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교육학 : 도덕교육에 대한 인식 탐구 -"초등도덕과교육1" 강좌의 교수-학습 내용을 중심으로-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30

        본 논문은 예비교사들의 도덕교육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교육대학 강좌의 하나인 ‘초등도덕과교육1’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이 수행하였던 ‘도덕교육에 대한 인식’의 탐구 과정 및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인간의 경험에 의한 인식은 쉽게 변하지 않으며, 이후의 경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예비교사들의 초?중?고 시절의 도덕교육 경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이후 도덕교육을 담당할 때 선입견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변화시켜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강좌에서 다양한 교수법을 통하여 그들의 인식 변화를 모색하였는데, 액션 러닝(Action Learning, AL)과 팀 베이스드 러닝(Team Based Learning, TBL)을 도입하여 팀 활동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며 그들이 그 과정에서 즐거운 도덕을 경험하게 하고자 하였다. 그 중 탐구 방법은, 예비교사들이 도덕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탐구함으로써 도덕교육의 중요성을 인식케 하여 변화를 끌어내고자 한 것이다. 탐구의 기본 가설 형태는 “한국 ( )들은 도덕교육을 ( )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 )이기 때문이다. 도덕교육은 ( )이 되어야 한다.”이다. 탐구 활동은 가설 설정과 검증 단계, 재구성과 보고서 작성 및 발표로 이루어졌으며, 설문, 인터뷰, 토론 등 다양한 방법으로 검증하고 재구성하면서 현재 도덕교육의 위상을 살펴보는 계기도 되었다. 우리의 도덕교육 관련 연구는 이론적?규범적인 결과물은 많으나 경험적?평가적 연구는 미흡한 편으로, 현실을 반영한 이러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학부모, 교사, 예비교사 등 다양하게 구성하여 도덕교육에 대한 인식을 탐구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도덕교육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hange the negative perception of moral education of the reserve students. This study consists of the process and contents that students make research on people`s perception of moral education in the lecture on the name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e people`s perception of something from experience are difficult to change. This perception has a deep effect on state of affairs after that time. The reserve students` negative perception of moral education was formed their experience. That influence is too intensive to change. But that need to be changed. I try to seek for the teaching methods(Action Learning, Team Based Learning). This paper are results of research that students accomplished in lesson. I take aim at changing the reserve students` preception of moral education. They research on the hypothesis that people(elementary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teachers, parent, reserve students) give thought to moral education ( ). Because that is ( ). Therefore moral education will be ( ). The methods are question, interview, debate and documents in the research process. Research process is composed with the stage of verification of hypothesis and the stage resetting up if it has mistakes. The reserve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changing thinking of moral education. There are many theoretical and methodical research paper on moral education,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paper on experience and valuation. It stands in need of actual research results on the moral education. The subjects of students` study are elementary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reserve students which having diverse points. Perhaps, the reserve students have an opportunity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moral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 stage of this research.

      • KCI등재

        유아교육과 교육실습생의 수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반성적 저널 분석

        김애자,강유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육실습 중 자신의 수업경험을 어떻게 생각하며, 무엇을 의미있게 생각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실습생들은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였으며, 실습 종료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육실습생의 수업 경험이야기를 분석한 결과, 수업준비에 대한 이야기와 수업과정에 대한 이야기로 총 2개의 대주제로 범주화 되었으며 각 대주제에 대한 소주제가 각각 4개, 3개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교육실습생이 교육실습 중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자신감을 가지고 4주 동안 교육실습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는 교육실습 전 현장경험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편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교육자들은 교육실습생이 안정적으로 실습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교육실습 중 지속적으로 교육실습생과 수업에 대한 소통을 통해 심리적인 지원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through intern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reflective journal writing. As a result, two big categories were identified : stories about teaching preparations and stories about teaching processes. The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teaching procedures, interaction with children, understanding infants and children’s development, motivation and teaching materials in the practicum experience. And they wanted a guidance teacher to get some feedback about the lesson consultation, teaching procedures,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The research show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ed about perspectives of children, basic life habits, teaching behavior and field trips by intern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ositive feed-back with emotional support of teacher and reaction of children support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색

        임지은 ( Jieun Lim ),양혜리 ( Hye Ri Ya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2020년도 1학기 코로나 19로 인한 온라인 수업 과정에서 교수자들이 경험한 어려움, 교수자들이 발견한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방안 및 전략,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들의 태도 변화를 살펴보고 향후 온라인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해 교수자들의 온라인 수업 역량 함양 및 실질적 지원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8명의 대학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시행하였으며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면담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교수자들은 즉시성 및 비언어적 소통의 제한, 교수자 존재감 상실 및 교수 동기 저하, 온라인 환경의 한계로 인한 협동학습 및 실습의 어려움, 평가의 공정성 및 정확성 확보의 어려움과 같은 문제들을 경험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의 효과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상호작용 촉진을 위한 의도적 개입, 수업에 대한 기본 정보의 구체적, 체계적 전달, 다양한 활동을 통한 학습자 참여 및 적용 기회 제공, 수업 매체 준비 및 실행에서의 신중한 접근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바를 종합해보면 이번 온라인 수업 상황은 교수자들이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한계점 및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학습환경으로써 온라인 공간을 다시 생각하는 전환점이 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온라인 수업의 여러 한계점을 극복하고 코로나 이후에도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노력을 시작하는데 있어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what challenges instructors in higher education faced in online instruction and what strategies they suggested as important to improve online courses. We also explored how instructors’ attitudes toward online courses were shaped by the online teaching experiences. For the data collection,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instructors in higher education and all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instructors were not fully ready for online teaching. In particular, they faced a variety of challenges including the lack of immediate interac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low instructor presence and teaching motivation, redesigning the collaborative and hands-on learning activities, and conducting reliable and valid online assessments. In order to cope with the challenges, the instructors put much emphasis on the active and practical efforts and intervention for online interaction, specific and systematic organization and announcement for course structure, providing activities for promoting learner engagement and application, sharing course materials relevantly and avoiding instructor misbehaviors in online courses. Finally,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instructors believe that online teaching will be inevitable, even post Covid 19. In the study, we also identified that these online teaching experiences made the instructors more interested in blended learning for their future courses. Covid 19 is not only a great challenge for the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but also an important turning point to move to new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More systematic efforts and supports will be necessary to promote high-quality online learning and help instructors improve their online teaching competencies.

      • KCI등재

        구글 빅데이터를 활용한 과학 교수·학습 활동의 제안 :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의 신 소재 단원을 중심으로

        김형욱(Kim Hyung Uk),문성윤(Mun Seong Yun),천지은(Chun Ji 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9

        본 연구는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에 기술된 신소재 단원의 내용 구성을 빅데이터 관점에서 분석하고 구글 빅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교수·학습 활동을 제안하여 그 효과성과 한계성을 탐색한 것이다. 먼저 7종의 과학탐구실험 교과서 내 신소재 단원 학습 목표 및 학습 소재, 탐구활동, 핵심역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학습 목표는 주로 신소재에 대한 조사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는데, 총 21종의 학습 소재를 활용하고 있었다. 탐구활동은 현재의 활용적인 측면의 사례 조사 활동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었으며 핵심역량은 과학적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빅데이터 시대에 필요한 미래 경향성에 대한 예측과 종합적인 정보처리능력을 기르기 위해 더욱 내실 있는 구성이 필요해 보였고 Google Ngram Viewer와 Google Trend를 통한 새로운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신소재의 개별적인 특징만 다루던 기존의 수업과는 달리 시계열을 강조한 역사적, 사회적 관점을 함께 부각시킬 수 있어 기술개발의 과정 및 이용 현황과 미래 경향성까지 다양한 관점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 교육 사회에서 요구하는 수많은 데이터의 활용과 더욱 복잡해지는 교수·학습 상황에 대비하는 차원에서 적합한 교과서 구성과 매체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of the unit of new materials described in the scientific research experiment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big data and presented new teaching plans utilizing Google Big Data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 First,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learning materials, research activities, and core competencies of the unit of new materials in seven scientific research experiment textbooks. Thus, to predict the tendency of the future and develop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processing abilities needed for the age of big data, it was judged that more substantial composition would be needed, and this study presented new teaching plans through Google Ngram Viewer and Google Trend. It could bring into relief the historical and social perspectives emphasizing time series together, unlike the existing classes that dealt with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new materials, it was expected that it could develop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the proces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present condition of use and the tendency of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suggestions can be provided concerning the appropriate textbook composition and media at the dimension of utilizing numerous data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of education and getting ready for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s that are getting more complicated.

      • KCI등재

        교생들이 관찰 경험한 중학교 지리 수업

        강창숙(Chang Sook Kang)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3 No.2

        다양한 수업의 구조와 역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우연한 것이든 의식적인 것이든지 간에 그러한 구조와 역동성을 교과에 관련된 구체적이고 역사적인 활동으로, 그리고 특정한 맥락 내에서 연구해야 한다. 지도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실제 수업 상황에서 도제하게 되는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연구는 특히 그러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중등예비교사인 9명의 지리교생이 지도교사의 38시간 수업을 참관하면서 관찰한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생들의 지도교사는 대부분 지리교육을 전공한 경력교사였으며, 2주간의 참관수업에서 교생들은 주로 지도교사의 중학교 지리수업을 참관하였다. 둘째, 지리교생들은 같은 수업을 관점에 따라 다르게 보기도 했다. 즉, 교생들은 학생들과 문답식으로 설명이 이루어지는 수업은 긍정적인 관점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수업``과 ``자유스럽고 활기찬 수업``으로 관찰했고, 교사들의 평범하고 조용한 수업을 ``차분한 수업``으로 관찰했다. 셋째, 지리교생들은 부정적인 관점에서 ``학생중심의 모둠별 발표와 이에 대한 교사의 수행평가``로 이루어진 수업은 매우 산만한 수업으로 관찰했으며, 교사들의 ``교과서 중심의 강의식 수업``과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직된 수업으로 관찰했다. 넷째, 연구자의 관점에서, 관찰된 중학교 지리수업의 가장 큰 특징은 모두 교사중심의 강의식 수업이었고, 학생과 교사의 질문이 없는 수업이었다. 요컨대, 지리교생들의 이러한 관찰 경험 중에서도 특히 ``지리 수업의 실재성`` 그리고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경험은 지리 수업의 실제에 대한 교생들의 이해를 강화하거나 교정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different forms of learning, whether incidental or conscious, we have to study them as parts or aspects of concrete historical activities with specifiable contexts. This realization is more embodied in apprenticeship learning situations of the student teachers.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student teachers` experience on geography teaching as a participant observer in the secondary schools. The 9 student teachers during the teaching internship have written their 38 journals, which was quality analysed to find out key concept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Major conclusions are suggested below as follows. First, the most student teachers were experienced in geography teaching in the secondary schools through the 2-weeks practice teaching. Second, in the positive perspective, student teachers observed on that teachers would teaching well interact with student and experienced teachers would settle down to student`s studies. Third, in the negative perspective, student teachers observed on that teachers lecture with only text, and cooperative learning by student presentation in the geography class. Finally, In third person perspective, there is no students` or teachers` productive questions in the whole-class conversation. In addition to that the most mentor teachers lecture do all of the talking in class. In effect these student teachers` experiences, especially ``reality of the geography teaching`` and ``practical knowledge of the novice mentor teachers or experienced mentor teachers``, either reinforce or modify understanding about the geography teaching practices.

      • KCI등재

        성인교수자의 세계시민교육 교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이희,최은수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how adult instructor underst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ow their life changed throug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and what the experience means to the participant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6 adults who are teach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over 2 years at school, civic group and NGO for international relief.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understoo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that forms a wide view to see the world beyond one country and teaches the value of coexistence. They also realized there is a great dist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due to limitation of Korean education system. Seco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became a momentum to develop the ability to choose and act for the life toward a global citizen. Third, the participants transformed their values through .the teaching experience of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y turned themselves into a teacher who challenges educational obstacles and had an opportunity to form a vision for career and life throug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본 연구는 성인교수자가 세계시민교육 교수 경험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이러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삶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리고 교수자 자신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 시민단체 및 국제구호 NGO를 통해 2년 이상 세계시민교육 교수활동을 하고 있는 성인교수자 6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가자들은 세계시민교육을 단일 국가를 넘어 넓은 시야로 세계를 보는 관점을 형성하고 공존과 상생의 가치를 가르치는 교육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입시라는 교육 체제의 한계성으로 인해 세계시민교육의 기본 취지와 달리 교육 현장과의 많은 괴리감이 존재 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세계시민교육 교수 경험은 세계시민됨을 지향하는 삶에 대해 스스로 선택하고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계기가 되었다. 셋째, 세계시민교육 교수 경험을 통해 가치관에 대한 변혁의 계기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이를 통해 진로와 삶에 대한 비전을 형성하고 교육 현실에 도전하는 교수자로서 새로운 시도를 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 수업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조재성 ( Jaeseong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통합교과의 가치와 이념이 학교 현장에 제대로 적용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목적에 따라 자문화기술지의 기법을 사용하여 연구자(나)의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 수업 경험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인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기억 자료, 온라인 학급 포트폴리오, 개인적 메모, 그리고 동료 교사와의 심층면담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나는 학생과 함께 만들어가는 수업을 구현하기 어렵다고 느꼈다. 둘째, 학생 중심 교육 철학을 수업에서 자연스럽게 구성하였다. 셋째, 유연하고 여유 있는 교육과정 운영이 지닌 장점과 한계점을 동시에 느꼈다. 넷째,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해당하는 핵심 개념과 기능을 가르치고 있는가에 관한 의문을 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합교과에서 의도하는 교육적 가치와 효과가 공감을 얻고 있지만, 동시에 본질이 왜곡되어 전달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for integrated early elementary curriculum under the goal of examining whether the values and ideas of an integrated curriculum were applied to schools right. The findings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with an integrated curriculum first show that I had difficulties with embodying a lesson with his students as it was proposed in the introduction of an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I was able to organize the experience-focused educational philosophy in his lessons naturally. Third, I recognized the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a curriculum managed in a flexible and leisurely fashion. Finally, I raised a question about whether the core concepts and functions of the students' developmental stage were covered in his less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values and effects intended in an integrated curriculum garnered sympathy in schools with its essence delivered distorted.

      • KCI등재

        예비교사의 프로젝트 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신혜원,박성희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e-service teachers'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Seven pre-service teachers who attended the P-practice project conducted at A University in the 2nd semester of 2022 and were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eaching co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used to examine the participants'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analysis within the case,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established an ideal teacher image, relieved anxiety about careers, stepped forward for various career developments, and established their own vocational views. In the cross-case analysis, th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learning with expectations for their career path, in-depth learning, and practical experience, and it was found that their teaching competency improved through the class. Although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ime pressure and differences between team members during the project implementation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y gained confidence through feedback from instructors and peers and experienced qualitative growth in the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of project 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was discussed.

      • KCI등재

        예비특수교사교육자의 체육교수경험에 대한 셀프연구

        양정모(Jeong-mo Y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교육자의 체육교수경험에서 발현되는 교육적 현상에 대한 고민과 반성적 숙의, 성장의 구체적인 실체(實體)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셀프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체육수업의 실천 과정과 결과, 동료 교수들과의 관계 및 대화, 그리고 학습공동체 형성과정과 결과, 수업에서의 학생과의 상호작용, 실천적 체험학습의 장을 통한 과정과 결과, 체육수업에서의 모든 교육적 경험과 현상에 대한 내용을 연구자 스스로 기록한 자기 성찰지와 교육과정 편성 및 교육과정 재구성, 강의계획서, CQI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radley(1979)가 제안한 영역 분석과 분류 분석을 활용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강좌운영 과정에서의 고민 이야기로 ‘현실과 교육적 신념의 차이’, ‘인지적 편향성’으로 범주화 되었다. 그리고 반성적 숙의과정의 이야기로 ‘학습공동체 형성’, ‘체험 네트워크’로 범주화 되었다. 또한 강좌 운영의 고민을 통한 성장 이야기로 ‘체육수업의 재개념화’, ‘체육수업의 변주’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딜레마 상황에 놓인 연구자의 고민은 반성적 숙의와 통섭, 지식의 생산자라는 실천적 체험의 장을 통해 교육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었다. 이러한 반성적 숙의와 실천적 체험에서의 소통 과정은 교사교육과정에서 필수적인 과정이었으며 통합적 학습문화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와 가치가 지대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rete reality of the agony, reflective deliberation, and growth of the educational phenomena manifes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teaching experience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Methods For this purpose, self-research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through self-reflection paper, curricu-lum organiz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lecture plan, and CQI, which recorded the contents of all the educa-tional experiences and phenomena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lationship with the fellow professors, the process and results of forming the learning community, the interaction with the students in the clas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rea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proposed by Spradley (1979). Results It was categorized into ‘the difference between reality and educational belief’ and ‘cognitive bias’ as the story of worries in the course management process, and ‘the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and ‘experience network’ as the story of reflective deliberation process. In addition, it was categorized into ‘reconceptualiz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varia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as a growth story through the worries of course management. Conclusions The researcher's agony in the dilemma situation could be reborn as an educational expert through the field of reflective deliberation, consilience, and practical experience as a producer of knowledge.,The process of communication in reflective deliberation and practical experience was an essential process in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meaning and value were great in that it could form an integrated learning culture.

      • KCI등재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사회과 수업 컨설팅 유형 및 사례 연구

        강대현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7 사회과교육 Vol.46 No.3

        A Study on the Types and Cases of Teaching Consulting in Social Studies Classroom Kang, Dae-Hyun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types and cases of teaching consulting in social studies classroom that derive reflective thinking on the foundation of teaching practice. First type is for peer teachers to observe and analyze teaching in social studies classroom with simple observation tools. Second type is to diagnose and prescribe the teaching of pre-teachers and newly appointed teachers classroom with teaching standards and some observation tools. Third type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eaching in social studies classroom as an action research and develop a program of teaching consulting. These types and cases of classroom consulting are the outcome of trial and error that have been made since 2004 and are in process now. 본 논문은 교사의 실천 경험에 기초한 반성적 사고를 유도하기 위하여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사회과 수업 컨설팅의 유형과 사례를 몇 가지 제안하고 있다. 첫 번째로 제안하고 있는 것은 현장 수업 사례 관찰 및 분석으로 간단한 수업 관찰지 양식을 가지고 동료 교사들이 쉽게 서로의 수업을 관찰분석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로 제안하는 것은 교사대 교생 및 초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전문성 기준별 분석으로 교생 및 초임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체계적으로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 번째로 제안하는 것은 주제별 실행 연구를 통해 학교급 및 경력별 혹은 공통으로 사회과를 가르치면서 부딪치는 문제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처방으로 주제별 수업 컨설팅 프로그램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과 수업 컨설팅의 세 가지 유형 및 사례는 2004년부터 연구자가 여러 현장 선생님들의 도움을 받아 시행착오를 통해서 만들어 온 것으로 학교 현장의 일상적인 수업 컨설팅 정착을 위해 현재도 진행 중에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