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연구의 교육적 기획과 접근

        박인기(Park In Gee)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3 기전문화연구 Vol.29-30 No.-

        문화 연구는 교육과 불가분의 관련을 가진다. 문화는 교육의 중심 내용으로 인정되어 왔다. 문화는 학생을 이해하는 중요한 전경(前景) 또는 배경으로 작용한다. 삶과 의식의 토양 위에서 인간과 교육을 볼 수 있는 통로를 문화가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교육대학교의 역할 정체성에 맞추어서 새롭게 조명해 보자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문화를 학문으로 연구하는 문화인류학 이 20세기 중심 학문으로 자리 잡은 이래 문화를 보는 이론은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다. 문화생태학, 문화 해석학, 문화 기호론 그리고 현상학적 인류학 등의 관점은 문화 연구의 방법을 다양하게 만들었다. 20세기 이후 문화연구(cultural study)는 인문학적, 사회학적 맥락을 확대해 왔다. 따라서 문화연구는 학제적(學際的) 속성을 띠지 않을 수 없다. 문화연구는 비평적 창의(創意)를 포괄하는 학제적 연구 분야이다. 특히 역사, 철학, 사회학, 민속학, 언어학 문학 등이 학제적 연관을 강하게 가진다. 문화 연구는 그 결과가 바로 교육의 기획과 내용에 연계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문화 현상의 맥락에 교육이 위치하고 교육 현상의 맥락에 문화가 놓여 있다. 이들 양자의 상호 작용이 이전에 비해서 훨씬 더 다양하고 밀도 있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교육에서 문화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1) 문화의 교육적 기능 : 삶의 텍스트로서 문화/교육 텍스트로서의 문화 2) 문화적 리터러시(cultural literacy)의 중요성 3) 문화 교육의 가능성과 그 내용 구체화 4) 다원적 가치 현상 속에서 주체 기르기 5) 문화 이해를 통한 타자 이해 기전문화연구소의 연구 발전 전략 또한 이러한 문화 개념의 확장 및 역동성을 전제로 다음과 같은 연구 발전 방향 및 전략을 제안한다. 첫째, 교육과 문화의 상호성을 극대화하는 문화 연구 기획 둘째, 기존 연구의 해석학적 조명과 재개념화 노력 셋째, 일상적 삶을 문화 연구의 대상으로 삼기 전략 넷째, 문화 활용을 위한 기능적 연구 시도 다섯째, 문화 활용에 대한 비판적 연구 시도 여섯째, 연구 자료의 다양화 노력 일곱째, 연구 방법의 개방화 노력 The cultural study has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education. The culture has been traditionally recognized as content of education. Culture works a kind of the foreground and the background in understanding the student. Because the cultural phenomena imply the channels to see through the life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human and education. This study has a purpose to make it clear that how cultural study is performed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its identity. Since anthropology occurred as a regime of scholarship in the 20th century, many a theories of culture have been developed. Various kinds of methodology of cultural study have derived from cultural ecology, cultural hermeneutics, cultural semiology, and phenomenal anthropology. The cultural study has enlarged its context with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for the 20th century. Therefore the cultural study has an high level of interdisciplinary attribute containing the creativity of criticism, for example, history, philosophy, sociology, folklore, linguistics, and literature. The cultural study has a significance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s results relate to the educational planning directly. The cultural phenomena and the educational phenomena interact dynamically. In this point of view the culture has much significance as followings. 1) Educational function of culture has enlarged : the culture as text of life and education 2) The importance of cultural literacy 3) The possibility of cultural education and its specify 4) Raising the children as subjective human being in the plural value system 5) Understanding others through the cultural education The Institute For Kyeongki Cultural Stud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nlargement of concept of cultural study for its successful development. There are some effective strategies to development the Institute as followings. 1) The planning of cultural study that encourage the mutuality between the culture and the education. 2) The endeavor to reconceptualize and illuminate the established cultural study by the elder researchers in post-modern surroundings. 3) The strategy to establish an object of cultural study as the ordinary and daily life. 4) The enforcement of the study about the practical use of cultural contents. 5) The enforcement of the critical study about the practical use of cultural contents. 6)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terials of critical study. 7) The pursuit of open methodology of critical study.

      • KCI등재

        서해 중부해역의 수중발굴 성과와 연계 교육 방안 :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을 중심으로

        윤소록(Sorok Yo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1 기전문화연구 Vol.42 No.2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수중발굴을 담당하는 문화재청 소속 연구기관이다. 유물은 목포와 태안에 소재한 연구소 소속 전시관에서 보관·전시 중이다. 이중 태안에 건립된 전시관인 국립태안해양유물전시관은 서해 중부해역 출수 유물을 관리한다. 서해 중부해역은 충청남도와경기도에 접한 바다를 말하는데, 배 8척 및 연꽃줄기 무늬 매병과 죽찰 등 3 점의 보물이 발굴된 중요한 해역이다. 특히 수중문화재가 집중 분포된 태안은 현재까지도 곳곳에서 주민의 신고, 탐사, 발굴조사를 통해 유물이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수중문화재에 대한 이해와 관심 증진에 노력하고 있다. 전시관은 2018년 개관과 동시에 지역 어린이·청소년·성인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였다. 교육 종료 후에는 운영 효과와 개선점을확인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작성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교육 전에는 기관의 존재 여부와 수중문화재에 대해 정확히 알지 못하였던 참여자들이 교육 후에 높은 만족도를 표시하여 인지도와이해도가 상승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인의 경우 이미 기관의 존재와 수중문화재에 대해 숙지하고 있는사람이 많았고, 개별 의견으로 다양한 주제의 교육을 운영해달라는 요청이 지속되고 있었다. 이에 성인 교육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주제 변경이만족도에 영향을 끼쳤는지 확인하였지만 큰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연계성이 부족한 개별 주제의 교육을 운영하기보다는 전시관이 지닌 고유기능에 중점을 둔 통일성 있는 교육을 진행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기타 교육 요청이 지속된다면, 이는 문화시설이 부족한 환경이 원인일가능성이 있으므로 장기적인 관찰과 분석이 필요하다. 서해 중부해역의 수중문화재는 유물의 출토 양상과 각 지역이 담고 있는이야기가 풍부하므로 단일 주제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주제에서 파생되는 소주제가 매우 다양하여 교육 주제가 지니는 잠재성이 크다. 그러나 COVID-19 확산으로 인하여 체험과 답사에 제한이 생기면서 교육 운영에도 변화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현재의 문화재 교육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실견(實見)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고있다. 시간과 공간, 안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수중발굴을 참여자에게 실제로 경험시키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교육 참여자가 전시관을 방문할 경우 VR 및 AR 체험 공간을 활용한 교육이 가능하지만, COVID-19로 개관일정이 유동적인 상황이다. 이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메타버스를 통해 참여자 주도형 교육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만 디지털 기술에 익숙하지 못한 고령층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의 특성상순차적으로 교육을 개편하고, 사전 교육으로 프로그램 이용에 대한 안내를진행하는 등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기 위한 과도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교육을 기획·운영하는 학예인력은 기술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여, 교육 참여자에게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대비하여야 할 것이다.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NRIMCH), under the control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is in charge of the subsea excavation of maritime relics. The relics that it excavates are kept and displayed at the museums of the institute in Mokpo and Taean. The Taean National Maritime Museum deals with relics excavated from the waters off the mid-west coast area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and Gyeonggi-do Provinces, where a total of eight sunken boats and three classified ‘Treasures’ have been excavated so far. Even now, relics are being discovered and identified in this part of the sea as a result of local people’s reports or the work of exaction surveys. The authorities concerned are striving to raise locals’ interest in the cultural heritage objects excavated from the bottom of the sea through periodic education. Since its opening in 2018, the museum has provided education for local people from of all walks of lif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questionnaire-based surveys conducted between 2018 and 2020, this highly satisfying education has helped to raise local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efforts of the institutions concerned to excavate and preserve relics. Under the current COVID-19 situation, which has resulted in restrictions being placed on hands-on experience programs and field surveys related to relics, the education on cultural heritage needs to be chang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find a method of providing education on maritime relics that can replace first-hand observation. It is realistically difficult to enable ordinary members of the public to fully experience subsea excavation, which entails diverse problems related to time, space, and safety.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the use of the metaverse, which is not affected by time or space, and educational sessions at which the attendees can take the lead role. Given that there are many senior citizens in Taean who lack skills in using digital technology, this paper suggests that a transition period is needed in which new methods could be adopted, including reorganization of the relics-related education system, and local people could receive pre-education. Curators and other people in charge of planning and running such education need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relevant skills in order to be able to cope with changes in the situation and provide adequate help to the people who attend the educational sessions.

      • KCI등재

        인천도서지역의 세시풍속에 관한 CD-Title의 개발과 활용방안

        문광영(Moon Kwang Young),류청산(Ryu Cheong Sa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4 기전문화연구 Vol.31 No.-

        기전문화연구소는 지난 30여년 간에 걸쳐 경인지역의 전통문화를 발굴하고 조사해 왔다. 그러나 지난 30년 이후 최근 급속도로 변화를 보이고 있는 교통의 발달과 TV나 컴퓨터 등 매스미디어의 보급, 그리고 나아가 농업에서 산업화로 이양되는 지역문화의 회기적인 변화로 인하여 점점 지역 고유의 전통문화는 급속도로 소멸되어 가고 있다. 물론 이러한 환경 속에서도 지역문화의 체계적인 조사와 적극적인 발굴이 이루어지고, 자료의 정리와 함께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 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우선 도서지역의 세시풍속과 이에 따른 전통놀이에 관련된 자료를 정리하여 교육적 구안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 연구는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2차 년도 개발에 해당한다. 먼저 1차 년도 연구는 주로 기전지역의 전설자료를 이용한 것이었는데, 본 2차 연구는 도서지역을 한정하여 그곳의 세시풍속과 전통놀이에 관련된 것으로 사회과 교육, 체육과 교육, 실과 교육에서, 특히 지역 안에서 활용될 수 있는 CD-Title의 구현 방안이다. 제작된 CD-title의 교육현장에서 활용 방안과 문화적 측면에서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별활동시간에 자율적인 교재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서양식 문화에 길들여져 있는 어린 학생들에게 지역에 기반한 우리 문화와 전통놀이를 알려줌으로써 애향심과 우리 것을 사랑하는 마음을 길러줄 수 있다. 셋째, 교육과 연구의 유기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연구물의 교육적 활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넷째, 개발된 모형을 토대로 세시풍속에 관한 다양한 분야의 교수ㆍ학습 자료를 개발할 수 있다 다섯째, 전국적으로 전통놀이를 찾고, 복원하고 현대적 감각에 맞도록 멀티미디어로 재구성하여 보관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여섯째, 전통 문화에 대한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일곱째, 자료의 대량 재 배포가 용이하고 쉬워서 적극적인 교재로 활용 가능하다. 여덟째, 반복적인 교육이 가능하고 단계에 따라서 프로그램화된 교육도 가능하다. 아홉째, 교단 선진화 장비의 활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A space of time for thirty years, the Institute for Kyeongki Cultural Studies(IKCS) devoted it self to study a cultural heritage and a territorial culture, henceforth, IKCS should try to find a systematic and active study. This research had the purpose to develop a multimedia teaching-learning materials which could be applied at en education field. The use strategy in school education of CD-Title and cultural expectation effect were follows; First, it can be utilized for the independent working textbook on the part of students at a special activity hour. Second, it will be raised to students about a love of native place and our culture. Third, as constructed the organic relation of the education with research, it can be done an educational practical us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products. Fourth, it can be developed a teachinglearning material of diverse Kijoun culture. Fifth, it can be got ready for an opportunity to find, restore, reform with multimedia not only Kijoun region but also the whole of country. Sixth, it can be maximized the usage effect of advanced classroom equipment. Seventh, it can be public relation effect on Kijoun culture. Eight, it can be used an active teaching-learning material because it is easy to wide distribution of CD-Title for education. Ninth, it can be able to programmed and repeated education by step.

      • 문화·언어 이론의 지리적 독해와 실천

        김순배(Sun Bae Kim)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1

        본 논문의 목적은 문화 이론과 언어 이론을 신문화지리적으로 독해하여 공간과 장소에 실천하기 위한 인식론과 방법론의 대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지명연구의 문화정치적 실천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시론적으로 구축하려는 것이다. 지명연구의 문화정치적 접근을 위해 주목한 맑스주의 언어철학의 언어이론, 즉 볼로쉬노프(바흐친)의 이데올로기 기호론과 기호의 다액센트성, 그리고 페쇠의 유물론적 담론이론은 실제 지명이 생산 및 재생산되는 현실 사회관계 및 권력관계의 물질적 양상을 기초로 한다는 점에서 앞으로 지명이 그 삶을 유지하는 영역 내의 물질적이고 정신적인 사회관계가 충실하게 분석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문화 및 언어이론이 신문화지리적으로 이해되고 실천되는 구체적인 문화 현장이자, 문화정치적 성격을 간직하고 있는 한국 지명 변천의 역동적이고 숨겨진 사례들에 대한 기초적인 지명 수집 및 학제적 분석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the epistemology and the methodology for spatial practices in terms of geographical reading on the cultural and language theory, especially from a perspective of new cultural geography, furthermore, to preliminarily construct a theoretical basis toward the cultural-political practices of toponymy. In particular, the language theory such as the ideological sign and the multiaccentuality of sign of Voloshinov (Bakhtin) in the Marxist linguistic philosophy, and the materialistic discourse theory of Pêcheux are based on the material aspect of the real social and power relations on which toponym has been produced and reproduced. Therefore, the cultural-political approaches of toponymy should be deeply investigated the material and spiritual social relations within diverse territories where toponyms have maintained their life. In addition, the dynamic and hidden cases related to toponymic changes in Korea that is a vivid culture field in which the cultural and language theory are geographically understood and practiced as well as the cultural-political phenomena intrinsic to those have to be basically collected and analysed with th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 정체성에 기반 한 지역인문학의 융성에 관한 연구: 부평 문화권의 사례

        전종한(Jeon Jong Ha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8 기전문화연구 Vol.39 No.2

        이 연구는 지역지리학과 인문학의 융합 분야로서 지역인문학을 정의하고, 부평 문화권을 사례로 지역인문학의 융성에 관해 논의한다. 지역인문학이란 용어의 용례는, 아주 드물긴 하지만, 미국의 경우 고유의 지역 정체성을 보이는 지리적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그 지역의 역사·문화에 대한 연구 및 이해에 토대를 둔 인문학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지역인문학은 지역 정체성을 구성하는 여러 차원들 중에서도 ‘장소’ 탐구에 특별한 강조점을 두는 것이 중요한 특징이다. 부평 문화권은 700여 년의 시간 속에서 다양한 문화경관과 장소들이 쌓여 지역문화의 두께를 더하고 고유의 지역 정체성 형성을 도왔다. 하지만 근대이행기의 부평은 이전의 역사부평과 시간적 단절을 겪는 한편, 심지어 식민부평이라는 부정적 이미지로 점철되었다. 더구나 근현대 시기에는 부평 문화권이 계양구, 부평구, 서구, 부천시 등의 행정 구역으로 분할되면서 공간적 단절을 경험하기까지 하였다. 이런 상황을 염두에 둘 때 부평 문화권의 시민들에게 지역인문학의 융성은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절실한 문제이다. 지역인문학은 ‘역사부평과 근대부평 사이의 시간적 단절’과 ‘근현대시기에 벌어진 공간적 단절’을 치유하는 일, 그리고 근대부평에 각인된 식민부평이란 어두운 측면을 재해석하는 일과 식민부평 일변도의 이미지를 깨뜨릴 수 있는 다종의 근대문화경관과 장소들을 발굴하는 일에 기여할 것이며, 미래부평의 시민들에게 지역 정체성 증진을 바탕으로 한 자존감의 고양과 정신세계의 풍요로움, 시민 담론의 성장을 담보할 것이다. This Study defines regional humanities as a conversance discipline composed of regional geography and humanities, then discusses the enrichment of the regional humanities of Bupyeong culture region in Korea. The usage of the term ‘regional humanities’, but in USA it is defined as a humanities based on the study and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geographical region.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feature that regional humanities have special emphasis on ‘place’ among various dimensions approaching a culture region. Bupyeong culture region has accumulated various places and cultural landscapes in the past 700 years, helping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local culture and helping to form a unique regional identities. However, the Bupyeong culture region of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n Korea suffered the temporal breaks with the so-called ‘Historical Bupyeong’ and the colonial bureaucracy gave this region some negative images. In addition, the Bupyeong culture region of modern age has suffered the spatial breakdowns by dividing into several administrative districts such as Geyang-gu, Bupyung-gu, Seo-gu and Bucheon-city. Today, the enrichment of regional humanities is an urgent issue for citizens living in Bupyeong culture area. The regional humanities of this region will contribute to the healing of temporal breaks in Japanese imperialism of the modern period in Korea and of the spatial breakdown of modern times, reinterpret the various modern cultural landscapes and places that can break the image of so-called ‘colonial Bupyeong’ while relighting the dark side of colonial bureaucracy, and guarantee the future citizens of this region to enhance self-esteem, spiritual world, and civil discourse based on regional identities.

      • KCI등재

        기전 지역의 전설 자료를 이용한 인성 교육용 CD-Title의 개발과 활용 방안

        이현복(Lee Hyon Bok),류청산(Ryu Cheong Sa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0 기전문화연구 Vol.28 No.-

        기전문화연구소는 지난 28년 동안 전통문화와 지역문화를 발굴하고 조사하는 데 주력하였다. 앞으로도 체계적인 조사와 적극적인 발굴과 함께 교육적 활용가치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멀티미디어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1차 년도 개발 내용으로는 전설 자료를 이용하여 인성교육용 멀티미디어 CD-Title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CD-Title의 교육 현장에서 활용 방안과 문화적 측면에서의 기대 효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별활동시간에 자율적인 교재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서양식 동화에 길들여져 있는 어린 학생들에게 지역에 기반한 우리 동화와 전설을 발굴하여 들려줌으로써 애향심과 우리 것을 사랑하는 마음을 길러줄 수 있다. 셋째, 교육과 연구의 유기적인 관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연구물의 교육적 활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넷째, 개발된 모형을 토대로 기전 문화의 다양한 분야의 교수ㆍ학습 자료를 개발할 수 있다 다섯째, 기전지역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전설을 찾고, 복원하고 현대적 감각에 맞도록 멀티미디어로 재구성하여 보관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여섯째, 기전 문화에 대한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일곱째, 자료의 대량 재 배포가 용이하고 쉬워서 적극적인 교재로 활용 가능하다. 여덟째, 반복적인 교육이 가능하고 단계에 따라서 프로그램화된 교육도 가능하다. 아홉째, 교단 선진화 장비의 활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A space of time for twenty eights years, the Institute for Kyeongki Cultural Studies(IKCS) devoted itself to study a cultural heritage and a territorial culture, henceforth, IKCS should try to find a systematic and active study. The objectives of study was to develop multimedia CD-Title which applied school education, in the first place, was to developed CD-Title for human native education based on the legend of Kijoun Region. The use strategy in school education of developed CD-Title and cultural expectation effect were follows; First, it can be used in independent works on the part of students in extra curriculum. Second, it can be educated love of the place where ourselves were born and brought up and mind to love our something. Third, it can be expelled organic relationship of education and research, maximized the educational use effect of study result. Fourth, it can be developed a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of diverse Kijoun culture. Fifth, it can be got ready for an opportunity to find, restore, reform with multimedia not only Kijoun region but also the whole of country. Sixth, it can be public relation effect on Kijoun culture. Seventh, it can be used an activ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because it is easy to wide distribution of CD-Title for education. Eighth, it can be able to programmed and repeated education by step Ninth, it can be maximized the usage effect of advanced classroom equipment.

      • KCI등재후보

        미래형 교육을 위한 민주시민성의 주요 지표와 세부 역량

        장의선(Jang, Eui-Su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21 기전문화연구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시민 사회의 대두에 따른 시민성 개념의 성찰 연구를 토대로 미래형 교육을 위해 한국 사회에서 요구되는 민주시민교육 및 민주시민성의 개념, 민주시민성의 6대 지표와 세부 역량을 설정하였다. 나아가 학교 교육 수준의 교수·학습과 같은 구체적 상황에서 민주시민성 지표의 활용이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6대 지표별 세부 역량에 대해 교육 목표 분류의 3대 영역(지식·이해, 가치·태도, 행동 및 사고 기능)으로 변환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형 교육에서 요구되는 민주시민성의 개념을 갱신하고 추가적인 역량을 도출하였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실태에 대한 비교・분석 준거를 마련함으로써 향후 민주시민성 함양에 대한 개선 방안 모색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셋째, 민주시민성 함양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의의를 토대로 본 연구는 미래형 교육을 위한 학생들의 민주시민성 함양을 체계적・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esented the six indicators and detailed competencies of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ship and democratic citizenship required in Korean society for future education. In order to make it easier to utilize democratic citizenship indicators in classroom, the detailed competencies converted into three areas of general educational goal classification (knowledge, understanding, value, attitude, behavior and thinking function). These were based on research on the concept of citizenship at the forefront of global civil soc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ship required in future education was updated and additional competencies were derived. Second, the standards for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were prepared. This will make it easier to find ways to improve future democratic citizenship. Third, the foundation of follow-up research was laid to measure the level of democratic citizenship cultivation. Based on this significa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support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for future education.

      • KCI등재

        도서지역 초등학생의 공간인지 특성연구

        김수영(Kim,Su-young)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0 기전문화연구 Vol.36 No.-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고립 및 열악한 생활 여건 등의 특수성을 지니고 있는 도서지역 초등학생의 공간인지 특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이를 위해 각 공간 범위별 인지도의 유형과 인지도에 들어있는 공간요소를 조사하여 공간인지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설문지를 통해고장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느낌,가장 좋아하는 장소,여행하고 싶은 장소 등을 알아 보았다. 인지도와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먼저 인지도 유형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등굣길 인지도는 3~6학년 모두 그림 및 기호를 삽입한 C유형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도로의 형태는 선형에서 쌍십자형,망상형으로 나타나 학년이 높아질수록 복잡하고 정교한 인지도를 그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인천의 인지도 유형 분석 결과 자신이 살고 있는 섬과 주변의 섬까지 그리는 유형이 많이 나타나 다른 지역과의 차이점을 보여 주었다.대한민국 인지도에서는 4학년부터 도별 경계선과 도명 및 도시명을 기재한 D유형이 높게 나타났다.세계 인지도에서는 인상적인 특정 나라를 중심으로 세계를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인지도에 들어있는 각각의 공간요소들을 분석해본 결과 등굣길,인천,대한민국,세계 인지도 모두 자연적 요소보다는 인문적 요소의 인지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평가적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도서지역 초등학생이 자신의 고장(섬)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바다,해수욕장과 같은 중립적 표현이 많았으며,가장 좋아하는 장소는 우리집,바다,해수욕장 순으로 나타나 도서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잘 반영해 주고 있다. 인지도의 연구는 지리 교육과정 계획의 수립이나 학습 활동과 관련하여 많은 기초자료를 마련해 줄 수 있는 유용한 연구 분야이다.이러한 연구들이 계속 축적되어 지리 교육 활동을 위한내용 선정이나 조직,학습 활동 등에 반영될 때 지리 교육의 교육적 성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cialcognition ofelementary schoo studentsin island regions that have such distinct characteristics as geographical isolation and poor surrounding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gnition map and questionnaire were as follows: Firstly,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s of cognition maps,it was found that as forthecognition map of ways to school,all the students between the third and the sixth grades showed th highest rate inTypeC,in which figures and signs were inserted.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sofcognition mapsin Incheon,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ots of types tha students drew cognition maps involving the island they live and even othersurrounding islands,showing some differences from students in other areas.As a result of analyzingth types of cognition maps of Korea,students starting from thefourth gradeshowed TypeD most,which states provincial borders,province names and city names.Asforthecognition map of the world,there were lots of cases that students from island regionsconceived the world by focusing on a particular country most impressivetothem.

      • KCI등재

        개화기의 경기교육의 관한 고찰

        이시용(Lee Si Yong)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3 기전문화연구 Vol.29-30 No.-

        본 연구는 개화기 경기지역(경기도 관내)의 근대학교의 성립과정과 각급 학교의 실상을 고찰해 봄으로서 한국근대교육사 정립에 일조 하려는데 목적을 두었다. 경기지역에 서구식 근대학교가 처음 설립된 것은 고종29(1892)년 기독교 선교사인 조원시목사의 부인 죤스(Mrs George Heber Jones)에 의해 설립된 인천사립영화여학당이 효시가 된다. 이후 경기도에는 정부와 기독교선교사 및 민족 선각자에 의해 상당수의 근대학교의 설립을 보이고 있다. 경기지역에 설립된 근대학교의 교육이념은 관료양성과 민족주의 정신 및 기독교정신과 민주주의 정신에 기반을 두고 설립주체에 따라 건학정신을 달리하였을 것으로 본다. 그러나 개화기 경기지역에 성립된 근대학교는 통감부의 교육조치에 의해 기존의 관ㆍ공립학교는 그 명칭이 개칭 또는 개편되고, 탄압을 견디지 못한 사립학교는 공립학교에 병합되거나 폐교되는 비운을 맞이하게 되며, 교육이념도 변질되어 공립학교는 친일교육과 동화주의 교육을 추진하는 식민지교육기관으로 전락하게 되었고, 민족사학은 교육구국운동에 진원지가 되었고, 기독교계 사학은 국가사회에 봉사할 수 있는 민족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으로 변모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establishing process of modern schools and their real situations in Keonggi province during the civilizing ages in order to take triangular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education. The western style modern school, Incheon Private Youngwha Women s School,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Keonggi province in the year of 1892, the 29th year of King Ko-jong by Mrs George Herber Jones, Minister Jowonsi s wife. Since that time lots of modern schools began to be established in Keonggi province by government, missionaries, and some national pioneers. It seems that the educational idea of those modern schools might be mainly to produce officials based on nationalism, christianity, and democracy, varying according to their establishing spirit. But those modern public schools were forced to change their school names by the imperial Japanese. Some private schools either became public schools, or were forced to close their school gate. Their educational ideas were forced to change also; public schools cannot but teach pro-Japanese education falling to one of the colonial educational institutes. Some private schools became centers for the save-the nation movement, others for educational institutes to produce national leader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인천광역시 초등교사의 인식을 통해 본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

        오기성(Ki sung Oh)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4 기전문화연구 Vol.31 No.-

        인천은 국제공항과 항만을 지는 동북아의 관문도시이다. 동시에 하나의 서부접경지대로서 인천은 남북한 통일을 준비하는 중요한 도시이다. 일반적으로 통일은 영토적 또는 제도적 결합을 의미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통합은 내적 또는 정신적 조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남북한의 통일이라는 개념은 통합과 통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인천 또한 이러한 통일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통일의 기본 인프라로서 인천광역시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개선방향을 탐구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첫째, 인천광역시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실태를 살펴보고, 둘째, 인천광역시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Incheon is a gateway to northeast asia with both international port and international airport in its hand. Simultaneously, as a border area of the western part, Incheon is the important city that make preparations for the unification in North-South Korea. On The whole, Unification means territorial or institutional combination. On the other hand, integration is more than inner or spiritual harmony. Therefore, the concept of the unification in North-South Korea includes both unification and integration. Incheon also should make an effort to this unifi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as a basic infra of unificatio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or this propose, firstly, this study is to analyze into the realities of elemantary unification education of Incheon. Secondly, this paper is to propose improve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