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지여고 배드민턴부의 역사적 고찰

        조용호,문성국,이가람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0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8 No.2

        본 연구는 한국 여자배드민턴의 요람인 마산 성지여고 배드민턴부에 관한 신문, 잡지, 사진 등의 1차 자료와 구술 자료를 고찰해, 성지여고가 한국 여자배드민턴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파악했다. 1962년에 설립된 성지여고 배드민턴부는 1960년대 후반부터 성장기를 경험하며, 전국춘계종별배드민턴대회, 전국체육대회, 전국종별배드민턴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기 시작했다. 특히 1969년 아시아 청소년배드민턴선수권대회에서는 1위부터 4위까지 모두 성지여고 선수들이차지하기도 했다. 전성기(1970-1983)에 성지여고는 참가는 곧 우승이라는 공식을 써 가며 당대수많은 대회에서 우승을 독식했다. 특히 성지여고는 춘계종별배드민턴리그전 9연패, 전국체육대회 8연패 등의 성적뿐만 아니라, 1981년 한국 최초의 전영오픈 우승을 차지한 황선애 선수를배출하기도 했다. 부활기(1988-2000)에도 성지여고는 꾸준히 김호자, 이정미, 이경원, 정경은, 배연주, 성지현 선수 등과 같은 국가대표급 선수들을 배출하며, 국내․외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올리며 한국 여자 배드민턴의 성지로 명성을 이어왔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act of Seongji Girls' High School in Masan, the cradle of Korean women's badminton,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women's badminton by examining the primary data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and photographs, and oral data. Founded in 1962, Seongji Girls' High School's badminton team had grown since the late 1960s and began to win titles in the national spring badminton championship, the national sports competition and the national badminton championships. In particular, its players ranked first to fourth at the Asian Youth Badminton Championship in 1969. In its heyday(1970-1983), it dominated many of the events of its time by winning every competition it participated. Moreover, not only did it win nine straight games in the spring badminton league and eight straight games at the National Sports Competition, it also produced Hwang Sun-ae, the first Korean player who won the All England Badminton Championship in 1981. Even during the revival period(1988-2000), it continued to be a sacred place for Korean women's badminton, producing national team-level players such as Ho-ja Kim, Jung-mi Lee, Kyung-won Lee, Kyung-ju Jung, Yeon-ju Bae and Ji-hyun Sung, and achieving excellent results at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mpetitions.

      • KCI등재후보

        불교적 조명에 의한 퇴계와 율곡의 공부론 비교

        丁惠貞 韓國宗敎敎育學會 2003 宗敎敎育學硏究 Vol.16 No.-

        퇴계와 율곡의 마음공부에는 주자학이 갖는 지행병진의 道問學과 存德性이 계승되어 있다. 知공부와 行공부는 함께 하는 것으로 떨어질 수 없는 것이므로 이는 거경, 궁리, 역행으로 나뉘어 설명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를 총칭하여 敬공부라 할 수 있다. 敬공부는 곧 誠之로서 이는 擇善固執으로도 설명되며 택선은 博學, 審問, 愼思, 明辯의 공부절차로 말해지기도 한다. 그러나 크게 보면 퇴계와 율곡이 갖는 이기론의 관점차이에 따라 차이가 드러난다. 퇴계는 천명을 알고 따르기 위해 성경의 수행을 말하지만 율곡은 본성을 국한시키는 탁한 기질을 바로 잡기 위해 성경을 말한다. 즉 퇴계의 경은 事天으로 모아진다면 율곡의 경은 교기질에 모아진다. 다시 말해 퇴계의 敬은 본연성을 기르기 위해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율곡의 誠之는 본연성을 가리는 기질을 바로잡는 것이 본연성 회복임을 주목한다. Toekye and Yulgok's mind training is success to Juja's Learning theory as together with Knowledge and conduct. The study of knowledge and conduct is advanced side by side and is not able to separate. So that is explained by GeoGyong(居敬), GungLi(窮理), and Yokhang(力行). First, GeoKyong(居敬) is concentrating the mind and has the spiritual state. The next, GungLi(窮理) is studying of the laws of nature. The last, Yokhang(力行) is attend to practice. Also they have a general name, Kyong(敬). The learning of Kyong is same as Songji(誠之). Songji is explained by Teagseongojib(擇善固執). Teagseongojib is told by erudition, deep question, deep think, and clear inquiry(judgment). But Toekye and Yulgok's "Ki"heory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oekye emphasizes the respecting of Cheonmyong(天命). But Yulgok emphasizes the correcting one's shortcomings. That is to say, Toekye is concerned about the training human nature. On the other hand Yulgok is concerned about correcting the temperament.

      • KCI등재

        仁王山寺와 無學大師

        황인규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2 No.-

        본고는 서울 內四山 가운데 하나인 인왕산의 역사와 산내의 사찰들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仁王山은 漢陽을 진호하는 內四山 가운데 하나로 조선왕조가 개창된 후 한양이 국도로 부각되면서 부터이다. 그 이전에는 西山(右白虎) 또는 歧峯으로 불리었지만 한양정도직후에 仁王寺가 창건되면서 인왕산이라고 불렸다. 仁王이란 말은 불교의 金剛力士라는 뜻이다. 한양이 국도로 선정된 후 右白虎에 머물고 말았으나 무학자초를 계승하였다고 생각되는 광해군대 고승 性智도 王氣가 있는 땅이라고 하여 중요시하였다. 무학자초는 한양의 案山이자 랜드마크인 木覓山 神祠인 國祀堂에 모셔져 백성들의 추앙을 받았다.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목멱신사가 무학자초가 중요시 하였던 인왕산에 이전되었다.인왕산에는 여러 사찰들이 창건되었을 것이나 현재 확인되는 사찰은 몇몇 사찰에 지나지 않는다. 산 정상의 福世庵과 그 밑의 仁王寺· 金剛窟· 尼社(尼舍)· 羅漢堂· 內願堂 등의 사찰이 있었음이 확인되지만 연산군대에 이르러 대부분 철거되었다. 인왕산의 사찰 가운데 특히 주목되는 사찰은 인왕사와 내원당이다. 아마도 왕사 무학자초의 문도로 추정되는 祖生이 內願堂 監主와 仁王寺 住持를 겸직하면서 스승 무학에 이어 한양건설에 참여하였고 당대 왕실원찰인 興天社 주지를 역임하였다. 그리고 인왕산에는 내원당이 창건되어 한 때 왕실불교의 보루가 되었고 尼社(尼舍)가 건립되어 도성내 淨業院과 더불어 등 왕실여성의 불교중심도량이었다. This paper observes the history of Mt. Inwang, one of four mountains surrounding Hanyang(漢陽), and buddhist temples built in it. Mt. Inwang is one of four mountains that people believed defended Hyanyang. Since establishment of Chosun dynasty, Hanyang became known as the capital of Chosun. Hanyang was also known as Seosan(西山) or Gibong(歧峰) well before Chosun dynasty, but it got its name since Chosun moved its capital to Seoul and built Inwang-Temple in it. Inwang(仁王) means Kumkang- yeksa(金剛力士) in buddhist.Since Hangyang was selected as capital, it was only remained as a branch of a mountain range(右白虎). Great monk Seongji(性智) who is considered as a heir of Moohak(無學) also considered seriously Hanyang as a land that has a strength to make a king. Moohak was held in high esteem by the people after enshrined in Guksadang(國祀堂) which is a Sinsa(神祠; a shine) of Mt. Mokmyuk(木覓山) that is a landmark and as a opposite mountain of Mt. Inwang.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Sinsa(神祠; a shine) of Mt. Mokmyuk was moved to Mt. Inwang where was very significant to to Moohak.Perhaps many temples were built in Mt. Inwang during Chosun dynasty, but only few could survived because of the policy that pay respect to Confucianism and suppress Buddhism. It could be verified that Bokseam(福世庵) in the peak of mountain and Inwang-Temple, Kumkanggul(金剛窟), Buddhist nun’s temple(尼舍), Nahandang(羅漢堂) and Naewondang(內願堂) etc. were remained but most of that was demolished under the rule of Yeonsangun(燕山君).Among of the buddhist temples in Mt. Inwang, Inwang-Temple and Naewondang especially pay one's attention. Josaeng(祖生) who was considered as a disciple of Moohak, a buddhistic teacher of king, had positions as the head priest of Naewondang and Inwang-Temple. And also he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Hanyang, the capital of Chosun dynasty, along with Moohak and was consecutively occupied the chief monk of a Buddhist temple, Heongcheonsa(興天社) that was buddhist temple for the royal family.Naewondang(內願堂) in Mt. Inwang became a center of Buddhism of royal family. And Buddhist nun's temple(尼舍) and Jeongupwon(淨業院) that was placed in the palace also became a center of temples for buddhist women.

      • KCI등재

        고려시대화엄종華嚴宗과 용수사龍壽寺

        한기문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4

        고려전기 화엄종은 의천이 종파를 통합하려는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의천 사후 오히려 분파되었다. 의천의 화엄학 문도들 중 한 갈래는 계응을 중심으로 태백산으로 퇴거 각화사를 창건하고 법해용문을 형성하여 화엄교단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법해용문의 확장 방법으로 문도 차원에서 용두산 용수사를 개창한다. 문도 확심이 명종의 명을 받아 사원재정을 확정하고 이를 공증하는 일면에서 「용수사개창비」를 건립하였다. 탁본첩으로 전해 오는 개창비문은 18세기 초 유자가 전문을 판독한 『용산지龍山志』고적조 최선비문과 대교하여 보완하였다. 이에 따르면 개창된 용수사의 구조는 인근 의상계 부석사와 차이가 확인된다. 부석사는 보처불과 영탑이 없는 일승사상을 강조한 전통이 원융국사가 주석한 시기까지 이어졌다. 개창한 용수사는 관음보살상과 청석탑이 조성된 구조였다. 주지한 확심廓心의 『원종문류집해』 권중의 내용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용수사의 종풍은 대체로 의천이 원효를 중시한 화엄사상을 계승한다. 13세기 중반 최우집권기에도 용수사의 종풍이 지속되었음은 용수사 비구 현규玄揆가 주장이 되어 『대방광불화엄경소』를 출판한데서 알 수 있다. 이 화엄경소는 의천 화엄사상의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의천이 비판한 균여계열의 사상을 이은 체원의 저술을 14세기 각화사 주지 성지性之가 교감하는 활동을 볼 때 태백산계열의 법해용문의 사상경향이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Hwaeomjong in early Goryeo Euicheon did Sects-Integrating movement, After his death the sect divided. Gyeoeung-based branch among the pupils of Euicheon’s Hwaeom Ideas builds Gwakhwasa in Taebek Mt.. They developed Hwaeom Association through the founding of Beophaeyongmun. To do this the students establish Yongsusa in Yongdu Mt.. On Myeongjong’s decree Euicheon’s disciple Hwaksim insured the temple’s finance and made 「Yongsusagechangbi」 to secure this. This rubbed-copy epitaph I completed with Confucianist’s comprehended Choiseonbimun of 『Yongsanji』-Gojeokjo in early 18C.. On head-monk Hwaksim 『Weonjongmunryujibhe』 Yongsusa’s ethos largely inherits Weonhyo’s Hwaeom thinking that Euicheon emphasized. On Hyeongyu’s pressed 『Debanggwangbulhwaeumgyeongso』 the ethos was kept also in Choi U’s reign in the middle of 13C.. This book implicates enough Euicheon’s Hwaeom Ideology. On Gwakhwasa head-monk Seongji’s correcting Chewon’s writings that succeeded Gyunyeo-line opinion which Euicheon criticized, the thought flow of Taebeksan-faction Beobhweyongmun was changed.

      • KCI등재

        고려시대 화엄종<SUP>華嚴宗</SUP>과 용수사<SUP>龍壽寺</SUP>

        한기문(韓基汶) 한국국학진흥원 2017 국학연구 Vol.0 No.34

        고려전기 화엄종은 의천이 종파를 통합하려는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의천 사후 오히려 분파되었다. 의천의 화엄학 문도들 중 한 갈래는 계응을 중심으로 태백산으로 퇴거 각화사를 창건하고 법해용문을 형성하여 화엄교단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법해용문의 확장 방법으로 문도 차원에서 용두산 용수사를 개창한다. 문도 확심이 명종의 명을 받아 사원재정을 확정하고 이를 공증하는 일면에서 「용수사개창비」를 건립하였다. 탁본첩으로 전해 오는 개창비문은 18세기 초 유자가 전문을 판독한 『용산지龍山志』 고적조 최선비문과 대교하여 보완하였다. 이에 따르면 개창된 용수사의 구조는 인근 의상계 부석사와 차이가 확인된다. 부석사는 보처불과 영탑이 없는 일승사상을 강조한 전통이 원융국사가 주석한 시기까지 이어졌다. 개창한 용수사는 관음보살상과 청석탑이 조성된 구조였다. 주지한 확심廓心의 『원종문류집해』 권중의 내용을 분석한 바에 따르면 용수사의 종풍은 대체로 의천이 원효를 중시한 화엄사상을 계승한다. 13세기 중반 최우집권기에도 용수사의 종풍이 지속되었음은 용수사 비구 현규玄揆가 주장이 되어 『대방광불화엄경소』를 출판한데서 알 수 있다. 이 화엄경소는 의천 화엄사상의 성격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하지만 의천이 비판한 균여계열의 사상을 이은 체원의 저술을 14세기 각화사 주지 성지性之가 교감하는 활동을 볼 때 태백산계열의 법해용문의 사상 경향이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Hwaeomjong in early Goryeo Euicheon did Sects-Integrating movement, After his death the sect divided. Gyeoeung-based branch among the pupils of Euicheon’s Hwaeom Ideas builds Gwakhwasa in Taebek Mt.. They developed Hwaeom Association through the founding of Beophaeyongmun. To do this the students establish Yongsusa in Yongdu Mt.. On Myeongjong’s decree Euicheon’s disciple Hwaksim insured the temple’s finance and made 「Yongsusagechangbi」 to secure this. This rubbed-copy epitaph I completed with Confucianist’s comprehended Choiseonbimun of 『Yongsanji』-Gojeokjo in early 18C.. On head-monk Hwaksim 『Weonjongmunryujibhe』 Yongsusa’s ethos largely inherits Weonhyo’s Hwaeom thinking that Euicheon emphasized. On Hyeongyu’s pressed 『Debanggwangbulhwaeumgyeongso』 the ethos was kept also in Choi U’s reign in the middle of 13C.. This book implicates enough Euicheon’s Hwaeom Ideology. On Gwakhwasa head-monk Seongji’s correcting Chewon’s writings that succeeded Gyunyeo-line opinion which Euicheon criticized, the thought flow of Taebeksan-faction Beobhweyongmun was changed.

      • KCI등재

        『朝鮮城址實測圖』를 활용한 삼국시대 성곽 연구

        윤성호(Yun, Sung-Ho) 고려사학회 2021 한국사학보 Vol.- No.83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 『朝鮮城址實測圖』는 조선총독부에서 1910년대에 제작한 古蹟이 포함된「國有林 境界圖」의 사본을 편철한 자료집이다. 총 958매의 도면 중 성곽과 관련된 693건의 도면이 수록되었는데, 저본인 조선총독부의 「국유림 경계도」의 누락된 사본도 확인된다. 또한 현재 실측도와 차이가 없을 정도로 실측되었기 때문에, 이후 소멸되거나 훼손된 성곽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서울 · 경기 지역의 경우 61매 49건의 성곽 관련 자료가 확인되는데 본고에서는 아차산 일대 보루군과 김포와 강화지역 성곽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소멸된 백련봉 보루의 위치와 구조를 검토하였고, 기록만 전하던 일산송봉 보루의 위치도 새롭게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알려진 것과 큰 차이가 있는 3개소의 성곽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김포 동성산성은 군사시설로 인하여 인지하지 못했던 북서쪽에 위치한 성벽을 추가로 파악하였다. 기록으로만 전하던 김포 가현산성도 성곽 내에 군사시설이 설치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강화 하음산성은 정상부 석축성벽 외에 외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Choson Seongji Silcheokdo(朝鮮城址實測圖)』 which is owned by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Library, is a collection of data on national forest boundaries, including cultural heritages, produced in the 1910s. Of the total 958 drawings, 693 related to the fortress were included, and missing copies of the original national forest border map are also identified. In addition, it is an important data for studying extinct or damaged fortresses because they have been measured to the exten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from the current actual measurements. This paper conducted a comparative review of the drawings. Among the Achasan forts, the location and structure of the extinct Baeknyeonbong-fort were identified, and the location of the IlsanSongbong-forts, which was recorded only, was also identified. The Gimpo Dongseongsanseong Fortress, which was located in the northwest, which could not be identified due to military facilities, was additionally identified. The Gimpo Gahyeonsanseong Fortress was only recorded, but it was confirmed that military facilities were installed inside the fortress. Ganghwa Haeumsanseong was able to grasp the existence of an external fortress-wall.

      • KCI등재후보

        광해군과 奉印寺

        황인규(Hwang In-gyu) 역사실학회 2009 역사와실학 Vol.38 No.-

        This paper observes Buddhism during the time of Kwanghaegun and Bongin-Temple of Seongleung(成陵) which is a Kwanghaegun's birth mother's tomb as a temple that guards a royal tomb. It is noticeable that activities of Buhyu- Seonsu, Byeogam-Gakseong(碧巖覺性) and Kohan-Heeun(孤閑熙彦) who were disciples of Buhyu-Seonsu, and Seongji(性智) as a monk, who has geomantic knowledge of topography, as a buddhist policy under the rule of Kwanghaegun. Especially Buhyu-Seonsu experienced a hard prison life because of the false charge that was quite common things to many monks like Hyunbin-Inyung(玄賓印英) who is a disciple of Cheongheo Hyujeong(淸虛休靜). but later than he got the Kwanghaegun‘s interest and spent 5 years as a the chief priest of a buddhist temple which was Temple Guard of Seongleung(成陵). In 1619(Kwanghaegun 11) the relic of the Buddha was brought from China and was enshrined in Bongin-Temple(奉印寺). When a religious service was practiced in Cheongye-Temple(淸溪寺) where is located in Kwangjoo, Byeogam-Gakseong and Kohan-Heeun(孤閑熙彦) who were disciples of Buhyu-Seonsu and participated as a testimonial monk. Kwanghaegun tried to regain king’s dignity by built Ingyung Palace(仁慶宮) which substituted for the other palace that was burn down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eongji(性智) responded to request of Kwanghaegun for service that might be taken for the royal palace and royal tomb. The court lady Kim (金尙宮) who was the royal concubine of Kwanghaegun, went to the Jeongyupwon(淨業院) which is a Buddhist nunnery for the royal family for pray, and also tried to keep Jeongyupwon during Confucian's continuous demand to abolish Jeongyupwon. While she made a friend with Yeisoon(禮順), a Buddhist nun, she shook buddhist and political world at that time. Kwanghaegun raised up a tomb to Seongleung for the court lady Gongbin Kim(恭嬪金氏), Kwanghaegun‘s birth mother and took the Bongin-Temple as Temple Guard. Kwanghaegun's activities like that were acceded to guards a royal tomb system of the royal family which is take place from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also It was for promotion of the ancestor of Deokheong-daewongun(德興大院君)‘s clan which was a collateral royal family in the period of later Chosun dynasty. Kwanghaegun brought the relic of the Buddha from china and enshrine it in Boodoam(浮圖庵) at Bongin-Temple during the chaotic time because of the replacement Ming(明) dynasty to Ching(淸) dynasty. A matter of the concern and interest about buddhist policy for a operation of a temple that guard a royal tomb or Temple Guard during the later Chosun dynasty was considered by the royal family, including Kwanghaegun, as a supporter and a protector of Buddhism in the period of mountains Buddhism.

      • KCI등재

        율곡 성학의 교육 재음미:

        서명석(Seo Myoung Seok)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8 敎育思想硏究 Vol.32 No.1

        이 은 율곡의 『성학집요』를 본으로 해서 그 속에 들어있는 수기의 지평을 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토로 율곡의 수기가 오늘날 교육에 어떤 메시지를 해주고 있 는가를 탐구하는 것이 이 의 주요 목이다. 율곡은 수기를 심축으로 해서 입지, 수렴, 궁 리, 성실, 교기질, 양기, 정심, 검신, 회덕량, 보덕, 그리고 돈독을 배치하여 그의 성학체계를 구 축했다. 이것은 오늘날 교육의 설계도면에는 없는 율곡만의 독자인 공부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교육에서 인간 본성에 한 수양공부 역의 재구조화를 제안해 주고 있다. 율곡 성학이 인간의 본성에 한 수양의 기반 에 정된 것이라면 교육은 서양, 특히 미국에서 수입된 이론체계에 기반하고 있다. 그리하여 교육은 율곡식 수기공부가 그 자체 패러다임 속에서 잊거나 락되는 비운을 겪었다. 그러므로 21세기 교육에서 율곡식의 수기는 더 이상 포기의 상이 아니라 이제 교육 재음미의 세계인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horizon of Sugi(修己) in Yulgok’s Seonghakjibyo(『聖學輯 要』) from a modern perspective for the main purpose of studying what messages Yulgok’s Sugi may have for education in the present day. Yulgok constructs his Seonghak(聖學) system with Sugi as its central axis, around which he arranges Ibji (立志), Suryeom(收斂), Kungli(窮理), Seongsyl(誠實), Kyokijil(矯氣質), Yanggi(養氣), Jeongsim(正心), Keomsin(檢身), Heodeokryang(恢德量), Bodeok(輔德), and Dondok(敦 篤). This constitutes Yulgok’s own unique Gongfu(工夫) paradigm that does not exist in the map of design for modern education. The paradigm proposes a restructuring of the domain of the Gongfu of self-cultivation of human nature in modern education. If Yulgok’s Seonghak is based on the foundation of the self-cultivation of human nature, then modern education is based on theoretic systems imported from the West, particularly the United States. Consequently, modern education suffers the misfortune of having Yulgokian Gongfu of Sugi being forgotten or omitted within its own paradigm. Therefore, in the context of twenty-first century education, Yulgokian Sugi is no longer an object for abandon, but a world for educational reexamination.

      • KCI우수등재

        조선 정조(正祖)의 족보 활용과 탕평정치 - 『양문양공외예보(梁文襄公外裔譜)』와 『모당내외손록(慕堂內外孫錄)』을 중심으로 -

        권기석 한국사연구회 2019 한국사연구 Vol.- No.186

        The genealogy of the Joseon Dynasty played a social role in releasing solidarity or distinction between certain types of people by means of blood ties. In the 18th century, King Yeongjo and Jeongjo had a great interest in the genealogical books published privately, gaining knowledge of genealogy. They were also deeply interested in identifying networks between officials through genealogy. The two genealogies compiled under the direction of King Jeongjo, Yang Munyanggong Oe’yebo(梁文襄公外裔譜) and Modang Nae’oesonrok(慕堂內外孫錄) can be interpreted as containing political messages. YMO revealed that the officials of Kyujanggak(奎章閣) were descendants of Yang Seongji(梁誠之) who claimed to establish Kyujanggak in the 15th century. MN covered the cognatic descendants of Hong Isang(洪履祥), the famous ancestor of Jeongjo’s mother. The two genealogies differ in that they recorded the family of scholarly bureaucrats in Kyjanggak and the family of the King’s mother, respectively. However, both genealogies have a common point in that they are not limited to patrilineal lines. Jeongjo did not clarify the political intention of compiling the two genealogies, but the analysis of the listed figures shows that the three political factions, Noron(老論), Soron(少論), and Namin(南人), are mixed to support the Tangpyeong(蕩平) politics of him. The success of these genealogies including various political figures was attributed to the scalability of genealogical editing methods that did not distinguish between men and women. Despite the fact that the two genealogies cover a variety of political figures, most of the recorded figures did not fall far beyond the prestigious families living in Seoul and the surrounding area. Considering that the King only gained political support within the scope of this ruling class, the compilation of the two genealogies could be interpreted as foretelling the possibility that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could eventually result in the monopoly of power by minority families. 조선시대 족보는 혈연을 매개로 하여 일정한 부류의 사람들이 서로 연대하거나 구별하도록 하는 사회적 기능을 했다. 18세기 국왕 영조와 정조는 사가(私家) 족보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면서 보학에 대한 지식을 쌓고 있었고, 족보를 매개로 신하들 사이의 네트워크를 확인하는 데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다. 정조의 지시로 편찬된 두 편의 족보, 『양문양공외예보』와 『모당내외손록』은 그 내용을 통해 정치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양문양공외예보』는 규장각 관원들이 15세기 규장각 설립을 주청한 양성지(梁誠之)의 외후손들이라는 것을 밝혔고, 『모당내외손록』은 정조의 외가 풍산홍씨 집안의 현조(顯祖) 홍이상(洪履祥)의 내외 자손을 망라하였다. 두 족보는 각각 ‘각신(閣臣)의 계보’와 ‘외척(外戚)의 계보’라는 차이점이 있지만, 둘 다 부계에 국한하지 않고 내외손을 망라하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정조는 두 족보를 편찬한 정치적 의도를 명확히 밝힌 바 없지만, 등재 인물들을 분석해 보면 정조가 추구한 탕평의 축이었던 노론, 소론, 남인 세 정파의 인물이 혼재되어 있다. 이들 족보에 다양한 정치 성향의 인물을 포괄하는 데 성공한 것은, 내외손 통합보라는 계보 편집 방식의 확장성과 통합성에 힘입은 것이었다. 다만 두 족보가 여러 당색의 인물을 두루 포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수록 인물들은 서울과 그 주변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경화사족(京華士族)’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정조가 이러한 지배세력의 범위 내에서 정치적 지원을 얻는 데 그쳤다고 본다면, 두 족보의 편찬은 당시의 정국이 결과적으로 외척 세도정치로 귀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예고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