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질재 첨가에 따른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및 변형강도 특성 연구

        김현환,최영렬,김광우,도영수 한국도로학회 2009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1 No.4

        In general, it is well known fact that the stone mastic asphalt (SMA) pavement has a high resistance against rutting. However, performance of SMA is not well measured by general method used in the laborato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 applicability of deformation strength (SD) for performance estimation of SMA, an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rut depth and dynamic stability, and SD of SMA. This study carried out wheel tracking test and Kim-test with optimum asphalt content (OAC) determined by mix desig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D of SMA was very poorer than those of dense-graded asphalt mixtures. SD showed similar WT dynamic stability and rut-depth level. It was found that Kim-test was not reflected higher rutting resistance of SMA like as indirect tensile strength (ITS) test and Marshall stability test. Also, it was revealed that dynamic stability and rut-depth of WT had some problems to estimate rutting resistance of SMA mixtures. SMA 혼합물은 소성변형 저항성이 매우 큰 혼합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실내 시험에서는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시험법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성변형에 대하여 높은 저항성을 가지는 SMA 혼합물의 변형강도치와 반복주행시험과의 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SMA에 변형강도의 적용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SMA 혼합물의 배합설계를 거쳐 최적 아스팔트함량의 혼합물에 대하여 변형강도 시험과 반복주행 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변형강도는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특성을 보이기에는 매우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김테스트에 의한 변형강도는 간접인장강도나 마샬 안정도와 마찬가지로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을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복주행시험의 결과인 동적안정도나 최종침하깊이도 역시 SMA 혼합물의 소성변형 저항성을 평가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상황요인에 따른 전략적 관리회계 기법의 사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철,이주성 한국상업교육학회 2016 상업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기업들이 전략적 의사결정에 활용하고 있는 전략적 관리회계(SMA) 기법이 상황요인에 따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그동안 SMA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상황요인과 SMA 기법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외적인 상황요인 변수의 채택과 기업 상황에 부합하는 여러 가지 SMA 기법의 활용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내·외적 변수를 고려하여 다양한 SMA 기법 활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대한 분석과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SMA를 실시하는 국내 기업 중 200개 기업의 관리회계부서 임직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11부의 유효 설문지를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공분산구조분석, 매개회귀분석 등을 SPSS 및 AMO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로 환경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관리회계담당자의 의사결정역할의 참여와 SMA 사용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로 경쟁전략은 관리회계담당자의 의사결정 역할의 참여, SMA의 사용정도 및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로 조직구조는 관리회계담당자의 의사결정역할에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로 관리회계담당자의 의사결정 역할은 SMA 사용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로 관리회계담당자의 의사결정역할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로 SMA 사용정도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SMA 사용을 위한 실무적인 지침으로서 기업의 실질적인 경영성과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rategic management accounting(SMA) techniqu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by situational factors.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analysis. First, the analysis shows more noticeable effects on the participation in a decision making role by an accounting manager and the degree of SMA usage with higher environmental uncertainties. Second, the analysis shows noticeable effects on the participation in a decision making role by an accounting manager and the degree of SMA usage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by competition strategy. Thir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nly has noticeable effects on the participation in a decision making role by an accounting manager. Fourth, the decision making role of an accounting manager has noticeable effects on the degree of SMA usages. Fifth, the decision making role of an accounting manager has noticeable effect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Sixth, the degree of SMA usage has noticeable effects on the business performance. Seventh, SMA improved the business performance by acting as an intermediary on the decision making role of an accounting manager.

      • KCI등재

        갑상선 유두암종 환자에서 확인된 평활근항체 V형 1예

        한송희,김신규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5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5 No.4

        Smooth muscle antibodies (SMAs) are diagnostic markers for the serological diagnosis of type 1 autoimmune hepatitis. SMA that is restricted to staining of the stomach muscle and blood vessel walls was referred to as “SMA-V”. In addition, SMAs are classified into the peritubular (SMA-T) and glomerular (SMA-G) patterns. SMAs are occasionally present in patients with malignancies, but have not yet been reported in thyroid cancer. We came across the first case of SMA positivity in a patient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A 31-year-old mal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for evaluation of incidentally detected thyroid cancer. He had been diagnosed with PTC based on pathological results following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The patient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followed by radio-iodine treatment. The serum levels of AST and ALT were increased before radiotherapy. Tests were conducted for the evaluation of liver disease. SMA was positive at a titer of 1:320, showing positive results for the vessel walls but negative results for the glomerulus and tubules in the kidney (SMA-V pattern). The association of SMA with malignancies and the classification of SMA immunofluorescent subtypes have been previously reported. However, these studies have not clearly established the ability of SMA subtype to predict a specific disease. Therefore, evaluation of an association of SMA pattern with specific diseases in SMA-positive patients may provide additional and useful information for the rapid diagnosis and accurat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utoimmune diseases or malignancies. This case report could serve as a great resource for further studies on SMA. 평활근항체(smooth muscle autoantibodies, SMA)는 제1형 자가면역성 간염의 혈청학적 진단 표지자로 알려져 있다. Bottazzo 등은 위의 근육, 혈관벽에 국한되어 염색되는 SMA를 SMA-V형으로 명명하였고, 그 외에 SMA-T형과 SMA-G형으로 구분하였다. 악성종양 환자에서 평활근항체의 발견이 종종 보고되었지만, 갑상선암 환자에서 평활근항체는 보고된 경우가 없다. 저자들은 최초로 갑상선유두암 환자에서의 평활근항체 양성을 확인하였다. 31세 남자가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암의 검사를 목적으로 입원하였다. 흡인생검에서 갑상선 유두암으로 진단되어 갑상선전절제술 시행 후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예정하였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 직전 시행한 검사에서 AST와 ALT가 증가하여 간질환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평활근항체는 1:320 역가로 양성이었다. 신장의 사구체와 세뇨관을 제외한 혈관에만 형광 양성을 보여 SMA-V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전의 연구들은 평활근항체와 악성종양 사이의 연관성과 평활근항체 형광양상의 아형을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연구들에서 평활근항체의 아형이 특정 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은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평활근항체 양성 환자를 대상으로 평활근항체 양상의 질병특이성에 대한 연구는 자가면역질환이나 악성종양 환자의 신속한 진단과 정확한 치료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본 증례가 이후의 평활근항체의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슬관절 수술용 전기소작완드에 적용되는 형상기억합금 코일스프링의 회복력 및 행정거리의 관계

        양영규(Young-Gyu Yang),한기봉(Gi-Bong Han),김철웅(Cheol-Woong Kim) 대한기계학회 2011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35 No.12

        슬관절 소작용 완드(Electrosurgical Knee Wand, EKW)는 고주파 소작법으로 슬관절 인대, 조직 등의 응고, 삭마, 절제, 등에 적용된다. EKW와 radiofrequency를 이용한 조직응고, 삭마 등의 슬관절 수술에서 수술안전성, 편의성 및 성공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병변에 매우 정확하고 안전하게 EKW가 선택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탁월한 방향조종제어능이 핵심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퇴경골부 제한적인 공간에서 가장 적합한 수술용 의료기기 액추에이터로 판단되는 형상기억합금(SMA) 와이어를 이용하여 형상기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SMA 인장스프링 모델을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SMA의 열전기적 특성 및 전류변화에 따른 온도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SMA 인장스프링의 설계조건에 따른 회복력 및 행정거리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SMA 인장스프링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최대온도는 증가하였다. 전류인가 15초의 경우는 전류량 증가와 힘의 증가가 비례한 반면 전류인가 30초는 매우 불안정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전류량 증가와 행정거리(TS) 증가 관계는 전류인가 15초일 때가 전류인가 30초일 때보다 더 안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Electrosurgical knee wand (EKW) is a high-frequency thermocautery instrument and is often used for coagulation, ablation, excision, and extirpation of knee ligaments and tissues. In order to maximize the success rate, ease, and safety of knee surgery using EKW and radiofrequency ablation,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EKW selectively approaches the lesion with utmost accuracy and safety. The key feature of this instrument is its excellent maneuverability. Hence, the authors constructed a tensile spring model based on a shape memory alloy (SMA), which exhibits the shape memory effect. This model can be used in knee surgery as it is considered the most biocompatible femorotibial surgical actuator. The changes in external temperature with current and the thermoelectric characteristics of the SMA wer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toring force and the typical stroke (TS) in response to the conditions in the SMA tensile spring design were evaluated. In conclusion, as the diameter of the SMA tensile spring decreased, the maximum temperature increased. The strain in the actuator caused a stable and proportional increase in the force and induced current for up to 15s, but this increase became very unstable after 30s.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and the TS was more stable than that between the current and the restoring force.

      • KCI등재후보

        En bloc proximal peri-mesenteric clearance for pancreatic head cancer surgery

        Mee Joo Kang,Sun-Whe Kim 한국간담췌외과학회 2020 Annals of hepato-biliary-pancreatic surgery Vol.24 No.4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SMA) first approach and meso-pancreas excision (MPE) during pancreatoduodenectomy (PD) for pancreatic head cancer have been suggested for complete local tumor control, less operative blood loss, and early determination of resectability. However, SMA-first approach is merely a mode of approach and the concept of MPE has been challenged due to its anatomical obscurity. Dissection around proximal mesenteric vessels, superior mesenteric vein and SMA, is a critical procedure point for local tumor control as tumor infiltration is frequently observed both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and recurrence. The meso-pancreas, which encompasses the soft tissue between the uncinated process and SMA, does not include all the aforementioned points of proximal mesenteric areas. Therefore, the authors propose a new terminology named, “en bloc proximal peri-mesenteric clearance (PPMC)”, to describe the removal of all the lymph nodes including soft tissue around proximal mesenteric vessels, especially the SMA, to ensure complete local tumor control of pancreatic head cancer. The SMA-first approach applied either by the mesenteric approach or supra-colic approach can make this procedure more feasible. The extent of the circumferential dissection of the peri-SMA nerve plexu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rimary disease. PPMC including the removal of all lymph nodes around the proximal SMA may be considered as a standard extent of PD for pancreatic head cancer.

      • KCI등재후보

        척수성 근위축증 환자의 유전형과 표현형에 대한 상관관계 연구

        원선영(Seon-Young Won),유경화(Kyong-Hwa Ryu),이은하(Eun-Ha Lee),한시훈(Si-Houn Hahn),배기수(Ki-Soo Pai),김성환(Sung-Hwan Kim) 대한소아신경학회 199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7 No.1

        배 경 : 척수성근위축증(SMA)은 척수 전각세포나 뇌간핵의 변성 또는 소실로 인해 점진적 인 근력의 약화나 근위축을 초래하는 질환으로 상염색체상에서 열성 유전되는 소아 신경근질환이다. 이 질환은 염색체 5번 장완(5q11.2-13.3)에 존재하는 여러 candidate gene, 즉 SMN, NAIP 및 p44 유전자의 결함으로 발생되는 것으로 본다. Candidate 유전자들의 분자적 특징이 증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전양상과 임상양상과의 상관관계는 아직 불분명한 상태이다. 유전자의 결손과 같이 유전자 conversion도 중요한 기작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유전양상과 임상양상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에는 많은 어려움들이 나타나고 있다. 목 적 : 한국인 척수성 근위축증 환자에서 SMN, NAIP 및 p44 유전자의 척수성 근위축증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유전적인 양상과 표현형 사이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유전자의 결손뿐만 아니라 유전자의 conversion이 질환 발현에 중요한 기전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정상 신생아에서의 유전자의 rearrangement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방 법 : 척수성 근위축증에 영향을 주는 candidate 유전자인 SMN 유전자의 exon 7과 exon 8, NAIP 유전자의 exon 5와 p44 유전자 5'말단의 C15l유전자의 결손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primer을 이용하여 PCR 증폭을 하였으며, PCR 산물들을 각각 DraⅠ, DdeⅠ, Alu의 제한효소를 처리하여, 결손 여부를 관찰하였다. 또한, p44 유전자의 3'말단의 N1839부위는 SSCP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 제 1형 환자 8명과 제 2형 환자 2명에 대한 조사에서 제 1형 환자 5명에서 SMN 유전자 뿐만 아니라, NAIP와 p44 유전자의 결손을 관찰하였고 나머지 제 1형의 3명과 제 2형 모두에서는 SMN 유전자만이 결손 되어 있었다. 2) 본 연구 대상아 100명에서 SMN와 NAIP 유전자의 결손 여부를 관찰한 결과 NAIP 유전자는 모두 존재하였으나, centromeric SMN 유전자가 2%정도에서 결손 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3) SMN, NAIP 및 p44 유전자 모두 결손을 보이는 제 1형 환자 중 telomeric exon 8만이 존재하는 환아 1명에서 telomeric exon 7이 centromeric exon 7로 유전자 conversion이 발생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 척수성 근위축증 중 제 1형에서만 candidate 유전자인 SMN, NAIP 및 p44 유전자의 결손이 발견되어 이 세 가지 유전자 모두의 결손이 임상적으로 심한 양상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나 SMN 유전자만 결손된 경우도 제 1형과 제 2형 모두에서 발견되어 SMN 유전자결손 외에 또 다른 요소가 임상양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 명의 제 1형 환자에서 관찰된 centromeric SMN 유전자의 telomeric 위치로의 gene conversion은 SMN 유전자 copy수와 임상양상간의 상관관계가 불분명함을 제시하고 있다. 정상아에서 관찰된 높은 빈도의 유전자 rearrangement는 산전진단시 주의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Spinal muscular atrophy(SMA) is the second most common disease with autosomal recessive mode of inheritance in children and characterized by degeneration of anterior horn cells of the spinal cord resulting in weakness and wasting of voluntary muscles. This disease is caused by deletion of many candidate genes including SMN, p44, NAIP on chromosome 5q11.2-13.3. Although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candidate genes were identified,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has not been clearly elucidated yet. Nevertheless, gene conversion, previously described as simply as gene deletion, appears to be very important mechanism as a molecular pathogenesis, and even makes more difficult to pursue the correlation. Purpose : This study was aimed to define the correlation between genotype and phenotype of SMA in Korean patients. The significance of SMN gene as well as NAIP gene, p44 gene in the progress of disease process and phenotypic correlation with gene conversion was evaluated. This study was also undertaken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gene rearrangements in normal population. Method : Eight type Ⅰ SMA patients and two type Ⅱ SMA patients were studied. SMN, NAIP, and p44 gene deletion were analysed by PCR amplification and restriction enzyme digestion with DraⅠ, DdeⅠ and AluⅠ, respectively. p44 gene was also analyzed by SSCP. Gene conversion was defined by centromeric and telomeric SMN gene exon 7 to exon 8 PCR amplification followed by DdeⅠ restiction enzyme digestion. Result : 1) Five of eight type Ⅰ patients showed deletion of SMN, NAIP and p44 gene, while the rest of type Ⅰ and all type Ⅱ patients showed deletion of SMN gene only. 2) We examined SMN and NAIP gene deletion on 100 normal newborns, which showed the deletion of centromeric SMN gene in two newborns, the relative frequency of 2% in gene rearrangement. 3) There was one case of type Ⅰ SMA showing deletion of telomeric SMN exon 7 but not SMN axon 8 suggestive of gene conversion occurred during the recombination as a molecular pathogenesis. Conclusion : The major deletion of SMA candidate genes, SMN, NAIP, and p44 gene appear to be involved in severe phenotype since these three candidate genes deletion were noted only in type 1 cases. However, SMN gene deletion only identified both in type 1 and type 2 explains that SMN gene may plan an major role in the pathogenesis of SMA and also suggests that other factors may be affecting the severity in spinal muscular atrophy. One patient with type Ⅰ which showed the conversion of the centromeric SMN gene to the teleomeric gene strongly supports that SMN gene copy number may not be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in SMA. Our molecular findings suggest that phenotype is not clearly correlated with genotype. Prenatal screening should be carefully undertaken to interpretate because of high frequency of gene rearrangements in normal populations.

      • KCI등재

        형상기억합금(Shape Memory Alloy)의 조형 재료적 접근

        한은주 ( Eun Joo Han ),윤성환 ( Sung Hwan Y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조형 작업에 있어 재료는 가시적으로 가장 큰 역할을 한다. 현대 조형에서는 분야 간의 경계를 넘어 재료를 여러 가지시각에서 해석하여 접목하는 것이 보편화 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재료에 대한 조형적 접목의 시도와 더불어 디지털 미디어 등의 기술적 접목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조형의 표현 가능범위는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재료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조형 재료적 가능성을 실험하고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는 것은 현대의 조형작가에게 필수적인 부분이 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고는 기존의 조형 재료로 상용되지 않았던 재료인 형상기억합금의 조형재료적 측면에 대한 제안을 통해 새로운 표현의 도구에 대한 자료를 구축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형상기억합금은 설정된 온도에서 입력된 형태로 반복 회귀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로써 산업, 의료분야 등에서 사용되어왔으며 최근에는 로봇, 의류, 가전 류 까지 다양한 부분에서 연구되고 있는 재료이다. 본 연구자는 2005년부터 현재까지 형상기억합금선재를 이용해 광원의 손실에너지인 열을 이용한 움직이는 조명에 대한 연구와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움직임을 조절하여 움직이는 조형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실험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형상기억합금이 가지는 조형재료로서의 가치와 표현 가능범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선의 반복 회귀특성을 이용하여, 조형의 흐름선성형 연구와 타 재료와의 접목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여 형상기억합금 선의 조형 재료적 기능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새로운 조형 표현에 접목 가능한 조형재료의 자료로써 그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질적인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구체적인 예시를 이용해 자료화하는 과정을 통해 형상기억합금과 조형의 접목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고자 이들에게 하나의 길라잡이를 제시하고자 함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In the formative work, materials play the most visible role in expression. In the modern formative arts it is becoming more common that materials are interpreted and combined in various points of view beyond boundaries between genres, and in addition to an attempt to formatively combine new materials, the range of expression is rapidly expanded by accepting digital media- kind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formative materials and various interpretations over materials are becoming essential to the contemporary formative artists. This study attempted a formative material approach of shape memory alloy(SMA),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SMA is a material that has a property of repetitive return to the form input by temperature, which has been used in the fields of industry and medical treatment and is studied in many sectors including robot clothing and home appliances. This researcher tried to find a new approach for the formative material of SMA based on the results arranged, while conducting a research on the movable sculpture, by controling the movement of SMA using electricity as the energy source, and a research on the movable lighting that used the heat, the missing energy of a light source, from 2005 up to now. By attempting to combine a research of the SMA’s flow line forming with the thermal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other materials, this researcher largely classified the effects on the expression range of molding into two aspects and tabulated and made data. Through these processes, a new function of shape memory alloy was presented in terms of a formative material, and the value could be identified as the data for the formative materia, possible to be combined for a new formative expression in the future.

      • KCI등재

        2015년 이후 수도권 재집중

        서민철(Min Cheol Seo)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2 기전문화연구 Vol.43 No.2

        본 논문은 2015년 이후부터 뚜렷해진 수도권 인구 재집중 현상을 분석하고 그 배경을 추적하려는 것이다. 수도권 인구는 2019년 12월부터 50%를상회하게 되었는데, 그것은 2015년 12월부터 있던 수도권-비수도권 인구 갭의 뚜렷한 상승으로부터 비롯되었다. 2015년의 수도권 인구 상승은 산업 생산에서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산업 생산의 수도권 증가와 관련 있으며, 고덕 신도시 및 동탄2 신도시 개발과 관련된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부동산 가격 안정화 정책으로서의 수도권 신도시 개발과, 미군 기지 이전을 배경으로한 평택지역 산업단지 허용 정책, 특히 삼성전자의 입지 허용 정책과 관련된다. 이 과정에서 국가는 재벌 대기업의 민원 창구와 비슷한 역할을 했는데, 이는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국가 형태가 신자유주의 국가 형태, 또는 슘페터리안 근로국가 형태로 이행한 것 때문이다. 국가는 점점 글로벌 다국적 기업에 종속되었고, 지역균형 정책은 뒤로 물러나게 되었다.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reconcentration of Seoul Metropolitan Area(SMA)'s population to become clear after 2015, and trace back the background of the phenomena. SMA's population has been over 50% since December 2019, and it came from the outstanding rise of SMA – non SMA population gap in the end of 2015. The high tide of SMA in 2015 is linked directly with two things. One is the big growth of semiconductor and display products in SMA around 2015, and the other is the development of 2nd Dongtan Newtown which the first dwellers moved in 2015. The background factors of the two things are polices that allow industrial complex at Pyeontaek, a southern city of SMA, esp, acceptance of new large semiconductor campus of Samsung Electronics, and create new big city at southern SMA for stabilizing housing price. Throughout this process, our state, S. Korea government had done as if she was an civil affair clergy for giant conglomerate, so called Jaebul. This kind of state is called a neoliberalist state, or Schumpeterian workfare state, which S. Korea takes the form of after the shocks from IMF crisis in 1998. Under that kind of state, the government has become inferior to global multinational conglomerates less and less including Samsung and LG, and her policies for regional equality have been stepped back further and further.

      • 노화량 모델식을 이용한 SMA 혼합물의 단기노화도 추정

        김영삼,권오선,이종섭,동배선,김광우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초록집 Vol.2017 No.10

        아스팔트 혼합물은 덤프트럭으로 운반․대기 중 단기노화(short-term aging: STA) 되므로 모든 현장혼합물은 STA후 포설된다. 따라서 실험실에서 현장에 포장된 아스팔트 혼합물의 각종 특성을 추정하려면 같은 재료로 반드시 STA 처리 후 공시체를 제조해야한다. 이것이 실험실 혼합물을 STA 처리하는 근본적인 이유이며, 실험실 STA 방법은 현장상태를 최대한 근사하게 모사(simulation) 토록 규정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국내는 물론 외국 기준도 이러한 근본적인 원리를 제대로 준수 하지 못하고 있어 기준에 제시된 대로 STA를 수행해서는 현장에 포장된 아스팔트 혼합물의 특성을 추정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의 한 방법은 노화량(aging quantity: AQ) 모델링을 통하여 혼합물의 노화도를 추정하는 것이다. 밀입도 혼합물의 AQ 모델은 기존의 연구에 의하여 지수함수 식으로    와 같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SMA 혼합물은 바인더 함량이 높고 섬유제 등이 사용되어 밀입도와 다르므로 본 연구에서는 SMA에 대한 AQ 모델식을 개발하고 이로부터 단기노화 온도와 시간에 따른 노화도를 추정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SMA 혼합물의 단기노화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기 개발된 AQ 모델을 SMA 혼합물에 적용하여 필요한 보정을 통해 SMA 혼합물의 AQ 모델로 노화도를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노화도는 아스팔트 노화의 척도로는 가장 많이 쓰이는 절대점도(absolute viscosity: AV)를 이용하였으며 SMA 혼합물을 대상으로 하여 SMA 노화도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코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