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두 개의 과학교육:과학교구공사의 초기 역사를 통해 살펴본1970년대 유네스코-유니세프와 한국 문교부의 과학교육

        강유진 한국과학기술학회 2023 과학기술학연구 Vol.23 No.3

        해방 이후의 한국의 과학교육사 연구는 정책과 교육과정의 변천을 중심으로 정리되어 있어서 과학교육의 행위자들이 실제로 어떤 생각을 가지고 어떤 활동을 수행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는 1960년대 후반에 한국으로 수입된 ‘유네스코-유니세프 과학교육’과 1970년대 전 국민의 과학화운동의 일환으로 추진한 ‘문교부 과학교육’이 충돌하는 지점으로써, 과학교구공사의 초기 역사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과학교구공사는 교사이익단체인 교원공제회의 자금 투자와 유니세프-유네스코의 설비와 인력 투자로 1975년에 구로공단에 설치되어, 1976년부터 1996년까지 전국의 초중고등학교에 과학교구를 판매하였다. 과학교구공사의 사업은 여러 행위자의 활동이 교차되어 순조롭지 않았다. 유네스코는 현대적 설비와 시스템을 제공하였지만 한국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문교부는 적극적으로 정책을 펼치지 않았으며, 교원공제회와 각급 학교는 관행적 이해관계로 얽혀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박정희 시대의 과학교육계가 시도한 새로운 과학교육 활동이 정부 정책을 맹목적으로 추종하지 않고 좀더 복잡하게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냉전기 미국의 대외 정책의 일환으로 제공된 과학교육이 미국의 의도와 다르게 남한에서 전개되는 사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Research into the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following its liberation is primarily structured around the analysis of alterations in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ar transformations. Consequently, the substantive insights into the ideation and practices of key stakeholders in science education remain somewhat obscure. This research endeavors to shed light on this issue by focusing on the early history of the Science Equipment Development Center as a point of conflict between the introduction of "UNESCO-UNICEF Science Education" into Korea during the late 1960s and the promo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Education" as an integral facet of the National Science Movement in the 1970s. The Science Equipment Development Center was established in the Guro Industrial Complex in 1975 with financial support from the Teachers' Mutual Aid Association, a teacher interest group, as well as infrastructure and manpower investments from UNICEF-UNESCO. The Center operated by selling science equipment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from 1976 to 1996. However, the execution of the Science Equipment Development Center project encountered challenges attributable to the convergence of activities involving various stakeholders. While UNESCO contributed modern facilities and systems, it faced a deficiency in comprehending the intricacies of the Korean context. Simultaneously, the Ministry of Education exhibited a lack of proactive policy implementation. Furthermore, the Teachers' Mutual Aid Association and schools at all levels were enmeshed in customary interests, resulting in additional complexities for the project. Through this investigation, it becomes evident that the novel scientific educational endeavors pursued by the science education community during the Park Chung-hee era were characterized by a more intricate and nuanced development that did not merely adhere to government directives. Furthermore, this study also unveils instances where scientific education, implemented as part of U.S. foreign policy during the Cold War, evolved within South Korea, in a manner contrary to the original intentions of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한국 태권도지도자 교육의 시기별 변화 양상

        강유진,김은정 한국체육사학회 2023 체육사학회지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태권도지도자 교육의 시기별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해방 이후를 기점으로 194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 태권도지도자 교육의 변화를 세 단계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시기를 경험한지도자들을 인터뷰하였다. 태동기(해방 이후∼1960년대)에는 각 관을 중심으로 태권도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열악한 수련환경으로 인해서 태권도지도자 자격과 체계적인 지도자 교육이 부재하였다. 형성기(1970∼1980년대)에는 태권도 공식 기관의 지도자 양성 교육이 전개되었고, 겨루기 경기가 활성화되었으며, 태권도학과의 설치는 태권도지도자 증가에 영향을미쳤다. 발전기(1990∼2000년대)에는 태권도지도자 교육의 전문성이 확대되면서 태권도 사범 연수 과정은 세분화하였고, 품새와 시범 등의 다양한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태권도학과에 진학한 지도자는 전문적인 이론 및 실기 능력을 배양하게되었다. 이러한 양상을 통해서 앞으로 태권도지도자 교육의 방향은 다양한 교육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교육자로서 기본 소양을 갖추는 데 더욱 주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누가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살기를 선택하는가: 미혼 청년 1인가구를 중심으로

        강유진 한국웰니스학회 2023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미혼 청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향후 1인가구를 지속할 의향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1인가구 지속의향이 있는 집단을 ‘1인가구 지속의향집단’으로, 그리고 1인가구 지속의향이 없는 집단을 ‘1인가구 비지속의향집단’으로 정의내리고, 이 두 집단의 특성이 어떻게 구별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개인특성, 가족가치관특성, 생활실태 특성들이 이 두 집단의 특성을 구분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2020년 가족실태조사' 자료이다. 본 연구는 이 자료 중 ‘1인가구’라고 응답한 만 25세에서 만 39세 이하의 미혼남녀 617명의 응답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조사 대상 미혼 청년 1인가구 중 ‘비지속의향집단’의 비중이 더 컸으나, 이 두 집단의 비율은 거의 유사하였다. ‘비지속의향집단’의 향후 계획은 ‘결혼’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비지속의향집단’을 기준으로 이항로짓분석을 실시하여 개인특성, 가족가치관특성, 생활실태특성들이 1인가구 지속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지속의향집단’과 ‘비지속의향집단’은 주관적 계층인식, 가족가치관 특성, 생활실태 특성이 상이하였다. 1인가구를 계속 유지하려는 ‘지속의향집단’은 혼자살고 싶어서 자발적으로 1인가구를 형성하는 경향을 보이며 결혼에 대한 비전통적 가치관을 강하게 드러내었고 가족부양책임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주관적 계층인식이 낮을 뿐 아니라 위기 시 도움을 요청할 대처자원 역시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 1인가구 내의 이질성을 주목하면서, 이들에게 특화된 돌봄서비스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청년 1인가구들이 만들어갈 유연한 생애경로는 우리 사회에 전통적인 가족공동체 이외의 다양한 삶의 대안들이 출현할 것을 예견한다. 따라서 향후 1인가구 정책은 1인가구 구성원에게만 국한된 정책 창출의 역할에서 벗어나, 가족과 사회의 상호성을 폭넓게 고려하는 가운데 1인가구 증가가 궁극적으로 우리 사회에 어떤 파급력을 만들 것인지를 주목하여 향후 사회정책이 나아가는 방향을 고민하며 포괄적으로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heterogeneity of unmarried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 focus on whether or not they would continue to be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future. I analyzed how socioeconomic factors, family values, and life conditions affect the continuation of a single-person household. From the data of 'the 2020 Survey on the Status of Families', 617 unmarried young single-households aged 25-29 were analysed. First,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subjects, there were slightly more people who did not wish to continue single-person households, but there were also just as many people who did wish to continue single-person households. The majority of those that wished to discontinue being a single-person household planned to marry. Second, a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ubjective class recognition, family values, and life condi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ir choice to prolong the single-person lifestyle. Third, the group that continued to wish to live as a single-person household strongly advocated for non-traditional values ​​regarding marriage and felt a strong burden of family support. In addition, not only did they have low subjective class recognition, but also lacked coping mechanisms when faced with a crisi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alized care programs for young people. In summary, increasi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predicts the emergence of various life alternatives in familial structures other than the traditional family type. Therefore, the scope of future single-person household policies should not be limited to just individuals, but should be discussed more comprehensively, going beyond the boundaries of family and population policy to cooperate with other areas in society such as economy, politics, welfare, an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