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풍속변화에 따른 방풍망의 음향특성 평가

        정성수,전병수,서재갑,전세종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9 No.4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a windscreen which has been used to reduce unwanted wind noise have been measured and analyzed by varying the wind speed in a wind tunnel and a reverberation room. The results show that the wind tunnel method is rarely applicable because of the many duct resonance modes whereas the reverberation room method is stable. The effects of wind noise are mainly observed in the low frequency range( i.e, <1000 Hz) rather than in the high frequency range. A windscreen having a diameter of 9 cm was shown to effectively reduce the wind noise for a wind speeds up to 6.6 m/s. 소음 측정에 있어 바람이 부는 경우는 마이크로폰에 방풍망을 설치하여 풍잡음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풍속 변화에 따른 방풍망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가 발표된 것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풍동과 잔향실에서 풍속변화에 따른 방풍망의 풍잡음 제어 효과를 살펴보았다. 측정결과 풍동실험에서는 덕트의 음향 공명 모드가 많이 발생되기때문에 방풍망의 특성을 평가하기 힘들었으나 잔향실에서는 안정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바람은 상대적으로 저주파 대역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직경 9 cm의 방풍망의 경우 풍속 6.6 m/s까지는 바람으로 인한 풍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콘크리트 슬래브 진동모드의 중량충격음 참여특성

        황재승,이강석,이태진,박희준,박세훈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6

        공동주택 상하세대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주요한 사회 문제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중량충격음은 상대적으로 저주파대역의 슬래브의 휨진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슬래브의 진동모드와 그로부터 비롯된 소음의 상관성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단순 평판에 대한 소음해석을 수행하여 그러한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진동모드와 소음모드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잔향실에서 계측된 가속도와 음압을 사용하였다. 계측 응답으로부터 진동모드와 음향모드를 분리하고 각 신호의 특성, 각각 모드가 계측응답에 기여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신호특성 평가를 통해 중량충격음을 구성하는 진동, 음향모드의 영향을 고찰할 수 있었고 구조체 진동과 충격음과의 상관성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었다. The floor impact noise between upper and lower households in residential houses has been known as one of major causes worsening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till has led to serious social troubles in a residential community. It is known that the heavy weight floor impact noise is induced by flexural vibration modes in the relatively lower frequency ranges. In this study, a procedure to evaluate the relations between the vibration modes and the corresponding noise of the slab is examined. In the process, for simplicity of the numerical analysis, it is assumed that the slab is simply supported plate-like structure and the acoustic mode formed in the lower room by acoustic boundary conditions is ignored. Furthermore, in this study, the measured acceleration and sound pressure in the reverberation room are used to analyze the nature of the vibration and noise. From the measurement response, the vibration mode and the acoustic mode are separated using the state space based mode decomposition method, and the contribution of each vibration mode on the measurement response is analyz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se mode responses, the influence of the vibration and sound mode on the heavy weight impact noise is investiga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ructure vibration and the impact sound can be further demonstrated.

      • 음향 루우버의 삽입손실 예측연구

        유왕선(Wang Seon Yu),김태민(Tae-Min Kim),김정태(Jeung-Tae Kim) 한국철도학회 2017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7 No.05

        본 연구는 음향 루우버가 설치되어 있는 개방형 방음터널의 음향효과를 예측하기 위하여, 광음향기법을 이용하였다. 음향 루우버의 개구율이 36 %인 조건에서, 음향 루우버의 삽입손실을 잔향실에서 측정된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 모델 구성 시 동일한 잔향실을 모델링 하였으며, 소음원과 수음점의 위치를 ISO 규격에 따라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해석 결과 광음향기법을 이용한 삽입손실 예측 방법이 측정 결과 대비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추후 흡음재 종류에 따른 삽입손실 영향을 분석할 예정이다. In this study, an acoustics performance for a louver was predicted and analyzed by using a ray tracing method. As a part of the study on the partial opening type of the soundproof tunnel, the proposed aperture ratio of acoustic louver was specified as 36% opening area ratio. Since an insertion loss of the acoustic louver was measured in the reverberation chamber, the same reverberation room was modelled in the simulation. The sound source and the receiving points we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ISO standard. The result shows that the estimation of the insertion loss based on the ray tracing method was be similar to the measured data. Extra insertion loss effect due to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attachment is planning to be studied.

      • KCI등재

        흡음형과 공명형 덕트 소음기의 소음저감 성능에 관한 실험적 고찰

        이영섭(Young-Sup Lee),정광섭(Kwang-Seop Chung),이동훈(Dong-Hoon Lee) 대한설비공학회 2010 설비공학 논문집 Vol.22 No.12

        A silencer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purpose of suppressing the noises propagated from duct of air conditioning system. The absorption type silencer is usually applied to reduce the noise with high frequency bandwidth. On the order hand, the resonance type silencer is applied to reduce the noise with low-middle frequency bandwidth. The insertion loss of silencer is measured in the reverberation room. The cut-off frequency of reverberation room is 100 ㎐. The insertion loss of absorption type silencer is more larger than that for resonance type silencer regardless of changing the flow velocity.

      • 한지와 배후공기층을 갖는 흡음체의 흡음률 측정 및 평가

        김남욱(Kim Nam-Wook),이장욱(Lee Jang-Wook),이민주(Lee Min-Joo),김명준(Kim Myung-Jun)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07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No.-

        This study investigated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of absorbers with mulberry paper and air gap conditions such as thickness of air gap and porous material. Measurement of sound absorption was carried out in a reverberation room. The results show that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of mulberry paper is very low and Noise reduction coefficient(NRC)is 0.01. According to increased thickness of air gap, NRC counts up to 0.21~0.34 and frequency of maximum sound absorption moves lower frequency. If porous absorber set up in air gap, NRC increased 0.53~0.65. In some condition maximum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is 0.89 in 630㎐ and NRC is 0.65.

      • 방음벽 내부 구조적용에 따른 흡음성능 고찰

        문순성(Soon Seong Moon),연준오(Jun Oh Yeon),이성찬(Sung Chan Lee) 대한설비공학회 2019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4

        국내의 도시고속도로, 도시철도, 고속철도 및 공사장 등 주거지 인근에 장소 특성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방음벽을 설치하고 있다. 방음벽의 음환경개선을 위해서 차음, 흡음성능에 대한 기준을 KS규격에서 제시하고 있으며 충족시키기 위해 연구개발 되어지고 있다. 고속철도방음벽의 경우 흡음성능을 KS규격에서 제시되고 있는 1등급보다 더욱 높은 수준의 조건인 CEN-10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CEN-10기준을 충족시키위해 일반적인 방음벽보다 두께를 30mm이상 증가시켜 다량의 흡음재를 삽입하고 설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공사비의 증가하는 원인이 된다. 이를 개선하여 일반적으로 쓰이는 두께 95mm 방음벽에 개발품을 적용한 내부 구조를 통하여 CEN-10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시 할 수 있었으며 특히 흡음재만으로는 충족할 수 없었던 125Hz에서 0.5 이상을 충족할 수 있었다.

      • 흡음계수 단일수치 평가량에 대한 고찰

        김용희(Yong Hee Kim)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6 한국소음진동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4

        In this study, single number rating methods of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were discussed. The existing rating methods such as NRC (Noise reduction coefficient) , SAA (Sound absorption average) or α<SUB>w</SUB> (Weighted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from ASTM C423, KS F 3505 and ISO 11654 were introduced. In addition, recent discussions on new absorption indices from ISO TC43 SC2 WG30 were introduced. As results, it is needed to unify single number rating methods of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for Korean standards on sound absorbing materials.

      • KCI등재
      • KCI등재

        유지보수성 개선을 위한 복합 구조를 갖는 탈부착형 방음판 개발 연구

        박성용,조종래,조규현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22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32 No.3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high-speed roads in downtown areas and the speed of railways, there have been exponential increases in the number of complaints about noise and the demand for soundproof walls. The implementation of soundproof walls has been established as the most important approach to improve persons’ living standards and realize quiet noise environment.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oundproofing performance significantly deteriorates and the aesthetic function is lost because replacement or maintenance is not desired according to the aging of the soundproof wall; this also results in significant economic loss. This study proposes a design method for a noise barrier that satisfies the CEN10 standard, but which can secure 0.5 or more of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in the 125Hz band, while simultaneously ensuring ease of mainte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