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민족사상의 내용분석과 그 계승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22 민족사상 Vol.16 No.4

        This paper is an article that reveals the conten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 thought and analyzes the strategy of inheriting Korean national thought. There is a tendency to use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combination. However, strictly speaking,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In other words, Korean national thought is an idea based on pure and pure thoughts of the Korean people before foreign thought was introduced. On the other hand, Korean thought refers to the absorption and acceptance of foreign thought based on Korean national thought.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from the time of its occurrence.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classified into many contents and explained, but if you introduce only important contents, you can first point out anthropology. Human love is a comprehensive love. It is humanity that loves the entire human race, not just between me and you. Second,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defined as harmony theory. The theory of a win-win relationship between me and you is the theory of harmony. Finally, Korean national thought can be summed up as a theory of Gyeongcheon. He defined the sky as a personality god and always acted while looking up to the sky. We should do our best to inherit Korean national thought with pride. 본 논문은 한국민족사상의 내용과 성격을 밝히고 한국민족사상을 계승하는 전략을 분석한 글이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차이가 있다. 즉 한국민족사상은 외래사조가 유입되기 전 한국민족의 순백하고 순수한 사유에 의한 사상이다. 반면 한국사상은 한국민족사상을 기초로 하여 외래사조가 흡수되어 수용된 것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보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발생시기부터 차이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국민족사상은 많은 내용으로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지만 개략적으로 중요한 내용만 소개하면 우선 인류애론을 지적할 수 있다. 인류애는 포괄적인 사랑이다. 나와 너 간의 사랑에 국한하지 않고 인류전체를 사랑하는 것이 바로 인류애이다. 둘째, 한국민족사상은 조화론으로 규정할 수 있다. 나와 너 간의 상생적 관계론이 바로 조화론이다. 마지막으로 한국민족사상은 경천론으로 귀결지어 말할 수 있다. 하늘을 하나의 인격신으로 규정하고 늘 하늘을 우러러 보면서 행동을 하였다. 한국민족사상에 자부심을 가지고 계승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 간의 차이점과 유사점

        오일환,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22 민족사상 Vol.16 No.4

        This paper analyz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erms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Often, Korean national and Korean ideas are used interchangeably. However, in fact,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are different from the time of its occurrence. In other words, Korean national thought is the orthodox thought of our people before foreign thought was introduced. On the other hand, Korean thought is an absorption and integration of foreign thought into Korean national thought. In this regard, there ar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can be said to be more pure in terms of purity. In this respect, Korean national thought has purity. The second can be examined in terms of uniqueness. Uniqueness is an analysis method that occurs in comparison with other ideas. In terms of uniqueness, Korean thought is considered to have uniqueness. Fin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deas in terms of subjectivity can b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ivity, it can be said that Korean national thought is deeper than Korean thought. If we point out similarities between Korean national thought and Korean thought through these differences, I think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but there is an identity at the root. 본 논문은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 간의 용어상의 차이점과 유사점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흔히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사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발생시기부터 다르다. 즉, 한국민족사상은 외래사조가 유입되기 전 우리 민족의 정통사상이다. 반면 한국사상은 한국민족사상에 외래사조가 흡수 통합된 것이다. 이런 점에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은 차이점도 있고 유사점도 있다.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 간의 차이점은 우선 순수성에서 한국민족사상이 보다 순수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민족사상은 순백성을 지니고 있다. 두 번째는 고유성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고유성은 다른 사상과의 비교에서 발생하는 분석방법이다. 고유성의 측면에서 보면 한국사상은 고유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마지막으로 주체성의 측면에서 양 사상 간의 차이점을 분석할 수 있다. 주체성의 관점에서 보면 한국민족사상이 한국사상보다는 더 깊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통해 한국민족사상과 한국사상 간에 유사점을 지적하면 양자 간에는 비로 차이점이 있지만 근저에는 동일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 제5장 한국민족사상의 개념과 성격

        심옥주 한국민족사상학회 2009 민족사상 Vol.3 No.2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oncept and character of Korean nationalism, and to investigate the modern meaning provided by Korean nationalism. Korean nationalism is significant in the fact that it is the nation's psychological foundation and psychological basis to lead the future. I have approached the conceptual frame of the study from three approaches: 1) uniqueness of the Korean people, history of our nation, and the unique nationalism of the Korean nation. From such perspective, the character of Korean nationalism was categorized into four main groups. The first reflected the ethical spirit of humanitarianism, the second displayed a Korean democratic character reflecting the unique features of the Korean race, the third showed that for foreign ideas, the spirit of harmony based on recreation was developed into a national idea, and fourthly, it displays a Daedong (great virtue) ideal based on the people. This kind of Korean nationalism was the psychological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history, and plays a pivotal role for resolving the issues of the past, of which our nation confronts. In addition, it is the psychological center point of the incompleteness of Korean nationalism and for the current issue of national unification, in which modern significance is given. 본 연구는 한국민족사상에 대한 개념과 성격에 대해서 살펴보고 한국민족사상이 주는 현대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민족사상은 우리 민족의 정신적 토대이자 미래를 이끌어주는 정신적 기반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며 연구자는 연구의 개념적 틀을 한민족이라는 특수성과 우리 민족이 지닌 역사성, 한국 민족의 특수한 민족성의 세 가지 틀에 근거하여 접근하고 있다. 이런 시각 하에 한국민족사상의 성격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는데, 첫째, 홍익인간의 윤리정신을 반영하고 있고 둘째, 한국민족만의 특성을 반영한 한(韓)의 민본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셋째, 외래사상에 대해 재창조의 조화정신으로 민족적 사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으며 넷째, 민중에 기반한 대동주의적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이다. 이런 한국민족사상은 민족사 발전의 정신적 원동력이자 현재 우리 민족이 당면하고 있는 과거청산문제해결의 중심적 역할로서, 그리고 한국민족주의의 미완성이자 당면과제인 민족통일지향의 정신적 구심점으로 그 현대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후보

        동다송에 나타난 조화관에 관한 연구

        김수진 한국민족사상학회 2017 민족사상 Vol.11 No.3

        As we entered into the twenty-first century, many fields have achieved great improvement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sector of the economy. However, indiscriminate production of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have focused solely on human's conveniences and brought us into a chaos as well. Furthermore, disharmony (不調和) in various places has created unexpected social issues. The solution for the current issues is harmony (調和). Advancements and developments are important for our future; however, we have to remember in this chaotic, troubled time Korean national thoughts that have allowed us to hold ourselves up. The thesis is about the study on the view of harmony indicated in the most popular Korean Daseo (茶書, the book of tea), Dongdasong (東茶頌), in accordance with Korean national thoughts. There exist many studies on dongdasong, but it is hard to find one focusing on Korean national thoughts. These thoughts are the main philosophy which represents the view of harmony. The main thoughts in Korea which represent the view of harmony are Hongikingan (弘益人間, benefit all mankind), which is based on human dignity and highlights the mutual balance, Jeophwagunsaeng (接化群生, enchanted enlivening of all beings), which promotes mutual coexistence among spritis, human, and nature, and Jesaeyihwa (在世理化, governing and educating people while staying in the world). Also, another one can be Hyo (孝, filial duty), which specifically is indigenous to Korea. Dongdasong is the most significant Daseo of Kore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Korean thoughts are deeply rooted in this book. By reminding the national thoughts of Korea which have been becoming forgotten, the present crisis of Korea shall be overcame and the wise view of harmony shall be established for our future. 21세기에 들어와 4차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많은 분야가 눈부시게 발전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편리에만 치우쳐 무차별적인 정보생산과 정보통신 발달은 인간을 혼란에 빠져들게 하였고, 여러 가지 부조화(不調和)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지금의 위기문제를 극복하고 해결 할 수 있는 대안은 조화(調和)이다. 미래를 향한 개발과 발전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불안하고 혼란스런 시점에서 잊지 말아야 할 중요한 것은 바로 지금까지 우리의 정신을 지탱하게 해준 한국민족사상이다. 본 논문은 한국다도의 대표 다서(茶書)인 동다송(東茶頌)의 조화관(調和觀)을 한국민족사상을 중심으로 연구 한 논문이다. 동다송에 관한 많은 논문들이 있으나 한국민족사상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은 찾아보기 힘들다. 한국민족사상은 조화관을 대표하는 사상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조화관을 대표하는 한국사상으로는 인간의 존엄성을 기초로 하고 상호조화를 강조하는 홍익인간(弘益人間) 정신과 인간과 자연의 상호공존을 지향하는 접화군생(接化群生), 제세이화(在世理化)가 있다. 그리고 우리의 한국 고유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 효(孝)사상을 말할 수 있다. 동다송은 한국 다도의 대표 다서이니 만큼 한국 사상이 아주 깊에 들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잊혀져가는 한국 고유의 민족정신을 동다송을 통하여 상기시켜 지금의 한국의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를 위한 현명한 조화관을 확립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제3장 안중근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민족사상학회 2009 민족사상 Vol.3 No.1

        The existing Studies on the political thought are very deficient. In this point, this thesis analyses the An Choon-Gun in terms of political thought. Above all things, premise of the study on the political thought of An Choong-Gun is the consideration on the her basic knowledge about human beings and state. His human viewpoint is pointed at the human dignity toward human being as the unit. And he stressed on the people‘s responsibility and role about state. Next, the state viewpont of An Choong-Gun is centering on the concrete will about state dependency. and he has a faith on the solidarity between I and state. With this basic human viewpoint and state viewpoint is stretched his political thoughts. First, the political thought of An Choong-Gun is expressed as the theory on the state building basing education. He stressed on the interrelations the national crisis and the education advancement. Secondly, he emphasized the theory of independent war. Thirdly, he laid down the theory of people’s sovereignty instead of the polity of kin. Finally, he has aserted the theory of oriental peace. The theory of oriental peace is the essence of his thoughts. 안중근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 있어서 정치사상적 차원에서의 연구는 비교적 미진한 편이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안중근의 사상을 정치사상이라는 차원에서 분석하고 있다. 안중근의 정치사상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안중근이 지니고 있는 인간과 국가에 대한 기본적 인식을 고찰해야 한다. 우선 안중근의 인간관은 개체로서의 인간의 존엄성을 추구하고 있다. 그리고 국민의 국가에 대한 의무와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다음으로 안중근의 국가관을 살펴보면 우선 국가의 존재성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지니고 있고 국가와 나 간의 연대성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인간관과 국가관을 가지고 그는 자신의 정치사상을 펼치고 있다. 첫째, 안중근의 정치사상은 교육입국론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는 나라의 위기를 교육의 증진으로 극복하려고 하였다. 즉 교육함양과 국난의 연계설을 주장하고 있다. 둘째, 그는 독립전쟁론을 강조하고 있다. 독립전쟁론은 일제라는 부당한 제국주의의 뿌리를 완전히 근절한다는 의미이다. 세 번째, 자유민권론이다. 그는 군주정을 비판하고 인민주권설을 주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동양평화론이다. 동양평화론은 그의 사상의 진수로 자신의 사상의 최종적 귀착지이다. 이러한 정치사상은 고립된 민족주의를 넘어 세계주의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 사상으로 평가된다.

      • KCI등재후보

        원효의 평화사상에 관한 연구

        김강녕 한국민족사상학회 2012 민족사상 Vol.6 No.1

        This paper aims to analyse Wonhyo's peace thought. For the purpose of that, this paper searches for his life, writing and writings, his peace thought and its realization methods, today's meanings of his peace thought, etc. The age of Wonhyo(617-686) was that of constant severe conflicts and wars among three Kingdoms, and the political unification of them by Shilla. War and death were was every where everyday life. After the political unification, It was necessary to build the systematization of state administration and ‘the philosophy of integration’, the ideal for peoples who had fighted for a long time. Buddism is a religion of compassion which thinks much of harmony and peace. He wrote Sibmun Hwajaengron(十門和諍論), the Reconsiliation of Ten Disciplines. To Wonhyo, Hwajaeng was a kind of philosophical method and logic than a special and systematic thoughts. To him, Hwajaeng was a kind of philosophical method and logic than a special and systematic thoughts. The thought of Wonhyo based on reconciliation of disputes can show us guideline for solving world peace problem and Korean Unification. The core of Wonhyo's thought is said to the reconciliation of disputes and the Huayn(Avatansaka Sutra) thought. Obstacle to peace in each person is the mind defined by ignorance. Ignorance means one could not understand that all things could not exist by themselves, but are codependent and correlated and that they are not permanent. Wonhyo thinks obstacles to the real and ultimate pesce and the false believes in the existence of ego-soul and thinks-in-themselves. The abolition of the false believes in the existence of ego-soul could be obtained through the perfection of one's personality by the practice of six paramitas. The ways to build up the real peace mean the transformation from the society of desire to the society of aspiration, because aspiration includes benefiting others as well as benefiting oneself. In order to build up the real peaceful world, as Wonhyo put it, we should go to the world of altruistic aspiration(communitarism) through the middle way from the world of ego-centrism desire. 이 글은 우리 역사상 가장 많은 불교저술을 남겼을 뿐만 아니라 후대의 사람들에 그의 사상 특히 일심-화쟁-무애의 사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 있어서도 많은 존경을 받고 있는 승려인 원효대사의 평화사상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원효의 일생과 주요저서 및 사상, 원효의 평화사상과 실현논리, 원효의 평화사상의 현대적 의미의 순서로 고찰한 후 결론을 도출해 보기로 한다. 원효의 화쟁과 원융회통의 사상은 원효가 살았던 신라말기와 통일신라 초기뿐만 아니라 그 후 한국불교와 한국정신문화의 가장 중요한 특질로 정착되었음은 물론 중국과 일본, 그리고 멀리 천축국(인도)에까지, 동아시아 전체에 통하는 보편사상이었다고 볼 수 있다. 화쟁에 바탕을 두고 있는 원효의 사상은 우리에게 세계평화와 관련된 주요문제들을 풀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해 줄뿐만 아니라 오늘날 남북한 분단체제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참된 평화세계의 건설은 인아집과 법아집을 타파하고 6바라밀의 실천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인아집의 타파는 정법(正法)에 의한 훈습을 통하여 자아의 주체성과 실재성에 대한 집착을 제거하여야 한다. 법아집의 타파는 예컨대 맹목적 신앙, 배타적 국가주의, 극단적 평등주의 등과 같은 삿된 집착의 대치(對治)를 말한다. 이 세상의 모든 모순과 대립은 무명(無明)과 불각(不覺)에 의해 발생하므로 무명의 성질과 그 퇴치방법을 이해시켜 깨달음(覺)으로 나아가게 될 때 조화와 통일, 상생(相生)과 평화의 길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 화쟁(和諍)과 일심(一心)과 원융(圓融)을 강조하는 원효의 평화사상이 공업사상(共業思想)으로 널리 받아들여 질 때, 다 같이 잘 사는 원생의 공동체의 실현, 진정한 의미의 세계평화의 실현을 우리는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평화세계의 건설은 욕망사회에서 소망사회 즉 범부의 수동적인 업생(業生)이 아니라 보살의 능동적인 원생(願生)이 충만한 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며, 자기만 생각하는 이기적 욕심(欲心)을 버리고 남도 생각하는 이타적 원심(願心)을 가진 사람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들의 공동서원에 의해 평화실현이 점점 더 많이 구현되는 것임을 원효는 우리에게 잘 가르쳐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수운 최제우의 사상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성과 정치 인식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

        양삼석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민족사상 Vol.5 No.4

        The philosophy of Suwoon leaves an impressive lesson for us in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ong Hak Revolution which stood for 'Non Violence and Save the People.' In Suwoon's most representative work, Yong Dam Yu Sa, a strong ideological element of thought is contained, as well as elements of literary and religious thought. ‘Si Chon Ju(Heaven is in my Mind),' regarded as the key to Suwoon's philosophy, boils down to 'Dong Gui Il Che(Spiritual Joint)'; and it includes within itself the following ideological character. The first part of it concerns humanitarianism. This comprehends the whole of Suwoon's philosophy in which there is a lane of thought, standing for the respect towards fellow human beings; and this has become the philosophical basis for In Nae Chon(Human is Heaven) thought. The second part of Suwoon's ideological thought concerns fundamental equality of all human beings. In Suwoon's philosophy, an attitude of vigilance exists on such discriminating elements among humans as elites-plebeians(Bansang), masters-subjects(Jujong), the rich-the poor(Binbu), legitimate child-illegitimate child(Jokseo), man-woman(Namyeo). It was expressed ultimately as equality consciousness. The third part of Suwoon's ideology concerns enlarging the consciousness of people's rights. Suwoon's view of the people was pointed to political and economic equality; and this has become the basis for Dong Hak thought to be widely supported by the people. The fourth part of Suwoon's ideology concerns patriotism. It originated from critical consciousness towards the reality to which he was exposed. This was realized through applying his humanitarian thought of 'Non Violence and Save the People' to the political reality of his times. The fifth concerns his view of foreign countries. This was expressed as overcoming the small-China-consciousness for erecting an autonomous state, anti-Western forces and anti-Japanese force. Especially his anti-Westernism reflected a vigilance on the Western forces and their increasing encroachment of the East. Suwoon's philosophy was institutionalized at the time of Dong Hak Revolution through a proposal, suggested by the Dong Hak army, for reshuffling government structure and reform. This aspect of his philosophy awakened the slumbering people's consciousness on their rights, their life, and autonomy spirits; and it worked significantly as a cause for the occurrence of revolution, and later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수운 최제우의 사상은 제폭구민을 기치로 발발한 동학혁명의 사상적 기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를 가진다. 수운의 대표작으로 인식되고 있는 『용담유사』에는 문학적 측면과 종교적인 의의 못지않게 강한 이데올로기성이 내포되어 있다. 수운 사상의 핵심으로 일컬어지는 ‘시천주’관은 ‘동귀일체’로 수렴되는 바 그것은 다음과 같은 이념성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는 인도주의 사상이다. 이것은 수운의 사상을 포괄하는 것으로 그의 사상 전반에는 인간에 대한 존중의 정신이 내재되어 있는 바 이것은 인내천(人乃天) 사상의 기초가 되었다. 둘째, 본원적 평등사상이다. 수운의 사상에는 반상(班常), 주종(主從), 빈부(貧富), 적서(嫡庶), 남녀(男女)간 차별에 대한 경계가 반영되어 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평등의식으로 구현되었다. 셋째, 민권의식의 제고이다. 수운의 민중관은 정치적 평등과 경제적 평등을 지향하고 있는 바 이것은 수운의 동학사상이 지역과 신분을 초월한 광범위한 지지를 얻게 되는 바탕이 되었다. 넷째, 구국정신으로 당시의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에서 발원하였다. 이것은 그의 인도주의적 ‘제폭구민’ 사상이 정치 현실에 적용되어 구현된 것이다. 다섯째, 대외관으로 이것은 소중화를 탈피한 자주국가관과, 서세동점에 대한 경계를 드러낸 반서구관, 대일관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수운의 사상들은 동학혁명 당시 동학군에 의해 제시된 폐정개혁안으로 구현되었다. 이러한 관념들은 당시의 민중들의 민권, 민생의 정신과 자주의식을 일깨워 동학혁명이 일어나게 되는 기폭제가 됨으로써 한국민주주의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 KCI등재후보

        단재 신채호의 군사사상에 관한 연구

        김강녕 한국민족사상학회 2018 민족사상 Vol.12 No.3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ilitary thought of Dan Jae Shin Che-ho. To this end, the paper is composed of 4 chapters titled introduction; the life and major works of Shin Chae-ho; military research and thought by Shin Chae-ho; and conclusion(summary and modern implications). Shin Chae-ho was a representative historian, journalist, thinker, and independent activi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His thoughts are form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olitics, history, country, society, philosophy, and literature. There are research papers of historians, philosophers, political scientists, but research papers on military thought are hard to find. The thoughts of Daejae can be divided into Nangga(郎家) thought(Korean traditional thought), anarchism, armed struggle theory, and populism. His military thought can be summarized as Nangga idea, the theory of the emergence of heroes in war, and armed struggle theory. In his military thoughts, the main actors of history changed from nation to people, and method of struggle, from strengthening nation-self to people’s violence revolution, but his consistent goal after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was an indomitable struggle for national independence. In short, Danjae's military thought teaches the lesson that the consciousness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the nation, but there must also be the power to keep this history. 본 논문은 단재 신채호의 군사사상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신채호의 생애와 주요저서, 신채호의 군사관련 연구와 사상을 살펴본 후 결론(요약 및 현대적 함의)을 도출해본 것이다. 신채호는 조선말기·일제강점기의 대표적인 역사가·언론인·사상가·독립운동가였다. 그의 사상은 정치, 역사, 국가, 사회, 철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역사학자·철학자·정치학자의 연구문헌들이 있지만 군사사상에 관한 연구논문은 찾아보기 어렵다. 단재의 사상은 낭가사상(郎家思想), ‘무정부주의,’ ‘무장투쟁론(武裝鬪爭論),’ ‘민중주의’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의 군사사상은 낭가사상, 구국영웅대망론(救國英雄待望論), 무장투쟁론 등으로 요약·정리해볼 수 있다. 그의 군사사상은 역사주체가 민족에서 민중으로, 투쟁방법이 민족자강에서 민중폭력혁명으로 변화를 보였지만 한일합병이후 그의 일관된 목표는 조국독립을 위한 불굴의 투쟁이었다. 요컨대 단재의 군사사상은 민족의 역사와 관련해서는 의식(consciousness)이 무엇보다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역사를 지킬 수 있는 힘(power)도 함께 있어야 한다는 교훈을 가르쳐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韓國思想의 源流와 그 正體性

        김진윤 한국민족사상학회 2012 민족사상 Vol.6 No.4

        韓國思想은 韓國人이 처해 있는 환경적 여건에 맞추어 자생적인 사고와 전래된 사상들을 主體的으로 흡수하여 그들의 생존을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해온 결과물이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主體的’이라는 의미는 韓民族이 共同體를 형성한 시점에서 시작된 檀君思想의 弘益人間精神과 理化世界精神을 根基로 하여 불교사상과 유교사상을 흡수하여 주체적 자기 것으로 만들었다는 것을 말한다. 즉 고유의 한국사상이 불교와 유교의 전래로 外形的인 모습에서 불교사상와 유교사상의 모습으로 한국사상을 포장하고 있지만 그 바탕에서 人間中心的 思考로 현실적인 인간의 모습과 그들의 질서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사상은 우리 한민족이 태초부터 자연과 더불어 살아오면서 나름대로의 얻은 삶의 지혜와 질서의 總合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사상의 正體性은 한민족이 형성돤 이후 줄곧 그 맥을 면면이 이어오는 과정에서 언제나 그 방향성의 指標가 되었으며, 그것이 바로 弘益人間精神과 理化世界精神을 根基로 한 人間中心的 思考로서 그 正體性의 핵심이 된다고 할 수 있다. The Korean thought is the deliverables that Koreans subjectively absorbed in the indigenous ideas and imported thought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y've done the best choice for their survival. Here ‘subjective’ means that at one point the Koreans absorbed in Buddhism and Confucian basd on Hongikingan(弘益人間) Mind and Ewhasiege(理化世界) Mind in the Dangunsasang(檀君思想) on the subjective. The unique Korean thought is packed in the outward appeara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to the guis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but it can be based on realistic appearance of human and anthropocentric thinking that focuses their order Therefore, the Korean thought can be defined as the sum of its own wisdom and order of life that our ancestors gained from the beginning of life with nature. Since the Koreans were formed in the process of coming, the identity of these Korean thought always behave an indicator of the direction. And these anthropocentric thinking that based on Hongikingan(弘益人間) Mind and Ewhasiege(理化世界)Mind can be regarded as the core of the identity of Korean thought.

      • KCI등재후보

        만해 한용운의 개혁적 불교사상에 관한 연구

        정천구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민족사상 Vol.5 No.4

        In Man Hae’s view, Buddhism is the unique religion which gives reasonable hope for the people supported by its well developed philosophy. He thought that due to the lack of philosophy other religions can not explain their hopes reasonably. Man hae emphasized the Buddhist idea of equality, liberty and salvation of the world. He made the idea of liberty as the foundation of his spirit of saving the Korean nation. Man Hae’s Buddhist thought was based by Hwaem-sutra(華嚴經) among Buddhist teachings and his Sun(Zen) meditation was living Zen in which enlightenment and living are not separated with each other. He realized that in order to reform the Korean nation one should reform the Korean Buddhism first for Buddhism has been imprinted in Korean people’s mind and life. Man Hae proposed the revitalizing reform program for the Korean traditional Buddhism at that time. He wanted to transform the hermitic and monk-centered Korean Buddhism into modernized, salvation oriented and mass oriented Buddhism. In On the Korean Buddhism Revitalizing Reform Man Hae suggested ten reform tasks of the Korean Buddhism including Buddhist monks education, zen meditation, Buddhist rituals, human rights of monk, their occupation and production, and their marriage problem. Man Hae’s Buddhist thought developed to his devotion to his own nation and state, idea of national liberty and peace, and idea of self-esteem and strenuous efforts. He loved his nation and state as his Nim(sweetheart). Since in his Silence of Nim, he crooned that everything that we love and long for is our Nim and his most loved and longed for in his entire life was Korea and Korean people. His national independence thought was based on the Buddhist idea on liberty and peace. Man Hae also thought that self-esteem vitality and spiritual preparation are enough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n Nation. His idea was different from building strength theory or nation remolding theory. Man Hae’s argument that revitalizing reform of the Korean Buddhism should be first for the Korean renovation is still valid. And his devotion to his Nim, compassionate Buddha and Korean state and people remains our model exemplar. 만해는 불교가 신앙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한 종교이면서 동시에 이성적 요구에 부합하는 철학을 갖추고 있어 다른 종교와 차별되며 장래 도덕문명을 주도할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불교의 평등과 구세의 이념을 강조하였다. 여기에 그는 자유의 개념을 깨달음과 정신적 자유라는 불교사상에 접목시켜 구국적 애국사상의 토대로 삼았다. 만해는 敎에서는 화엄사상을, 禪에서는 깨달음과 실생활을 하나로 보는 生活禪을 지향했다. 그는 조선민족을 개혁하려면 조선인의 정신과 생활에 각인된 불교가 먼저 혁신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만해는 은둔적이고 승려중심적인 불교를 개혁하여 근대불교, 구세불교, 대중불교를 위한 방안들을 제시했다. 조선불교유신론에서 그가 제기한 유신의 과제는 승려의 교육, 참선, 염불당의 폐지, 포교, 사원의 위치, 불가에서 섬기는 소회(塑繪), 불교의 의식, 승려의 인권과 생산, 승려의 결혼문제 등 10개 항목에 이르고 있다. 만해의 불교사상은 그의 애국애족사상, 민족 자유평화사상, 그리고 민족자강사상으로 전개되었다. 만해는 국가와 민족을 님으로 사랑했다. 그는 《님의 침묵》에서 “기루고자 하는 것은 모두 님”이라했는바, 이런 의미로 볼 때 만해가 일생을 통하여 가장 기루고자 한 님은 바로 조선과 조선백성이었던 것이다. 그는 자유와 평화를 민족독립사상의 기초로 삼았다. 또한 그는 수양과 민족적 자각을 중심으로 한 자강을 주장하였다. 만해는 조선의 독립은 독립할 만한 자존의 기운과 정신적 준비만 있으면 충분한 것으로 보았다. 실력양성론이나 민족개조론과는 구별되는 사상이다. 조선의 개혁은 조선인의 생활 속에 뿌리내린 불교의 개혁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만해의 주장과 설중매화(雪中梅花) 같이 초심을 지킨 항일의지와 개혁의지는 오늘을 사는 한국인들에게도 자신을 반성해 보는 화두로 살아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