As an attachment order for virtual property, the court can take additional measures to directly or indirectly prevent the debtor from violating the disposition prohibition order along with the general prohibition on the debtor from disposing of the virtual property. In addition, for virtual property that requires registration or enrollment, it is necessary to record the ground for attachment of virtual property in the register, etc. It is necessary to deter the debtor from disposing of virtual property. However, since virtual property exists in electronic form, effective enforcement of virtual property may be difficult if the debtor does not cooperate voluntarily. Before a civil substantive act on the concept and legal nature of virtual property is enacted, it is necessary to make and enforce the Supreme Court rules governing the compulsory execution of virtual property. If non-binding regulations are prepared by arranging the research results of practitioners in charge of civil execution, the confusion and inconvenience experienced by enforcement authorities, case parties, and legal professionals in charge of compulsory execution of virtual property can be greatly reduced. 물적 집행이 원칙적인 민사집행법령 체계에서 채무자의 책임재산에 대한 효과적인 강제집행은 채권자의 권리 실현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 비트코인 등 새로운 형태의 재산인 가상재산이 중요한 거래대상이 되면서 가상재산에 대한 효과적인 강제집행의 필요성도 중요하게 되었다. 가상재산의 개념이나 법적 성질 등에 관한 민사실체법적 논의는 아직 해석론과 입법론에서 모두 발전 과정에 있다. 특정금융정보법이 가상자산의 정의 규정을 도입하였으나, 이 법은 가상자산을 이용한 자금세탁 및 공중협박자금 조달행위를 방지하기 위한 행정규제적 입법이고, 매우 많은 전자적 형태의 자산을 규율 대상에서 제외하므로, 일반적인 가상재산의 법적 성질이나 권리 변동, 민사집행에 관한 법원(法源)으로 고려할 수 없다. 유체물 및 관리할 수 있는 자연력을 동산으로 정의하는 현행 민법의 해석상 전자적 형태로 존재하는 가상재산을 동산으로 파악하기는 어렵다. 집행 대상이 되는 재산을 기준으로 강제집행절차를 구분하는 민사집행법령 체계에서 가상재산에 대한 강제집행은 ‘그 밖의 재산권에 관한 강제집행’의 방식으로 실행하여야 한다. 법원은 가상재산에 대한 압류명령으로, 채무자에 대하여 가상재산의 일반적인 처분금지와 함께 채무자의 처분금지 명령 위반을 직·간접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추가적인 조치를 할 수 있다. 그리고 등기 또는 등록이 필요한 가상재산에 대하여는 가상재산에 대한 압류의 사유를 등기부 등에 기재할 필요가 있고, 가상재산의 거래와 유통에 관여하는 제3자에 대하여도 가상재산의 처분금지에 적합한 의무를 부과하여 채무자의 가상재산 처분행위를 억지할 필요가 있다. 다만, 가상재산은 전자적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채무자가 자발적으로 협력하지 않으면 가상재산에 대한 효과적인 강제집행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채무자의 자발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거나 이를 대체할 만한 집행처분을 마련하여야 한다. 가상재산의 개념과 법적 성질 등에 관한 민사실체법이 입법화되기 전에는 가상재산에 대한 강제집행을 규율하는 대법원예규를 제정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민사집행업무를 담당하는 실무가들의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비구속적인 규정을 마련한다면, 집행기관과 당사자, 대리인 등이 가상재산에 대한 강제집행에 관하여 겪는 혼선과 불편을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암호화폐를 대상으로 한 금융범죄의 수사와 범죄결과물의 압류 및 몰수 집행절차의 특이점

        김종호 한국지급결제학회 2023 지급결제학회지 Vol.15 No.2

        What is value? In short, value is an abstract concept that allows humans to do something more easil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For example, a dollar is a very simple symbol of doing something specific in the past. Doing a certain task means that it requires a certain amount of energy and other resources. Therefore, what was taken then must be able to be converted into something else in the future.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hat it be socially recognized as a means of exchange with relative value. For example, money is a means of expressing yourself and your efforts in relation to the efforts of others. If someone know that currency is a non-essential and abstract concept, he/she can express it in code on the Internet. This will be a cryptocurrency. As switching costs continue to fall, we believe that a single currency unit will be able to express value in a way that does not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how the network is constrained by supply and demand. It can be said that virtual currency is a field that is very difficult to capture as a legal system as it is changing rapid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financial means in addition to electronic technology. Meanwhile, with regard to virtual currency, problems that need to be solved in various aspects are being presented, such as problems in the aspect of financial law because it is a payment method or financial product, and problems in the aspect of information law because it is an electronic entity. One of the challenges is the issue of compulsory execution of virtual currency. In other words, for example, if a default occurs in a transaction using virtual currency as a means of payment or the object of the transaction, a compulsory execution procedure may develop with a claim for damages as an execution claim. In such cases, the first step in executing money is to seize cryptocurrency, and the problem arises as to how to seize cryptocurrency, which, as the name suggests, is a virtual or electronic entity. Regarding this, even though the court issued an order to seize the virtual currency of the virtual currency account, there are cases where virtual currency exchange companies do not respond, saying that freezing the account is technically difficult and that the risk of double payment cannot be avoided, making enforcement difficult. (Double payment risk cannot be avoided). Accordingly, in criminal cases, the police confiscates virtual currency equivalent to a portion of the parking fines from those who have delinquent parking fines. Of course, compulsory execution in civil cases and confiscation procedures in criminal cases are separate, so they cannot be simply compared. However, if seizure through compulsory execution procedures becomes impossible in civil cases, a loophole will arise in the law that converts assets into virtual currency to avoid compulsory execution, and may further undermine the effectiveness of civil trial procedures. Therefore, in this paper, I examine the possibility and essential aspects of compulsory execution targeting virtual currencies, and also review the future prospects. 가치란 무엇인가? 가치는 한마디로 인간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무언가를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든 추상적인 개념이다. 예를 들어, 달러는 과거에 특정한 일을 했다는 매우 단순한 상징이다. 특정한 일을 한다는 것은 일정량의 에너지와 기타 자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때 걸렸던 것을 미래에 다른 것으로 변환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교환수단으로서 사회적으로 상대적 가치로 인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화폐는 다른 사람의 노력과 관련하여 자신과 자신의 노력을 표현하는 수단이다. 통화가 필수적이지 않고 추상적인 개념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면 인터넷에서 코드로 표현할 수 있다. 이것은 암호화폐가 될 것이다. 스위칭 비용이 계속 하락함에 따라, 단일 통화단위가 수요와 공급에 의해 제약을 받는 방식에 네트워크가 큰 의미를 갖지 않는 방식으로 가치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가상화폐는 전자적 기술에 더해 금융수단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눈이 부끄럽게 변화하고 있어 법제도로서 이를 포착하기가 매우 어려운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가운데 가상화폐에 관해서는 결제수단 혹은 금융상품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금융법적인 측면에서의 문제, 또 전자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정보법적인 측면에서의 문제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제시되고 있으며, 그 과제의 하나로서 가상화폐에 대한 강제집행의 문제가 있다. 즉, 예를 들어, 가상화폐를 결제수단 또는 거래의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거래에서 채무불이행이 발생한 경우 손해배상청구권을 집행채권으로 하는 강제집행절차로 발전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금전집행의 첫 단계로서 암호화폐에 대한 압류를 실시하게 되는데, 이름 그대로 가상적인 혹은 전자적 존재인 암호화폐를 어떻게 압류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에 대해서는 법원이 가상화폐 계좌의 압류명령을 내렸음에도 가상화폐 교환업자가 계좌동결이 기술적으로 어렵고 이중지불 위험을 회피할 수 없다고 대응하지 않아 강제집행이 곤란한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중지불 위험을 회피할 수 없다). 이에 형사사건에서는 주차위반 범칙금을 체납한 자에 대해 경찰이 범칙금의 일부에 해당하는 가상화폐를 압류하고 있다. 물론 민사사건의 강제집행과 형사사건의 압수절차는 별개이므로 단순 비교할 수는 없다. 그러나 민사사건에서 강제집행 절차에 대한 압류가 불가능해지면 강제집행을 피하기 위해 자산을 가상화폐로 만드는 법의 허점이 생기게 되고, 나아가 민사재판 절차의 실효성을 해칠 수도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가상화폐를 대상으로 하는 강제집행의 가능성 및 그 본질적인 모습을 검토하는 동시에, 아울러 향후 전망에 대해서도 검토를 실시한다.

      • KCI등재후보

        메타버스시대의 가상자산에 대한 채권추심과 강제집행방안

        김승래 한국채무자회생법학회 2021 회생법학 Vol.23 No.-

        메타버스(Metaverse·현실과 혼합된 3차원 가상세계) 시대의 가상자 산은 민사법상 어떠한 변화를 초래할지와 민사집행에 있어 강제집행방 법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메타버스와 NFT(Non-Fungible Token) 는 융합플랫폼으로 등장하여 NFT 분야는 기존에 자산으로 분류할 수 없었던 가치를 디지털 자산화해 소유 권한을 블록체인상에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솔루션으로 작용하고 있다.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에 디지털 경제 시대의 흐름에 걸맞은 자산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 다. 이에 따라 NFT플랫폼에서는 디지털콘텐츠를 비롯한 미술, 음악, 문학, 건축, 국악, 사진, 연극, 무용, 영화, e스포츠, 동산, 부동산 등의 유무형 자산들을 디지털화해 거래할 수 있다. 창작자들은 저작권을 보호 받고 수익창출이 가능하다. 세컨더리 세일(Secondary Sale; 2차 판 매)을 통한 수익도 올릴 수 있다. 메타버스는 3차원 가상세계에서 유통되는 자산이 실제 자산과 연동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실물경제 비즈니즈 가치에 육박할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NFT는 메타버스 플랫폼 상에서 콘텐츠의 유통과 소 비를 촉진하는 인센티브 시스템으로 주목받고 있다. NFT는 무한 복제 가 가능한 동영상, 게임 아이템 등 디지털 콘텐츠에 고유한 인식값과 희 소가치를 줘 소유하거나 거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메타버스는 가상 세 계이고 가상 세계 안의 모든 사물은 디지털 콘텐츠다. NFT가 메타버스 내 콘텐츠를 안전하게 소유하고 거래할 수 있게 해주는 경제 근간이 될 것이다. 메타버스 시대의 디지털 전환에 의한 가상경제와 가상자산에 대한 기본적 개념과 가상자산으로서의 NFT를 살펴보았다. 또한 메타버스 혁명 으로 촉발된 가상자산 시장의 변화도 아울러 검토하였다. 나아가 가상자 산의 채권추심과 강제집행 방안을 검토함에 있어 특정금융정보법상의 가상자산의 정의를 확인하고, 형사법상 강제집행에 해당하는 가상자산의 몰수와 국세청의 강제징수를 살펴보았으며, 민사집행법상의 채권추심과 강제집행 대상으로서 가상자산의 집행방법과 절차 및 관련 판례를 검토 하였다. 아울러 회생법원에서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채무자회생 및 파산 절차에서의 재산목록에 가상자산을 포함할 것인가도 언급하였다. Virtual assets in the era of the metaverse (3D virtual world mixed with reality) foretell what changes will occur in the civil law and changes in the method of compulsory execution in civil enforcement. Metaverse and NFT(Non-Fungible Token) have emerged as convergence platforms, and the NFT field is acting as a solution that enables digital asset management of ownership rights on a blockchain that could not be classified as an asset. Because it is possible to trade, it presents a new paradigm of asset management that fits the flow of the digital economy era. Accordingly, the NFT platform can digitize and trade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such as digital contents, art, music, literature, architecture, Korean traditional music, photography, theater, dance, film, e-sports, movable property, and real estate. Creators are protected by copyright and can generate profits.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profits through secondary sale (secondary sale). Metaverse is expected to grow to a scale close to the business value of the real economy because assets distributed in the 3D virtual world are highly likely to be linked with real assets. NF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centive system that promotes th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content on the Metaverse platform. NFT gives unique recognition and scarcity value to digital contents such as videos and game items that can be copied indefinitely so that they can be owned or traded. The metaverse is a virtual world, and everything in the virtual world is digital content. It will become an economic backbone that allows NFTs to securely own and trade content in the metaverse. The basic concepts of virtual economy and virtual assets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metaverse era and NFT as virtual assets were examined. In addition, changes in the virtual asset market triggered by the metaverse revolution were also reviewed. Furthermore, in reviewing the debt collection and compulsory execution plan for virtual assets, the definition of virtual assets under the Specific Financial Information Act was confirmed, and the confiscation of virtual assets and compulsory collection by the National Tax Service, which are compulsory executions under the Criminal Act, were examined. We reviewed the methods and procedures for virtual asset execution as a target of debt collection and compulsory execution and related precedents. In addition, it was mentioned whether virtual assets should be included in the list of assets in debtor rehabilitation and bankruptcy procedures, which are being discussed recently in the rehabilitation court.

      • KCI등재

        가상자산의 강제집행에 관한 소고

        정영수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9 No.2

        Virtual assets are electronic vouchers that have economic value and can be electronically traded or transferred. The legal right to a virtual asset constitutes the responsible property of its attributable entity, the participant in the network. Virtual assets may be subject to compulsory execution as other property rights under the Civil Execution Act. Prior to the enforcement of a virtual asset, the location of the virtual asset should be determined. Specification of Property and Inquiry about Property are useful schemes for the detection of virtual assets. However, since the current Specification of Property system and Inquiry about Property system are limited, more effective enforcement will be possible if the Act on Reporting and Using Specified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is revised to allow the court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of the debtor's virtual assets. The use of a special method of cashing in a virtual asset is appropriate for the property of the virtual asset and is also useful in securing the sale price. That is, a transfer order to transfer a virtual asset to a foreclosure creditor in exchange for payment at a court-set value or a sale order to an executive officer to sell the virtual asset in a court-set manner would be effective. If a private key directly held by the debtor, indirect compulsory enforcement can be used to secure it. 가상자산은 경제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전자적으로 거래 또는 이전될 수 있는 전자적 증표이다. 만약 가상자산에 대한 재산권을 인정할 수 있다면 가상자산은 그것을 보유한 자의 책임재산으로서 민사집행법상 강제집행의 대상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그 밖의 재산권’으로서 강제집행의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가상자산에 대한 강제집행에 앞서 가상자산의 소재가 파악되어야 한다. 재산명시제도와 재산조회제도는 가상자산의 탐지를 위한 유용한 제도이다. 다만 현행 재산명시제도와 재산조회제도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채무자의 가상자산 보유상황에 관한 정보를 법원이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특정금융정보법 개정이 이루어지면 보다 실효성 있는 강제집행이 가능해질 것이다. 가상자산을 환가할 때에는 특별한 현금화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상자산의 속성에 적합하고 매각대금의 확보에도 유용하다. 즉 가상자산을 법원이 정한 값으로 지급함에 갈음하여 압류채권자에게 양도하는 양도명령 또는 법원이 정한 방법으로 가상자산을 매각하도록 집행관에게 명하는 매각명령이 효과적일 것이다. 만약 가상자산의 비밀키를 채무자가 직접 보유하고 있는 경우라면 그 비밀키의 확보를 위해 간접강제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가상자산에 대한 강제집행 -가상화폐를 중심으로-

        부고운나라 한국금융법학회 2023 金融法硏究 Vol.20 No.2

        2018년 대법원에서 비트코인은 재산적 가치가 있는 무형의 재산이므로 몰수할 수 있다고 판결하여 몰수 불가능하다는 1심 판결을 뒤집은 항소심 판결을 그대로 인용하였다. 2021년 독일 뒤셀도르프 고등법원에서 비트코인 인도의무는 제3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대체적 의무라고 판단하였고, 2022년 한국민사집행법학회에서 공동 개최하는 ‘민사집행법 제정 20주년 기념 학술대회’에서 이현종 서울중앙지방법원 판사가 가상자산에 대해 민사 강제집행 할 방법이 없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뉴스에 보도되었다. 한편 가상자산에 대한 투자는 국민 일반에 보편화되어 책임재산으로서의 기능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현행 민사집행법의 체계, 그리고 가상자산의 무체성과 익명성, 자산의 이전에 개인키가 필요하다는 블록체인이라는 뛰어난 보안기술 탓에 현행 법제도에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강제집행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로 가상자산 청구에 대해서는 가상자산에 대한 강제집행이 불가능할 경우 변론종결시의 시가 상당의 금액을 배상하라는 특수한 형태의 주문이 선고되고 있는데, 이렇듯 급변하는 현실 속에서 가상자산에 대한 강제집행의 가능성과 한계, 필요성 및 보완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In 2018, the Korean Supreme Court ruled that Bitcoin is an intangible property with property value and therefore can be confiscated, citing an appellate court ruling that overturned the first-instance ruling that it could not be confiscated. In 2021, the High Court in Düsseldorf, Germany, ruled that the obligation to deliver Bitcoin is an alternative obligation that can be fulfilled by a third party, and in 2022, at the ‘20th Anniversary Academic Conference of the Civil Enforcement Act’ co-hosted by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Enforcement Law,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Judge Lee Hyun-jong presented a study that there is no way to enforce civil lawsuits against virtual assets. On the other hand, it is true that investment in virtual assets has become common among the general public, and its function as a responsible property is increasing. However, due to the current system of civil enforcement laws, the intangibility and anonymity of virtual assets, and the excellent security technology of blockchain, which requires a private key for the transfer of assets, it is true that it is not easy to enforce virtual assets in the current legal system. For this reason, a special type of order is issued to compensate an amount equivalent to the market value at the time of the conclusion of the defense if it is impossible to enforce the virtual asset claim, and in this rapidly changing reality, we examined the possibility, limitations, necessity, and supplementary methods of compulsory enforcement of virtual assets.

      • Development of the Measuring System for the Executive Functions in a Virtual Kitchen Environment

        Chaeyoung Jeon(전채영),Jieun Han(한지은),Hojin Choi(최호진),Prie Yannick,Toinon Vigier,Samuel Bluteau,Gyuhyun Kwon(권규현) 대한인간공학회 2020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10

        Objective: The aim is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measure the executive functions in daily life away from the classical executive functions measurement system. Background: The Tower of London test, one of the classics of executive functions tests, is mainly used to measure planning. Although it is available for all ages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nalyze various factors, it also has the same disadvantages as many accompanying sub-tests. Thus, we improved and developed a Measuring System for the Executive Functions in Virtual Kitchen Environment. Design: The system has a scenario like "You have to clean up the kitchen before your friend comes.!" On the kitchen table is a post-it with the name of the kitchenware, and various kitchenware. Users should clean up the kitchen as soon as possible and ticktack sounds are played to make the situation aware. The Data collect the number of movements (grab, release times), the time is taken, the moving distance in the kitchen, data on the trajectory of the hand, and the number of matches between words and objects. Results: An expert evaluation was conducte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planning in daily life from a medical perspective and the proper VR environment setting from an HCI perspective have been verified. Conclusion: Development of the measuring system for the executive functions in a virtual kitchen environment is of significance to be able to measure executive functions based on actual daily life. Application: This work was supported by Institute for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motion(IITP)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MSIP) (No. 2019-0-01569, Development of VR and IoT-based Systems for Evaluation of Embodied Cog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