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석영 소설에 나타난 `성욕 주체`의 양상 연구

        오태호 ( Oh Tae-ho ) 국제어문학회 2006 국제어문 Vol.36 No.-

        황석영 소설에 나타난 근대적 주체들의 `성적 욕망`의 모습은 술집 작부나 군인 등이 근대적 도시 공간의 중심부에서 밀려나 거주하게 되는 주변부 공간에서 그 양태를 확인할 수 있다. 1950년대 이래로 한국 사회에서 `술집 작부`는 매매춘 여성과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되면서 성 착취의 대표적인 표상으로 존재해왔다. 따라서 그들은 자본주의의 매매 논리가 근대적 주체의 몸을 어떻게 구성하고 배치하는가를 명증하게 보여주는 욕망의 대상으로 존재한다. 또한 `군인`은 적아 간의 이분법적 대립 속에 감정을 배제한 채, 살해 욕망이 충만한 살인기계로서 훈련되어야 하는 존재이다. 프로이트의 견해에 따라 타나토스적 충동이 에로스적 충동의 다른 얼굴임을 감안한다면, 군인 역시 `성적 욕망`의 기계로 구성되는 존재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삼포 가는 길」의 술집 작부 백화, 「이웃 사람」의 매매춘 여성과 살인범, 「돼지꿈」에서의 여성노동자와 포장마차 주인, 「섬섬옥수」의 여대생 박미리, 「장사의 꿈」의 매매춘 남성 일봉, 「낙타누깔」의 군인 `나` 등이 보여주는 욕망의 모습은 `성적 욕망`이 자본이나 권력에 의해 매개된 욕망임을 드러낸다. 그리하여 자본의 회로 속에서 시대를 살아내기 위한 몸짓을 보인다는 점에서 `성욕 주체`는 자본주의 안에서 대상화된 존재로 기능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섬섬옥수」의 수리공 상수, 「장사의 꿈」의 일봉과 애자, 「몰개월의 새」의 미자와 군인 `나`, 『오래된 정원』의 한윤희, 『심청』의 청이 등은 그러한 `성욕 주체`의 모습 속에서도 자본의 논리가 강요하는 물신화된 성적 욕망을 거부하면서, 자유의지를 지닌 채 자본이 매개되지 않는 본능의 순수성 또는 살해된 모성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황석영 소설의 인물들은 `성욕 주체`의 모습을 드러내면서도 끊임없이 자본주의의 물신화된 논리에 균열을 내기 위해 `탈성욕 주체`의 모습을 드러낸다. 이렇듯 근대적 주체들의 성적 욕망은 자본주의적 질서에 의해 이중의 흔적으로 몸에 새겨진다. 그리하여 `성욕 주체`는 자본의 도구적 성격을 내재화하여 자본으로 매매되는 불구적 몸으로 존재하거나, 자본을 매개로 하지 않은 채 `탈성화된 몸`을 욕망하는 주체를 꿈꾸기 마련이다. 황석영 소설에서 자본과 권력, 욕망의 문제는 서로 별개의 문제가 아니라 근대적 주체에 대해 작동하는 억압적 연쇄 고리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속에서 근대적 주체들이 자본주의적 담론에 의해 구성된 `성욕 주체`이면서 동시에 그것을 넘어서려는 몸짓을 내포하고 있는 `탈성욕 주체`임이 드러난다. The aspect of modern sexual subject in Hwang Seok-young`s Novels is appearing as `barmaid` or `soldier`, excluded from center of urban life. Since 1950`s, `barmaids` mean `prostitutes` that represent the symbol of sexual exploitation. In that reason, they represent the way how modern capitalism system constructs and arranges the body of modern subjects. on the other hand, `soldiers` are trained as killing machines which full filled with killing desire. Considering Freud`s theory that Thanatos is the other side of Eros, `soldier` is also constructed as sexual desire machine as well. `Bak-hwa` the barmaid in < The way to Sam-po >, the killer and the prostitute in < Neighbors >, the female labor and snack cart owner in < Pig dream >, a college girl `Park Mi-ri` in < Beautiful hand >, a male prostitute `Il-bong` in < Dream of the muscular >, the soldier in < Camel`s eyes > are showing sexual desire which intermediated by system of modern capital or power. Therefore `sexual subject` in Capitalism can only function as alienated object. However, `Sang-su` the mechanic in < Beautiful hand >, `Il-bong` and `Ae-ja` in < Dream of the muscular >, `Mi-ja` and the soldier in < The Bird of Mulgaewol >, `Han Yun-hee` in < Old Garden >, `Chung` in < Sim Chung > are rejecting fetishism sexual desire that offered by modern capitalism, in spite of their limits as modern sexual subject. It is possible because they`re trying to keep `free will` and recover `purity of desire`. Characters in Hwang Seok-young`s novels are not only `sexual subjects` but also `desexual subjects` that try to resist fetish of modern capitalism. Like them, `sexual desire` of modern subject is constructed two ways by system of capitalism. One way is disabled, without libido, just flesh which can be trade as merchandise. Another way is `desexual subject` that can overcome capitalism, and desire `desexual body`. In Hwang Seok-young`s novels capital, power and desire can not be separated. Those are chains of repress mechanism in `modern subject`. Therefore we are not only `sexual subjects` constructed by modern capitalism, but also `desexual subjects` try to overcome it.

      • KCI등재

        정지용 시에 나타난 시선 주체의 형성과 변이

        이광호 ( Kwang Ho Lee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4

        이 논문은 정지용의 시에서의 근대성의 문제를 ``시선의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 한다. 정지용의 시가 도달한 근대성은 시선의 주체화를 미학적으로 성취하고, 그 안에서 또 다른 시선의 공간을 생성하는 것이었다. 정지용 시는 시각적 주체의 우위에 의해 이미지가 구축되는 근대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그의 시의 감각적인 탁월함은 그 시선의 주체가 진행하는 시선의 모험이라는 측면에서 설명될 수 있다. 근대적 주체의 형성은 대상을 의식하고 포착할 수 있는 유일한 중심점에 자신이 선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권적인 주체의 시점(視點)에 자신이 서야한다는 의미에서의 이것을 시선의 주체화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중심점에 서기 위해서는 자신이 서있는 자리에 대한 자기감시의 시선이 함께 작동되어야 한다. 정지용의 시의 시선의 움직임은 ``갑판 위``나 ``기차``처럼 움직이는 근대적 교통수단 안에서 바깥 풍경의 스펙터클을 조망하거나, ``유리창``안이라는 밀폐된 장소에서 외부로 향하는 시선을 다시 안으로 수렴함으로써 내면의 풍경을 구축한다. 여기서 ``갑판 위``, ``기차``, ``유리창``은 근대적인 시선 주체의 동일성이 만들어지는 장소로서의 의미를 획득한다. 정지용의 시에서 대상에 대한 근대적 시선은 하나의 시점(視點)의 중심으로부터 풍경과 기억을 재구성하는 시적 주체를 만들어낸다. 1930년대 후반 이후의 시로 가면, 시선의 모험은 두 가지 다른 변이를 산출한다. 「바다 9」에서처럼 시선 주체는 시적 화자의 인격적 외형을 지워버리고, 시선 주체를 익명화하는 또 다른 시선의 방식을 만들어 낸다. 「백록담」에서 시선의 모험은 몸이 직접적으로 자연과 접촉하고 반응하는 신체의 모험이 된다. 고정된 시점(視點)에서 자연을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몸의 움직임을 따라 신체는 자연과 교통한다. 여기서 정지용의 시적 주체는 육체의 투신, 그리고 의식의 탈각이라는 지점에 도달하며, 그것은 시선 주체의 동일성을 해체하는 다른 존재의 가능성과 연계되어 있다. ``갑판 위``와 ``유리창``이라는 근대적인 장소에서 시선 주체의 자기정립을 성취했던 정지용의 시들은, 이런 주체의 자기 망각에 도달함으로써 근대적인 시선 주체의 지위를 허물어 버린다. 시선의 주체가 자신의 고정된 중심점을 포기하고 그 대상의 시각장 안으로 뛰어들게 되거나, 그 시각장 안에서의 인격적 동일성을 지워버리면서 시선의 모험은 다른 미적 모더니티를 산출하게 된다. 이것은 정지용의 시가 가지는 근대성의 한 절정이자, 그 근대적 시선 주체의 변이와 해체의 지점이다. 정지용 시는 시선 주체의 동일성을 미적으로 확립함으로써 근대적 주체 형성의 과정을 보여주면서, 그것의 변이를 통해 시선 주체의 동일성에 균열을 만들어내는 미학적 개별화에 이른다. 이것이 1930년대 시에서의 정지용 시의 미적 근대성이 가지는 이중적인 의미이다. This study tried to analyze issue of modernity focusing on the process of forming ``Seeing Subject`` in poems written by Jeong Ji-yong. Modernity of poems written by Jeong Ji-yong was possible by aesthetically achieving independent gaze and by creating another space for gaze under such a achievement. Jeong`s poems show modern aspects where image is built by superior visual subject. Sensory excellence of his poems can be explained from the aspect of adventure of gaze progressed by Seeing Subject. Gaze in his poems views the spectacle of panoramic landscape from the modes of moving modern transportation such as ``deck on ship`` or ``train``. Or his poems show that gaze moves towards outside from a closed place of inside glass window and again returns to closed room. Here, ``deck on ship``, ``train``, ``glass window`` have a meaning as the places where identity of modern Seeing Subject is made. Modern gaze in Jeong`s poems creates poetic subject that reorganizes landscape and memory from a center of one viewpoint. In the poems of second half in 1930s, adventure of gaze produces two different transitions. As in 「Sea 9」, Seeing Subject deletes outer appearance of personality in poetic narrator and creates another Seeing Subject that views the landscape through a sort of transcendent gaze. In 「Baekrokdam」, adventure of gaze becomes one of physical body where body directly contacts and reacts nature. Nature does not been observed from fixed viewpoint but physical body communicates with nature according to movement of body. Here, poetic subject of Jeong Ji-yong reaches the point of devotion of physical body and riddance of consciousness. The subject is linked to a possibility of another aesthetics disassembling identity of Seeing Subject. Poems written by Jeong Ji-yong achieve self-establishment of Seeing Subject in the modern places such as ``deck on ship`` and ``glass window``. But he breaks down the position of modern Seeing Subject by reaching such a formative self-forgetfulness. This is a peak of modernity Jeong`s poems have and at the same time, the point of transition and disassembly of modern Seeing Subject. His poems show process of forming modern subject by aesthetically establishing identity of Seeing Subject while his poems reach aesthetic individualization which makes identity of Seeing Subject anonymous. This is a dual meaning that aesthetic modernity in the poems written by Jeong Ji-yong in 1930s has.

      • KCI등재

        ‘아름다운 청년’은 어떻게 ‘좀비’가 되었나?

        김일림(Illim KIM)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6

        이 연구는 연상호 감독의 〈서울역〉과 〈부산행〉에 등장한 좀비가 한국인의 자화상이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연상호의 좀비가 등장하는 과정을 대중문화 속 등장인물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이 연구는 연상호의 좀비를 동시대의 근대적 주체로서 의미화하고, 한국 대중문화에 좀비가 등장하기까지의 과정을 일련의 영화와 애니메이션을 통해 살필 것이다. 좀비 탄생의 상징적 징후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이 글이 주목하는 것은 〈파업전야〉,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박하사탕〉, 〈아치와 씨팍〉이다. 이들 작품은 근현대사의 상징적 장면을 그리는 동시에, 주체가 분열하여 좀비에 이르는 영상을 명확히 보여주기 때문이다. 먼저 이 연구는 20세기 초 근대적 주체의 출발이 되었던 ‘미적 청년’의 이념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는 ‘미적 청년’에서 파생된 수사학적 장치인 ‘아름다운 청년’을 매개로, 분열하는 주체와 노동하는 주체가 교차하는 방식을 조명한다. 이 과정에서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과 〈박하사탕〉을 지나 애니메이션 〈아치와 씨팍〉이 신자유주의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 과정이 드러난다. 연상호의 작품이 등장하기 전까지 한국 애니메이션이 시대의 거울로 논해진 적은 거의 없었다. 그러나 좀비의 의미를 고찰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것은 연상호의 작품으로 계승되는 애니메이션 〈아치와 씨팍〉의 시대적 의미였다. 〈아치와 씨팍>은 한국의 근대적 주체가 신자유주의와 결합하는 순간을 명확히 보여준다는 점에서 재조명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한국 영화와 한국 애니메이션을 잇는 동시에, 연상호의 좀비를 한국애니메이션 역사 속에서 논한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아울러 이 연구는 연상호 감독이 표상한 좀비를 ‘비주체적 저항 장치’로서의 의미화하고, 이 좀비가 한국인의 자화상으로 등장한 과정을 한국 대중문화 속에서 논했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eaning of “zombie” based on the viewpoint that the zombies, appeared in Director Yeon Sang-ho’s Seoul Station (2016) and Train to Busan (2016), are the self-portrait of the Koreans. I consider the zombies as representation of the modern subjects in the contemporary era. At this point of view, I discuss how the modern subjects in Korean pop culture has been changed to the zombie. To analyze the trajectory of the modern subject in Korean pop culture, I investigate the following works : The Night Before the Strike (1990), A Single Spark (1995), Peppermint Candy (1999), and Aachi and Ssipak (2006). Those works clearly show the symbolic signs of the modern subjects’ deformation. As the methodological approach, I pay attention to the concept of the “Aesthetic Youth,”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starting point for the modern subject in early 20th century. I shed light on how the subject has deformed from the ideal of the “Aesthetic Youth”. Revealed in such a convergence is the fact that A Single Spark, Peppermint Candy, and the animation film Aachi and Ssipak has played the role of interfaces of neoliberalism. Particularly it is necessary to take notice of the meaning of Aachi and Ssipak. Because there are few Korean animation which had been regarded as mirrors of the age until the advent of Yeon’s works. What was revealed, however,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implication of the modern subjects is the epochal import of Aachi and Ssipak. The animation shows the moments not only that the modern subjects combined with neoliberalism but also that changed their identity. This study pursuits the whereabouts of the Modern Subject through the Korean pop culture. It linked film and animation on the concept of the modern subjects. I also discussed Yeon’s zombie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the South Korean anima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zombies represented by Yeon Sang-ho are ‘non - subjective resistance devices’.

      • 탈근대적 주체와 기연적 사고 -라깡과 푸코를 중심으로-

        김희봉 ( Hee Bong Kim ) 한국해석학회 2010 해석학연구 Vol.26 No.-

        The `Death of the Subject`, which is discussed as a main topic in the current philosophical discourses, is not only regarded as a slogan of the postmodernism, but also must be actual events, in which the ontological responsibility exists. This Death was accepted by men without their sense of guilt. Otherwise it means, that the theoretical deconstruction of the subject, namely the denial of the subjectivity, that takes control of all thing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dentity and universality, is taken for granted in a pluralistic society. It is because the transcendental subject pretends to have the power and authority, to oppress the others or to ignore their difference and individuality. Moreover the notion of the subject can be replaced by another notions of human beings, surely in respect that it could be constructed in the modern age. In this regard seems the subject`s death to be not worth mentioning. On the contrary, through such a death are our lives admitted to be diverse and free. So then may it be asked whether the subject is worthy of rehabilitation or not in present time. Therefore it seems irony, to make such a reconception of the subject in the situation, that it`s authority has be denied. However am I afraid, that a crisis of the norm and discipline, which resulted form the death of the subject, will produce a social disorder and violence. Thus an announcement of the subject`s death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It si important therefore to consider the reconception of the subject associated with the occasional thoughts, that could play a crucial role in explaining the post-modern society. A possibility of new concept of the subject, that will understand society and culture in 21st century, can be sought by researching a relation between a post-modern subject and the occasionalism.

      • KCI등재

        박목월 시어의 현대성

        김용희 ( Yong Hee Kim ) 한국언어문화학회 2008 한국언어문화 Vol.0 No.36

        Mokwol tried to find modern daily life through poem language in the reality of post-war full of nihilism, excessive existence and intellectual humanism. A poet tries to make experiment of the modernity of poem language in the rivalry between tradition and modern. The meaning of `tradition` to Mokwol is `how to survive the modern time` and the recognition of modern subject is the road to realization of concrete experience world after making every day of modern times to be recovered from abstraction. When the member of 〈The latter half of the year〉 showed the self-shutting up, Mokwol created modern sensitivity by `translating` a native tongue of traditional food into poem language. He suggested the issue of `personal taste` by concretization of `collective native tongue` into `sensuous` thing. By making `what is trivial`, `what is vulgar` and `subjective experience of person` concrete, the traditional aesthetics works as `a modern subjective personal signature`. By reproducing `colloquial style` and `oral situation`, he tried to show `the feeling` and `sympathy` of our language as a native tongue. However the sensuous `dialect` is awakening the sense of modernity, an ear for music and the sense of sound symbol. Finally the poet reveals aesthetic self-consciousness with modern subject as searching for identity and self-reflection as a poet. He makes experiment of his meta method by calling his own name as a common noun and showing his writing. The symbolizing of tradition food symbol, colloquial style and dialect means the birth of strange native tongue against literary style. It is `the native tongue` and `collectively colloquial style` found out just by the birth of modern language and cultural language. The method of `symbolizing in a strange way what is familiar` is the one which reveals aesthetic autonomy of modern poem language. Additionally it reveals modern retrospective self-consciousness and crock by calling the name of poet out of text as a poem language inside text. It can be considered to be a modern experiment of self-consciousness. Eliot said that modernity is `the present of the past` and can be said to be the process in which tradition and modernity interfere together in the most organic way. On the basis of it, `the modernity of poem` can jump out of the schematism and limit of tradition severance theory and tradition absence theory. It is, the fact the tradition language is called as a modern strange poem language and the process to find `native tongue` composed of new the other through the other called modern times, can be shown. Mokwol tried to express in a creative way that modern poem language is the process of symbolization of language, creative individuality and sensational process of ego.

      • KCI등재후보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시선 주체와 문학사적 의미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중심으로

        이광호 ( Kwang Ho Le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5

        본 논문은 박태원의 대표작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을 중심으로 박태원의 소설 속에 드러나는 ‘시선 주체’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이를 통해 박태원 소설의 미적 근대성의 구체적인 국면들을 드러내고, 1930년대 문학에서 가지는 소설사적 의미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산책-글쓰기`` 주체로서의 구보는 ``보는 자``, ``관찰하는 자``이다. 구보가 관찰자로서의 시선의 주체일 때, 구보는 군중들을 연민으로 바라보거나 혐오할 수 있고, 그들의 심리와 삶의 비밀을 분석할 수 있는 지위에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구보가 누군가의 시선의 대상이 되었을 때, 구보는 급격하게 우울과 불안과 수치심을 경험한다. 이 소설에서 구보는 ‘보는 주체’로서 자신의 시각장의 주인이 되지만, 그는 이미 ‘보여 지는 주체’이기도 하다. 이런 시선의 투쟁은 식민지 도시의 가시성에 의해 촉발된 것이다. 구보를 보는 것은 식민지 경성의 군중이기도 하며, 식민지의 일상적 삶을 규정하는 큰 타자의 응시로의 제국의 시선이기도 하다. 이 ‘군중과 제국의 시선’에 의해 구보는 관찰자의 지위로부터 식민지 현실의 권력 관계 안에서 우울증적 주체가 된다. 이 소설에서 여성은 시선의 대상으로서 구보의 심미적 윤리적 평가의 대상이다. 여성에 대한 동경과 혐오는 근대 도시 공간에서 남성 관음자의 시선의 이중성을 반영한다. 식민지의 남성 주체가 이러한 신여성에 대해 매혹과 공포의 이중적 태도를 보여주는 것은 근대성의 분열이 예각적으로 드러나는 장면이다 ‘신여성’으로 상징되는 근대의 이미지와 가부장제 윤리의 이데올로기적 경직성 사이에서 남성적 시선 주체는 근대 여성에 대해 자기기만적인 시선을 드러낸다. 여성의 몸을 둘러싼 근대성의 분열은 박태원 소설에서의 시선 주체의 자기모순과 동궤를 이룬다. 박태원 소설의 주체는 한편으로는 도시 공간의 타자들 속에서 우울증적 주체로의 자신을 확인하면서, 여성에 대한 이중적인 관음자적 주체가 가지는 이데올로기적 위치를 노정한다. 새로운 도시 산책자로서의 시선 주체는 타자의 눈에 대한 우울과 공포를 경험하고, 여성에 대한 도덕적 지위의 확립을 통해 근대적 주체를 설정하며, 여기에는 주체와 타자의 서열화라는 식민주의 이데올로기의 내면화가 포함되어있다. 박태원의 시선 주체는 그 근대성의 국면에도 불구하고 제국의 시선과 분리될 수 없었다. 식민지 경성의 폭발하는 ‘가시성’은 새로운 시선 주체의 등장과 변이를 규정하는 것이었다. ‘시선과 응시의 분열’은 박태원의 소설에서 근대성의 분열과 근대적 글쓰기의 분열을 매개한다. 시선 주체는 식민지 근대화 과정 속에서 제국의 시선과의 오인과 착종 속에서 자기동일성의 좌절을 경험하며, 이것은 역설적으로 근대성의 분열이 폭로되는 소설적 효과를 낳는다. 근대성과 식민성의 착종을 가로지르는 이런 시선 주체의 모험은 식민지 시대 미적 근대성의 중요한 지점을 드러내준다. This paper attempts to deal with the issue of ‘subject of regard’ which reveals itself on Park Tae-wons novel with 「One Day of Novelist Gu Bo」 as the center that is a his major work. Through this, this one aims to reveal definite conditions of aesthetic modernity in Park Tae-wons novel and to grasp the meaning of history of novels in literature of the 1930s Gu Bo, as the subject of ‘walk-writing’, is a ‘behold’, ‘observer’. Gu Bo is situated to look at the mass with sympathy or to be sad, and to analyze psychology and secret of life of them as the subject of regard. On the contrary, when Gu Bo is the object of regard, he experiences the feeling of melancholy and anxiety and shame rapidly. Gu Bo is a master of field of view of his own as ‘observing subject’, but is already ‘observed subject’ as well. This struggle of regard is caused by visibility of colony city. The thing that looks at Gu Bo is the mass of colony Gyeongseong and is also the regard of empire that is a gaze of big other who stipulates daily life of colony. By this ‘regard of the mass and empire’, Gu Bo becomes melancholic subject as subject observed in power relation of reality of colony from the position of an observer. While Gu Bo is always the subject who look at the feminine object, female is always the object of Gu Bos aesthetic and ethical appraisal as the object of the regard. The longing and enviousness, hatred and self-justification reflect the duplicity of the male observer in modern urban space. Male subjects the double attitude of fascination and fear on the new women in colony is the scene where the disruption of modernity shows itself penetratively. The subject of male regard reveals self-deceptive regard on modern women between modern image symbolized by ‘new women’ and ideological rigidity of patriarchal ethic. The disruption of modernity surrounding womens body is the same track as the self-contradiction of subject of regard in Park Tae-wons novel. The subject in Park Tae-wons novel, meanwhile, identifies himself as the melancholic subject in others space in the city, reveals ideological position which the twofold observing subject has on the women. The exploding visibility of colony Gyeongseong is to stipulate the appearance and transition of the new subject of regard like this. The subject of regard experience frustration of self-identity in misconception and entangling with empires regard in the process of colony modernization, and this paradoxically produces aesthetic and political effect which is revealed disruption of modernity. The adventure of the subject of regard crossing entangling of modernity and coloniality shows an important point of aesthetic modernity which makes explorations.

      • KCI등재

        이상 시에 나타난 시선 주체의 익명성

        이광호(Lee Gwang-ho)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본 논문은 이상 시에 나타난 시적 주체의 문제를 이상 문학의 근대성과 관련하여 문제화하고자 했다. 이상 시는 '시선의 주체화'라고 하는 문제를 시선 주체의 분열과 익명성이라는 측면에서 드러내면서 '시선의 탈주체화'를 동시에 보여주는 문제적인 텍스트이다. 이상 시에서 주체와 대상과의 관계는 역전되거나 서로의 위치를 교환하며, 주체와 대상이 존재하는 공간 뒤의 또 다른 주체의 시선이 암시되어 있다. 이러한 사태에서 이상 시의 시선 주체는 대상과 세계에 대한 초월적인 위치에 설 수 없으며, 따라서 하나의 일관된 인격으로서의 자기동일성을 가질 수도 없다. 이렇게 시선 주체에 대해 이름붙일 수 없고 그 인격적 동일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측면에서, 이것을 '시선 주체의 익명성'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상의 시에서 '훼손된 신체의 부분'에 대한 이미지들은 하나의 유기체로서의 신체를 소유하는 주체 개념을 파기한다. 유기적인 전체성으로서의 육체를 해체하기 때문에, 신체의 부분은 각각 어떤 미시적인 사건의 자율적인 주체인 동시에 시선의 비인칭적인 대상이 되는 것이다. 부분과 전체의 질서 위에 구축된 자기보존의 주체로서의 단일한 유기적인 신체는 없다. 이러한 시선 주체의 탈인격화와 자기분열은 근대적 시선주체의 확립을 그 근저에서 뒤흔드는 시적 모험이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 체제의 유기체적인 전체라는 환상에 대해 이상의 시는 탈인격적인 이질성과 비연속성, 파편적 개별성이라는 '반미학'을 드러낸다. 시선 주체의 탈주체화를 통해 익명적인 발화가 생성되는 이상의 시는, 식민지의 근대적 주체를 사회적이고 이데올로기적 환상의 자리로부터 벗어나게 한다는 측면에서 정치적인 것이다. As related with modernity of Lee, Sang literature, this paper is trying to refer the problem of poetic subject in his poetry. Especially, as focusing on the problem of 'sightline subject', it is trying to restructure the problem of modernity and esthetic modernity in esthetic singularity of his literature. His poetry shows the problem 'becoming a sightline subject', in the respect of division and anonymity of sightline subject, and 'existing from the sightline' at the same time. In his poetry,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can be changed, share their places each other and suggest other sightline of other subject behind their places. In this situation, sightline subject of his poetry can't stand at the transcendental position about object and subject, so that it can't also gain the self-identity as a consistent personality. Likewise, because it isn't possible to name the signtline subject and get the personal identity, it can be called as 'anonymity of sightline subject.' In Lee, Sang poetry, 'mirror' isn't the basis of misunderstanding of subject, which could gain the self-identity, but it is the parameter of self-disharmony and self-division. In this mirror, his poetry shows the situation seeing object in subject, not seeing subject in object. There, it exposes the fact, mirror shows the sightline of others actually, not one's self. In his poetry, images on the parts of damaged body deny the subject a organization. In this, the movement of sightline, seeing the damaged body as partial object, separates the identity of sightline subject based in the good organic body. In his poetry the seeing point of self-division of this sightline subject is the poetic adventure breaking out the basis of establishing the modern sightline subject. As reconsidering the modern sightline system, his poetry shows how esthetic subject in the colonial era could exit from the position of self-identity and transcendental subject. It is the political thing in respect of cracked saying to free modern subject in colony from social and ideological illusive place. And it can be also condition of esthetic modernity as strong critical saying on the modernity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한국불교의 근대와 탈근대- ‘주체적 근대’ 확립의 과제를 중심으로 -

        박병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Korean Buddhism was met a new chance after permission on entrance and exit to the capital Seoul toward Buddhist Monks, but it was calming down departure of the modern time which is distorted basically from point only following a colonial strategy of Japanese imperialism on the back. With the 3.1 movement, the effort of overcoming that distortion was done, but the main stream already was seizing in pro-Japanese Buddhism influence. At the time of 100 annuals 3.1 movement, I try to focus on the process of the modern where our Buddhist modern puts the root in the Western Europe. I do divide that modern into the three phases; the colonial modern, the imitation modern and the subjective modern. The point of view of 21st centurial opening time, it is a imperative request that we do establish the task of subjective modern. Colonial modern time about 40 years, where it reached to the U.S. army occupied flag was getting over, and imitation modern time which identified from `60's after industrialization process insides is symbolized the fact that it suits in colony policy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blindly to follow an advanced nation. At the time of colonial modern, Buddhism was marked with pro-Japanese Buddhism and in imitation modern time, Buddhism is marked competition with Christ at prerequisite passed by the process which is transferred with capitalistic order. Different one side of colonial modern, we met the resistance of Monk Manhae(萬海) and Yongsung(龍城), and at imitation modern established the modern setup of force putting on vertical in democratization. At 21st centurial opening, Korean civic society insides where the numerous problems are exposed generally Buddhism to one side sinking in crisis of institutional religion, but other side it will be able to present a new mental order that is receiving to our situation. Like this request, there is a possibility of making with subject of `subjective modern establishments,' the modern discussion which it passes over re-composes the Western root. It is a time to meet the inner ability answer back in the method which is appropriate in demand of the Korean civic society. From the process which confronts appropriately in the subject, it will be made a Buddhism actually in the analytical object and until practical alternative independence of the Korean Buddhism academic world. 우리 불교는 개화기 이후 승려의 도성출입 허용으로 상징되는 새로운 기회를 맞았으나, 그 배후에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지 전략이 도사리고 있었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 왜곡된 근대의 출발일 수밖에 없었다. 3.1운동을 계기로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이 끊이지 않았고, 일정한 성공을 거두었지만 주류는 이미 친일불교 세력에 장악되어 있었다. 이 글에서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으면서 우리 불교가 서구에 뿌리를 둔 근대와 만나는 과정을 식민지 근대와 모방 근대, 주체적 근대의 세 단계로 나누고, 21세기 초반 현재의 시점은 마지막 단계인 ‘주체적 근대’가 확립되어야 한다는 당위와 마주하고 있다는 판단을 내리고 있다. 식민지 근대는 일제 강점기에서 미군 점령기에 이르는 40여 년 동안 식민지 정책에 부응하는 것을 근대와 동일시하는 시기이고, 모방 근대는 ‘60년대 이후 공업화 과정 속에서 일본과 미국으로 상징되는 이른바 ’선진국‘을 맹목적으로 따라잡고자 하는 시기이다. 식민지 근대의 시기에 불교는 친일불교로 자리매김되었고, ‘모방 근대’ 시기에 불교는 그리스도교와의 경쟁을 전제로 자본주의 질서로 급속히 편입되는 과정을 거쳤다. 다른 한편 우리는 식민지 근대 시기에 만해와 용성으로 상징되는 저항과 독립의 역사를 함께 이룩했고, 모방 근대 시기에 시민사회 전반의 민주화 움직임에 힘입어 종단의 근대체제를 확립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 과정에서 생겨난 수많은 문제들이 총체적으로 노출되고 있는 21세기 초반 한국 시민사회 속에서 불교는 한편으로 제도종교의 위기에 함몰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 우리 상황에 맞는 새로운 정신적 질서를 제시할 수 있기를 요청받고 있다. 이러한 요청을 ‘주체적 근대 확립의 과제’로 규정지을 수 있고, 서구적 뿌리를 지니는 근대와 탈근대 담론을 넘어서 한국불교의 전통을 이 상황에 맞게 재구성함으로써 서구적 뿌리를 지니는 근대와 탈근대 담론을 극복해야 한다는 시민사회의 요구에 적절한 방식으로 응답할 수 있는 내적 역량을 키우는 일에 집중해야할 시기를 맞고 있다. 그 과제에 적절히 대응하는 과정에서 불교현실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실천적 대안까지 모색하는 한국불교학계의 주체성 또한 필연적으로 요청된다.

      • KCI등재

        근대적 (반)주체로서의 걸리버: 『걸리버 여행기』의 식민주의적 맥락을 중심으로

        이혜수 ( Hye Soo Lee ) 영미문학연구회 2010 영미문학연구 Vol.18 No.-

        In this paper, I read Gulliver`s Travels as a critique of a core myth of modernity, or an ideology of a ``modern autonomous and self-determining subject,`` which is exemplarily played out in Robinson Crusoe. Robinson Crusoe presents a modern myth embodied in the character of Crusoe who singlehandedly achieves an autonomy in a desert island; Gulliver`s Travels criticizes the ideal of a modern autonomous subject through Gulliver, a parody of Crusoe, who repetitively ends up staying in a community to which he could not belong in a fundamental sense. After briefly discussing why we should read Gulliver`s Travels as a novel, albeit a different kind of the novel of ``formal realism,`` I examine in what sense Gulliver is a modern subject with an empiricist mindset and a will to upward mobility in the first part. In the second part, I argue that Gulliver suffers a life of an ``abject subject,`` a marginalized subject in the periphery of a community, particularly in his second travel to Brobdingnag, and take a look at how this life of an abject subject leads into Gulliver`s self-split or self-negation. Lastly, I suggest a new reading of the relationship of Houhynhnm and Yahoo as a colonizer and a colonial subject.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Gulliver` being torn between a desire to be a Houhynhnm and a denial of his Yahooness could be read as the rift of a colonial subject`s identity, which results in madness, or the Other of modern rationality. I indicate in conclusion that Gulliver`s madness is a sign that Swift`s critique of modernity does not pursue an alternative to historical modernity, yet it could remain sharp and poignant just because it did not explore an easy substitute for modernity, as we can see in his many other satires.

      • KCI등재

        윤동주 시에 나타난 근대 공간 연구

        이주옥 우리어문학회 2024 우리어문연구 Vol.79 No.-

        본고는 윤동주 시에 나타난 근대 공간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했다. 특히 윤동주 시인이 근대 공간 속에서 욕망의 좌절과 갈등을 겪지만, 동일시 대상의 모색을 통해 그것을 극복해나가는 방법에 주목하였다. 기존 일제강점기 현대시 연구에서 근대 공간은 주로 고향상실과 소외감 등의 부정적 속성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다루어졌고, 윤동주 기존 연구에서도 공간은 시의식을 드러내기 위한 곳으로, 임의적으로 선택되어 다루어졌을 뿐, 근대 공간 자체만을 집중적으로 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고에서는 윤동주 시 속의 근대 공간들이 자아분열을 일으키면서 동시에 성장을 자극하는 공간임을 밝히어 기존 일제강점기 근대 공간의 의미를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해볼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시인의 생애 이동 경로와 작품을 ‘만주시기, 경성시기, 일본유학시기’로 나누어 각 욕망과 좌절, 동일시 대상 방식 등을 제시한다. 만주시기는 ‘디아스포라’로서의 이방인 의식과 소외감을 ‘거리’로 보여주고, ‘기차’와 ‘정거장’으로 ‘이동’과 ‘머무름’의 이중성을 보여주었다. 경성시기에는 근대 공간의 외부가 아닌 자신의 내면에서 ‘동일시’ 대상을 모색한다. 또한 좌절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 집단의 문제임을 보여준다. 근대 공간인 ‘거리’에서 사라져야할 것과 남겨져야 할 것을 구분하고, 이상적인 모습과 현실의 부끄러운 모습을 자아분열을 통해 이원화하고 동일시할 대상과 그렇지 않을 대상을 구분하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윤동주는 근대 공간의 탈주를 통해 신화적, 초월적, 희생적 인물을 찾아내고 동일시하려 한다. 이처럼 경성시기에는 근대 공간을 탈주하여 새로운 공간을 형성하고 초월적 대상을 제시하는 반면 일본 유학시기에는 초월적 대상을 근대 공간 속에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 공간이 더 이상 부정적이거나 회피해야할 자극의 공간이 아닌 성장하고자 하는 시인의 욕망을 달성시켜주는 공간임을 보여주기에 의미가 있다. 이러한 근대 공간 속 동일시는 일제강점기 현대시의 근대 공간의 퇴폐, 우울, 소외 등의 부정적 의미를 확대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role of modern places as depicted in the poetry of Yun Dong-ju. Previous research on modern poet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redominantly portrays modern places as sites of loss and alienation. This paper reveals that the modern places within Yun Dong-ju's poetry evoke self-fragmentation while simultaneously stimulating growth, offering various perspectives on the significance of modern places within the contex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poems. The poet's life journey and works are categorized into "Manchurian Period," "Kyungsung Period," and "Studying in Japan Period," each presenting desires, frustrations, and methods of identifying with common subjects. The Manchurian Period portrays the consciousness of being an outsider as a "diaspora" and depicts alienation through "distance," showing the duality of "movement" and "residence" through "trains" and "stations." In the Kyungsung Period, Yun Dong-ju seeks common subjects not in the externalities of modern places but within his own psyche. Furthermore, the frustrations portrayed extend beyond personal issues to encompass collective problems. Yun Dong-ju, who previously sought reflection through self-fragmentation due to the absence of common subjects in modern places, seeks mythical, transcendent, and sacrificial figures through escape from modern places, aiming to identify with them. While the Kyungsung Period creates new spaces by escaping modern places and presenting transcendent subjects, the Studying in Japan Period presents transcendent subjects within modern places, suggesting that modern places are not merely places of negativity or avoidance but places that facilitate the growth desires of the poet. Yun Dong-ju transforms negative places into places of hope and presents a 'transcendent subject' to reconcile his essence as a poet with the demands of his era, expanding the understanding of modern places beyond the decay, melancholy, and alienation often associated with the modern poetry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