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지원지각과 조직정치지각이 공유책임감을 매개로 팀혁신과 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문주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5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shared responsibility and its antecedent conditions on team innovativeness and team performance. The organizational changes within current corporations, given the horizontal spread of team systems, can utilize the felt responsibility of all employees who have outstanding capabilities for team task. The ability of team members to share responsibility is the key to the overall functioning of the team organization. This study proposes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would be antecedents of share responsibility because these two constructs can show organizational climate for team functioning respectively. I also hypothesized the shared responsibility has positive effect on team innovativeness and team performance. To verify the effect of shared responsibility, I tested hypothesis at the team level. The analysis conducted on 152 teams of employees in the fields of manufacturing industry, financial industy, and service industry showed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ositive effect on share responsibilit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has a negative effect on share responsibility. Both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were all crucial antecedent conditions for shared responsibility. And shared responsibility has positive effects on team innovativeness and team performance. In addition, shared responsibility as a mediator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politic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actual team innovativeness and team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I strongly recommend that team-based organizations shift the focus on individual responsibility to the shared responsibility. I also discuss managerial implications of this claims in details. 본 연구는 팀으로 과업을 수행하고 있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업무에 대한 공유책임감이 실제 팀혁신과팀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있다. 지금처럼 팀제가 확산되고 팀성과는 곧 조직성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팀원들이 함께 수행하고 있는 과업에 대해 책임감을 공유하는 것이 그 어느때 보다도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특히 조직의 적극적인 서포트를 인지하는 조직지원지각과 조직 내 정치적인 행동을 인지하는 조직정치지각이 공유책임감을 가져오는 선행요인으로 설정함으로써 그 영향력을 검정하였다. 금융업, 제조업, 서비스업에서 팀을 기반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팀수준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조직지원지각을인지하는 팀에서는 상호호혜성의 원칙에 따라 높은 공유책임감을 느끼고 이는 긍정적인 팀혁신과 팀성과로 이어짐을 검증하였다. 반면 팀 내 정치적인 행동이 인지될 경우, 팀원들의 공유책임감이 감소됨으로써 팀혁신과 팀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함의점에 대해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Responsibilty and Politecs

        Sohn, Yong-Hoo(손용후)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6

        본고는 인간 고유의 규범의식 가운데 하나인 책임성에 관한 개념 문제를 논한다. 서구 도덕 철학의 전통적 책임성 개념이 일상의 정치, 특히 자유주의적 복지국가의 위기에서 나타나고 있는“개인의 삶에 대한 사회적 책임의 범위와 정당성”을 둘러싼 중대한 정치 갈등 등을 담아내는데 있어 한계가 있음에 주목한다. 본고는 전통 철학의 책임성 개념이 이미 이루어진 행위에 대한 변명이나 정당화로서의 책임, 즉“변론”으로서의 책임에 치우쳐왔다고 주장한다. “나의 삶은 나의 책임이다”라는 일상의 책임 의식은 이미 이루어진 행위에 대한 상벌과 변론을 뛰어넘는 인간의 보편적이며 근원적인 의지들, 가령 삶에 대한 긍정과 희망에서 나오는 삶을 스스로 “계획”하려는 의지와“나의 삶”이 세계와 타자를 향해 열려 있고 그들을 통해 구성되고 있음을 의식, 무의식적으로 감지각하고“나의 삶”을 구성하는 세계와 동반자들을 돌보고자 하는“애정”과 연대의 의지 등을 담고 있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이러한 책임성 개념에 대한 재고찰이 정치의 본질, 즉“정치란 무엇인가”에 대한 우리의 이해까지도 새롭게 할 수 있음에 주목하고 이를 토론한다. This paper addresses the conceptual problem of “responsibility,”the unique human consciousness that there is something we ought to do: traditional moral and political philosophy in general does not have a proper concept of responsibility to grasp the fundamental significance of the notion of responsibility in the ordinary political discourse. The paper argues that though responsibility as a traditional concept has meant an apology for something done by an actor(s), responsibility as apology is merely an attribute of the human consciousness of responsibility. Recovering rich moral voices of responsibility such as “life-planning”and “affection”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concept of responsibility as“ apology,”the paper examine what differences those moral voices can make in our understanding of politics.

      • KCI등재

        함께 여는 미래, 정치윤리의 책임론적 모색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4 기독교사회윤리 Vol.8 No.-

        There are so many requests for political ethics in Korea. Particularly, Christians responsibility for ethical politics and future of political culture needs so urgently. Now we must give some answer or moral insight for this context. But this study is not column for mass-com but some theoretical research for ethic of responsibili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propose "Responsible Christian Political Ethics". It has four focuses. First, the motive is realistic concern about political reality. In this section, the theoretical base is applied from Reinhold Niebuhr`s Christian realism and Max Weber` ethic of responsibility. Second, the character is responsiveness. It`s theory derived from H. Richard Niebuhr`s concept of man-the answerer and import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of Larry May. Third, the tense is future. Particularly, the concept of responsibility for next generation or future of Hans Jonas is very important. Fourth, the main subject is political power under responsibility. W. Schweiker`s integral theory of responsibility is the base of this section. And this paper is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se theories. For example, collective egoism, human rights, war and peace. etc. Of course, there will be some other issues for political ethics in Korea. Responsible Christian Political Ethics can be applied it`s ethical insight for development of political ethics.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is: Christian political ethics is the condition of right political culture, Christian must be responsible for transformation of political culture. Specially, in Korea, Christian have little concerning about political reality. Korean Christian must to have participative and responsible concern about political reality for realization of God`s will.

      • 입법적 책임의 실질적 실현을 위한 시론적 논의

        모준성(Junseong MO) 경인교육대학교 입법학센터 2022 입법과 혁신 Vol.1 No.-

        이 글은 입법자가 헌법에 따라 부담해야 하는 입법적 책임을 실질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한 시론적 논의로서, 입법적 책임의 구조와 특수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입법적 책임은 법규범 중 하나인 헌법이 입법자에게 부과하는 의무를 중심으로 한 포괄적 책임으로 정의내릴수 있으며, 따라서 입법적 책임을 규범적 책임과 헌법적 책임의 하위개념으로 볼 수 있다. 입법적 책임의 구조와 특수성을 탐색하기 위해 입법적 책임의 근간인 규범적 책임의 기본구조와 본질, 그리고 헌법적 책임의 특수성을 전제적으로 살핀다. 헌법이 입법자에게 부과하는 입법적 의무가 존재하기 때문에, 입법적책임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헌법적 특성으로 인한 헌법적 책임의 특수성과 입법의 특성으로 인한 입법적 책임의 특수성은 입법적 책임을 실현시키는 데 난점으로 작용한다. 특히 외부환경의 복잡성에 전면적으로 노출된 개별적 입법자에게 기대불가능한 의무를 부여할 수 없다는 점, 입법적 의무 위반을 규범적으로나 사실적으로나 판정하기 불가능하다는 점은 입법적 책임을 무제한적으로 확장시키는 것을 제한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입법적 책임을 실질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입법적 의무위반의 위험을 가능한 한 낮출 수밖에 없다. 즉 구체적인 입법절차 혹은 입법적 산출물이 입법적 의무에 위반되었는지 사후적으로 판정하는 것이 아니라 입법절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입법적의무를 위반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전적인 장치를 마련해야한다. 이는 입법적 책임을 명목상 책임으로 남겨두거나 오로지 국민에 의한 정치적 책임으로 실현하는 것을 방지한다. 입법적 의무위반의 위험을 낮추는 방식은 예컨대 개별적 입법자가 입법시에 반드시 지켜야할 별도의 의무로서 개별적 입법자가 입법적 선택시에 판단의 근거로 삼았던 모든 정보와 판단의 이유를 문서화하여 공개하는 것이다. 이는국민에 의한 정치적 책임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개별적 입법자가 입법 적 의무위반의 책임을 면책받을 수 있는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an exploratory discussion for practically realizing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that legislators have to bear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aims to explore the structure and the particularities of legislative responsibility. Legislative responsibility can be defined as a comprehensive responsibility based on the obligations imposed on legislators by the Constitution. In order to explore the particularities of legislative responsibility, the basic structure and essence of legislative responsibility and the particularities of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are examined preconditionally. Since there are legislative obligations that the Constitution imposes on the legislator, it can be said that legislative responsibility also exists. However, the particularities of the constitutional responsibility due to the 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particularities of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due to the legislative characteristics act as a difficulty in realizing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In particular,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is also limited because of the inability to impose unsatisfiable obligations on individual legislators who are fully exposed to the complexity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normatively and factually impossibility of determining violations of legislative obligations. For this reason, in order to practically realize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it is necessary to preemptively reduce the risk of violation of the legislative obligations as much as possible. In other words, rather than ex post determining whether a specific legislative procedure or legislative output violates the legislative obligations, a preemptive mechanism should be prepared to minimize the risk of violating the legislative obligation in the course of the legislative process. This avoids leaving the legislative responsibility as a nominal responsibility or realizing it solely as a political responsibility by the people. A way to reduce the risk of violation of legislative obligations is, for example, to document and disclose all information and reasons on which individual legislators base their judgments when making legislative choices. This not only improves the political responsibility by the people, but can also function as a means for individual legislators to be exempted from the responsibility for violations of legislative obligations.

      • KCI등재

        정치적 책임과 민주주의- 한나 아렌트와 아이리스 영의 논의를 중심으로 -

        이충한 한국윤리교육학회 2024 윤리교육연구 Vol.- No.71

        This paper will deal with the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based on Hannah Arendt and Iris Marion Young’s political theory. Especially, I will specifically explain the significance of such a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in the practice of democracy today by analyzing and critically examining their political theory. Firstly, I will look at Arendt’s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as collective responsibility. Secondly, I will examine Iris Marion Young’s theory of political responsibility that Young developed based on Hannah Arendt’s concept. Lastly, I will argue that the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provides theoretical clues that could achieve real democracy in a plural society. In addition, I will maintain that in order for the concept of political responsibility to become a practical virtue rather than a theoretical concept education focusing on empathy and critical thinking should come first. 이 글은 정치적 책임 개념을 한나 아렌트와 아이리스 영의 논의를 토대로 분석하고 검토함으로써 그러한 개념이 오늘날 민주주의의 실행에 있어 갖는 실천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해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아렌트의 정치적 책임 개념을 살펴보고 이어서 영이 아렌트의 논의를 바탕으로 발전시킨 정치적 책임 개념을 검토하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아렌트가 제시하고 영이 발전시킨 정치적 책임 개념이 개인주의와 파편화, 억압과 배제에 시달려 약화되고 있는 민주주의를 시민의 소통과 포용에 기초한 실질적 민주주의로 변화시킬 수 있는 이론적 단서를 제공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더불어 정치적 책임 개념이 이론적 개념에 머무르지 않고 구체적인 현실성을 지닌 실천적 미덕으로 자리하기 위해서는 공감과 비판적 사고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 도산 안창호의 정치관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16 민족사상 Vol.10 No.2

        This thesis is a writing analysing the political view of Do San. In a political thinker, political view is a key theme of the study dealing with. In order to properly deal with the political ideas and political philosophy of a political thinker, political view as the premise of analysis can be called a fundamental need. To analyse the political view of Do San Ahn Chang-Ho, first of all, the concept and content of politics should be built. On this, the political view of Do San Ahn Chang-Ho is follows. First, the political view of Do San Ahn Chang-Ho is regulated as the theory of master politics. Here, a master is the antonym of a passenger or slave. Do San always asserts that a theory of master politics is the theory of politics for the development and future of nation. Second, the political view of Do San Ahn Chang-Ho is regulated as the theory of joint politics. This theory of joint politics seeks for the theory of standing together in nation. Finally, he political view of Do San Ahn Chang-Ho is regulated as the theory of democratic politics. First of all, the theory of democratic politics of Do San Ahn Chang-Ho is based on the theory of free will’s reality. I thjnk that the theory of politics of Do San is appraised as the needing political view in nation. 본 논문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족선각자인 도산 안창호의 정치관에 관해 분석한 것이다. 한 정치사상가에 있어서 정치관은 반드시 다루어야 할 연구의 핵심적 주제이다. 정치사상가의 사상 특히 정치사상과 정치철학을 재대로 다루기 위해서는 그 분석의 전제로서 정치관에 대한 분석은 필수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도산 안창호의 정치관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정치관의 개념과 구성내용에 대한 설명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기초해서 도산 안창호의 정치관의 내용을 살펴보면 첫째, 도산의 정치관은 주인정치론으로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인은 여객(旅客)이나 노예의 반대어로 주인정치론은 나라와 민족의 발전과 장래를 위해 반드시 추구해야 할 정치론으로 도산은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주인정치론은 일종의 책임심에 의한 주인으로 구성된 정치론이다. 둘째, 합동정치론을 지적할 수 있다. 합동정치론은 분리를 넘어 민족구성원들 간의 개체적 합동을 통한 정치론을 말한다. 이러한 합동정치론은 종국적으로 민족의 대동단결론을 추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산 안창호의 정치관은 민주정치론으로 규정될 수 있다. 민주정치론은 무엇보다도 자유의지에 의한 민주주의의 실천론이다. 그리고 민주정치론은 국민주권론을 기초하고 있다. 도산의 정치론은 당위론적 측면에서 주장이 전개되고 있지만 오늘날 우리 민족에서 반드시 필요한 정치관으로서 새롭게 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응답의 정치: 동물권 너머의 동물 정치

        최명애 한국이론사회학회 2022 사회와 이론 Vol.42 No.-

        While existing animal studies have largely focused on the ethical dimensions of human-animal relations, recent social science works on animals have explored the ways in which animals are involved in the hitherto anthropocentric political community, i.e. animal politics. Political scientists and legal scholars have developed right-based arguments by demanding the due right to attribute legal personhood and citizenships to animals. However, recent work on multispecies justice and relational ethics appear to offer a more careful mode of animal politics by making recourse to the attentive and response-able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animals. By drawing on posthumanist work on animal rights, multispecies justice, and relational ethics,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such an alternative mode of animal politics, which I call “the politics of response” after Haraway. By combining a critical review of recent scholarly work on animal politics with three empirical examples, this paper shows the existence of an alternative mode of animal politics where humans become attentive to the ecologies and agencies of the animals, and thus adjust animal-related political decisions accordingly. The politics of response is distinguished from the prevalent mode of right-based animal politics in that it attempts to create the political space where the differences of animals are encouraged and flourish. By offering a posthumanist account of ‘the political’, this paper hopes to contribute to the growing body of more-than-human work in the Korean sociology scholarship. 한국사회의동물 연구는 동물철학을중심으로인간-동물관계의윤리적측면을주로다뤄왔다. 그러나최근사회과학의동물연구는동물을인간의정치적논의와 의사 결정 과정에 어떻게 포함시킬 것인가를 논의하는 ‘동물 정치’로확장되고 있다. 이 글은 포스트휴머니즘의 다종적 정의와 관계적 윤리 논의에기반해 동물에 대한 관심과 응답으로 매개되는 새로운 동물 정치, 즉 ‘응답의정치’를 개념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문은 먼저 최근의 동물권 논의, 다종적 정의, 관계적 윤리를 중심으로 최근 사회과학의 동물 정치 논의를 살펴보고, 현실 사례를 인용해 권리 기반의 기존 ‘동물권 정치’와 구별되는 새로운동물 정치가 형성,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이어, 이론과 사례를 결합해 새로운 동물 정치의 인간-동물 존재론, 정치적 전략과 효과를 검토한다. 응답의정치는 동물과 인간의 얽힘과 상호 작용을 강조하고, 특정한 맥락 속에서 드러나는 동물의 행위성에 주의를 기울이고, 제도적 조율을 통해 이에 응답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인간과 구별되는 동물의 특성과 역량에 주목하고, 이를 발현할 수 있도록 인간의 활동을 조율한다는 점에서 인간 중심주의의 외부에서 인간-동물 관계를 사유하고 실천하는 전환의 정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사회적인 것’의 하나인 정치를 포스트휴머니즘 관점에서 새롭게 사유함으로써 이 글은 최근 국내 사회학에서 부상하는 ‘인간 너머’ 사회학 연구에기여하고자 한다.

      • KCI등재

        레비나스 윤리 內 정치적인 것의 탐색

        김영걸 한국정치사상학회 2022 정치사상연구 Vol.28 No.2

        Is there political thought in the philosophy of Levinas? Levinas does not speak directly about politics. But we can find the politics that Levinas talks about through his works and interviews. Levinas insists only on the infinit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in front of me, but there are already third parties behind the other. So ethics for the other needs to be corrected for third parties. Levinas calls here the justice by which the incomparable must compare. And this justice still presupposes responsibility and love. Passed from a world of responsibility to a world of justice, I do not release my privileges for the other. Justice always operates within the framework of my responsibility towards the other. There must be the indivisible politics and State which support this justice. The State which realizes this justice does not consist in the domination of the human masses. Rather, it guarantees mutual human relations and allows to become a place where the humanity can unfold. Therefore, Levinas reminds us of the laws, institutions and politics that come from the proximity of humans, not from the limits of violence. Levinas’ thought, which deviates from the tradition of political philosophy, calls for moral efforts to bring the activities of the State closer to morality. Politics inspired by ethics, this is the vision of Levinas' politics for the constant intention towards the ‘better’. 레비나스 철학 안에 정치적 사유가 있는가? 레비나스가 ‘정치’에 대해 직접적으로 말한 바는 없지만, 그의 저작과 대화를 통해 우리는 그가 ‘정치적인 것’에 대해 말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레비나스는 나와 마주한 타자를 위한 무한 책임의 윤리를 강조했지만, 타자의 후면에는 이미 처음부터 그림자처럼 제삼자들이 있었다. 따라서 타자만을 위한 윤리는 제삼자들을 위해서 교정될 필요가 있다. 레비나스는 여기서 ‘비교할 수 없는 것’을 비교해야 하는 정의를 요청한다. 그리고 이 정의는 여전히 책임·사랑을 전제한다. 책임의 세계에서 정의의 세계로 이행한 ‘나’는 타자를 위한 특권을 완화시키지 않는다. 정의는 여전히 타자를 위한 나의 책임 안에서 작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의를 지지하는 불가분의 정치와 국가가 필요하다. 이 정의를 실현하는 국가는 인간 대중을 지배하는 데 있지 않다. 오히려 상호 인간적 관계를 보증하고 서로가 인간의 인간성을 펼칠 수 있는 場이 되도록 해준다. 따라서 레비나스는 폭력의 제한에서 나오지 않는, 인간들의 가까움에서 비롯한 법·제도·정치를 환기시킨다. 전통적인 정치철학의 전통에서 빗겨나 있는 그의 사유는, 도덕에 더 가까운 국가의 활동을 위해, 도덕적 노력을 요청한다. 윤리에 의해 영감을 받은 정치, 이것이 레비나스가 보는 정치의 부단한 ‘더 나은’ 지향을 위한 모습이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위기 대응에 있어 위기 책임성이 메시지 수용도와 지방자치단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정치 성향별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매체 유형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종선,최유진 한국PR학회 2020 PR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위기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SNS 매체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위기 책임성이 메시지 수용도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지자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체 유형과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더불어 정치 성향에 따라 조절된 매개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방법성인 727명을 대상으로 2(위기 책임성: 고/저) × 2(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용/방어) × 4(매체 유형: 신문 기사/페이스북/트위터/인스타그램)의 집단 간 온라인 실험을 진행하고 PROCESS Macro를 이용해 조절된 매개 효과를 분석했다. 결과지자체의 위기 상황에서 위기 책임성이 메시지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매체 유형은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였으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조절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위기 책임성이 낮은 상황에서는 신문 기사의 메시지 수용도가 인스타그램과 트위터 메시지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위기 책임성이 높은 상황에서는인스타그램과 트위터의 메시지 수용도가 신문 기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위기책임성 수준에 상관없이 사과 전략이 변명 전략보다 더 호의적인 반응을 이끌어 냈다. 매체 유형의 조절된 매개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위기 책임성이 높은 유형에서 신문 기사를 통한 대응은 메시지수용도를 거쳐 지자체 신뢰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SNS 채널 메시지는 메시지 수용도에만 영향을미치고 지자체 신뢰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정치 성향별로 다른 형태의 조절된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본 연구는 지자체의 위기 책임성이 메시지 수용도와 지자체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이 매체별로 차이가 있음을검증했고, 정치 성향에 따라 매체 유형의 조절된 매개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자체가 위기 책임성에 따라 더 효과적인 매체를 활용할 필요가 있고, 사과 전략을 기본 전략으로 설정하여 메시지 수용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지자체 신뢰도 하락폭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Objectives Given the importance of social media in the area of crisis communication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media types and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on trust in local government through message acceptance.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varied by political orientation. Methods A 2(crisis responsibility: high/low) × 2(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accommodative/defensive) × 4(media types: newspaper/Facebook/Ttwitter/Instagram) between-subjects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727 adul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with PROCESS Macro. Results In the case of a local government crisis, the media type significantly moderated the influence of crisis responsibility on message acceptance, but th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While newspaper artic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ssage acceptance than Instagram and Twitter messages in the situation of low crisis responsibility, Instagram and Twitter messag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essage acceptance compared to newspaper articles in the situation of high crisis responsibility. Regardless of the level of crisis responsibility, the accommodative strategy drew more favorable responses than the defensive strategy. The media types showed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on effects as well. Specifically, crisis response in the form of newspaper articles had a negative effect on trust in local government through message acceptance in the situation of high crisis responsibility. Social media affected message acceptance but did not affect the trust in local governments. There were different patterns of moderated mediation effects according to political orientation. Conclusions This study found different effects of crisis responsibility on message acceptance and trust in local government by media type and political orient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employ different media types per crisis responsibility level and focus on increasing message acceptance with accommodative strategies to mitigate decreases in the trust of local governments during a crisis.

      • KCI등재

        대한민국 행정의 기능부전과 국가의 책임

        박재윤 한국행정법학회 2024 행정법학 Vol.26 No.-

        지난 수년간 겪은 코로나 사태 이후에도 2022년 이태원 참사부터 2023년 각종 사건・사고가 발생하면서, 국내에서 발생한 재난에 대한 후속처리과정에서 도식적인 과정이 반복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이른바 ‘재난의 정치학’이라는 형태로 불리면서, 우리 사회에 재난의 원인에 대한 분석과 대응마련이라는 성과보다는 이를 둘러싼 정치적・사회적 대립의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재난의 정치학에 부수하는 특징은 원인에 대한 적절한 법적 조사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거의 동시에 즉각적인 ‘責任(Verantwortung)’의 문제가 부각되는 것이다. 여기서 책임이란, 엄밀한 의미의 법적인, 특히 공법학에서 사용되는 의미와는 거리가 있다. 한국 사회에서 재난의 후속과정에서 책임이란 용어는 학문적인 개념보다는 일종의 결과책임으로서 사고수습에 대한 도의적인 차원에서 관련 공직자가 사임해야 한다는 정치적 맥락으로 사용된다. 문제는 이러한 정치적 책임이 궁극적으로는 재난 자체의 원인규명과 대책마련이라는 당초 논쟁의 목적과는 무관해졌다는 점에 있다. 재난으로 피해가 발생하고 확대되었다면, 이는 행정이 국민의 안전을 보호해야 한다는 임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원인을 분석해야 한다. 즉, 일응 행정의 기능부전이 재난의 주요한 원인인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잼버리 사태를 소재로 하여 이 논문의 주제인 행정의 기능부전과 그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법적인 책임론을 검토하여, 입법정책적인 대안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문제분석의 도구로서 행정조직의 문제에 관한 다양한 이론을 전개한 니클라스 루만의 조직이론을 검토하였다. 필자는 루만의 연구를 참조하면서, 법학적인 대안으로서 독일의 조종이론과 법다원주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법학적 쟁점으로서, 기관장의 교체와 행정의 단일성, 민간과의 협력과정에서의 부패의 문제, 행정위원회 구조의 문제점 등을 검토하였다. 행정의 기능부전과 더 나아가 재난의 대응실패에 대하여 기존의 법적 관행은 형사재판과 국가배상 등을 통하여 엄격한 책임추궁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각 영역에서의 책임법리의 차이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부작용마저 우려된다. 여기서 국가배상청구의 법리를 바탕으로 전개되는 공법적 책임론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대법원은 최근 선고된 긴급조치 제9호에 관한 사건(대법원 2018다212610 판결)에서, 더 이상 공무원의 개개인의 행위관여를 고려하지 않고, 일종의 국가 전체의 조직과실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일련의 국가작용을 전체적으로 보아 평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결국, 국가배상법의 이론으로는 가능한 공무원의 개개인의 주관적 과실과 책임에서 벗어나서 국가 자신의 자기책임으로 구성하는 공법적 책임론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는 행정의 기능부전 현상에 대하여 공법적 책임을 제고하기 위한 입법전략으로서, 입법에 있어서 행정과의 역할분배와 숙의적 입법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재난을 대비하는 행정의 기능부전에 대하여 국가의 책임은 분명하다. 다만, 이를 개인의 책임으로 환원시키는 데에는 신중함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Even after the COVID-19 crisis of the past few years, a schematic process has been repeated in the follow-up to disasters in Korea, from the Itaewon tragedy in 2022 to various incidents and accidents in 2023. This process has been called the so-called ‘politics of disaster’, which emphasizes the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surrounding disasters rather tha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uses of disasters and preparing responses. An accompanying feature of the politics of disaster is that the issue of responsibility(Verantwortung) emerges almost immediately, without the proper legal investigation of the cause being finalized. Here, liability is not strictly legal, especially in the sense used in public law. On the other hand, in the post-disaster process in Korean society, the term responsibility is used less as an academic concept and more in a political context, as a kind of consequential responsibility that requires the resignation of public officials as a moral obligation to repair the accident. The problem is that this political responsibility ultimately becomes irrelevant t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debate, which is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disaster and develop countermeasures. If a disaster has caused and escalated damage, it should be analyzed in terms of the structural failure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to fulfill its duty to protect the safety of the public. In other words, the dysfunction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is the primary cause of the disaster. In this study, we first analyze the dysfunc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its causes, examine the legal theory of liability, and explore legislative and policy alternatives using the 25th World Scout Jamboree In Saemangeum as the subject of this paper. First, I reviewed the organizational theory of Niklas Luhmann, who developed various theories on the problem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s a tool for problem analysis. With reference to Luhmann's work, I examined the German theories of Steering Theory(Steuerungstheorie) and Legal Pluralism as legal alternatives. As legal issues, I examined the replacement of agency heads, administrative unity, the problem of corruption in the process of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and the problem of the structure of the administrative committee. The existing legal practice for administrative dysfunction and failure to respond to disasters is to pursue strict liability through criminal trials and state compensation. However, such an approach is difficult to expect practical effects due to differences in in the law of responsibility in each area, and side effects are also concerned. The public law theory of liability, which is based on the law of state compensation claims, can be presented as an alternative. In a recent case on 9th emergency measures (Supreme Court Case 2018Da212610), the Supreme Court no longer considers the individual participation of public officials, but rather evaluates a series of state actions as a whole in a way that recognizes the organizational culpability of the state as a whole. As a result, the theory of State Compensation Act should be reconstructed from the subjective negligence and responsibility of individual public officials as far as possible to a theory of public law liability, which consists of the self-responsibility of the state itself. Finally, this articl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distribution between the executive and the legislative branch, and the deliberative legislative process as a legislative strategy to enhance public law liability for the phenomenon of administrative dysfunction. The state's responsibility for administrative dysfunction in preparation for disasters is clear. However, reducing it to individual responsibility requires ca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