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학전문사서의 교육과 육성에 관한 연구

        오일석,김성훈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1 No.3

        Korea's legal education system has been changed dramatically, adapting U.S. style law school system, based on the “Act on Establish and Promote Law Schools”. The 25 law schools have been established and approved by Ministry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 Act . However the Act has no provisions or clauses related to educating and training law librarians. As you know law, librarians are professional experts, who have usually taught ‘legal research’ and ‘legal writing’ in the U.S. law schools. They shall have competition in researching legal materials and provide reference services to students, lawyers and faculty members. To be professional experts, they shall study very hard in Library Science and Law. According to recent survey, more than 53% of U.S. law librarians have dual degree in Master of Library Science and Juris Doctor(JD). American Bar Association's guideline on law librarian has required chief law librarian shall have JD degree. Almost all law schools shall prefer the reference law librarian to have JD degree. However in Korea,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law librarians have not identified. The librarians who work at law school were not educated or trained to be professional experts who can perform and support ‘legal research’ and ‘legal writing’ and who can provide well-researched reference services. Usually Korean law librarians, who had worked at same university libraries of law school, were just dispatched by the order of university authority.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some articles arguing to educate and train law librarians. However these articles are with the viewpoint from librarian science, just comparing degrees that law librarians shall have to take. There was no legal article which focus on these issues. The purpose of Korean “Act on Establishing and Promoting Law Schools” is to educate qualified lawyers. As you know the education of qualified lawyers shall start with legal research, which shall be taught by well educated and trained law librarians. Therefore educating and training law librarians shall be a nationwide issued leading the success of law school in Korea. Ministry of Justice, Ministry of Education, Korea Bar Association, National Assembly Library shall cooperate to establish and fulfil their roles related to this project. Especially National Assembly Library, which has educated on ‘legal research’ to diverse governmental officers and provided reference services to members of National Assembly, shall establish an “law librarian education center” to train and educate law librarians. To support these activities, we shall propose following amendment clauses of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law librarians: Paragraph 2 of Article 6 of “Library Act” shall be amended to inserting that the entitlement of law librarian shall be regulated in “Act on Establishing and Promoting Law Schools”. The classification and entitlement of law librarians shall be inserted in newly proposed Article 17-2 of “Act on Establishing and Promoting Law Schools”. This proposed article shall also contain a provision, the state shall be responsible to educate and train law librarians. Following the proposed article, the physical requirements of the law library, the number of law librarians working in the libraries, the certification of the law librarians and the certified education center of law librarians shall be described in the proposed Article 10-2 of Presidential Decree of the Act. Following the proposed Article 10-2 of Presidential Decree, National Assembly Regulation o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shall be amended to adapting the clause of the certified “law librarian education center” 우리나라가 법학 교육 방법을 완전히 혁신하여 미국식 로스쿨 시스템을 도입하고, 법학전문대학원 교육을 실행한지도 5년이 되어가고 있다. 미국식 로스쿨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법률정보조사와 법률문장론을 교육․지원하고, 회답 서비스를 제공하는 법학전문사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스쿨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법학전문사서의 교육과 육성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 법학전문사서에 대한 학위 기준은 없지만, 최근 들어 문헌정보학과 법학학위(Juris Doctor : JD) 모두를 취득한 법학전문사서가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미국의 경우 법학도서관장이나 회답업무를 수행하는 법학전문사서에 대해서는 법학학위의 취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법학 관련 전문지식을 습득하고 법률정보조사의 교육을 지원하며 회답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법학전문사서를 단기간에 양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그러므로 공신력 있는 국가기관에서 관련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운영함으로써 실무에 적합한 맞춤형 법학전문사서를 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법령의 개정이 우선적으로 필요한바, 다음과 같이 개정(안)을 제시한다. 법학전문사서는 「도서관법」에 따른 사서가 아니라,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사서라고 할 수 있으므로, 「도서관법」 제6조 제2항에 ‘다만, 법학전문사서의 자격요건 등에 대해서는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른다.’는 단서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육성에 관한 법률」 제17조의2(법학전문도서관 및 법학전문사서)를 신설하여, 법학전문도서관에 대하여 규정하고 법학전문사서에 대한 구분과 자격조건에 대한 근거 규정을 도입하며, 동법 시행령에서 법학전문사서의 교육과 육성을 위한 공인교육기관을 지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국회도서관법」에 따른 국회도서관 직제를 개정하여 국회법률도서관(국회도서관 법률정보실)의 업무 가운데 하나로 법학전문사서의 육성을 위한 교육의 실시에 관한 사항을 삽입할 필요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법학을 전공한 국내외 박사 및 변호사 등 법률정보조사와 관련된 전문인력을 운용하고 있으며, 법률정보 회답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법률정보조사에 대한 강의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온, 국회법률도서관이 “(가칭)법학전문사서교육원”을 설립하여 법학전문사서를 육성함으로써 국가 법률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여야 한다.

      • KCI등재

        2021년 및 2022년 상반기, 조세법 학계의 동향 분석

        박훈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조세와 법 Vol.15 No.1

        By summarizing the recent trends in the tax law academia,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nterest tax law not only current tax law researchers but also prospective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ax law. In particular, it is more meaningful to publish this article in the “TAX and LAW” as a specialized journal of tax law in the university, which was prepared by The University of Seoul when applying for approval as a graduate school specializing in tax law. First, it is about academic activities. Established in 1986, the Korean Tax Law Association held summer and winter academic conferences, joint academic conferences with courts and prosecutors, regular academic conferences, and tax-related joint academic conferences through online and on-site participation even under the COVID-19 situation from 2021 to the first half of 2022. In addition, it provides support to the academic community through the regularly awarded Tax Law Culture and New Academic Awards. Seoul Tax Law Review is an academic journal of the Korean Tax Law Society. In this journal, tax legalism, tax evasion, gift tax comprehensiveism, and software are keywords in 2021, and value-added tax is keywords in 2022. Founded in 1983, the International Fiscal Association, Korea held spring, summer, and winter academic conferences, joint academic conferences with prosecutors, and tax-related joint academic conferences through online and field participation even under the COVID-19 situation from 2021 to the first half of 2022. In this journal, the transfer price is a keyword in 2021, and there is no characteristic representative keyword in 2022. Next, it is about a thesis on a doctor's degree in tax law awarded in Korea. Doctorate degrees related to tax law are awarded at various schools in Korea, including Kookmin University, Korea Universit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eimyung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Some of the specific tax items have been studied, and income tax, corporate tax, inheritance tax, and gift tax are centered. There are also studies on common issues across various tax items, such as “A Study on Penalties on Fraudulent Acts in the Assessment and Collection of Tax” and “A Study on the Unconstitutional Facts in Real Property Taxation”. Finally, it is about other publications related to tax law. The tax law introduction books are revised almost every year at Park Young-sa. Samil Infomine publishes not only tax law books on individual taxes, but also books on tax laws on relatively various topics. It can be said that the demand for books by law-related people has decrea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law school system, but the fact that various tax law-related books can be released is not just due to the demand of legal experts but also tax practitioners. This article mainly introduced what academic conferences were held, and academic journals, degree papers, and books were published. However, a method of grasping these matters was also specifically introduc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not only help the current status of the tax law society, but also help the reader grasp the trends of the tax law academia on their own in the future. <국문초록> 이 글은 최근 조세법 학계의 동향을 정리해 봄으로써 현재 조세법 연구자만이 아니라 조세법에 관심을 갖는 예비연구자들에게 조세법의 관심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서울시립대학교가 조세법 특성화 법학전문대학원으로서 인가신청하면서 준비했던 대학내 조세법 특화된 학술지로서 「조세와법」에 해당 글을 게재함으로써 법학전문대학원의 미래법조인들에게 조세법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먼저 학회활동에 대한 것이다. 1986년 설립된 한국세법학회는 하계와 동계의 학술대회, 법원 및 검찰과 공동학술대회, 정기학술대회, 조세관련연합학술대회 등을 2021년부터 2022년 상반기 동안 코로나19 상황하에서도 온라인과 현장참여 등을 통해 진행한 바 있다. 또한 정례적인 조세법률문화상, 신진학술상 시상을 통해 학계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다. 한국세법학회의 학술지인 조세법연구에는 2021년에는 조세법률주의, 조세포탈, 증여세 완전포괄주의, 소프트웨어가 키워드이고, 2022년에는 부가가치세가 키워드이다. 1983년 설립된 한국국제조세협회는 춘계, 하계, 동계의 학술대회, 검찰과 공동학술대회, 조세관련연합학술대회 등을 2021년부터 2022년 상반기 동안 코로나19 상황하에서도 온라인과 현장참여 등을 통해 진행한 바 있다. 2021년에는 이전가격이 키워드이고, 2022년에는 특징적인 대표키워드는 보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국내 조세법 박사학위논문에 대한 것이다. 조세법 관련 박사학위가 국내 다양한 학교에서 수여되고 있는데, 국민대, 고려대, 경북대, 계명대, 서울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한양대 등이 그 예이다. 특정한 세목중 쟁점을 연구한 것도 있는데,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등이 중심이 되고 있다. 여러 세목에 걸친 공통된 쟁점을 연구한 것도 있는데, 세법상 부정행위의 제재에 관한 연구, 부동산 세제의 위헌요소에 관한 연구 등이 그 예이다. 마지막으로 조세법 관련 기타 발간물에 대한 것이다. 세법개론서의 성격의 것은 박영사에서 거의 매년 개정판이 나오고 있다. 삼일인포마인의 경우 개별세법에 대한 단행본만 아니라 비교적 다양한 세법에 관한 단행본이 발간되고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이후 법학 관련자의 책 수요자가 줄어든 측면이 있는데도 다양한 세법 관련 단행본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은 단순히 법전공자만이 아니고 세무실무자의 수요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주로 어떠한 학술대회가 있었고 학술지, 학위논문, 단행본 등이 발간되었는지를 소개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항을 파악하는 방법도 구체적으로 소개하였다. 따라서 단순히 조세법 학회의 현황만이 아니라 독자가 앞으로 조세법 학계의 동향을 스스로 파악하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불리한 처우금지와 사용자의 책임 확대

        윤우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9 No.3

        Attempts have begun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workers at work and create a harmonious workplace culture by introducing a ban on workplace harassment, but workplace harassment problems are still appearing so frequently on social news. The role of assistants such as colleagues who help victims in the organization is very important in revealing and reporting bullying problems at work and proving the actual relationship. If there is a risk of disadvantage by helping victims, colleagues around them will not readily be able to provide mental support, cooperation, favorable eyewitness statements, or support for collecting evidence. However, those subject to the prohibition of unfavorable treatment under Article 76-3 (6) of the Labor Standards Act are stipulated as “workers and victims who reported bullying at work,” so it is unclear whether the employer can be considered to have violated the above regulations. Since no details of unfavorable treatment are stipulated, it is ambiguous about which are unfavorable treatment, and the subject of the prohibition of unfavorable claims is limited to users, so it cannot be regulated by the above regulations. In addition, as long as the existence of unfavorable treatment for workers is recognized, a legal basi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mployer to prove that the unfavorable treatment of the affected workers is not related to workplace harassment or has justifiable reasons. Therefore, in this study, in connection with the existing cases of compensation for damages due to illegal acts against sexual harassment, we looked at ways to improve particularly the provisions of the prohibition of disadvantageous treatmentamong workplace harassment regulations. 직장 내 괴롭힘의 방지와 피해근로자의 구제절차 등을 정하는 법적 규제를 도입하여 직장에서 근로자의 인격권과 건강을 보호하고 안전한 직장문화를 조성하고자 하는 시도가 시작되었지만 여전히 직장내 괴롭힘문제는 심각할 정도로 사회뉴스면에 빈번히 등장하고 있다. 피해근로자가 직장내 괴롭힘 문제를 드러내 신고하고 실체관계를 제대로 입증해내는데는 조직내에서 피해근로자를 돕는 동료 등의 조력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심재진,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구제의 확대방안소고”, 노동법학 제68호, 2018, 51-53쪽. 피해근로자를 도움으로써 불이익을 당할 우려가 있다면 주변 동료들은 선뜻 피해근로자에게 정신적 지원이나 협력, 유리한 목격진술이나 증거수집지원 등을 하겠다고 나서지 못할 것이다 김수영, “직장 내 성희롱에 관한 법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0, 126-127면. . 그런데 근로기준법 제76조의3 제6항의 불리한 처우 금지 대상자는‘직장 내 괴롭힘 발생사실을 신고한 근로자 및 피해근로자 등’으로 규정되어 있는 바,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해 피해근로자를 도와준 조력자에게 불리한 처우가 가해진 경우 사용자가 위 규정을 위반하였다고 볼 수 있을지 불명확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희롱에 대한 기존의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 사건과 연계하여 직장 내 괴롭힘 규정 중 특히 불리한 처우금지 조항의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후보

        해석기준과 적용기준으로서의 慣習法

        송재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법학 Vol.20 No.1

        Customary law is norm, usage with legal confidence(opinio juris). It is not easy to classify between custom and customary Law in the civil law system as well as common law system. Custom functions as interpretation test of legal act, while customary law functions as trial norm. This is law, while that is fact. What's the matter is remedy when the accused violate the custom. Article 1 of Korean Civil law is relevant with the principle of supplement of unwritten law. Article 185 of Korean Civil law is relevant to the principle of realty and custom, which could meets the new needs of transactions, especially secured right. However practice is hesitated to do that tendency. Customary like logic could supplement to weakness and rigidity of positive law. Customary law is idea bank of transactions. In conclusion we need to find the customary law through the research of custom and usage. In 1958, there were no research of custom. If we could codify by custom, legislation would be better in familiar with civil legal mind. 관습법은 관행에 법적 확신이 더해진 ‘법규범’이다. 이는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나며, 국가의 승인에 의해 성립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 판례는 관습법의 성립에 별도요건을 부가하고 당사자에게 입증책임을 전가함으로써 관습법이 법원으로 인정받기 어렵게 하는 현상이 관찰된다. 관습과 관습법의 구별도 쉽지 않다. 관습은 법률행위의 해석기준으로 그리고 관습법은 재판규범으로 작동한다. 문제는 사실인 관습을 어긴 경우 피해를 입은 측에서 법원에 소를 제기하면, 어떻게 구제수단을 부여할 것인가이다. 관습법으로 인식되는 사례 중에는 관습이 소멸했는데도 판례에 의해 만들어진 관습법(예, 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이나 분묘기지권)이 있다. 이는 관습조사를 통해 사회변화와 거래관행에 맞도록 바꾸어줄 필요가 있다. 축적된 판례를 통해 관습법이 된 경우 ‘판례법’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정확한 용어는 아니고 판례법리로 부르거나, 관습법 또는 관습법과 조리의 혼합 형태로 봐야 할 것 같다. 민법 제1조는 불문법보충원칙의 선언조항으로 개념법학, 법실증주의의 폐해를 치유할 수 있는 수단으로 불문법을 거론한 것이다. 민법 제185조는 물권법정주의 선언조항이지만 관습법에 의해서도 신축적으로 물권의 종류와 내용이 결정된다는 한국 고유의 특수성이 담겨져 있다. 거래계의 새로운 수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규정형식이다. 관습법은 조리와 더불어 성문법주의의 단점, 경직성을 보완하는 불문법원이며, 거래의 아이디어가 담긴 寶庫로서 성문화되거나 아니면 자연스럽게 변경ㆍ소멸하는 경로를 따른다. 법률생활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관습조사를 통해 관습법을 파악하여야 한다. 1958년 민법전 제정 당시 관습조사가 없었다. 그러나 관습법은 성문법의 흠결을 잘 메울 수 있고, 거래계의 수요에 잘 대응할 수 있는 ‘살아있는 법’이다. 관습조사를 하여 성문화를 한다면, 좀 더 국민의 법감정에 기반한 입법이 이루어질 것이다.

      • KCI등재

        사회질서 위반 법률행위 무효법리의 의의와 부당해고 구제법리

        고호성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8 No.4

        This thesis is a part of the work to dismantle the invalidity theory of legal acts in violation of the compulsory provisions, which is the basis of the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and to unify the invalidity theories of legal acts into the invalidity theory of legal acts in violation of the social order, and to constitute a new form of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In this thesis, from the viewpoint of the legislative context of Articles 103 and 105 of the Civil Code, it is argued that the invalidity theory of legal acts in violation of the compulsory provisions can not be justified on the Article 105 of the Civil Code. On the basis of the unified invalidity theory of legal acts in violation of social order, the contents of the new form of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were also presented. First, This thesis argues that the Article 105 of the Civil Code, in its legislative context, is not intended to invalidate legal acts that violate compulsory provisions, but to extend the principle of private self-government in relation to the statutory acts, by establishing the general provision on voluntary provisions. The legislative history and purpose of the Article 91 of the Civil Code of Japan, which is the origin of Article 105 of the Civil Code, was excavated from a thesis by Hoshino-Eiichi as the arguments. Second, since the concept of social order in Article 103 of the Civil Code also takes a position of substantialist thoughts in the legislative context, it is argued that it contradicts the invalidity theory of legal acts in violation of compulsory provisions. The consistent substantialist thoughts of the general provisions of the Civil Code and the Article 20 of the Criminal Code, B. K. Kim’s concept of social ordinary norms and the Confucian thoughts of natural la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social order in Article 103 of the Civil Code and Carl Schmitt's concrete order ideas are presented as arguments. In particular, the institutionalist legal theory of Maurice Oriou, which was the source of concrete order ideas, is reconstructed from the viewpoint of Habermas's theory of communicative acts, and the direction of practical operation of the concept of social order in Article 103 of the Civil Code is also presented. The importance of this perspective on the theory of labor law is also emphasized In conclusion, the contents of the new form of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 based on the invalidity theory of legal acts in violation of social order are also demonstrated. First, it is argued that the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is comprehensively applied beyond the limits of the dismissal restriction provisions in the labor acts.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of the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is argued even for workers at small workplaces and domestic workers who are outsid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Article 23, Paragraph 1 of the Labor Standards Act. Second, the separation of the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under the Civil Code and the remed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under the Labor Standard Act is argued. On this basis, the adjustment and integration of the congested unfair dismissal remedies is suggested. Third, it is argued that the criterion for judging the unfairness of the invalidity theory of unfair dismissals is not ‘just cause’ in the Labor Standard Act, but violation of ‘social order’ in the Civil Code.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solve the problems of labor law, such as the theory of limitations on the autonomy of collective agreements and the theory of discretionary statutory provisions in relation to collective agreements. 우리나라 부당해고 무효법리가 기반하고 있는 강행규정 위반 법률행위 무효론을 해체하고, 법률행위 무효법리를 사회질서 위반 법률행위 무효론으로 일원화한 바탕 위에서, 새로운 부당해고 구제법리를 구성하려는 작업의 일환이다. 이 논문에서는 강행규정 위반 법률행위 무효론의 이른바 ‘민법 제105조 근거설’의 부당성을 민법 제103조와 제105조의 입법적 맥락을 고찰하고, 그런 바탕에서 동 조항들의 규범적 의의를 해명하는 방식으로 논증하였다. 사회질서 위반 법률행위 무효론에 기반하는 새로운 부당해고 무효법리의 내용도 제시하였다. 첫째, 민법 제105조(임의규정)는 그 입법적 맥락에서 볼 때, 강행규정 위반 법률행위를 무효로 하려는 것이 아니라, 임의규정에 관한 일반조항을 설정하여 법령과의 관계에서 사적 자치 원칙을 확장하려는 것이었음을 논증하였다. 민법 제105조의 유래인 일본 민법 제91조의 입법적 맥락과 그 취지를 星野英一의 논문에서 발굴하여 근거를 제시하였다. 둘째, 민법 제103조의 ‘사회질서’ 개념은 반개념법학, 반실증주의라는 제정 당시의 법사상적 맥락에 따라 실질설적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강행규정 위반 법률행위 무효론과 모순됨을 논증하였다. 우리 민법상 일반조항들과 형법 제20조의 실질설적 일관성, 가인 김병로의 사회상규 개념과 유교적 자연법 사상, 민법 제103조의 사회질서 개념과 칼 슈미트의 구체적 질서 사상의 연관성을 논거로 제시하였다. 특히 구체적 질서 사상의 원천인 모리스 오류의 제도주의 법이론을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민법 제103조의 사회질서 개념의 실무적 운용 방향도 모색하였다. 제도주의 법이론이 지니는 노동법 이론상의 중요성도 강조하였다. 결론으로 사회질서 위반 법률행위 무효론에 근거한 새로운 부당해고 무효법리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첫째, 부당해고 무효법리는 법령상 해고제한 규정의 한계를 벗어나 포괄적으로 적용되는 것임을 논증하였다. 특히 근로기준법 제23조 제1항 적용 범위 밖의 영세사업장 근로자, 가사사용인에게도 부당해고 무효법리의 적용을 인정하였다. 둘째, 민법상의 부당해고 무효법리와 근로기준법 등 법령상 부당해고 구제법리의 분리를 논증하였다. 이 바탕 위에서 혼잡스러운 부당해고 구제법리의 조정, 통합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셋째, 부당해고 무효법리의 부당성 판단 기준은 근기법상 ‘정당한 이유’가 아니라 민법상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 위반성’이 됨을 논증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협약자치 한계론과 협약임의규정론이라는 노동단체법적 문제의 해결에 새로운 길이 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이 문제들을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방공무원 관련 법상 공무원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임기제공무원 인사제도에 대한 법적 고찰 ― 행정학과 행정법학에서의 ‘전문성’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한명진,김지성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30 No.3

        Professionalism of civil servants can be conceptualized as recruitment and career management controlled by a profession in public administration. That is, professionalism is based on the professionalization which means an increase of public employees who are verified qualifications such as academic degrees, professional licenses and certificates when they are employed, pursue a career development based on their professions, and are a member of professional associations. Professionalism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which include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focused on professions, job autonomy, and professional accountability. Public personnel management focused on professions means that recruitment, promotion and reward systems are grounded by professional components. Job autonomy means the degree to which civil servants make their own decision based on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Professional accountability includes self-regulation and a sense of ethics based on professional norms. The conceptualization of professionalism in public administration is consistent with the professionalism defined by the Administrative Law in the narrow sense. That is, recruiting fixed-term public employees is considered to have qualified outside professionals who are contrast with general public employees who are socialized and specialized in the government. Practical challenges in managing fixed-term public employees are as follows. First, fixed-term public employees are being politically utilized. They are intend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professionalism in the public sector, however, personnel management, specifically recruitment and contract renewal are likely to be based on political decisions. Second, personnel management focused on professions works as a mere formality. Thus, fixed-term public employees hardly make autonomous decisions on their professional jobs. Third, fixed-term public employees tend to feel conflicts with general civil servants, which make them isolated in their organizations. Particularly, the gap in perceptions of a professional job and differentiated reward systems between two groups works as causes of tentative conflicts. From the the critical perspective on administrative legislation regarding civil servants, this study intend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First, when recruiting fixed-term employees, an objective and substantial verification, such as licenses or academic degrees rather than work experience which is likely to be assessed subjectively, of their qualifications is needed. Second, to prevent an arbitrary political control of the head of a local government and to secure procedural legitimacy when decisions are made on extending the employment period, the role of a personnel committee should be strengthened. In addition, in terms of the self-regulation, performance evaluations should reflect opinions of members from an external professional association. Third, to improve perceptions on fixed-term public employees, categories of civil servants defined in the Local Public Official Act should include fixed-term public employees. 행정학에서의 공무원 전문성은 공무원의 충원과 경력 통제가 실적 및 ‘전문직’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즉 학위, 자격증, 면허증 등 전문직에 대한 정당성을 제공하는 자격의 검증을 거쳐 임용된 후 전문직 기반의 경력관리를 추구하며 준거집단을 외부 전문가단체로 삼는 공무원이 증가하는 전문화 현상에 토대를 둔다. 전문성은 다차원적으로 구성되는데 전문직 기반의 인사관리 및 통제, 직무 자율성, 전문가적 책임이다. 전문직 기반 인사관리 및 통제는 충원, 승진, 보상 등에 있어 전문직업적 특성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하며 직무 자율성은 전문직업적 특성 기반의 자율성 행사를, 전문가적 책임은 전문가 집단이 공유하는 규범에 따른 자기규제 및 책임을 포함한다. 이러한 행정학에서의 전문성은 행정법학에서는 협의의(2차적, 고도의) 전문성과도 일치한다. 즉 공무원이 특정 임무를 담당하게 되면서 축적하게 된 전문성이 아닌, 이미 자격증・학위 등으로 증빙된 전문성을 겸비한 외부 전문가를 수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임기제공무원으로의 채용이 고려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임기제공무원제도가 직면한 실무적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기제공무원제도에 대한 정치적 활용이다. 공무원 전문성 강화를 제도의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실제 인사 운영, 특히 채용 및 재계약이 정무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질 여지가 매우 크다. 둘째, 제도의 형식적 운영이다. 채용 및 인사관리 전반에서 실제 직무 수행 시 전문적 판단에 따른 자율적 의사결정이 이루어지기 힘들다. 셋째, 임기제공무원과 일반직 공무원 간의 갈등과 임기제공무원의 소외이다. 전문성에 대한 구성원 간 인식 차이와 보수에 대한 차별 인식이 갈등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의 근본 원인으로써 공무원 관련 법령에서의 행정입법 만연화 현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서 첫째, 신규채용에 있어서 객관적 검증 절차 강화 차원에서 주관적 해석이 가능한 경력이 아닌 자격증・학위 등의 자격검증이 전제되어 객관적・실질적 검증이 있어야 한다는 것, 둘째, 근무기간 연장 결정에서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지방자치단체장 등의 자의적 영향력 행사 가능성 방지를 위하여 인사위원회의 역할 강화를 강조하면서 자기규제측면에서 외부 전문가집단에 의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 셋째 임기제공무원의 인식개선을 위하여 지방공무원법상 공무원 구분에 임기제공무원에 대한 내용을 추가할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세법체계 관점에서 목적세의 허용범위 및 정비방안에 관한 小考

        우지훈,양인준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조세와 법 Vol.10 No.1

        목적세(Earmarked Tax)란 강학상 ‘조세수입이 특정 경비에 충당될 것을 목적으로 부과되는 조세’를 뜻한다. 목적세는 특정사업을 위한 재원확보의 목적이라는 점에서 보통세(Ordinary Tax)와 다르며, 국세인 목적세로는 교육세, 농어촌특별세, 교통ㆍ에너지ㆍ환경세가, 지방세인 목적세로는 지역자원시설세, 지방교육세가 있다. 정부 차원에서 어떤 사업에 중장기적으로 계속적인 투자가 필요할 경우, 이 같은 목적세는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목적세는 과거부터 여러 문제점이 노정되어 다수의 비판을 받아왔는데, 이를 이유로 일부 견해는 전면적인 폐지를 주장하기도 하였다. 목적세에 관한 학문적 논의는 경제학적, 정책학적 관점에서 대개 진행되어 왔을 뿐, 법학 관점에서의 진지한 연구 성과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 점에 착안하여 법학의 관점에서 목적세제도 전반을 조망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이다. 글에서 주장하는 바를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견지에서 목적세는 수익자부담의 원칙과 세입ㆍ세출의 연계성을 충실히 갖출 경우, 자원배분의 효율성, 예산과정에 대한 규율과 책임성의 증대, 재정의 효율성 및 불완전한 시장의 보완이라는 여러 편익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정책 목적을 원활히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목적세가 이러한 전제요건을 갖추지 아니할 경우, 비효율적인 자원배분과 국가재정 집행, 조세구조의 복잡화, 높은 사회비용, 국회의 예산통제권 약화 및 재정의 경직성 등의 부작용만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둘째, 현행세법 측면에서 목적세는 효율과 공평의 이념에 반할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목적세는 비중립적 조세로서 효율을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나, 그 전제요건을 갖추지 못했기에 결국 자원배분의 비효율성과 납세자의 의사결정에 대한 왜곡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현행 목적세 체제는 응익과세 뿐만 아니라 응능과세의 원칙에도 전혀 부합하지 않고, 담세력에 부합하는 조세가 아니므로, 입법상의 조세공평을 달성하고 있지 아니하다. 납세의무자와 과세표준의 설정이 실질적 조세법률주의에 부합하지 아니하고, 과세구조의 계층화, 복잡화의 측면에서 납세자의 예측가능성을 저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현행 목적세는 경제조정의 이름으로 정당화되기 어렵다고 보이고, 목적세의 존치 필요성 등에 관한 객관적인 검증이 있는지도 의문이며, 정책적 효과에 대한 예측이 쉽지도 않다. 셋째,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현행 목적세제도는 전면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우선 목적세의 납세의무자 및 과세표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이때 가장 중요한 개선의 점은 부가세 방식을 철회하여야 한다는 사실이다. 그 밖에도 목적세로 거둬들인 세수는 특별회계로 사용되도록 강제할 필요성이 있고, 목적세의 절대적 규모는 줄어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목적세 제도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 목적세 부과의 필요성, 세출내역 등에 관한 외부 전문기관, 행정당국, 국회의 구체적이고 강화된 검증이 필요하다. Earmarked tax academically refers to a tax levied for the purpose of being used for a particular expenditure. Earmarked tax is different from ordinary tax in that its purpose is to secure financial resources for a specific project, and as for the earmarked taxes that are national taxes, there are education tax,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transportation, energy, and environment tax. When a certain project requires continuous investment for the mid to long term, this kind of earmarked tax can be utilized usefully. Earmarked tax has been criticized from the past as many problems have been exposed, and some opinions have argued for complete abolition. As for academic discussions on earmarked tax, they were largely carried ou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s and policy studies, but serious studies from legal perspectives can be hardly found. In this respect, this study’s aim is to look at the overall taxation system of earmarked tax from the legal perspective and look for ways to improve the system. What this study is claiming is as follows. First,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if earmarked tax is faithful to the user pays principle, and the linkage between tax revenue and tax expenditure, many benefits including the efficiency of resource allocation, discipline and accountability for budget process, financial efficiency and supplementation of incomplete market are possible, and through these benefits, we can achieve the purpose of the policies. However, if earmarked tax does not meet these preconditions,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ill only lead to adverse effects such as inefficient allocation of resources and national fiscal execution, complication of tax structure, high social costs, weakened budget control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fiscal inflexibility. Second, from the aspect of the current tax law, earmarked tax is highly likely to be in conflict with the ideals of efficiency and fairness. Earmarked tax may achieve to be efficient as non-neutral tax, but it is also possible to lead to inefficiency of resource allocation and distortion of taxpayer's decision if the preconditions are not met. In addition, the current earmarked tax system does not meet not only the principle of taxation where there is profit, but also the ability to pay taxation principle, thus it is not consistent with the tax-bearing capacity, and it is not achieving the taxation fairness in terms of legislation. The duty of taxpayers and the taxation standard are not in compliance with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the taxpayer's predictability is hindered in terms of hierarchy and complexity of the taxation structure. Considering this point, it seems that the current earmarked tax cannot justify in the name of economic adjustment, and it is also questionable if there is any objective verification of the necessity of continuing with earmarked tax, and it is also not easy to predict the policy effect. Third,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the current earmarked tax system needs to be improved in its entirety. Firs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duties of taxpayers and taxation standards of the earmarked tax. The most important point to improve here is the withdrawal of the value added tax system.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bind the tax revenues collected in the earmarked tax to be used as special accounts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absolute amount of the earmarked tax be reduced.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the earmarked tax system, specific and strengthened verification on matters such as necessity of earmarked tax imposition, and tax expenditure breakdown by the authorities and the Assembly is needed.

      • KCI등재

        명예훼손죄의 ‘공연성’ 개념에 대한 재고(再考) ― 대법원 2020. 11. 19. 선고 2020도5813 전원합의체 판결 ―

        송시섭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29 No.4

        The crime of defamation is generally defined as a crime that protects the pure personal legal interests of values that people have in social life. The theory (law) of “propagation possibility,” which has long been used to understand “publicity,” a constituent element of defamation, has been a battlefield of sharp debate that conflicts with the normative suitability of “reorganization of criminal law.” However,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for the solid seriousness of “possibility of propagation” built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of defamation crimes built over a long period of time to collapse easily. However, the 2020 Do5813 ruling (“target judgment”) issued by the Supreme Court's en banc on November 19, 2020 would signal that a small crack began through logical criticism (“opposition”) of the position that seemed impregnable. I think the “Possibility Law,” which criminal law scholars have long attacked through papers and books, will face a complete collapse someday, starting with this crack. Furthermore, in the upcoming future, the current legislation, which protects only the external honor of “substantial” people, may collapse. In the future defamation legislation, there will be a world in which not only substantive people but also “virtual” people (personality represented only by ID on the Internet) will be more protected.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concept of so-called “publicity” as it is now can be distributed in the future when the majority of actual humans may spend most of their time on metaverse. Even then, it will not be possible to support the defamation law system in a rather even term of “possibility of propagation.” Slowly, but surely, it is time to think about a new approach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new defamation. 명예훼손죄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회생활에서 가지는 가치라는 순수한 인격적 법익을 보호하는 범죄라고 정의되고 있다. 오랫동안 명예훼손죄의 객관적 구성요건 요소인 ‘공연성’을 이해하면서 사용된 ‘전파가능성’이라는 이론(법리)이야말로 ‘구성요건의 재해석’을 통한 현실 적합성의 논리가 ‘형법의 재구성’이라는 규범적합성과 부딪히는 첨예한 논쟁의 전쟁터였다. 하지만 오랜 기간을 거치면서 구축된 명예훼손죄의 공연성 요건과 관련하여 구축된 ‘전파가능성’이라는 견고한 진지(陣地)가 쉽게 무너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2020년 11월 19일에 대법원 전원합의체에서 내린 2020도5813 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 함)은 난공불락으로 보였던 진지에 대하여 논리적인 비판(“반대의견”)을 통해 작은 균열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할 것이다. 오랫동안 형법학자들이 논문과 저서를 통해 공격해왔던 ‘전파가능성법리’는 이 균열을 시작으로 언젠가 완전한 붕괴를 맞이하리라 생각한다. 나아가 조만간 다가올 미래에서는 아마도 ‘실체적’인 사람의 외부적인 명예만을 보호하고 있는 현행 법제가 무너지게 될지도 모른다. 미래의 명예훼손 법제에서는 실체적인 사람뿐만 아니라 ‘가상적’인 사람(인터넷상의 아이디(ID)만으로 대표되는 인격)이 더욱 보호의 대상이 될 세상이 도래할 것이다. 대다수의 실체적인 인간이 메타버스에서 대부분 시간을 보내게 될지도 모르는 미래에도 이른바 현재와 같은 ‘공연성’의 개념이 유통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때도 ‘전파가능성’이라는 다소 고루(固陋)한 용어로 명예훼손법 체계를 뒷받침할 수는 없을 것이다. 서서히 하지만 확실히 새로운 명예훼손의 구성요건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을 고민할 때가 되었다.

      • KCI등재

        중국식 기업분류 개념이 중국 기업법 발전에 미친 영향 고찰― 經濟成分과 企業類型을 중심으로 ―

        이은일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법학 Vol.27 No.2

        There are two themes which have been argued by Chinese government and Chinese Law Academia for a long time, but haven’t been concluded yet. One is the problem of unification of company law and the other is the argument on the unification of foreign investment law. Especially, the argument on the unification of foreign investment law led by the Department of Commerce has been performed from 2015, but it has shown no result. This is not a simple problem that the company law system has a complex dual multi-tiered structure. What matters is that the core concept hidden in the structure is the Chinese mechanism of company classification. The concept of company classification consists of two parts, Possession and Organization. Ownership and Organization have been developed forming independence and harmony against each other. They also have influenced on the company law classification and its formation today. This article approaches the structure of Chinese company law from the new concept of company classification. The definition of company classification and its legal basis are studied through various historical data. Also, the effect of the concept of company classification on the formation of company types are surveyed. Additionally, the writer presents legal conflicts and problems shown in the system of company law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nd tries to suggest solutions to promote the unifications mentioned above. 중국 정부와 법학계가 오랫동안 논의하였으나 현재까지 결론을 내리지 못한 두 주제가 있다. ‘회사법단일화’ 문제와 ‘외국인투자법단일화’에 대한 논의이다. 특히 ‘외국인투자법단일화’ 논의는 2015년 상무부 주관으로 적극적으로 진행되어왔으나 현재까지도 아무런 결과가 없는 상황이다. 이 문제는 기업법 체계가 ‘이원다층구조’로 복잡하게 되어있다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이 체계 속에 숨어있는 핵심적인 개념, 즉 중국적 기업분류 개념이 있기 때문이다. 기업분류의 개념은 정확히 ‘經濟成分(소유)’와 ‘企業類型(조직)’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호 독립성과 조화성을 이루며 현재까지 변천을 거쳐 오늘의 기업법 분류와 체계 형성에 영향을 미쳐왔다. 본 논문은 중국의 기업분류 방법에서 중국 회사법 체계를 접근, 다양한 역사적 자료를 통해 기업분류 개념의 정의와 법적 근거를 고찰하였으며 이들 기업분류 개념이 기업 유형 형성에 미친 상호관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회사법 체계에 나타난 법적 충돌 요소와 문제점을 제시하여 앞서 언급한 단일화 추진을 위한 가능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순수법학의 철학적 배경

        권경휘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서울법학 Vol.29 No.4

        This essay explain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s that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Kelsen's pure theory of law. First, in Section 2, we examine psychologism and its reactionary anti-psychologism in order to understand its intellectual backgrounds. In particular, here I show that Kelsen's theoretical starting point lies in this anti-psychologism. Section 3 examines Cohen's theory, which had a profound influence on Kelsen. Kelsen emphasized its importance so much that he evaluated his theory as an application of Cohen's Kantian interpretation to positive law. Section 4 examines the social contract theory, which was one of the backgrounds for the conception of the basic norm. And in Section 5, we examine G. E. Moore's ethical theory, which influenced Kelsen's new description of his position by introducing a linguistic turn that dominated the Western philosophy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Finally, Section 6 examines H. Vaihinger. Vaihinger continued to influence Kelsen, but Kelsen pondered how to apply his theory to the pure theory of law. 이 글에서는 켈젠의 순수법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하여 그것이 성립하는 데 영향을 미친 철학적 배경들을 설명해보고자 한다. 먼저 제2절에서는 켈젠이 활동했던 시대의 지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하여 심리학주의와 그에 대한 반동인 반심리학주의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여기에서는 켈젠의 이론적 출발점이 이러한 반심리학주의에 있음을 보여주고 한다. 제3절에서는 켈젠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코헨의 이론을 살펴볼 것이다. 켈젠은 자신의 이론을 코헨의 칸트 해석을 실정법이론에 적용한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을 만큼 코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제4절에서는 근본규범이라는 개념을 착상하는 데 하나의 배경이 된 사회계약설을 살펴본다. 그리고 제5절에서는 켈젠이 1900년대 초중반 철학계를 지배한 언어적 전회를 도입하여 자신의 입장을 새롭게 기술하는 데 영향을 미친 무어(G. E. Moore)의 논의를 살펴본다. 끝으로 제6절에서는 켈젠이 오랜 기간에 걸쳐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 태도를 계속해서 바꾸어왔던 바이힝거(H. Vaihinger)의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