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서브퀼(SERVQUAL)모델을 이용한 상호작용(Interactivity) 연구

        손상희(Shon, Sang Hee)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1

        현대인들은 심리적 만족을 추구하기 위해 다양한 문화체험을 즐기고 있다.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면서 문화체험에 대한 요구사항도 증가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정부 주도적 문화체험 브랜드들은 고객중심 전략적 접근, 촉진성이 비효율적이라는 의견이 높다. 이러한 공공성이 높은 문화체험 브랜드들은 서비스의 직접적 반응 또는 수용을 극대화 하고자 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문화체험 브랜드 직접적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웹사이트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들은 전무하다. 또한 운영주체자들의 서비스를 개선하고 활성화하고자 하는 인식 자체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체험 브랜드의 직접적 커뮤니케이션 채널인 웹사이트의 상호작용 요소들을 내용 분석하였다. 문화체험브랜드 웹사이트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서브퀼(SERVQUAL) 모델에 적용하고 디자인 및 상호작용적 요소 등을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화체험 브랜드에 대한 특성 정보성은 두드러진 반면에 상호작용성을 잘 활용하고 있는 사이트는 일부분이었다. 공공의 부문에서의 문화체험 브랜드의 서비스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성을 높이는 전략적 디자인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modem people are enjoying various cultural experiences to pursue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As consumers who invest much time and resources increase, the demands for the cultural experience also increase. However, there are many opinions saying that for the public-lead brand for the cultural experiences, customer- centered strategic approach and the promotion are inefficient. For such quasi-public brand for the cultural experiences, the efforts that try to maximize the direct reaction or acceptance for the service are very important. Studies on the interactivity of web site which could derive a direct reaction of such a respect are insufficient. Moreover, the awareness itself that the main agents for the operation intend to improve and activate the service is also lacking.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web site which is the direct communication channel for the brand for cultural experiences, it applied main constituents of web site to SERVQUAL model and examined it with design and interactive constituents as the priority. As a result of that, while the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the brand for cultural experiences was prominent, the sites which is using the interactivity well were partial. It suggests that to promote the service of brand for cultural experiences in the public sector, finding a strategic design that enhances the interactivity is needed.

      • KCI등재

        지역 문화콘텐츠의 물리적 홍보 파급효과 분석

        손상희(Sang-Hee Sho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3

        문화콘텐츠는 지역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역사적 가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방문객을 지역으로 유입하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한다는 점에서 관심이 높다. 같은 맥락에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특화거리 조성은 시민과 소통하고 도시의 문제를 융합하는 역할을 한다. 새로운 공간 조성을 우선하기보다 지역이 가진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사업이다. 이에, 문화콘텐츠는 지역민에게 친근하고 공감할 수 있는 집약된 경제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정부와 지자체 사업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노력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콘텐츠의 반영이 얼마만큼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콘텐츠가 적용된 특화거리는 고용유발 승수, 취업유발 승수, 수입 승수, 세수 승수 관광산업이 서비스업보다 집약적인 사업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서비스업은 생산유발승수, 소득유발승수, 부가가치유발승수, 관광산업의 전·후방 연쇄효과(영향력 계수, 감응도 계수)가 집약적인 승수로 추론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콘텐츠를 접목한 특화거리 조성이 지역의 경제적 시너지효과와 관계함을 제시하는 것이다. Uti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is more and more increasing as it is believed to improve local problems and provide historical values. This kind of business is positive in terms of the fact that it attracts visitors into local areas and activate local commercial areas. Under this trend, the construction of specialized streets is required to be approached with first priority to solve problems of cities. So to speak, its more important to solve intrinsic problems found in local communities and then approach cultural contents step-by-step rather than constructing new spaces with first priority. Moreover, cultural contents should accompany economic aspects which result in local community-friendly and sympathetically concentrated values. Under this sentiment, the efforts to suggest economic ripple effects for government․local government’s businesses using cultural contents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 analyzed how much economic ripple effects is yielded by reflecting cultural contents. As the result of analysis, specialized street with cultural contents applied are proved to be more concentrated on multiplier of expediting employment, income and tax and tourism industry than service industry. On the contrary to this, service industry showed more concentrated multiplier of expediting production, income, added values and chain reaction effect (coefficients for influence and sensitivity for front and rear side of tourism industry. Based on these results, construction of specialized streets with cultural contents applied is proved to help synergy effects for local economy.

      • KCI등재

        일상공간과 지역문화가 융합한 상징조형물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

        손상희(Shon, Sang H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지역 주민이 주로 이용하는 일상공간에 조형물을 설치하는 경우 주변의 역사적 콘텐츠를 어떻게 담아 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 시민들이 생활속에서 공유하고 있는 장소 중에서 교량을 물리적 작용 장소로 보고, 지역 정책적 방향에 적합한 상징조형물 개발을 연구범위로 하였다. 연구를 통해 지역의 일상화 공간인 교량이 문화스토리가 담긴 상징조형물로 재구성하는 타당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결국, 스토리가 담긴 교량 상징조형물이 지역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지역경제활성화 매개 공간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국내외 대교의 상징조형물 기능과 역할을 문헌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비교하였다. 둘째, 상징조형물의 스토리텔링 적용 및 전략 방안을 모색하였다. 셋째, 지역문화와 스토리텔링이 융합한 상징조형물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다원주의 개념을 도입한 미학적인 측면에서 지역 상징조형물과의 관련성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여주대교 상징조형물은 도자라는 실재적 스토리를 널리 알리고 스토리 대상을 지역으로 유입시키면서 창조되는 지역자원의 활성이 가능하였다. 더 나아가 실재하는 역사적, 문화적 스토리를 대상물에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스토리텔링을 강화하는 과정으로 발전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최근 공공 상징조형물이 무분별하게 건립되면서 예산 낭비라는 인식이 지배적인 인식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요소로 볼 수 있었다. 상징조형물은 지역의 자원을 인문학적 개념(스토리텔링)과 연결하여 물리적인 시각물로 도출하는 지속적인 노력이 있다면 긍정적 가치 대상이 될 것이다. 문화를 매개로 하는 지역콘텐츠의 활용, 주변 환경의 개선은 지역경쟁력를 활성화하는 요인임을 할 수 있었다. 만약에 지역문화를 지속적으로 널리 알리고, 시민이용 환경의 질적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상징조형물의 스토리텔링은 지역브랜드를 강화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incorporate historical contents if sculptures are installed in the everyday space that is mainly used by local residen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area was the development of symbolic sculpture suitable for the local policy direction by regardin bridges as the physical action place among the places that local residents share in their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easibility of reconstructing a bridge, which is ordinary space of a region, into a symbolic sculpture containing a cultural story. Finally, it was expected that the bridge symbolic sculpture containing a story would be utilized as a space for local economy activation that can spread the region widely.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the symbolic sculpture function and role of big bridges at home and abroad were reviewed and compared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Second, the storytelling application and strategy of symbolic sculpture were sought. Third, the applicability of symbolic sculpture which combined local culture and storytelling was proposed. To this end, we discussed the relationship with local symbolic sculpture in terms of aesthetics that introduced the concept of pluralis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Symbolic sculpture, the Yeoju Bridge spread the real story of ceramic and brought in the story object, enabling the activation of the created local resources. Furthermore, it was able to develop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storytelling by continuously reflecting the actual historical and cultural story on the object. Recently, public symbolic sculptures have been constructed thoughtlessly and it can be seen as a factor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dominant perception of waste of budget. Symbolic sculpture will be a positive value object if there is a continuous effort to link the resources of the region with the humanistic concept (storytelling) and draw it into the physical visual object. It can be seen that the utilization of local contents through the culture, and the improvement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ere the factors that activate local competitiveness. If we want to continuously promote local culture and improve the quality value of the environment citizens are using, storytelling of symbolic sculpture will be an important factor for strengthening local brand.

      • KCI등재

        대기 환경이 미치는 제품디자인에 관한 분석

        손상희(Shon, Sang H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2

        오늘날 기후 환경 변화에 따른 대기환경에 대한 관심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황사마스크, 공기청정기, 손 세정제, 소독제 등 매출 성장률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배경에서 대기환경 대응 제품들은 소비자의 불편사항을 우선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황사마스크 품목별 심사 및 허가 사항에 대한 결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디자인 개발에 주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황사마스크는 분진포집효율시험, 안면부 흡기저항시험, 누설률 시험등의 시험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질 차단을 우선시한다. 마스크 기준 규정에 대한 준수사항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황사마스크 제품디자인에 따라 발생하는 소비자 불편사항을 해소해야 한다. 이에 기존황사마스크 제품디자인 구성 요소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분석방법은 황사마스크 제품디자인 분석을 위해 인터넷 검색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논문 및 단행본 등 문헌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를 통해 몇 가지의 적용 내용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한국쓰리엠과 유한킴벌리 황사마스크 제품디자인은 하드쉘을 적용하기보다 접이형태에 따라 착용 시 밀착력과 사용성을 강조하였다. LG생활건강과 웰킵스 황사마스크 제품디자인은 하드쉘을 적용하였다. 모나리자의 경우는 점선분리구조로 디자인하여 착용감을 확대하고, 착용 시의 밀착력과 사용성을 효율적으로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황사마스크 기준 등급에 의해 사용성을 평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몇 가지 적용내용을 도출 할 수 있었다. 황사마스크는 선택이 아닌 필수품이 되면서 투박한 황사마스크 제품에 대한 요구, 끈 연결, 콧등 디자인 등을 적용한 디자인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황사마스크 제품을 이용하는 소비자를 설문조사하거나 이용자의 체형을 고려한 디자인 등의 기틀을 제공하여야 한다. 소비자의 불편사항을 줄이고, 폭넓은 선택성을 주기 위해서는 다양한 체험에 맞는 제품디자인 연구에 관심을 두기를 제언한다. Today, the interest in the atmospheric environment due to climate change is increasing. These phenomena increased sales growth, including yellow dust masks, air purifiers, hand cleaners, and disinfectants. In this context, products that respond to the atmospheric environment need efforts to improve the inconveniences of consumers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design to maximize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and permits of the yellow dust mask items. The yellow dust masks have a priority in blocking the foreign matter sucked from the outside through tests such as dust collection efficiency test, face air intake resistance test and leakage rate test. In order to maximize the compliance with the mask standard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consumer inconvenience caused by the yellow dust mask product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sign elements of existing sand mask product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For the analysis of the yellow dust mask product design,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search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literature such as theses and monograph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veral applications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Korea 3M and Yuhan Kimberly yellow dust mask product design emphasized adhesion and usability when worn according to folding type rather than hard cell. LG Life health and Welkeeps Hwangsam yellow mask product design adopts hard shell. In the case of the Monalisa, it was designed with a dotted line structure to expand the fit, and to provide effective adhesion and usability when wor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the usability was evaluated by the yellow dust mask standard grade. Through this study, some applications were derived. As the yellow mask becomes a necessity rather than an option, design guidelines should be prepared by applying the demand for the rough yellow mask product, string connection, and nose design. And it should provide the basis such as questionnaire survey of consumers using sand yellow mask product or design considering user’s body shape. To reduce the inconveniences of consumers and to offer a wide range of choices, it is suggested to focus on studying product design for various experiences.

      • KCI등재후보

        블로그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손상희(Shon, Sang Hee)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3

        최근 블로그 정보의 생산주체가 민간의 영역에서 공공의 영역까지 이용이 확대되었다.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블로그들은 주로 민원 서비스의 역할하고 있으며, 정책홍보를 위해 블로그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1인 미디어 역할을 중심으로 하는 저널리즘과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논의되어 왔다. 반면, 공공분야에 대한 심층적인 학문적 접근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과 공공 블로그 두 가지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인의 블로그들은 능동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하기 위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개진한다. 이는, 컨텐츠의 질을 강화할 수 있다. 공공의 블로그는 시민기자단이 컨텐츠를 생성하고, 공공기관에서 검토하여 반영한다. 이러한 차이는 블로그의 컨텐츠에도 반영될 것이다. 따라서 두 블로그에서 나타나는 특성에 있어서도 차별성이 존재할 것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블로그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요소, 컨텐츠 특성 요인, 디자인 체험 측면에 주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민간과 공공의 블로그들은 디지털 스토리텔링 요소 상호작용성(댓글, 태그)이 잘 활용되고 있었다. 컨텐츠 특성요인 중에서는 정보제공성과 친밀성이 잘 활용되고 있다. 반면, 공공블로그들은 디자인 체험 측면이 민간 블로그보다 체계적이며, 기획된 아이템, 아이콘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블로그를 다양한 측면에서 커뮤니케이션하는 실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The producers of information in blogs have been expanded into public area from private in recent time. The public blogs mainly are playing a role in civil service offer. And the blogs are used actively to publicize policies. Most of studies have been discoursed on the role of personal media in the field of journalism and marketing communications. On the contrary, there is no academic approach about the blogs in public fields. This study trie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vate and public blogs. Personal blogs express their idea and opinions more aggressively to induce active communications. This fact may raise the quality of contents in blogs. In the public blogs the contents are reviewed and posted after they have been produced by citizen journalists. These differences are supposed to be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blogs. Therefore this study begins to raise critical issue that there may be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between private and public blogs.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focusing the elements of digital storytelling, the factors in characteristic of contents and the aspect of design experience.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the interaction ? comment, tag etc. which is one of the storytelling factors has been made full use. In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contents, the information offering and the intimacy elements are practiced well. On the other hand, design experiences in the public blogs are more systemic than those of the private and use planned items and icon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of presenting operational guideline for diverse communications in blogs.

      • KCI등재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자율능력 간의 상호작용 검증

        손상희 ( Shon Sang Hee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6 No.-

        본 연구는 캡스톤디자인을 수강하는 디자인 전공 학습자를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자율능력이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자율능력이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함께 연구하였다. 더욱이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온라인 원격강의로 운영한 학습환경을 연구함으로써 원격강의 캡스톤디자인 학습자의 학습능력 변인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I전문대학교 디자인전공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수강자를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자율능력 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가설 1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자율능력 간에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학습자에게 학습자율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배양하도록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가정할 수 있었다. 연구가설 2를 살펴보면,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온라인 원격수업환경에서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를 추론할 수 있게 한다. 캡스톤디자인 온라인 원격수업은 학습자에게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발휘하는데 학습성취도와 관계하지 않으며, 둘째, 학습자율능력도 온라인 원격수업환경에서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캡스톤디자인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자율능력만으로는 학습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가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온라인 원격강의에 대한 학습자의 외생변수와 내생변수들이 학습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양한 변수를 대입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elf-regulating learning ability and self-reliance ability interact with design major learners who take capstone design. We also studied how self-regulating learning skills and self-reliance skills affect learning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ability variables of capstone design learners of remote lectures by studying the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capstone design subjects were operated by online remote lectures.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of the Capstone Design curriculum majoring in design at I College to see how it affects their self-regulating learning skills and self-discipline skills.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self-regulating learning skills and learning autonomy skills. It could be assumed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learners to consider cultivating self-regulating learning skills in order to improve their autonomy. Research Theory 2 shows that self-regulating learning capabilities have not shown significant results in learning satisfaction in an online remote class environment. These results enable two inference: Capstone design online remote classes were not related to learning outcomes in exerting self-regulating learning skills to learners, and second, learning autonomy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satisfaction in the online remote learning environm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for successful learning of capstone designs, learners' self-regulating learning skills and learner autonomy alone are difficult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follow-up research suggestions are as follows.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f learners' exogenous and endogenous parameters for online remote lectures, and how they affect their learning outcomes.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공공재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공공자전거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손상희 ( Shon Sang Hee ),윤형숙 ( Yoon Hyung Sook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2 No.-

        최근 도시가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역기능적 요인을 개선하고, 순기능을 부여하는 노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도시의 기능을 회복하고자 하는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이 새롭게 주목받는데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공공재로서의 공공디자인, 시설물디자인 등이 있는데, 이러한 디자인들은 시스템과 결합된 설계 및 서비스의 개선 방법들이 새롭게 적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서비스디자인은 점차 제품의 서비스화 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제품화가 강조되면서, 소비자 중심의 요구를 반영한 결합형 디자인을 필요로 한다. 다만, 급속도로 빠르게 변화하는 서비스경제 속도가 소비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연구함으로써 서비스디자인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공공서비스디자인 적용사례 중에서 자전거를 중심으로 사례연구 및 이론고찰 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자전거 공공서비스는 자동차가 중심인 도시공간에서 제한적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거점지역과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공공자전거의 도입부터 운영까지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다는 점에서 정책의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결국, 공공서비스디자인이 적용되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과 지속적 예산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차정책, 자전거서비스디자인의 이용환경 연계 등을 통한 사회 전반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디자인 가이드라인 제공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향후 본 공공서비스디자인 연구는 공공서비스디자인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제반된 제도 및 서비스디자인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s urban areas are developed and changed recently, it becomes important to improve factors of adverse effects and to grant proper function. This is attributed to new attention of the importance of service design to recover the function of urban areas. The service design includes public design and facility design as public goods, and planning and improvement methods of services that are combined with systems are applied to these designs. The service design requires combined designs with consumers' needs reflected as services of products and products of services are gradually emphasized.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speed of service economy that is rapidly changing can't reflect consumers' needs enough.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rvice design and to try to activate continuously.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methods to reinforce the proper function of service design by researching public service design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this study was processed focusing on case studies and theory consideration of bicycles among application examples of public service design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ublic service of bicycles is done restrictively in urban areas with automobiles centered, and it is frequently used mostly at lodgement areas and adjacent areas. In addition, the policy intention has a great impact in that it is supported by public institutions from adoption to operation of public bicycles. As a result, policy support and continuous budget support should preceded for activation of public service designs.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service design guidelines applicable to the whole society through connection of parking policy and utilizing environment of bicycle service designs.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on public service designs is expected to be used for a basic resource for future public service designs, a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various systems and service designs.

      • 시민참여를 위한 홍보관 전시 계획에 관한 연구 - 역사적 콘텐츠를 중심으로 -

        손상희 ( Shon Sang Hee ),신내경 ( Shin Nae Kyeo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7 전시디자인연구 Vol.14 No.2

        최근 정부기관은 시민과 소통하기 위해 정책적 방향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관련된 전시공간의 성격을 살펴보면, 기관의 정책적 방향을 알리는 내재적 목적을 실천하기 위해 다양한 시민의 참여를 중요하게 여겨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 및 정부기관의 홍보관은 형식적인 정책의 제시, 정보 전달 패널이 지나치게 강조되어 시민의 참여도가 저조하다는 평가이다. 기관의 정책 홍보에 치중한 형식적인 전시구성 및 운영에 대해서는 비판적이라는 점에서 시민의 참여를 유도하는데 한계적이었다. 이에 정책홍보라는 내제적 목적으로 운영되는 전시공간은 시민이 참여하는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민참여 홍보관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 유사 홍보관의 전시내용과 구성을 살펴보고 시민이 참여하는 공간으로 활성화 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시민참여 홍보관 전시구성의 대안을 결과로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정부기관의 정책홍보는 역사적 인물, 기념성, 역사성, 정책적 특성이 전시내용과 어떻게 융합 구성되어 차별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평가이다. 문제해결의 하나로 역사적 자료 또는 교육적 내용과 융합한 물리적 전시공간을 도출하는 방법이 있다. 내재적 홍보 가치를 획일적으로 강조하기보다 다양한 시민이 참여할 수 있는 가치를 강조하는 시도는 바람직하다. 전시 가치를 향상시키는 노력을 통해 조직의 긍정적인 이미지 구현이라는 부가적인 목적도 부응할 수 있다. 연구를 통해 정부기관 홍보관의 차별화를 고민하고 시민이 참여하는 지속적 공간으로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Recently,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citizens, the government agencies are attempting diverse methods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of policies. Reviewing the character of the relevant exhibition space, to practice the inherent purpose of informing the institutional direction of the agency, the participation by diverse citizens has been considered as important. However, most of the promotion centers of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 agencies have excessively emphasized the presentation of formal policies and panels to deliver information, so that citizens' participation is very low. It was limited to induce citizens' participation as they were critical of the composition/operation of formal exhibitions focusing on agencies' policy promotion. Thus, it would be advisable to reflect the contents of citizens' participation to promotion centers with the inherent purpose of policy promotion.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measures to activate civic participation-based promotion centers. Examining the exhibition contents and composition of domestic similar promotion centers, it was reviewed if they could be activated into space where citizens participate. Also,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the alternative of exhibition composition of civic participation-based promotion centers was drawn as a result. The differentiated policy promotion of government agencies would be depending on how historical features, monumentality, historicality, and characteristics of policy are converged with exhibition contents. As a solution, it is to draw a physical exhibition space converged with the historical data or educational contents. Instead of uniformly emphasizing the inherent value of promotion, it would be more advisable to emphasize the value of diverse citizens' participation. Through the effort to improve the exhibition value, the additional purpose such as the realization of positive image of organizations could be achieved as well. This study aimed to consider the differentiation of promotion centers of government agencies, and also to seek for measures to activate them into space where citizens continuously participate.

      • KCI등재

        지역문화축제 프로그램이 방문객 만족도 및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손상희(Shon, Sang H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전국의 많은 지자체들은 축제를 매개로 지역의 자긍심과 유대감을 고취시키고자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 매년 개최되는 행사인 경우 당해년도 관계자와 참여자들의 만족도가 추후 개최되는 행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관심이 높다. 그리고 성공적인 행사의 기준은 대외적으로 인식되는 평가, 방문객수에 의해 평가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축제프로그램 내용과 방문객 서비스품질 만족도 조사를 통해 지역민과 방문객의 방문 만족도의 향상 및 지역이미지 제고 그리고 재방문률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여주도자기축제 프로그램이 서비스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축제를 방문하는 지역민과 방문객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주말과 주중으로 나누어 축제장에서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여주도자기축제에 참여하는 방문객의 특성 및 축제 방문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여주도자기축제 프로그램 선호도 및 서비스품질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셋째, 검증된 종합적인 내용에 따라 축제 개최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이 무엇인지 방안의 도출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축제 정보 및 방문특성을 보면 사전에 경험한 정보에 영향을 받고 축제장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거리에 있는 방문객일수록 홍보물(현수막 등)의 매체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자기 구매를 촉진하는 전략은 도자기축제에 대한 평상시 관심도와 관광 및 여가 두가지가 지역축제 방문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추정되었다. 셋째, 전시행사, 도자기체험, 판매행사, 이벤트⋅공연행사 등은 관람객의 축제 만족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이었다. 넷째, 서비스 품질 요인이 도자기축제 만족도 수준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추정되었다. 전국의 많은 지자체는 도자기라는 매개를 주제로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지역마다 축제의 정체성을 차별화하는 방법은 축제 프로그램과 서비스 품질의 개선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축제의 방문률을 높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관광요소를 연계할 필요가 있으며, 평상시 축제 관심을 유발하는 프로그램의 운영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였다. Many local governments throughout the country operate diverse programs to foster local pride and bonds through festivals. Most of the events held annually are of high interest because the satisfaction of the persons concerned and participants in the year affects events to be held in the future. And the criteria for successful events are also assessed by the outwardly recognized assessments and number of visi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visit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and visitors, enhance the local image and increase the re-visit rate through festival program contents and visitor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survey. To find out the effect of Yeoju Ceramic Festival Program on the service satisfaction, we conducted a awareness survey targeting residents and visitors visiting the festival.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festival venue at weekends and weekends. Specifically,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s participating in the Yeoju Ceramic Festival and characteristics of festival visits were identified. Second, the preference of Yeoju Ceramic Festival programs and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were examined. Third, the strategies to influence the festival holding were derived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proven comprehensive information.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festival information and visit characteristics, visitors were found to visit the festival venue by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previously experienced and those who are close to the venue were found to be more affected by the medium of the promotional materials (such as the banner etc.). Second, as a strategy of promoting the purchase of ceramics, everyday interest in ceramics festivals and both tourism and leisure were estimated to be the factor of increasing the visit rate of local festivals. Third, exhibitions, ceramics experience, sales events, events and performances were positive in rais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visitors. Fourth, the service quality factor wa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ceramics festival. Many local governments throughout the country hold festivals with the medium of ceramics. It was found that improving the festival programs and service quality is an important factor to differentiate the festival"s identity in each region. In order to raise the visit rate of the festival and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it was suggested it is important to link the tourist factors of the region and operate the programs that cause the usual festival interest.

      • KCI등재

        중소도시 간판개선 사업 진행에 따른 옥외광고물 표시 방안 연구

        손상희(Shon, Sang H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오늘날 중소도시는 경제적 성장만을 강조한 정책으로 무방비로 방치된 물리적 요인들이 문제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따른 법률 틀에서 관리하고 규제하고자 하지만 실행의 어려움이 있다. 즉, 지역의 가로환경이나 지역문화 정체성을 반영하지 않은 관리규제에 있다. 본 연구는 지역 중소도시의 상황에 적절한 옥외광고물(간판) 표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게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지역의 옥외광고물 인식도 조사를 통해 정성적 내용을 검토하였다. 두 번째는 지역 중소도시의 현황 및 특성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근거로 옥외광고물 표시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조사 방법은 여주지역 일반거주자와 상업주를 중심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설문조사 참여자는 상업주 45명과 일반거주자 109명이 참여하여 총 154명이었다. 연구결과 지역 옥외광고물(간판)이 도시미관을 해치고, 색채와 조명이 자극적이고, 간판크기가 너무 크고, 간판의 수량이 너무 많다는 항목에 대해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거주자가 상업주보다 옥외광고물(간판)에 대해 문제점이 보다 많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지역가로환경 분석결과, 여주시 중에서 경제활동이 활발한 중심 상업지역은 건물의 층수가 2층 이상이며 도로는 3차선으로 가로유형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역 옥외광고물 표시에 대한 기본 방향은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들인 간판을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더욱이 간판의 크기, 간판의 수량, 자극적인 색채와 조명 등에 대해 우선 개선내용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지역 일반거주자와 상업주들의 의견 차이에 따른 적절한 간판 표시 기준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몇 가지 옥외광고물 표시에 대한 적용내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중소도시의 경우, 자연적으로 조성된 도시 형태를 갖는 게 일반적이며, 매우 비계획적 도시개발에 따른 비정형적 요소들이 산재되어 있다. 지역 중심부는 상업기준 등급 중에서 상업지역 · 공업지역에 해당되지만 지금까지 설치된 물리적 요소들에 대한 규제는 완화되어 물리적 저해요인을 증가시켰다고 볼 수 있다. 옥외광고물의 관리와 규제는 상위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의 틀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하고 규제하기 보다는 지역 중소도시의 환경과 지역특성에 맞는 표시 기준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Today small and medium cities see a problem rising for left and unprotected physical factors of outdoor advertisements due to a policy that emphasizes economic growth only. There is a difficulty in execution even though the cities try to manage outdoor advertisements under the frame of the act of management of outdoor advertisements and promotion of the industry. In other words, the outdoor advertisements are under management regulation that does not reflect the local street environment or the local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derive the display of outdoor advertisements (signboards)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of local small and medium cities. First, the qualitative contents were examined through the awareness survey of regional outdoor advertisements in the region. Second,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regional small and medium cities, this study tri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display of outdoor advertisem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mainly on residents and commercial residents in Yeoju City.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109 including 45 commercial residents and 109 general residents.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for the items that outdoor advertisements (signboards) in the region spoil the city aesthetics, colors and lighting are exciting, and signboards are too larg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it perceives that compared to commercial residents, general residents recognize there are problems about outdoor advertisements (signboards). Additional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local street environment, where economic activities are active, the street type was derived into more than 3 in the number of stories and into 4 lanes in a roa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or the basic direction for the display of outdoor advertisements in the region, there is a need to improve signboards, which are factors that hinder the aesthetics of the city. Furthermore, the size of the signboard, the quantity of the signboard, and the irritating color and illumin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improvement contents first. A proper sign standard should also be established in terms of the disagreement between general l residents and commercial residents in the region. In this study, applications to the display of some outdoor advertisements were derived. For small and medium cities, it is common to have a naturally constructed urban form and atypical elements due to very unplanned urban development are scattered. The center of the area is a commercial and industrial area in a commercial-grade; however, The regulations on physical elements installed so far have been relaxed, which thus has physical inhibition factors. For the management and regulation of the outdoor advertisements, there is a need to apply the display criteria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and local characteristics of small and medium cities in the region, rather than collectively managing and regulating the cities in a frame of the above “Act on the Management of Outdoor Advertisements and the Promotion of the Outdoor Advertising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