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 교육실습생 지도교사의 피드백 내용 분석

        김애자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operative teachers’ feedback contents regarding early childhood student teachers’ self-evaluation appeared in their educational practice journals. As for study methods, ten student teachers wrote self-evaluation journal during the student teaching period,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en cooperative teachers’ feedback toward the student teachers’ responses in the self-evaluation section. The feedback was categorized into six (6) types: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s, lesson plans, daily tasks,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s showed the highest rate (39.0%), followed by teaching methods (24.7%), understanding of the children (18.7%), lesson plans (12.6%), daily tasks (3.9%), and teaching materials (1.1%). The findings would provide implication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programs related to the kindergarten fields for cooperative teachers because their instructional styles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student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본 연구는 예비유치원교사들이 교육실습 기간 중에 작성하게 되는 교육실습일지의 자기평가란에 대해 실습지도교사들이 피드백을 해주는 지도교사 평가란의 내용이 무엇인지 분석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공․사립 유치원 교육실습생 10명은 교육실습 기간 동안 실습일지 중 자기평가 부분을 작성하였으며, 실습지도교사 10명이 실습생에게 제공한 자기평가란에 대한 피드백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습지도교사의 피드백 내용의 범주로는 유아에 대한 이해, 교육적 심리적 지원, 수업계획, 일과운영, 교수방법, 교구교재 등 6개의 내용으로 분류하였다. 교육실습생에게 제공한 실습지도교사의 피드백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교육적․심리적 지원이 39.0%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교수방법이 24.7%, 유아에 대한 이해 18.7%, 수업계획 12.6%, 일과운영이 3.9%, 교구교재는 1.1%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실습기간 중 교육실습생이 경험하는 실습지도교사의 지도유형은 예비유치원교사들의 교사 역할 수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현장과 연계된 실습지도교사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Gardner와 Feldman에 기초한 유아 음악능력 측정도구의 타당화

        김애자,이규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Gardner와 Feldman이 진행한 프로젝트 스팩트럼의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하여 음아 지능의 개념과 펴아 내용 및 준거를 개발하고 평가 활동을 선정하여 한국 실정에 맞게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만4세 아동 378명을 대상으로 2002년 8월부터 12월까지 검사가 실시되었고, 채점은 영역별로 2-3명의 음악교육 전공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검사 실시와 함께 타당도 분석, 검사의 신뢰도, 채점자 점수의 일치성 분석과 함께 교사와 학부모에 의한 설문조사로 유아의 음악능력에 대한 판별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유아용 음악능력 측정 도구는 유아의 음악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적합한 도구로 판단되고,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도구의 표준화 작업 등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a musical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which could be appropriate for Korean cultural contexts, Projects Spectrum, which had been conducted by Gardner and Feldman during 9 years from 1983 to 1992, was a concrete basis for development of the test. The 378 preschool children were sampled in Daegu and Kyung-Buk areas from August to December in 2002. Various reliability and validity evidences were collected for the purpose of validation of the test. Item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analyses showed most items were in proper levels. However, some items in number of unit, grouping, and contour of pitch seemed reliability easy, and several items in value interval appeared reliability difficult. Split-half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efficients ranged from 0.5 to 0.7. The inter-rater reliability appeared reasonable with values from 0.5 to 0.8. considering that rater training was not implemented. The judgemental evaluation of children's musical abilities by teachers or parents had been compared to empirical test scores. The results supported the validity of the test on one aspect. The musical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in this study seems a proper measurement tool. Thus, further studies such as standardization and scaling would be needed for more frequent use of the test.

      • KCI등재

        보육교사들의 인간관계 이야기 : 가정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김애자,길숙,강유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what teachers in home day-care center experience on human relationship.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12 teachers in home day-care center who worked C, M and J cities. And they can offer important informations about human relationship. We used in-depth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divided three group depending on teaching experiences. During focus group interview, teachers in home day-care center shared their human relationship based on sympathy. Data were recorded and documented. As a result, first, teachers in home day-care center have inner conflicts. Second, they recognized about their director negatively. Third, they thought co-workers are competitor. Lastly, they suggested alternative perspective and approach that can be overcome from human relationship. 본 연구는 가정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들이 직접 현장에서 구성원들과 어떠한 인간관계를 경험하였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가정 어린이집에서의 인간관계에 대한 핵심적인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는 C와 M, J시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현직 보육교사 12명이다. 연구방법은 개인심층면담과 핵심주제 집단면담이며, 핵심주제 집단면담은 가정 어린이집 교사들을 경력별로 세 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집단면담에서는 가정 어린이집 교사들이 서로 각자의 인간관계 경험을 공유하면서 공감을 바탕으로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녹음하였으며 면담이 끝난 후 전사하여 문서화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가정 어린이집 교사들은 내면의 갈등을 겪고 있었으며 둘째, 인간관계를 맺기 어려운 직장상사로 원장을 이야기하였고 셋째, 심리적으로 의지해야할 동료를 경쟁자로 여기고 있었다. 그러나 마지막으로 가정 어린이집 교사들은 인간관계 극복을 위해 다양한 대안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육과 교육실습생의 수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반성적 저널 분석

        김애자,강유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육실습 중 자신의 수업경험을 어떻게 생각하며, 무엇을 의미있게 생각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실습생들은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였으며, 실습 종료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육실습생의 수업 경험이야기를 분석한 결과, 수업준비에 대한 이야기와 수업과정에 대한 이야기로 총 2개의 대주제로 범주화 되었으며 각 대주제에 대한 소주제가 각각 4개, 3개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교육실습생이 교육실습 중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자신감을 가지고 4주 동안 교육실습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유아교사 양성기관에서는 교육실습 전 현장경험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편성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사교육자들은 교육실습생이 안정적으로 실습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교육실습 중 지속적으로 교육실습생과 수업에 대한 소통을 통해 심리적인 지원을 해주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through intern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cusing on reflective journal writing. As a result, two big categories were identified : stories about teaching preparations and stories about teaching processes. The pre-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teaching procedures, interaction with children, understanding infants and children’s development, motivation and teaching materials in the practicum experience. And they wanted a guidance teacher to get some feedback about the lesson consultation, teaching procedures,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The research showed t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learned about perspectives of children, basic life habits, teaching behavior and field trips by intern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ositive feed-back with emotional support of teacher and reaction of children support reflective thinking and 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

        보육실습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인식: 은유분석을 바탕으로

        김애자,길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ore appropriate practice opportunities for ‘educare practicum’ in accordance with their perception toward the educare practicum by evaluating their metaphor analysis. 21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an experience of educare practicum participated in the study. Its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at symbolize their standpoints toward the educare practicum: i) foundation for teaching profession guide, ii) discouragement about teaching, iii) ability build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v) stability and progress 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v) educare practicum as a means to understand themselve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educators examine what positions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ake about the educare practicum, thus more effectively assisting it. Individuals may further utilize the discussed data as a fundamental material intended to develop reinforcing program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o that the prospective teachers could establish an firm identity about themselves during their student-teaching experience. 본 연구의 목적은 은유분석을 통해 보육실습에 대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보다 적합한 보육실습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보육실습을 경험한 예비유아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보육실습에 대한 이미지를 은유분석을 통해 조사한 결과 교직입문 기초가 35.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의 교수 행위에 대한 좌절이 23.4%, 예비유아교사로서의 능력구축이 19.3%, 예비유아교사로서의 안정과 성장이 12.5%, 자기이해로서의 보육실습이 9.4%로 총 5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검토해보고 보다 효율적인 보육실습 지원 방안 구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또한 보육실습은 예비유아교사들이 반드시 이수해야만 하는 필수 관문으로서 좌절과 힘듦으로 기억 되기 보다 교사로서 확고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및 보육실습 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도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