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에 대한 불교철학적 접근 : 『대승기신론』의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장승희 ( Jang Seung-hee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1 No.1

        본 연구는 『대승기신론』의 핵심개념에서 통일을 위한 철학적 원리를 탐구한 것이다. 통일관련 연구들이 확대되고 있지만 통일에 대한 철학적 연구가 쉽지 않은 이유는 철학자들이 민감한 통일문제를 꺼리기도 하지만, 시대적 환경적 영향을 지대하게 받는 주제여서 객관적 관점 견지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비판과 성찰에 기초한 다양하고 열린 ‘통일’ 논의는 ‘철학’과 만날 때 가능하다. 대승불교 경전들을 종합한 논서인 『대승기신론』의 불일불이(不一不異) 인식론은 새로운 통찰을 제시함으로써 이분법적 논리를 넘어 평화와 공존의 논리를 제시해준다. 『대승기신론』의 핵심개념은 대승(大乘)인 일심(一心), 이문(二門)과 삼대(三大), 사신(四信)과 오행(五行) 등으로 인식론 존재론 실천론이 체계적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통일의 목표로 제시될 수 있는 ‘대승’은 많은 중생을 구하고자 하는 염원을 내포하고 있는데 일심 혹은 중생심(衆生心)이다. ‘일심’은 진여문과 생멸문으로 구체화되는데, 그것은 현상과 본질, 이상과 현실로 배대된다. 생멸문은 인연생멸에 의해 이루어지는 분단현실을, 진여문은 분단의 현상 넘어 보이지 않는 ‘하나임’에 비유할 수 있다. 기신론 저자는 체와 용, 즉 본질과 현상, 이상과 현실의 가교역할로 상(相)의 개념을 가져와 체상용(體相用) 삼대(三大)의 범주를 활용한다. 여기서 범주로서 상은 이상과 현실을 이어주는 가교이며, 통일문제에서는 분단을 통일로 구현하게 해주는 구체적인 실천과 노력을 의미한다. 사신(四信)에서는 불법승(佛法僧) 삼보에 대한 믿음에 앞서 진여에 대한 믿음을 중시하며, 오행(五行)에서는 무명(無明)을 제거하여 진여에 이르는 구체적인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인 분단 통일인식은 현상적 경험적 파악에서 분단의 극복인 통일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여 우리가 추구할 통일은 현상 경험 현실을 넘어 진여 초월 이상의 관점에서도 볼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전환의 계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남북관계에서 통일보다 ‘평화’를 지향점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대승의 의미처럼 실천노력의 과정은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고 평화롭고 행복한 사회여야 하며, 이것은 현상세계의 생멸에 대한 인식을 넘어 진여에 대한 인식으로 전환될 때 가능한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k philosophical principles for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focus on the key concepts in the Mahayana[大乘起信論]. The study of combination unification and philosophy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connection with political situation has more difficulties than other studies. Saint Wonhyo’s one mind and conciliation are based on the key concepts in the Mahayana. They are one mind, two gates, three greats, four beliefs, and five conducts. As the aim of unification, Mahayana[大乘] means the mind of mankind and one mind[一心]. The one mind consists of two gates[二 門]: suchness gate and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gate, that is the ideal and reality, the present state and essential of the existence in the world. The three greats[三大] are the essence, reason and function[體相用] by the three category of the existenc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belief on suchness[眞如] as absoluteness in Four beliefs[四信]. Five conducts[五行] are abridged six Paramita as a practice effort. We need to change our cognition from unification of peace. The direction and viewpoint of preparation for unification is influenced by the cognition of division and unification of people.

      • KCI등재

        교과교육학 : "인성교육진흥법"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의 본질과 인성교육의 방향 -행복담론을 중심으로-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5 윤리교육연구 Vol.0 No.37

        본 연구는 최근 시행을 앞두고 있는 ‘인성교육진흥법’을 분석하고, 이 법에서 추구해야 할 ‘인성’의 본질과 ‘인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세월호 사건 이후 한국사회의 도덕성에 대한 문제제기와 대안 찾기가 활발해졌고, 그 결과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되었다. “「대한민국헌법」에 따른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하고 「교육기본법」에 따른 교육이념을 바탕으로 건전하고 올바른 인성(人性)을 갖춘 국민을 육성하여 국가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는 이 법의 목적과 방향에 대한 성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내면성이 특징인 인성은 법적 규제가 쉽지 않고, 법에 의한 인성교육은 자칫 국가의 통제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으며, ‘진흥’에 초점을 둘 경우는 관련 기관 간의 이권투쟁 양상으로 변질될 수 있다. ‘인성’은 동서양 문화의 차이, 다양한 학문적 접근, 용어의 특성상 정의하기 쉽지 않은 개념이지만, 하나의 개념으로서 ‘인성’은 시대적·사회적 요구를 무시할 수도 없다. 법에서는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고 타인·공동체·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인성으로 파악하고 있다. 필자는 이를 바탕으로 동서양 개념을 포괄하고, 인간 존엄과 가치·행복추구라는 헌법 이념을 근거로, 추구해야 할 인성으로 도덕성(관계적 자아)과 개성(주체적 자아)을 핵심요소로 추출하였다. 도덕성은 유교의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에 근거한 관계적 자아의 특성이며, 개성은 서구 민주주의에서 강조한 개인의 고유성 및 권리와 연계된다. 경쟁과 성공, 물질적 가치를 추구하는 우리 사회의 분위기를 전환하여 인성교육담론은 개인과 사회의 행복을 지향하는 행복담론이 될 필요가 있다. 행복은 누구나 추구하고 원하는 가치 지향적 개념으로, 본질과 조건,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행복에 대한 윤리적 접근인 ‘행복윤리’를 제안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ssence of the humanity and direction of the humanity education that we have to pursuit in the law for the stimulation of the humanity education. This law will take effect on and after July 21, 2015. The object of this law is to contribute to national development by building up the Korea to have sound and right humanity based on value of the constitutional law, the dignity and value of man. The humanity of people is so internal that not to be control by the law. The humanity education is inclined to degradation into the means of nation’s control. If the government stress on only promotion, the humanity education will lose the way. The concept of humanity has to considerate the demands of times and the social needs. The humanity consists of two essential elements. One is morality that confucianism concept which regards relationship self as important. The other is personality that west concept that put special emphasis on independent self. The morality is need to accord with relations among the people come from east’s confucianism concept. The concept of personality is the essential for richness of independent self based on west concept. The direction of the humanity education needs shift to happiness discussion. The concept of happiness is value oriented because everyone want happiness. Korean society focused on competition and achievement up to the present. In future, we have to pursue happiness for life of person or community. In conclusion, I suggest happiness ethics that research to essence, condition, and realization method of happiness with the ethic viewpoint.

      • KCI등재

        괴(怪)와 "졸(拙)"로 본 추사 김정희의 철학적 인간학

        장승희 ( Seung-hee Ja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4 No.-

        본 연구는 추사 김정희의 삶과 예술, 학문과 철학을, 추사체의 특성인 ‘괴(怪)’와 ‘졸(拙)’의 개념으로 접근하고, 철학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종합한 것이다. 철학적 인간학은 인간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통해 인간의 의미법칙과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오늘날 인간에 대한 이해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그 지평이 넓어진 것은 사실이지만, 학문의 분과로 인해 오히려 본질적인 이해가 더 어려워졌을 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문명에서 획일화되고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대사회는 철학적 인간학의 관점에서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본질적 인간이해가 절실하다 하겠다. 추사는 성리학적 이념의 변화기인 조선후기에 실학은 물론 불교와 도가 등 다양한 사상을 수용하였고 고증학과 금석학에 일가를 이루었으며, 독서를 좋아한 유학자요 원당사찰을 둔 불자이자 추사체를 정립한 예술가이기도 하다. 인생 역시 매우 역동적이었기 때문에 다각적인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그의 삶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추사체의 특성 가운데 괴(怪)가 추사의 개성이라면, 졸(拙)은 꾸밈없고 순수한 경지로서, 두 개념은 그의 삶의 여정과 맞닿아 있다. 괴(怪)의 특성은 왕족 가문의 부유함과 천재적 재능에서 드러나는 개성과 자신감의 표현으로 여러일화에 보인다. 그러나 그의 괴(怪)는 제주 9년 유배생활 속에서 역(易)의 철학과 불교사상에 힘입어 졸(拙)로 승화되었고, 마침내 불이(不二)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 ‘추사의 철학적 인간학’은 고난과 역경을 노력과 성실로 극복한 삶, 뜨거운 인간애와 배려심, 불이적(不二的) 졸(拙)의 자세 등으로 정리할 수 있으며, 그 도덕교육적 의미를 여기에서 찾아볼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ynthesis life, art, learning and philosophy of Chusa Kim Jeonghui(秋史金正喜, 1786~1856) by focusing on Goe(怪) and Jol(拙) that is distinctive feature of Chusache(秋史體) from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viewpoint. The philosophical anthropology seeks after the law of meaning and essence of human beings by questioning intrinsic problem. Today the realm of human understanding is wider than previous. But subdivision of studies in the intrinsic understanding of human is difficult, because the understanding of human in capitalism culture is standardizing. Chusa who is the scholar of Silhak of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is the very diversified man famous for not only epigrapher but also Chusache(秋史體) and his interesting life. If we have a right understanding of him, we would comprehend his diversified aspects, for instance as an artist, a scholar, and a natural person. Chusache(秋史體) is conceptualized by Goe(怪) and Jol(拙), the former is artistic presentation of his personality and the latter is unadorned condition of overcoming Goe(怪). Those aspects core in contact the trace of his life. The moral educational significance of his philosophical anthropology is attitude of him while overcoming the difficulty, humanity and consideration, and a modest attitude.

      • KCI등재

        조선후기 실학의 유토피아 사상 - 반계 유형원을 중심으로 -

        張承姬 ( Jang Seung-hee ) 한국유교학회 201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47 No.-

        이 글은 磻溪 柳馨遠에 초점을 맞추어 조선후기 실학의 유토피아 사상을 살펴본 것이다. 유토피아 사상은 역사적·사회적 발전 과정에서 다양하게 변화되었는데, 오늘날에는 현실을 극복하여 누구나 추구하는 청사진을 제시하는 理想社會論[理想國家論]으로 구체화되었다. 유토피아는 現實보다 이를 초극·초월하는 理想을 지향하고, 實學은 虛想보다 實質을 理想보다 現實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둘의 관계는 모순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학자들의 개혁대상은 현실문제이지만 궁극적 목표는 이상사회이고, 유토피아의 추구대상은 현실 너머의 이상이지만 궁극적으로 그것은 현실에 근거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실학이 추구하는 理想的 現實, 유토피아가 근거하는 現實的 理想, 이 둘은 피상적으로는 矛盾인 것 같지만 본질적으로는 밀접히 연관된다. 실학의 鼻祖로서 반계 유형원은 현실·실제·실용을 강조한 조선후기 실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현실에 대한 냉철한 인식과 분석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매우 급진적이고 이상적인 社會改革案을 구상하였다. 公田制를 바탕으로 한 토지개혁안, 신분제·노비제·과거제·군현제 등 그의 개혁안은 매우 혁명적이고 급격한 것이었다. 또한 그는 이상적인 사회와 제도로 요순시대를 모델로 삼았는데, 그러한 혁명성과 이상주의적 지향성 때문에 당시에는 수용될 수 없었다. 그러나 17세기의 현실에 대한 철저한 비판과 분석을 통해 현실을 극복하고자 노력한 반계의 유토피아적 개혁 구상은, 이후 실학자들에 의해 구체화되었고,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Utopian thought of the Silhak in the Joseon Dynasty's the latter period focused on Ban'gye Yu Hyŏngwŏn’s the theory of the ideal society. The Utopian thought pursues human ideals, while the Silhak in the Joseon Dynasty's the latter period is based on reality. Therefore it seems that both of them have opposite meanings. The realistic schools's reform object is the realistic problems, but their ultimate purpose is the ideals. The Utopia pursuits the ideals over the real world, but it cannot help basing the reality. Therefore the ideal reality and the realistic ideals, the Silhak and the Utopia superficially seems to conflict each other, but both essentially haver a deep relationship. Ban'gye Yu Hyŏngwŏn is the originator of Silhak. He has a great deal of influence to the realistic school in the Joseon Dynasty's the latter period. He formulates a plan of reconstructing society based on reason-based understanding of real world. His reform plans are the community of land, the reform of social standing, and the reform of the old state examination during the Chosŏn Dynasty. His land reform is based on Chinese ancient times, and impressively reformative. It is not easy to be a reality at that time, because it’s too ideal. His reconstruction nation takes concrete shape by the after realistic school in the Joseon Dynasty's the latter period. Moreover, His thoughts has an effect on reform plans of nation and society up to date.

      • KCI등재

        만성적인 저 농도 톨루엔 노출이 세포성면역 기능에 미치는 영향

        장승희 ( Seung Hee Jang ),최윤정 ( Yun Jung Choi ),김기웅 ( Ki Woong Kim ) 한국산업위생학회 2013 한국산업보건학회지 Vol.23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low-level exposure to toluene on T lymphocytes subpopulations.s. Methods: The study lasted from April to October 2010. The subjects were 390 male workers, among whom 137 were chronically exposed to toluene in video-tape manufacturing factories and 253 were controls had never been occupationally exposed to hazardous chemicals. The subpoupulations of CD4+, CD8+, CD16+(Natural killer cells) and total(CD3+) T lymphocytes were examined by two-color staining using monoclonal antibodies. The general and job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assess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and job characteristics between both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ipid peroxide level was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exposed workers, but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peroxid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osed workers. The numbers of CD16+ T lymphocytes in contro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exposed worker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D4+, CD8+ and CD3+ T lymphocytes. Hydrogen peroxide levels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CD8+(r = -0.29, p < 0.01), CD16+(r = -0.56, p < 0.01) and CD3+(r = -0.22. p < 0.01), and toluene levels w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ed with CD3+(r = -0.29, p < 0.05). Conclus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chronic low-level exposure to toluene affects cell-mediated immunity and the effects might mediate through ROSs(Reactive Oxygen Species) such as hydrogen peroxide.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메타-독서교육 정초를 위한 시론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학회 2013 倫理硏究 Vol.9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meta-reading education basing the concept ‘meta-reading’ in the moral education. Firstly, I make inquiries about the state of affairs and the problem of the present school reading education. Secondly, I study the necessity of ‘meta-reading’ which is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what is reading?’ to solve that problem. Thirdly, I study direction and points to be considered of the meta-reading education from the moral education point of view. Meta-reading is the philosophical 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the reading. That is privately encounter between myself and the book before an act of reading. Reading itself implies ontological or axiological meaning the viewpoint of intrinsic self realization as a human being. The most recent,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read is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the percentage of adults is decreasing. Moreover the university students are disposed not to do read. The low percentage caused by systematic reading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 paradoxically. The reading of the secondary school place stress on the means more than the purpose. To do true reading, meta-reading education should to come into force, the moral subject cannot help playing main role because of value-oriented character of the meta-reading education.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통해 나타난 유아교사의 놀이 개념과 의미

        장승희(Jang seung hee),손원경(Son won k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 개념을 전반적인 경험에 비추어 알아보고 그 속에서 드러나는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2017년 4월부터 2018년 3월까지 11개월 동안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놀이 개념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 포토보이스를 활용하여 자료조사를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유아교사의 놀이의 대한 개념은 즐거움의 원천, 자유로움의 열림, 정서적 치유 · 돌봄의 에너지, 함께 어우러짐, 주체로서의 몸으로 나타났고 그 의미로는 인간의 본능, 유아가 주체가 되는 자발적 선택 , 긍정적 자화상의 형성을 위한 매개체, 실재적 발달수준으로의 성장, 세계와 소통하는 몸으로 도출되었다. 이 과정에서 유아교사들의 놀이에 대한 인식과 신념이 확고히 정립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교육과정 구성 시 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이 반영된다면 유아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놀이를 진정한 놀이로 인식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lay concep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ir overall experiences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meaning of play for them. Photovoice was used to gather dat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the concept of play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was a source of joy, opening of freedom, energy for emotional healing·care, mingling together and the body as a subject. As for the meaning, it was a human instinct, voluntary choice as a subject, medium for building a positive self-image, growth as a real developmental level, and the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y that the play awarenes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belief in it were firmly formulated. Therefore if the play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s reflected in curriculum making, it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preschoolers to view play in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early childhood as a true play

      • KCI등재

        명상의 도덕교육적 효과

        장승희(Jang Seung He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46

        최근의 명상 방법은 불교 명상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대부분 개인의 질병 치료나 심리 치유에 치중되어 있어 명상의 본질인 가치 지향성이 간과되고 있다. 명상은 단순히 개인 의 심신 안정을 넘어, 보다 폭넓은 대아로서의 인격 성숙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이러 한 점을 염두에 두고 예비교사들의 교육에 명상을 적용하고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우선, 예비교사들에게 명상이 필요한 이유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명상의 목표를 세 가지로 설정하였는데, 교사로서의 내면적 성장, 다양한 도덕적 주제에 대한 사유, 명상 체험의 교 육적 가능성이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명상 방법은 불교의 사념처(四念處) 명상을 기본으 로 한‘통찰명상’으로, 강좌 초반에는 호흡?몸?감정?생각에 대한 집중, 알아챔과 들여다보 기의 기본명상이었고, 그 다음 실시한 것은 사랑?용서 등 강의와 관련된 도덕적 주제들을 대상으로 한 화두명상이었다. 주관적 체험 성격이 강한 명상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과 내 적 변화는 스토리텔링(Storytelling) 기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강의성찰’을 중심으로 파 악하였으며, 명상 효과에 대한 객관적 변화 추이는 두 차례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 다. 명상 초반 어색해하던 수강생들의 긍정적 변화에서 도덕교육에의 적용 가능성을 확신 할 수 있었다. 명상은 단순히 개인의 심신안정을 넘어 가치지향성을 추구한다는 데서 본 연구가 도덕교육에 명상 도입을 망설이는 연구자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The method of recently meditation is traceable to that of Buddhism. Most of the methods stress personal medical treatment and healing in mentality, but they are overlooking value inclination of people. The true nature of the meditation is maturity of the personality of people as one’s large self above personal rest in body and mind. When we apply meditation in education, we have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meditation and the point of attention in method.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ntents, method, and the effects of meditation focused on experience of students in the lecture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at the pre-serve teachers are members of this class. Above all I teach why meditation is needed and what meaning it has to the pre-serve teachers. Next I study the aim, method, and contents of applied meditation, the response and effect of students in the lecture ‘Elementary Moral Education'. In the opening part of lesson, students get training in basic meditation method about breathing, body, feeling, and mind. The sequel they meet with forgiveness, love, and the related subject nothing but WhaDu[話頭] meditation. I conduct the survey of thinking on students two times to analysis objective validity of the meditation effect. I use lecture-reflection as a sort of storytelling that students write opinions about lesson to grape their response and inner change aspect as very personal experience. By the meditation, students grow up to be a teacher in an internal aspect, extend thinking and dream educational application of meditation. I wish for this study contribute to moral education as the newly method for emotional morality.

      • KCI등재

        교과내용학 : 음식생활에 대한 윤리적 논의와 음식윤리교육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31

        본 논문은 인간의 ‘먹음’ 행위에 대한 윤리적 논의를 바탕으로, 도덕·윤리 교과에서의 음식윤리교육에 대해 탐구한 것이다. 인간의 먹음 행위는 생존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본능적 욕구와 관련된 주관적, 개인적인 것으로 그 자체는 무윤리적인 것이지만, 문화로서 음식은 정치적·경제적·종교적 영향과 역사적 변화 발전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영양학의 기본철학은 “자기가 먹은 음식이 자기가 된다.”는 것이다. 인간이 먹는 음식이 인간의 본질을 규정하고 인류문명의 미래마저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간의 ‘먹음’ 행위는 윤리적 방향성을 지니지 않을 수 없다. 오늘날 먹는 것은 어느 시대보다 풍요로워져서 하나의 즐거움이 되었지만, 이로 인해 심각한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윤리적 성찰이 요구되고 있다. 먹는 문제는 개인의 기호 차원을 넘어 건강 및 생존과 관련될 뿐 아니라 자본주의, 환경오염 등 정치·경제영역과도 관련되는 구조적·제도적으로 복잡한 사회윤리 문제라는 데서 위기의식은 더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인간의 음식생활에 대하여 윤리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우선, 문화상대주의와 어떤 관계에서 음식윤리 논의가 이루어져야 하는지 탐구하였고, 나아가 개인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오늘날 음식생활에서 드러나는 윤리적 문제를 분석하고, 윤리적 원리와 덕목에서 해결책을 찾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도덕 교과에서 음식윤리교육이 필요한 이유, 교육과정의 음식윤리내용,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육 방법을 찾아 보았다. 도덕·윤리 교과의 음식윤리교육은 인지적·정의적·행동적으로 통합된 ‘에코지능(Ecological Intelligence)’를 바탕으로 윤리적 소비자, 민주시민을 육성하여 미래사회의 발전적 변화를 모색하는 기틀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for food ethics education in the moral subject based on ethical arguments on human ``eating``. An act of eating itself is non-ethical because it is subjective and private field is related with instinctive desire. But a food as a culture has affected by politics, economy, religion, and history today. The basic principle of the science of nutrition is the food I eat makes me. That means human food has an decisive repercussions on the trait of character of human real nature what is more the direction of the future civilization. Therefore the food life needs the ethical direction. Today, the human eating changes for surviving from to essential pleasure of life. But the food life made to break out severe problems, ill health, farm products, and environmental problem menacing human right to live. The sense of crisis about eating is getting more strained by reason of a complicated connection among those problems. The eating problem is a very complex matter related to politics, economy, and social system beyond the personal taste. I research ethical problem of the food life from personal and social standpoint, and ethical principles to solve the problems with a critical mind. Then, I study food ethics education focused on contents and methods in moral subject about ecological intelligence. In conclusion, I deal with food ethics in future for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불교 지관(止觀) 명상의 윤리교육적 의미 -『대승기신론』과 원효의 지관을 중심으로-

        장승희 ( Jang Seung-h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8 윤리교육연구 Vol.0 No.50

        본 연구는 한국 불교명상의 정체성을 찾고 윤리교육의 관점에서 명상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승기신론』 및 원효의 지관(止觀) 명상에 대하여 탐구한 것이다. 최근 명상의 보편화는 긍정적이지만 명상을 마음의 안락수단이나 현실도피의 방법 등 피상적으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윤리교육의 관점에서 청소년들에게 한국명상을 소개함으로써 명상의 본질을 파악해 볼 수 있도록, 동아시아 불교에 큰 영향을 준 『대승기신론』과 한국불교사에서 지대한 영향을 준 원효의 지관명상에 주목하여 보았다. 『대승기신론』은 동아시아 불교이론 정립에 지대한 영향을 준, 대승불교 경전을 종합한 논서로 불성을 지닌 인간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이 특징이다. 『대승기신론』의 지관명상은 기신론 전체구조와 맞물려 있으며, 중생심인 일심(一心)을 중심으로 진여문(眞如門)과 생멸문(生滅門)의 조화를 추구한다. 지(止) 명상은 진여삼매를 추구하는데, 그것은 삼매를 통하여 분별을 벗어나 진여법의 평등성에 대한 파악이 핵심이고, 관(觀) 명상은 생멸인연의 현상을 바르게 분별하여 통찰함으로써 동체 대비로 소아를 넘어 대아로 확대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토대로 찾을 수 있는 윤리교육에 주는 시사점 다섯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일심에서 드러나는 인성에 대한 긍정과 신뢰, 둘째는 진여문과 생멸문의 불일불이(不一不異)에서 드러나는 이성과 현실의 조화 추구, 셋째는 부정취(不定聚) 중생을 중심으로 한 일반인을 위한 명상 방법, 넷째는 동체대비(同體大悲)에 근거한 소아에서 대아로의 명상 지향점의 확대, 다섯째는 지관쌍운(止觀雙運)에서 드러나는 정서와 인지의 조화와 이를 통한 도덕적 실천이다. 지관명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청소년들에게 명상교육을 실시한다면, 단순히 나를 위한 명상을 넘어 타인과 공동체, 세상에 대한 관심과 수용하여 윤리적 실천으로 연계시킬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tents of the theory of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大乘起信論] and Wonhyo’s understanding in order to find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meditation and to present a way forward. The theory of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is an essay composed of Buddhist scriptures that greatly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Buddhist theories in East Asia, especially in the human mind. First, I looked at the foundation of Buddhist meditation through early Buddhist Samata and Vipassana. Despite of the universalization of meditation is positive in recent years, meditation tends to be perceived only superficially, such as the means of comfort of mind or the way of escaping reality. In order to establish of Korean meditation, from the ethical educational point of view, I paid attention to Wonhyo’s Ji-Guan[止觀] meditation. Based on this, the conclusion looked at five implications of ethical education. Firstly, positive and trust in personality revealed in the ‘one mind[一心]’, secondly, reason and present are harmony, thirdly, meditation methods for ordinary people, fourthly, expansion of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the meditation from the ego[小我] to the higher self[大我]. The last is harmony between emotion and recognition and moral practice. If we educate medit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t meditation, I hope that young people today win not simply meditate for me and link them with ethical practice by accepting and accepting interest in others, community, and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