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공공재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공공자전거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손상희 ( Shon Sang Hee ),윤형숙 ( Yoon Hyung Sook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2 No.-

        최근 도시가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역기능적 요인을 개선하고, 순기능을 부여하는 노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도시의 기능을 회복하고자 하는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이 새롭게 주목받는데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공공재로서의 공공디자인, 시설물디자인 등이 있는데, 이러한 디자인들은 시스템과 결합된 설계 및 서비스의 개선 방법들이 새롭게 적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서비스디자인은 점차 제품의 서비스화 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제품화가 강조되면서, 소비자 중심의 요구를 반영한 결합형 디자인을 필요로 한다. 다만, 급속도로 빠르게 변화하는 서비스경제 속도가 소비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연구함으로써 서비스디자인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공공서비스디자인 적용사례 중에서 자전거를 중심으로 사례연구 및 이론고찰 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자전거 공공서비스는 자동차가 중심인 도시공간에서 제한적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거점지역과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공공자전거의 도입부터 운영까지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다는 점에서 정책의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결국, 공공서비스디자인이 적용되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과 지속적 예산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차정책, 자전거서비스디자인의 이용환경 연계 등을 통한 사회 전반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디자인 가이드라인 제공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향후 본 공공서비스디자인 연구는 공공서비스디자인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제반된 제도 및 서비스디자인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s urban areas are developed and changed recently, it becomes important to improve factors of adverse effects and to grant proper function. This is attributed to new attention of the importance of service design to recover the function of urban areas. The service design includes public design and facility design as public goods, and planning and improvement methods of services that are combined with systems are applied to these designs. The service design requires combined designs with consumers' needs reflected as services of products and products of services are gradually emphasized.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speed of service economy that is rapidly changing can't reflect consumers' needs enough.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rvice design and to try to activate continuously.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methods to reinforce the proper function of service design by researching public service design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this study was processed focusing on case studies and theory consideration of bicycles among application examples of public service design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ublic service of bicycles is done restrictively in urban areas with automobiles centered, and it is frequently used mostly at lodgement areas and adjacent areas. In addition, the policy intention has a great impact in that it is supported by public institutions from adoption to operation of public bicycles. As a result, policy support and continuous budget support should preceded for activation of public service designs.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service design guidelines applicable to the whole society through connection of parking policy and utilizing environment of bicycle service designs.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on public service designs is expected to be used for a basic resource for future public service designs, a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various systems and service designs.

      • 자전거 도시의 공공디자인을 위한 자전거 픽토그램연구

        정희정(Jeong, Hee Jeong),강승완(Kang, Seung Wan),문혁(Mun, Hyo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9 디자인지식저널 Vol.11 No.-

        ?;?;세계의 선진 도시국가들은 오늘날 환경과 에너지 등의 절대 요인으로 인하여 자전거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인류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으며 마치 경쟁이라도 하듯이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다. 한국 또한 이러한 흐름에 자전거 이용의 당위성과 필요성이 증가되고 자치제별로 힘을 기울이고 있으나 여러분야 에서의 문제점들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디자인강국 한국'; ';디자인수도 서울';이라 는 세계적인 슬로건을 내세우는 한국의 디자인 역량으로 볼 때 한국의 가로에서 보이는 공공디자인의 수준은 미흡하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분야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며 시각언어인 자전거 픽토그램에 대한 연구로써 한국과 일본 그리고 자전거 선진도시 유럽의 5개국, 룩셈부르크,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 스위스에 대한 직접방문 사례조사와 디자인 전문가집단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여 무분별하게 자치제별로 확산되고 있는 자전거 ';픽토그램';의 개선을 통하여 한국의 자전거 친화와 자전거 중심도시의 정착에 기여하며 한국의 공공디자인 성장에 바탕이 되고자한다. In the developed cities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nowadays, the bicycle has become the important matter of the human race than ever due to the environment and energy issues. Measures to activate the usage of bicycles are proposed as if they are in competition. Along with the trend, necessity and need of the bicycle usage are increasing in Korea as well. Local governments work on the it, but problems in various aspects have to be settled in advance. First is the integration of the system, administration and design. Considering the design ability of Korea with slogans like "Design Leader Korea" and "Design Capital Seoul", level of public design shown in the street is unsatisfying. The research is regarding the bicycle pictogram, which is the communication mean in public design sector and visual language.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visit case study of Korea and Japan, as well as the advanced bicycle cities in 5 European countries ­Luxemburg, Italy, France, UK and Swiss. Upon the case study, I have carried a survey toward the experts and analysed it. The research aims to make Korea as a bicycle-friendly country, contribute to settle the bicycle-oriented city and be the basis of the public design enhancement in Korea, through improvement of the bicycle "Pictogram" that is spreading out by the local governments in unstructured manner.

      • KCI등재

        서울시 무인 공공자전거 대여기의 사용편의성에 따른 디자인 요소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이재웅,김관배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4 산업디자인학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의 무인 공공자전거 대여기의 사용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대여기의 많은 디자인 요소들 중 어떠한 요소가 중요한지 분석적으로 살펴보려는 것이다. 서울시 무인 공공자전거 대여기에서 자전거의 대여와 반납 행위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키오스크, 자전거 거치대와 스마트 단말기, 이 세 가지를 연구대상으로 정하였다. 서울시의 2012년 통계 조사를 근거로 하여 공공자전거 대여기의 주 사용층인 20~30대 일반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일반인 설문 응답자에게 설문에 응답하기에 앞서서 자전거의 대여와 반납을 모두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특정 과제를 준 후,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사용편의성에 중요한 디자인 요소에 관하여 응답자들의 데이터를 기술통계와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서울시 공공자전거 서비스를 확대 실시할 때, 본 연구를 통하여 서울시 무인 공공자전거 대여기의 사용편의성과 관련된 디자인 요소 중에서 중요한 요인에 해당하는 디자인 요소들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 수정 및 보완한다면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사용편의성이 높은 대여기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which design elements are important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city Seoul's automated public bicycle lender machine. We selected three subject of this study: the kiosk, the bicycle rack and the smart device directly related to rental and return of a bicycle from city Seoul's automated public bicycle lender machine. Based on city Seoul's statistics of 2012, we did a survey targeting ordinary male and female in their 20~30's who are the main users of the public bicycle lender machine. Before responding to the survey, we offered an assignment to the people being surveyed to make them experience both rental and return of a bicycle. The gathered data and response to which components of the design which impact the level of usability of the rental users were analyzed by the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When implementing the amplification for the use of Seoul public bicycle service,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data provided in the given research and focusing on the modification as well as of the strengthening primary components and designs to a convenient access of this service, the dispenser can be improved and transformed into a phenomenon both economically efficient and of high use.

      • KCI등재

        자전거 이용 문화 확산을 위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사례연구

        조재승(Jae Seung C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4

        본 논문은 자전거를 이용하는 많은 사람들을 위해공공환경의 경관과 장소를 고려한 다양하고 차별화된신개념 자전거 거치대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자전거 거치대 현황을 고찰하기위해 국내외 정보 D/B 및 네트워크 검색, 논문을 통해 문헌 조사하였고, 이용자의 자전거 거치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FGI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전거 거치대 시스템 디자인 개발을 위해 개념과 재료 및 소재를 구성하고 자전거 거치대의 형태를도심형, 레저형, 키오스크, 거치대 스테이션으로 분류하여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전거거치대 디자인 개발은 디자인 영역에서 환경디자인 기술, 제품디자인기술, 그래픽/멀티미디어 디자인기술 등 각 분야의 전문적 디자인기술을 융합한 종합디자인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시사 하는바가 크다. 둘째, FGI 설문조사 결과를 수렴한 디자인 개발은사용자 경험디자인(UXD; User Experience Design)기술을 통해 인터페이스 디자인(Interface Design)의기술 향상에 도움을 준다. 셋째, 자전거거치대 디자인은 시대에 부응하는 친환경 녹색성장의 대안으로서 공공환경에 부합하는 차별화된 디자인을 개발함으로서 다양한 공공시설에 설치할 수 있고 각 지자체의 관광아이템으로 적용하여Slow city 및 친환경 생태도시의 이동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끝으로 자전거거치대 디자인 개발은 감성품질을 확보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디자인 되어 사용자들의만족을 통한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도 공공 자전거거치대를 적극 활용할수 있는 자전거 산업 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In the paper, novel and distinguished design solutions for bicycle parking system, which are suitable for various location and environmental landscape are suggested. The research methods involve information database search, internet search, and references through paper database for the survey on the present situation of bicycle rack designs and systems. In addition, a series of FGI survey with bicycle user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extant bicycle parking systems. The concepts and their materials were studied, and four types of design were developed including a city type, a leisure type, a Kiosk, and a bicycle rack station.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development of the bicycle parking system design i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otal design including art design, environmental design, product design, graphic and multimedia design. Second, to increase the UXD(User Experience Design) quality, the design concept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FGI survey to improve the interface between bicycle users and bicycle rack system. Third, the development of bicycle parking system will help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install unmanned bicycle parking racks at various public places and sightseeing places as the bicycle is a practical alternative for building energy saving of slow-cities and realizing eco-environment green growth. In addition, the aesthetic quality and convinience of the design will satisfy the emotional and practical wants of the users and is expected to increase the use the bicycle. Furthermore, the governmental bodies can consider to make use of practical design solutions of promoting bicycle use, in order to improve the energy-saving plan, to make better environment, and to increase the life quality of citizens..

      • KCI등재

        연수구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솔루션 제안 - 활성화 정책, 광고이미지, 공공시설물 및 기타디자인을 통한 솔루션 -

        박영주 ( Park Young J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2 No.-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은 이미 전 세계 모두가 인지하고 있고 꼭 풀어야만 하는 숙제이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자동차는 이용자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이에 대안으로 각 나라에서는 생활 자전거 이용이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자전거 이용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몇몇 도시들은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들은 증가하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해서는 미미한 실정이며 자전거 이용에 대한 인식개선이 절실한 실정이다. 서울시는 이미 대대적인 자전거도로의 설치와 홍보를 시행하였고 여타 지자체에서도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유독 정책이 뒤쳐지고 있는 인천 시에서는 자전거 활성화를 위해 비교적 소득 수준이 높고 도로가 넓어 실현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인 연수구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연수 구에서는 인천 시에서 가장 긴 자전거 도로를 설치하고, 자전거 이용 관련 전담부서를 두고 행정적 지원을 하는 등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자전거 이용자수는 아직 기대에 미치지 못한 수준이다. 그 원인으로는 빈번한 자전거 도난문제와 구민들의 인식결여, 자전거 주차 문제, 자전거도로의 연속성 결여 문제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연수구의 자전거 이용을 더욱 활성화하고 많은 문제점의 극복을 위해 국내외 자전거 활성화를 위한 국내외 정책 사례 분석을 하고 연수구에 맞는 솔루션을 연구하였다. 솔루션은 자전거 타기 활성화를 위한 5가지 아이디어의 제공과 자전거 타기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광고캠페인 전개, 자전거 이용 시 편의 제공을 위한 공공 시설물 디자인 및 기타 디자인의 제공을 통해 제안한다. The seriousness of global warming is well recognized by the whole world and a task that must be tackled by all. Automobiles, a main culprit of global warming, have been more utilized and as an alternative to this, many counties are turning their eyes on bicycles. Likewise, South Korea also well understands the necessity of bicycle use and several Korean cities have operated policies to stimulate bicycle use. Thanks to such efforts, people using bicycles are growing but still at a small level compared with advanced countries. In this context, awareness on bicycle use in the country needs to be far improved. Seoul city has already established large-scale bicycle roads and its public promotion followed by other local governments of the country as well. Incheon city, with particularly slow progress in bicycle use promotion policies, looks at Yeonsu-gu as an appropriate place for practical bicycle use with higher income level and wide roads. Yeonsu-gu has installed the longest bicycle road in Incheon city and placed a department for bicycle use, providing administrative assistance along with many other efforts. However, the number of bicycle users is still less than an expected level. Reasons found were frequent bicycle loss, lack of local residents` awareness, bicycle parking problem, poor bicycle road continuity, etc. To further stimulate bicycle ride in Yeonsu-gu and address more problems, the author of this research examined many external and internal bicycle stimulation policy case examples and explored more customized solutions for Yeonsu-gu. The solutions herein are presented as 5 different ideas, an advertisement campaign for positive image setup about bicycle riding and public facility designs and other designs for the convenience of bicycle users.

      • 자전거 교통사고와 자전거 관련 인프라의 관계성 탐색

        최민선(Min Seon CHOI) 경희대학교 학술단체협의회 2023 高凰論集 Vol.73 No.-

        본 연구는 탄소 배출 절감을 이끌 수 있는 친환경 교통수단인 자전거의 교통사고 발생 현황을 살펴보고, 회귀분석을 통해 사고에 미치는 요인을 탐색한다. 자전거 교통사고는 운전자 대부분이 보호 장비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고 빠른 속도로 주행하기 때문에 중상이나 사망과 같은 위험이 있어 이에 관한 연구 및 예방이 필요하다. COVID-19로 인해 2019년부터 자전거 이용이 늘어나며 자전거도로도 확장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공유의 개념이 활발해지며 교통수단을 직접 소유하는 것이 아닌 ‘공유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났으며, 대표적인 공유 모빌리티인 공공자전거 이용이 급증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전거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생활인구, 자전거도로, 공공자전거 이용 건수를 변수로 선정하고 분석을 통해 관계성을 파악하여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Bicycles are an essential means of transportation for reducing carbon emission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bicycle traffic accidents and various factors. Bicycle traffic accidents require research and prevention because there is a risk of serious injury or death because most drivers drive at high speeds without properly wearing protective equipment.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the use of bicycles has increased, and bicycle paths have also been expanded.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shared bicycles over the last several years. Therefore, in this study, I used the number of living population, bicycle roads, and shared bicycle uses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o identify critical factors for bicycle traffic accidents.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공공자전거 따릉이의 이용특성에 대한 연구 - 서울특별시 노원구 대여소를 중심으로 -

        강경희,정진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시에서는 공공자전거 따릉이와 대여소를 운영 중이다. 대여소 설치 단계에서는 이용자의 행태를 조사하는데, 기존의 조사는 이용목적을 파악할 수 있는 실제적인 이동경로와 방문장소를 다루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이용 특성, 이동경로 시각화 분석을 함으로써 현행 조사의 한계를 보완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대여이력 공공데이터를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대상지는 서울시 노원구, 시간적 범위는 2017~2019년으로 설정하였다. 문헌고찰을 통해 공공자전거의 개념과 국내 공공자전거의 운영 현황에 대해 살펴보였다. 그다음 대상지 내의 주요 대여소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을 하였으며 연도별로 상위 3개 대여소를 도출하였다. 이용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인구통계적 특성, 주변 시설 현황, 이동경로, 방문장소를 조사·분석하였다. (결과) 1) 연도별 중심성 분석 결과 7호선 인근 대여소의 중심성이 높았으며, 해마다 이동 반경이 증가하였다. 2) 주요 대여소는 주거, 여가, 상업, 교통시설 등 기반 시설이 밀집된 곳에 있었다. 3) 주요 대여소의 이용자는 같은 대여소에 대여·반납하는 빈도가 높았으며, 대여·반납 대여소 일치 여부에 따라 이용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4) 다른 대여소에 반납할 때 70%는 10분 이하, 2km 이내의 짧은 거리를 이동하였으며, 같은 대여소에 반납할 때에는 30분 이상 대여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용 시간보다 비교적 짧은 거리인 2~4km를 이동했다. 이는 이용 중 정차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5) 방문장소의 차선 규모는 1, 2차선, 건물 용도는 상업용, 주거용, 미분류 같은 여러 건물들이 혼재되어 있다. (결론) 본 연구는 실제 이동경로를 분석함으로써 따릉이가 좁은 골목길에 위치한 장소를 연결하는 교통 연계수단으로 활용되며 상권 활성화와 시설 편중, 교통체증 해소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대여소 이용행태 파악에 있어서 현행 조사의 한계를 사회 네트워크 분석과 시각화 분석이 해결할 수 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이용특성과 이용목적을 파악하였다는 데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o solve urban problems, Seoul operates Ttareungi and rental stations for public bicycles. In the installation stage, the behavior of users was investigated, but the existing survey was limited as it did not deal with actual movement routes and places of visit that could identify the purpose of u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by using public data to analyze the centrality of social networks, characteristics of use, and visualization of movement routes. (Method) In this study, public data on rental history were used as the research data. The target location was Nowon-gu, Seoul, and the time range was 2017-2019.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public bicycles and the current state of their operation in Korea were determined. Next, a social network centra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ajor rental stations within the target site, and the top three rental stations were derived by year.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us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atus of surrounding facilities, movement routes, and places of visit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Results) 1) In the analysis of centrality by year, the centrality of rental stations near Line 7 was found to be high, and the radius of movement increased each year. 2) Major rental offices were located in densely populated areas, such as residential, leisure, and commercial area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3) Users of the major rental stations frequently rented and returned to the same rental station,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usag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whether the rental and return stations were the same. 4) When returning to another rental station, 70% of the users traveled a short distance of less than 2 km that could be reached within 10 min. When returning to the same rental station, users often rented for more than 30 min and moved 2 to 4 km, a relatively shorter distance than the usage time. This can be expected to cease during use. 5) The lane size of the visiting location was one or two lanes, and the use of the building was mixed with place of visit including commercial, residential, and unclassified buildings. (Conclusions) By analyzing the actual movement routes, this study found that Ttareungi is used as a transportation link to connect locations in narrow alleys, revitalize commercial areas, and relieve the concentration of facilities and traffic conges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onfirmed that social network and visualization analysis can solv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urvey by identifying the usage behavior and purpose of rental stations.

      • KCI등재

        계절 및 회원 특성이 공공자전거 통행에 미치는 영향분석 : 서울시 따릉이를 대상으로

        장재민,이숭봉,이영인,이무영 한국도로학회 2018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20 No.4

        PURPOSES: Seoul introduced public bicycles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reate a healthy society. Because the use of bicycles is highly weather dependent, and bicycles are rented by the people, member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influences should be considered. This study analyzed bicycle traffic characteristics considering seasonal and member characteristics and highlighted some implications. METHODS: The Yeouido and Sangam districts, which have multiple business districts, were taken as the areas of interest. In order to reflect seasonal and membership characteristics, the traffic volume, time of us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zone were categorized by season (spring, summer, autumn, winter) and membership type (season, daily, group).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attern of traffic volume and usage time according to the traffic purpose after separating rental locations into residential, business, subway, and park, reflecting the land characteristic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seasonal characteristics were high for bicycle traffic, time of use, and occupancy rate for park locations in spring and autumn. In terms of membership characteristics, group and daily users appeared as major visitors for park locations, and the trends of commuter pass users showed that bicycle use meets the purpose of introducing public bicycles. CONCLUSIONS: Traffic characteristics differed according to seasonal and membership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involve and extend the users of the commuter pass. Situations in which commuter pass users cannot function as a group or in which daily users monopolize bicycles (especially near parks, near subway stations, etc.) must be avoided.

      • KCI등재

        효율적인 공공 자전거 재배치를 위한 실시간 자전거 수요량 기반의 HDPRA 기법 제안

        윤은옥(Eun-Ok Yun),김강민(Kang-Min Kim),박혜성(Hye-Sung Park),정성욱(Sung-Wook Chung)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4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2

        현재 여러 나라에서 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자전거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접근성을 늘리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창원시 공공자전거 누비자 서비스를 소개하고 누비자 자전거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한 최우선 재배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작위로 터미널을 방문하여 재배치하는 알고리즘과 현재 위치에서 가장 짧은 거리에 있는 터미널을 방문하여 재배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 방법과 비교하여 더 효율적임을 설명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최우선 재배치 방법은 주위 터미널 중 수요가 가장 높고 거리가 가장 짧은 터미널부터 방문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최우선 재배치 방법이 트럭이 운행한 총 거리 평균 817.44km로 가장 낮은 비용을 보이고, 대여 성공 평균 횟수 6437.45회, 88.14%로 가장 높아 두 알고리즘보다 우수함을 보여준다. Currently, various countries are enhancing accessibility by providing bicycle rental services for convenient usage within daily life. This paper introduces the Nubija public bicycle service in Changwon, South Korea, aiming to address the imbala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Nubija bicycles. We propose a Highest Priority Reallocation Scheme to prevent this disparity. Comparing this scheme with others that randomly visit terminals for redistribution and those that prioritize terminals closest to current locations, we illustrate its superior efficiency. Our proposed Highest Priority Reallocation Scheme prioritizes terminals with the highest demand and shortest distances nearby. Through experiments, our proposed scheme demonstrates superior performance, with the lowest average of 817.44km distance and an average of 6437.45 times, i.e., 88.14% successful rental occurrences. This highlights its superiority over the other two algorithms.

      • KCI등재

        개화기~일제강점기 서울의 자전거 교통

        홍금수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3 문화 역사 지리 Vol.35 No.1

        The time-space convergence of the modern era led to the coming of mobile society. It was the neotechnics of bicycles, streetcars, and automobiles that drove modernizing Seoul to witness a wide-ranging transformation in both urban structure and cityscape. Unlike tram cars, which accommodated commuting Seoulites, the bicycle as a private means of transportation was entwined tightly with their daily lives. Analysis of contemporary documents identified F. Borioni and P. Lansdale as the earliest carriers of the wheels in Incheon and Seoul, respectively. Along with diplomats, missionaries, medical practitioners, and educators, the Progressive joined the group of early adopters of bicycles. Aided by mass production in Japan in the early 20th century, bicycles diffused over the webs of outlets of selling agents. The data show that the boulevard heading north from the South Gate through Honmachi to Jongro was the most crowded in terms of bicycle traffic. The colonial modernity of bicycles embraces the modernizing projects of commodity fetishism, the postal system, the cycle race, and urban tourism in justifying the cultural hegemony of Imperial Japan. It helped, however, to put gender politics on the right track and institute modern ways of seeing the landscape as phantasmagoria. 근대의 시·공간수렴은 시간의 잠재력을 증대시키고 공간 지평을 확대함으로써 모빌리티의 비약적 신장을가져왔으며 그에 상응한 지역구조의 재편을 이끌었다. 서울 도시구조의 변화를 추동한 일차적 원인은 시가 교통에 적용된 신기술로서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에 도입된 자전거, 전차, 자동차로 구현되었다. 대중교통을 대표한 전차 및 승합자동차와 달리 자전거는 시각과 노선의 제약에 구애됨이 없이 식민도시 경성의 일상에 깊숙이 침투하여 사적 시간지리 전개의 동인으로 작동하였다. 1883년 무렵 해관원 보리오니에 의해 인천에 상륙한 자전거는1884년 말 랜스데일을 통해 서울에 첫선을 보인다. 주한 외국인 공관원·선교사·의료인·교육자와 서구를 직·간접경험한 개화 인사는 도입 초기의 보급을 주도하며, 일본 내 자전거 자체 제작이 가능해지는 시점에 수입·판매점을통해 급격히 확산하여 일상의 교통수단으로 입지를 다진다. 자전거 교통량은 일본인의 주거지와 업무중심지를잇는 가로를 따라 집중하여 남촌과 북촌, 본정통과 종로의 이원성을 재현한다. 제국의 상품으로 소비된 자전거는우편·스포츠·도시관광 등 근대화 프로젝트에 동원되어 지배에 동조하지만, 동시에 민족의식을 고양하고, 민족주의 서사에 묻힌 여성해방의 표상을 자임하는 한편, 국토를 파노라마로 경험하는 근대적 경관 조망을 체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