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농업인 설문조사에 의한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 (PLS) 개선방안

        주진호 ( Jin-ho Joo ),이영돈 ( Young-don Lee ),안인 ( In Ahn ),이인애 ( In-ae Lee ),정문기 ( Mun-ki Jung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농약허용기준 강화 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는 농약의 오남용 방지와 농산물의 안전관리 강화를 통하여 국민의 건강을 보호 및 지속적인 농업의 추진을 위해 2019년 1월 1일부터 전면 시행되고 있다. PLS제도의 도입 이후 1년 반여 시간이 지나고 있으며, 농업현장, 농약 시험연구 현장, 관련 정부 부처, 소비자 및 언론 등에서는 PLS 제도의 도입 효과에 대하여 궁금함을 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추진중인 PLS제도가 본래의 목적대로 올바르게 정착 · 추진되고 있는지, 효과는 어떠한지 등 PLS 도입 효과에 대하여 정확하게 분석하고 개선사항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 PLS 시행 전과 후를 비교 농업현장에서의 문제점을 발굴,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국 14개 시도에서 모인 농업인 1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PLS 제도 인식여부에 대하여는 잘 알고 있다(45.0%)〉매우 잘 알고 있다(35.8), 보통이다(14.7)〉전혀 모른다(3.7)〉잘 모르겠다(0.9) 순으로 95% 이상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PLS제도 시행이 올바른 농약사용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하여는 그렇다(46.8%)〉보통이다(26.6)〉아니다(11.0)〉매우 그렇다 (11.0)〉매우 아니다(4.6)〉순으로 긍정적 영향 의견이 84% 이상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PLS를 위반할 때 불이익 조치내용 숙지여부는 알고 있다(56.0%)〉보통이다(23.9)〉매우 잘 알고 있다(9.2)〉 잘모른다(7.3)〉아주 모른다(3.7) 순으로 대부분 불이익 조치내용을 잘 알고 있었다. 등록농약을 권장 사용량대로 사용하는지에 대하여는 권장량을 지킨다(51.4%)〉약간 진하게 사용한다(42.2)〉 배이상 살포한다(4.6)〉대충 타서 사용한다(1.8) 순으로 대부분 권장사용량을 준수하고 있었다. 농 약사용에 있어 가장 불편한 점에 대하여는 등록농약이 부족하다〉농약효과가 전보다 못하다〉후작 물에 잔류가 우려된다〉비산에 의한 이웃과 분쟁 우려가 있다 순으로 불편을 호소하였다. 그 밖에도 소량 남은 농약에 대한 처리가 곤란하다. 농협과 농약상별로 가격차이가 크다. 소비자가격 정찰 제를 실효성 있게 시행해야 한다. 작물별로 농약을 분류하니 농약종류가 너무 많아지므로 열매채 소용, 잎.줄기채소용, 뿌리채소용으로 구분했으면 한다. 농약 안전사용교육을 마을별로 실시해 주기 바란다 등 많은 건의사항을 개진하였다. 본 설문결과에서 얻은 등록농약 확대, 비산문제 등 농업인 의견은 향후 PLS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보며, 소비자까지 보다 많은 모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확대해 PLS 제도를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반영지표 vs. 조형지표

        김중인(Joong In Kim) 한국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연구 Vol.27 No.4

        그동안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대부분의 실증연구들에서는 무조건적으로 반영지표(reflective indicator)를 적용하거나, 조형지표(formative indicator)가 적합하다고 생각하면서도 반영지표를 적용하거나, 조형지표를 적용하여 잠재변수의 상대적 영향력(표준화된 경로계수)뿐만 아니라 더 구체적으로 측정지표의 상대적 영향력까지도 분석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형지표의 적용이 드물었다. 그 이유는 그동안 조형지표에 관한 통계프로그램의 지원여부, 모형설정오류(model misspecification), 모형식별(model identification), 반영지표에서 사용되던 확인적 요인분석과 적합도 분석 방법과의 차이, 다중공선성 등의 문제점들로 인해 조형지표의 적용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지금은 이런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이 거의 대부분 제시된 상태이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점들도 있다. 한편, 연구자와 실무자 모두에게 잠재변수보다는 측정지표의 영향력을 비교하는 것이 더 구체적이고 유용하며, 상위수준의 잠재변수보다는 하위수준 잠재변수의 영향력을 비교하는 것이 더 유용할 것이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대부분 반영지표를 사용하여 온 반면에, 실무에서는 대부분 조형지표를 사용하고 있다는 주장도 있다. 이러한 주장에 대한 가설검증은 향후 연구과제로 필요할 것이며, 만일 그러하다면 학계와 실무 간에 괴리가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반영지표와 조형지표에 관해 이론적인 측면에서 논의하고, 하나의 연구모형에 대해 반영지표와 조형지표를 모두 적용하여 실증적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의 실무적 유용성과 판단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론적 논의는 공분산구조모형(Covariance Structure Model: CSM)과 PLS(Partial Least Square)를 함께 논하였으며, 실증비교는 반영지표와 조형지표를 모두 지원하고 모형식별문제가 없는 PLS를 사용하였다. 실증비교에서는 패밀리레스토랑 서비스품질의 각 차원과 고객만족 간의 인과관계 연구모형에 대해 반영지표와 조형지표를 모두 적용하여 이론적인 측면과 실무적인 측면에서 비교하고, 선행연구들의 결과와도 비교한 모형설정의 판단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본 논문은 그동안 조형지표 적용의 걸림돌이었던 이론적인 문제점들(모형설정오류, 모형식별,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경로계수, 다중공선성 등)과 그에 대한 해결방안들,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점들, 아직까지 개발이 안 된 분석방법 등을 공분산구조모형과 PLS에서의 조형지표모형과 반영지표모형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조형지표에 관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주로 이론적인 측면에서만 논의하고 있는 반면에, 본 연구에서와 같이 조형지표를 사용하는 경우에 측정지표 수준에서 제공되는 연구결과의 실무적인 유용성을 고려한 판단방법을 제시하고, 반영지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잘못된 마케팅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발견하여 제시한 논문은 그동안 전혀 없었다. 셋째, 반영지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잠재변수간의 인과관계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던 기존 실증연구의 한계를 뛰어 넘어, 앞으로는 조형지표를 사용함으로써 더 구체적으로 조형지표와 잠재변수간의 인과관계까지도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반영지표를 사용한 기존 연구들도 재검토하여 조형지표를 사용한 추가 연구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하나의 연구모형에 대해 두 가지 측정모형을 적용하여 비교하는 실증분석 과정과 결과를 PLS를 사용하여 제시함으로써 문헌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PLS를 사용한 실증적인 비교연구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그동안 반영지표와 조형지표를 사용한 측정모형에 관한 비교연구는 거의 대부분 해외학술지에서만 다루어진 반면에 국내학술지에서는 찾아보기가 어려울 정도로 거의 없었으며, 특히 PLS를 사용한 반영지표와 조형지표의 실증적인 비교는 해외학술지에서도 찾아보기가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Most of the empirical research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unquestioningly used reflective indicators, employed unintended reflective indicators in spite of the theoretically better fit of formative indicators than reflective indicators, or rarely used formative indicators regardless of the need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f measurement indicators as well as the relative effects of latent variables. The reason was that it was difficult to apply formative indicators due to the lack of the supports in statistics software, model misspecification, model identification, differenc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goodness-of-fits between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and multicollinearity. The solutions for most of these problems have been provided, but some specific problems still remain. Meanwhile, it is more useful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o compare not only the relative effects of measurement indicators rather than latent variables but also the relative effects of low-level latent variables rather than high-level latent variables. However, there is an argument that academia has mostly used reflective indicators, whereas practitioners have mostly used formative indicators. If the argument proves to be true through empirical investigations as a further study, there is a gap between academia and business practice.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oretical discussion on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empirical comparisons between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applied to the same research model, and practical usefulness and assessment of the research findings. The theoretical discussion includes issues and opinions on CSM (Covariance Structure Model) and PLS (Partial Least Square), but the empirical comparison involves only PLS which supports both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without model identification problem. The empirical study compared formative indicators with reflective indicators applied to the sam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dimension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family restaurants, and suggested a criterion on model specificat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prior research.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the following five contributions. First, this study comprehensively discusses the barriers, solutions, remaining unsolved problems, and undeveloped analysis methods in CSM and PLS for applying formative indicators such as model misspecification, model identification, differenc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nd goodness-of-fits between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and multicollinearity. Second, there is no paper addressing the practical assessment and usefulness of the relative effects of formative indicators as well as empirically showing the possibility of wrong marketing decision making with reflective indicators, while most previous research on formative indicators focused on theoretical perspectives. Third, this study shows not only the possibility of more specific empirical research o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formative indicators and factors beyond the limitation of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using reflective indicators, but also the possibility of further studies using formative indicators on the existing research using reflective indicators. Fourth, this study presents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PLS for applying and comparing both indicators so as to act as a guideline for further comparative studies using PLS which are hard to find in the extant literature. Fifth, it is hard to find papers not only on the comparison of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in the domestic literature, but also on the use of PLS for the empirical comparison between reflective and formative indicators even in the international journals.

      • 농약 PLS 대비 추진사항 및 연착륙 방안

        이순호 ( Soon-ho Lee ),김진숙 ( Jin-sook Kim ),권찬혁 ( Chan-hyeok Kwon ),정경희 ( Kyung-hee Jung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농약은 병해충 관리를 통하여 농작물의 생산성 향상 및 농작업의 편이성 증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농자재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수확 전 살포일 미준수 및 미등록 농작물에 농약 살포 등 안전사용기준 미준수로 국내 소비자들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다. 수입식품의 경우에도 국내 소비자를 대상으로 위해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농약들이 지속적으로 검출됨에 따라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국내 및 수입 식품 중 잔류농약 안전관리를 위하여 일본, 유럽연합(EU)에서 시행하고 있는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을 도입 추진 중이다. PLS 제도는 등록(신청)하여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것 이외의 농약이 검출되었을 경우 불검출 수준의 일률기준(0.01 mg/kg)으로 관리하는 제도를 말한다. PLS 제도를 도입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무분별한 농약의 오·남용 방지 및 안전성이 검토되지 않은 농약을 수입단계부터 원천적으로 차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PLS가 시행되면 잔류허용기준이 없는 경우 현재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및 유사농산물 기준 적용으로 상당수가 유통이 가능하였으나, 향후에는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농약의 경우 0.01mg/kg 이상 검출되면 유통할 수 없게 된다. 한편 PLS 의 도입은 2단계로 나누어서 추진되고 있다. 수입에 의존하는 견과류 및 열대과일류의 경우 2016년12월31일부터 시행되었고, 나머지 농산물의 경우 2019년1월1일부터 확대 시행될 예정이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PLS 도입으로 인한 생산자·소비자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신규·직권 등록 농약의 신속한 기준설정, 환경으로부터의 비의도적 오염농약에 대한 잔류허용기준(EMRL) 설정, 사용할 농약의 수가 부족한 소면적 재배 농산물에 대한 그룹 잔류허용기준(group MRL) 설정, 수입식품 잔류허용기준 설정(import tolerance)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등의 보완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아울러 PLS의 조기 정착을 위하여 농림축산식품부 등 11개 기관과 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교육·홍보를 강화하는 한편 주요 농산물 수입국, 수입업체, 농약회사 등에 대한 국내 PLS 제도 설명회를 지속적으로 개최하는 등 소통강화에도 노력하고 있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진로 장벽의 영향요인: Smart PLS-SEM 접근을 이용한 연구

        이동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9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of high school-age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detailed goals are 1)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self-esteem, 2)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pport,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and 3) self-esteem and career barriers perceived. Method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for 1,146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their third year of high school, which is the 9th wave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PLS-SEM) based on partial least squares (PLS) was used. For model evaluation of PLS-SEM,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checked. For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hypothesis testing, multicollinearity (VIF), adjusted R2 , effect size (f2 ), predictive relevance (Q2 ),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ere checked. Results First, although parental suppor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it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by using self-esteem as a mediating effect. Second, friend relationship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and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with self-esteem as a mediating effect. Third, teacher relationship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but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barrier perception using self-esteem as a mediating effect.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friend, teacher relationship and career barrier perception, and parental, friend, and teacher relationship al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목적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진로장벽의 영향요인을 알아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세부 목표로는 1) 부모지지, 교우관계, 교사관계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2) 부모지지, 교우관계, 교사관계와 진로장벽인식 간의 관계, 3) 자아존중감과 진로장벽인식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연구 중 9차(2019년) 자료인 고등학교 3학년 다문화청소년 1,146명을 대상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SPSS 2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진로장벽인식의 영향요인의 분석을 위해서는 Smart PLS의 부분최소제곱(Partial Least Square, PLS) 기반 구조방정식모델링분석(PLS-SEM)을 이용하였다. PLS-SEM의 모델평가를 위해 내적 일관성 신뢰도,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고, 다중공선성(VIF), 수정된 R2 , 효과크기(f2 ), 예측적 적합성(Q2 ), 경로계수의 크기, 유의성 검정을 통해 구조모델에 대한 평가와 가설 검정을 수행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지지는 진로장벽인식에 직접 영향을 나타내지는 못하였지만,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장벽인식에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우관계는 진로장벽인식에 직접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장벽에 간접효과를나타내었다. 셋째, 교사관계는 진로장벽인식에 직접 영향을 나타내지는 못하였지만,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장벽인식에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해 자아존중감은 부모, 교우, 교사 관계와 진로장벽인식 간의 관계에서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부모, 교우, 교사 관계는 자아존중감에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나타냈다.

      • KCI등재

        PLS용 펄스형 인버터 회로의 손실분

        정용채,정윤철 전력전자학회 2006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11 No.6

        The aim of the paper is to design the PLS(Plasma Lighting System) driving inverter circuit with optimal efficiency. In general, it is known that the PLS driven by a pulse has a higher light-conversion efficiency. There are the Class-E type resonant inverter and the semi-bridge inverter as a circuit which can make a pulse with low duty ratio.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losses of the above two circuits. To verify the loss analysis, the inverter circuit with 220V 380W input consumption is manufactured and test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high efficiency PLS system has confirmed. 이 논문의 목표는 최적의 효율을 갖는 PLS 구동 인버터 회로를 설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펄스로 구동되는 PLS가 높은 광변환 효율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낮은 듀티비의 펄스를 만들 수 있는 회로로는 E급 공진형 인버터와 세미브리지 인버터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 두 회로의 손실을 분석한다. 손실분석을 확인하기 위해서 220V 380W 입력소비전력을 갖는 인버터 회로를 제작하고 시험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서 높은 효율의 PLS 시스템을 확인했다.

      • KCI등재

        패밀리레스토랑의 잠재고객 집단에서 신규고객유치를 위한 서비스품질의 각 차원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PLS 다중집단분석을 이용한 성별의 조절효과

        김중인,최용주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3 마케팅관리연구 Vol.18 No.1

        Marketing strategy can be divided into customer acquisition and customer retention strategies. The relative effects of service quality dimensions on potential customer’s satisfaction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customer acquisition strategy.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in service marketing focused on existing customers. It seems that the extant literature overlooked potential customers and customer acquisition strategy. Especially, there is no research on the potential customers in family restaurants. Also, most of the research on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focused on existing customers, whereas gender differences may exist in potential customers. On the other hand, covariance structure model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ictly requires sufficient theoretical backgrounds or prior research because it is suitable for confirmatory research rather than exploratory research. Therefore this paper uses PLS (Partial Least Square) multi-group analysis which is suitable for the exploratory research or small sample size since there is no studies of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potential customers for family restaurants. In addition,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on multi-group analysis used covariance structure models. It is hard to find the research using PLS multi-group analysis for the domestic consumers. Thus, this paper conducts the following empirical studies using PLS multi-group analysis and Brady and Cronin(2001)’s three-dimensional service quality model (i.e. outcome quality,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and interaction quality) in family restaurants: 1)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irect effects of service quality dimensions on customer satisfa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potential customers, 2) difference of the relative effects of service quality dimensions on customer satisfa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potential customers, 3) if different, how they are different and whether the differences are significant or not, 4) strategic implications for customer acquisition strategy. The result shows that the relative orders are "outcome quality >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 interaction quality" and the effects of interaction quality are insignificant for both male and female potential customers. However,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s in the path coefficients from service quality dimensions to customer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useful to enhance restaurant images by improving outcome quality and physical environment quality rather than interaction quality for the customer acquisition. 마케팅전략은 크게 신규고객 확보전략과 기존고객 유지전략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잠재고객 집단에서 서비스품질의 각 차원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한 비교는 신규고객 확보전략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마케팅 분야에서 거의 대부분의 국내외 선행연구들은 기존고객만을 대상으로 연구하거나 표본의 기존고객과 잠재고객 구분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는 등, 잠재고객과 잠재고객 유치 전략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패밀리레스토랑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들도 모두 기존고객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즉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잠재고객 내 성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공분산구조모형 기반의 구조방정식모형은 탐색적 연구보다는 확인적 연구에 보다 적합하기 때문에 충분한 이론적인 기반이나 선행연구가 엄격하게 필요하다. 그러나 본 연구의 주제인 서비스품질 차원과 고객만족과의 인과관계에서 잠재고객 내 성별의 조절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아직까지 없기 때문에, 이론적인 기반이나 선행연구가 부족한 탐색적 연구모형에도 적합하고 표본크기가 적은 경우에도 가능한 PLS 구조방정식모형 기반의 다중집단분석을 사용하였다. 다중집단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들에서는 대부분 공분산구조모형을 사용하고 있는 반면에, PLS 다중집단분석을 사용한 국내 소비자 대상의 연구는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패밀리레스토랑의 잠재고객을 대상으로 상호작용품질, 물리적 환경품질, 결과품질로 구성된 Brady and Cronin(2001)의 3차원 서비스품질 측정모형과 PLS 다중집단분석을 사용하여, 1) 패밀리레스토랑 서비스품질의 각 차원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이 남성 잠재고객과 여성 잠재고객에서 유의한지, 2) 각 차원의 상대적 영향력이 남성과 여성 간에 차이가 있는지, 3) 만일 차이가 있다면 어떻게 다르고 그 차이는 유의한지를 실증분석 하고, 4) 신규고객 유치를 위한 전략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형성적 측정구조에 기반한 교직 스트레스 검사 개발 및 타당화 – PLS-SEM과 CB-SEM 모형 적용

        이현숙,나우열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4

        When a construct has multidimensional components and corresponding items or indicators for measuring it functions as constituents or causes of the construct, the construct is defined as having a formative measurement structure. Although the formative measurement structure can be incorporated in the PLS-SEM framework relatively easily, the PLS-SEM has disadvantages that errors are not specified in the model and there is no established global measure of model-data fit. This problem can be solved in the CB-SEM framework in the form of the MIMIC model, but there ar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limitations such as model identification and interpretational confounding problem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procedure of a formative construct is introduced with the teachers’ job stress as a focal variable. By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PLS-SEM and the CB-SEM models as well as theoretical review, the authors discussed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and issues mentioned above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rs. 구인이 다차원적 속성을 가지면서 이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이나 측정변수가 구인에 대한 구성요소 또는 원인으로서 기능하는 경우, 구인은 형성적 측정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정의된다. 형성적 측정구조를 포함하는 SEM 모형은 PLS-SEM의 체계 내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으나, PLS-SEM에서는 오차가 설정되지 않는다는 점과 적합도에 대한 해석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는 단점을 가진다. CB-SEM의 체계에서 MIMIC 모형의 형태로 형성적 구인을 분석할 경우 이러한 문제는 해결되지만, 모형의 식별 및 해석상의 혼동 문제와 같은 개념적‧방법론적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초점 구인으로 하여 형성적 측정구조로 정의되는 잠재구인에 대한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절차를 소개하였다. 또한, PLS-SEM과 CB-SEM 모형을 바탕으로 형성적 측정구조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방법론적 한계와 쟁점들에 관해 논의하고 연구자들이 고려할 사항에 관해 제안하였다.

      • PLS 대응에 따른 산업체 준비 현황

        김영준 ( Young-ju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8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8 No.-

        소비자의 농산물 구매시 안전성, 신선도 등이 우선적인 고려사항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특히, 안전성과 관련하여서는 농약의 잔류성에 대하여 우려를 하는 소비자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잔류농약 규제는 엄격해지고 있으며, 견과종실류와 열대과일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이미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가 1차적으로 2016년 12월 31일부터 적용되었으며, 2019년부터는 모든 농산물로 확대 시행된다. PLS 제도의 도입 목적은 기준미설정 농약에 대해 불검출 수준의 일률기준인 0.01mg/kg이하로 관리함으로써 국민들의 먹거리 안전관리를 강화하고 각 농약들을 일일섭취허용량(ADI, Acceptable daily intake) 대비 80%범위 내에서 관리하는데 있다. 산업체 측면에서 PLS 제도가 잘 정착된다면, 국민들에게 농산물의 잔류농약에 대한 인식 개선으로 산업체에서 생산된 가공식품에 대해서도 신뢰도가 높아져 매출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도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기존에는 적합하였던 농산물이 PLS 시행으로 부적합 판결을 받을 경우, 생산단계에서는 출하금지, 유통단계에서는 회수 및 판매중지, 수입단계에서는 수입통관금지 등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수도 있다. 특히, 과거에는 농약 잔류허용기준이 없을 때 적용했던 해당 농산물의 CODEX기준, 유사농산물의 최저기준, 기타농산물 기준 등의 잠정기준을 모두 적용할 수 없으므로, 식품 원료를 수입하거나 국내 재배시 부적합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에 대한 충분한 숙지가 필요하다. 특히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이 체계적이지 않은 동남아 국가는 별도로 기준이 설정된 농약 이외에는 CODEX 기준을 법적기준과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별도의 추가관리 없이 기존 관리방식으로 농약을 사용한 농산물일부는 수입단계에서 부적합의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제품의 특성상 수입농산물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식품업계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PLS 제도 시행이전부터 원료 재배 방식의 개선 및 수입농산물 잔류허용기준설정 (Import Tolerance, IT)등을 통하여 제도 시행 후 발생되는 부적합 가능성을 줄여 나가고 있다. 수입 농산물에서 적용할수 있는 잔류허용기준 설정 IT 신청 제도는 국내에는 미등록이지만 외국에서는 사용하고 있어서, 수입식품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에 대해서는 안전성 평가를 수행하고, 인체의 위해 가능성이 없을 경우 해당 식품에 대해 농약 기준을 설정하도록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지속적으로 권고하고 있다. 더불어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방제농약이 부족한 소면적 84개 작물(상추, 들깨잎 등)을 대상으로 약 1670개 농약의 MRL 설정을 추진 중 이다. 이렇듯 PLS제도가 원활히 정착할 수 있도록 각 부처에서는 TF팀을 구성하여, 설명회 개최를 통한 홍보, 교육, 농약 등록 지원 등 소비자의 먹거리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다방면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농약 등록비용, 계약재배를 실시함에도 방제방법에 따른 비의도적 농약의 잔류 등은 여전히 문제점으로 여겨지고 있다. 최근 산업체에서는 선제적 예방을 위한 식품안전정보의 수집, 평가, 검증 방법이 중요해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및 국가식품안전정보원의 2016년 글로벌동향보고서에 따르면, 잔류농약성분관련 위해식품 정보는 총 1,404건으로서, 클로르피리포스, 피프로닐, 프로파자이트, 디메토에이트 순이다. 부적합 식품유형으로는 피망, 시리얼류, 샐러드믹스, 카카오원두, 레몬, 감귤, 차조기, 체리 등에서도 부적합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가장 많은 발생건수를 가지는 클로르피리포스의 경우, 꾸준히 발생건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터키산 피망에서 24건의 부적합이 보고된바 있다. 이러한 부적합 발생을 최소화를 위해 산업체의 식품안전 및 품질관련 부서에서는 정보의 근거, 원료의 유형 및 원산지, 위해성분 및 검출량 등을 각 회사와의 관련성 여부를 판단하여 업체별로 매칭하고, 식품안전정보를 수집 및 평가하며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또한, 문제가능성이 있는 수입농산물에 대해서는 IT 신청을 위한 세부 검토를 통해 원료에 대한 안전성을 사전에 확보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를 위해서 LC/MS/MS, GC/MS/MS, TOF/MS 등을 이용하여 다성분에 대한 동시분석 연구에 집중하고, 이를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안전한 식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농산물의 농약 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 (PLS)의 추진성과 및 향후계획

        김진숙 ( Jin-sook Kim ),권찬혁 ( Chan-hyeok Kwon ),정경희 ( Kyung-hee Jung ) 한국환경농학회 2020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0 No.-

        수입식품의 증가 및 다양화로 인해 수입식품 안전관리 강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국내 재배되는 농산물의 농약 오 · 남용 방지를 위하여 기준미설정 농약 검출 시 일률기준(0.01 mg/kg 이하)을 적용하는 농약 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ositive List System, PLS)가 2019년 1월부터 전면 시행되었다. 정부는 PLS의 연착륙을 위하여 농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농약의 등록 및 잔류허용기준 확대,비의도적 오염 농약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생산자, 수입자 대상 교육 · 홍보를 강화하는 등의 여러 보완책을 마련하였다. 국내 농산물의 경우 직권등록 시험에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 CODEX 기준 또는 유사한 농산물의 기준 준용한 잠정기준(유효기한 2021.12.31.)을 2,721건을 설정하고, 과거 농약사용으로 인한 토양으로 부터의 오염 및 연속재배로 인해 후작물에 전이 가능성이 있는 농약에 대한 60건의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관계부처에서는 올바른 농약 사용문화 정착을 위해 고령농 · 영세농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집중 교육을 확대하고, 농약 판매이력제도를 도입하였으며, 농약 바르게 사용하기 운동을 통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였다. 수입식품의 경우에도 잔류 허용기준 신청에 필요한 자료확보 기한이 필요한 점을 고려 국내와 동일한 방법으로 잠정기준을 797건을 설정하였다. 식품 수입을 위한 기준 설정 시 특허만료 농약에 대해서는 CODEX, EU 등의 평가보고서를 잔류자료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고, 국문요약서 제출을 한시적으로 면제하는 둥 잔류 허용기준 신청절차를 간소화하여 외국에서 합법적으로 사용되는 농약들에 대해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될 수 있도록 조치하였으며, 미국, 중국, 베트남 등 주요 수출국 대상으로 PLS 설명회를 개최하였다. PLS 도입으로 잔류농약 관리 기준이 강화함에 따라 부적합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당초 우려과 달리 PLS 도입 후 1년간 농산물의 부적합은 오히려 1.1%에서 1.0%로 감소하였고, 농약 출하량(1월~11월)도 도입 전후 대비 17.2천톤에서 15.7천톤으로 8.6% 감소하였다. 이는 농민들이 농약을 올바르게 사용해야 한다는 인식이 크게 높아진 것으로 판단되며, 동시에 정부 부처의 노력의 결과로 판단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속적으로 현장에서 필요하는 농약에 대해 잔류허용기준을 확대하는 한편, 잠정으로 설정된 농약 잔류허용기준에 대해 직권등록 시험 등을 반영하여 정식기준으로 전환할 계획이며, 잠정기준은 2021년까지만 운영되고 그 이후는 삭제될 예정이다. 농산물 유통에 필요한 잠정기준이 삭제 전에 잘 마련될 수 있도록 관계자의 협조를 요청하여 아울러 이해당사자 대상 교육 · 홍보를 지속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다성분 분석법의 검사대상 성분을 500여종으로 확대하여 PLS가 조기 성공적으로 정착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 KCI등재

        PLS회귀를 이용한 포지셔닝맵의 구축

        이종호(Jong Ho Lee),이성근(Seong Keun Yi),최지호(Ji Ho Choi) 한국마케팅학회 2011 마케팅연구 Vol.26 No.3

        Partial Least Squares (PLS) 회귀 방법은 관찰치의 수보다 변수의 수가 더 많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다변량분석기법이다. 뿐만 아니라 PLS회귀는 주성분을 추출할 때 반응변수와 설명변수를 동시에 고려하기 때문에 주성분회귀분석보다 예측력이 더 우월하다. 이 논문에서는 PLS방법으로 얻어진 주성분에 각 변수(속성)를 회귀시켜 각 변수의 벡터를 구하였으며, 각 주성분점수를 활용하여 관찰치(브랜드)들의 좌표를 구하여 각 관찰치들의 포지션을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얻어진 관찰치들의 포지션은 각 변수의 위치와 교차하여 해석할 수 있어 각 관찰치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각 설명변수들도 각 반응변수들과 어떻게 관계를 가질 수 있는가도 지도상에서 해석이 가능하다.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PLSR) proposed by Herman Wold in 1966 has been used as very valuable method to predict a set of response variables by a set of explanatory variables. PLSR is very useful for building a predictive model when variables are many and highly correl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so useful tool for building a prediction model. But it has much limitation when variables are many and highly correlated. In such cases, even though we can build a prediction model, it will fail to predict new data well (Tobias, 2007). Especially when the number of variables is much larger than the number of observations, the phenomenon of so-called ``overfitting`` occurs. When the explanatory variables are highly correlated, one approach to overcome the problem is to remove the some of highly correlated explanatory variables. Another approach is to reduce the explanatory variables into small number of variables which have no correlations. The concept of PLS is to extract small numbers of latent variables which explain for highly correlated many variables. In that sense, PLS is a indirect modelling. But the way of extracting latent variables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method, The superiority of PLSR to PCR(Principal Component Regression) is very well known. Ryan et. al (1999) showed empirically that PLSR is better than PCR in prediction the response variable. They compared three models with mediators and collinearity among the response variables, for example, regression, PCR, and PLSR. As the hypothesized conceptual model had moderators and collinearity in their study, the regression model was not germane to the research objective. Hence their focus was on the comparison of PCR, with PLSR. Even though the fact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estimating the coefficients between PCR and PLSR was very confusing, But prediction of PLSR was better than PCR. Even though PLSR began in social sciences, it`s uses are extended to the various fields like chemometrics (Westerhuis 1998; Wagon & Kowalski 1988; Geladi & Kowalski 1986) or sensory evaluation (Martens & Naes 1989), marketing (Abdi 2003; Chin et al. 2003; Graver, et al 2002; Ryan et al 1999; Fornell and Bookstein 1982; Japal 1982) and design (Han and Yang 2004). Interestingly, similarly to this research, Husson & Pages (2005) proposed the way of corresponding additional variables by the use of PLSR coefficients instead of the linear regression coefficients in Prefmap technique. Huh and colleagues proposed several quantification methods using traditional multivariate data analysis techniques (Kim, 2000; Yang, 1998; Park and Huh 1996a, b; Han, 1995). The quantification methods proposed by them are endeavors to reduce the multivariate data with interrelationship and to represent or to plot them onto the low dimensional space. Projection pursuit stands for those methods. It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data through projecting the multivariate data onto the lower dimensional space and through analyzing the projection. In that sense, quantification method means a technique for building map in market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algorithm for building positioning map by PLSR. The basis of the algorithm is a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To derive the form of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Lagrange multiplier method function was adopted. After components are extracted via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ponents and variables can be gotten by regressing variables on the components. The regression coefficients are the coordinates of the variables. Additionally we can get score vectors of components for observations from the same process. They are the coordinates of the observations. That is, The variables and observations can be positioned on the simple space generated by PLSR. The quantification technique for PLS method gives us the better understanding of structure of variables and observations. The l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