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구용(金九容)과 그가 기록한 중국 남방(南方)

        양흔 ( Yang Xin ) 연민학회 2017 연민학지 Vol.27 No.-

        본고는 명나라로 출사(出使)한 사신 김구용 및 그의 시가를 연구 대상으로 하고 <한국문집총간>의 텍스트를 통해 김구용의 생애를 소개하면서 그가 명나라에서 유배를 당하게 된 진정한 원인에 대한 고증을 시도하였다. 김구용이 유배를 당하게 된 것은 명나라와 북원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던 고려 정권에 대한 주원장의 명확한 경고로 김구용은 양국의 정치투쟁의 희생품으로 되었던 것이다. 김구용은 1372년(홍무 5년)과 1384년(홍무 17년) 두 차례 중국으로 출사하였는데 두 번째 출사에서 명나라의 유배를 받아 도중에서 죽고 만다. 본고는 김구용의 두 차례 출사과정에 창작한 시가에서 보이는 명나라 시기 중국 남방의 형상을 분석하였는바 홍무 5년의 출사과정에 창작한 시가에서는 명나라 남경의 번화한 도시형상을 그려냈고 강남의 풍속을 기록하였으며 명나라 초기 강남의 경제 발전 정도를 그려냈다. 그때의 출사에서 김구용은 명나라에 대한 열렬한 찬양을 보여주었는바 명나라를 “천조(天朝)”라고 칭하고 있다. 이 칭호는 고려 말 `친명파`와 `친원파` 사이의 격렬한 정치투쟁 및 `친명파`가 명나라에 대한 심리를 보여주고 있다. 홍무 17년의 출사과정에 김구용은 억울한 유배를 당하게 되었는바 시가에서 보여준 심리는 앞선 출사과정의 그것과 확연히 다른 모습이다. 유배 과정에 김구용은 중국문단의 대가들이 족적을 남긴 명승고적에 관심을 돌리면서 이백, 두목 등 대가들에게 경의를 표하고 있는바 그 내면에는 우수한 한문화와 중국의 수려한 인문형상에 대한 경의를 담고 있다. 유배과정에 창작한 김구용의 시가는 `조천록(朝天錄)`에서 보기 드문 역외시각 및 그에 의하여 그려진 중국의 중남부, 서남부의 형상을 그려내고 있다. 총제적으로 말하면 김구용의 눈에 비친 중국형상은 정면적이고 적극적이었는바 그는 친근하고 열광정인 태도로 중국을 바라보고 있다. 본고는 김구용에 주목함으로써 중국과 외국, 특히 중국학계에서 김구용 그리고 임기중이 편찬한 <연행록전집>에 수록되지 않은 `조천록`텍스트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켜 `조천록` 연구가 보다 풍부해져 명, 청 두 시기의 중국형상의 연구에 자료적인 축적을 제공하고자 했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life of Kim Kuyong through his poetry and the text Complete Anthology of Korean Literature (Han`gung munjip ch`onggan), and attempts to demonstrate the true reason for his exile to Ming China. The Hongwu Emperor kept Kim in exile in Ming China as a warning to Koryo; Kim was thus a victim of the political competition between Ming China and the Northern Yuan dynasty. Kim went to China twice as an envoy in 1372 and 1384, but died in exile in China during the second mission. This study analyzes the imagery of the southern region of Ming China in his poetry written during his two missions as an envoy. It examines the bustling urban imagery of Nanjing during his first mission and the beginnings of economic development in the Jiangnan region through descriptions of the area`s customs. The poetry written during this mission shows passionate praise for Ming China, even going so far as to call it a “heavenly dynasty.” This title demonstrates the intensity of the political battle taking place between the pro-Ming faction and pro-Yuan faction in late Koryo and his psychology towards Ming China. When Kim was kept in exile during his second mission, his previous psychology changed drastically. He turned his attention to famous historical sites where Chinese literary giants left their mark behind, showing his respects to such greats as Li Bai and Du Mu by praising their command of literary Chinese and the grace of their personas. His poem, “Record of an Audience with the Emperor” (朝天錄) shows a rare outsider`s view of China and images of China`s central south and south western regions. In general, Kim portrays China in a straightforward and enthusiastic manner, while being a fervent supporter and friend of China. By focusing on Kim, this study sought to stir interest in “Record of an Audience with the Emperor”, which is not found in The Complete Anthology of Mission Records to Beijing (Yonhaengnokchonjip ) compiled by Kim Kuyong and Im Kichung, and contributes to the material research on imagery of China during the Ming and Qing dynasties.

      • KCI등재

        16-17세기 중국의 대(對) 조선 사행록(使行錄)에 투영된 한‧중 상호인식의 변용과 기억 - 공용경(龔用卿)의 《使朝鮮錄》과 주지번(朱之蕃)의 《奉使朝鮮稿》를 중심으로 -

        류창진 중국인문학회 2018 中國人文科學 Vol.0 No.70

        This paper focuses on GongYongQing's 『ShiChaoXianLu』 and ZhuZhiFan's 『FengShiChaoXianGao』 in that the layers of the times an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China and Korea are explored by following the trace of mutual recognition between them based on sinocentrism In addition, the Chinese and Korean intellectuals also identified how they perceived and responded to the traditional Korean-Chinese relationship, thereby building an axis of mutual recognition betwee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Under this assumption, this paper is divided into three directions. First, it is studied for the recogni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betwee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which had been exposed in 『ShiChaoXianLu』 and 『FengShiChaoXianGao』.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when the Joseon Dynasty visited the Ming Dynast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was stipulated as a tributary-investiture relationship, and this relationship was operated in a relatively stable way at the period. In particular, during this period, the response and strategy of the Joseon Dynasty were to strengthen the order of a tributary-investiture relationship and to apply the principles and customs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for promoting the realistic interests of China. Therefore, in the expectation that the Joseon Dynasty would fulfill its role as a army of the frontier, it would ultimately be expected to maintain or enhance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Ming, and to gain recognition of China's vested interests in Joseon In short, GongYongQing and ZhuZhiFan tried to force Joseon to confirm and recognize the fact that Ming and Joseon were in the relationship of the suzerain state and a vassal state and fulfill it in order to maintain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m. Considering this point, the perception of GongYongQing and ZhuZhiFanthe in 『ShiChaoXianLu』 and 『FengShiChaoXianGao』 is not merely to maintain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with Joseon. It can be interpreted as an attitude to strengthen political influence as a powerful subject in a new order in East Asia. Second, based on the poetry in these books, they showed the perception of Joseon 's literature and courtesy. During this period, "sinocentrism" was linked to the political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Korea, and sometimes it acted as a more important factor. GongYongQing and ZhuZhiFanthe referred to the old record of 'JiZi' and 'ChaoXian' and emphasized the cultural connection with China. They emphasized that the scholarship of Joseon was high, polite and tradition.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they revealed the cultural connection between China and Joseon that preceded the Ming Dynasty. This reference could be said to be a step toward a sense of Chinese consciousness which is the advanced culture of Joseon was originated form JiZi Third, the paper explored the aspect of poetry exchange between China and Joseon and the perception of Joseon's civilization. In GongYongQing's 『ShiChaoXianLu』 and ZhuZhiFan's 『FengShiChaoXianGao』, they included the poem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they gain by hands-on experience during their sojourn.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se poems they showed the prejudices about the customs and the recognition of Joseon in the way of the cultural exchanges with the rulers and literary men of Joseon. Therefore, these poems have a value showing not only their literary value but also another aspect of mutual recognition between Korea and China betwee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To sum up, GongYongQing's 『ShiChaoXianLu』 and ZhuZhiFan's 『FengShiChaoXianGao』 are directly conveying a process section of establishing a power of China in the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and shows clearly how the Ming who intended to strengthen the central position of East Asia embodies their status and authority in Joseon.

      • KCI등재

        명청시기 서방열강과 저우산군도[舟山群島]의 관계

        馮定雄(Feng, Dingxio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3 島嶼文化 Vol.0 No.42

        중국 명청시기는 바로 서유럽사회가 대전환을 하던 시기로 서유럽 각국은 점점 중국 연해 지역과 접촉을 전개하였다. 중국 연해 중부에 위치한 저우산군도는 우세한 경제적, 군사적 조건을 구비한 지역으로 특별히 서유럽 각국의 중시를 받았으며 저우산군도에서 빈번한 교류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교류는 대략 3가지 종류로 개괄할 수 있다. 먼저, 경제적으로 서방열강은 저우산군도를 중국무역기지로 삼으려는 욕망을 여러 차례 가졌다. 처음 중국에 와서 무역을 요구한 것은 포르투갈이었는데 중국 정부의 허락을 받지 못하여 포르투갈은 결국 저우산의 솽위항[雙嶼港]을 밀수기지로 삼아 무역을 하였다. 영국은 상업 사신, 정식 사절단 등을 파견하는 방식을 통하여 여러 차례 중국 정부에 무역을 요구하였으며 저우산군도를 대중국무역기지로 삼으려 하였다. 두 번째, 정치적으로 서방열강은 저우산군도를 식민지로 삼으려고 하였다. 명나라 때 포르투갈은 솽위항에서 불법적으로 식민지 성격의 통치기구를 건립하였는데 비록 명 정부의 무력제제를 받았으나 그 의도를 일찍이 백일하에 드러냈다. 영국은 중국과 여러 차례 외교를 통한 요구가 실패한 후에 서슴없이 전쟁을 일으켜 강제로 저우산군도를 식민지로 점령하였다. 후에 비록 어쩔 수 없이 청나라 정부에게 돌려주었으나 저우산을 여전히 잊지 못하였다. 세 번째, 문화적 측면에서 서양은 불교를 극렬하게 폄하하고 기독교 복음을 전파하였다. 저우산군도는 불교가 중요한 통치지위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서양 선교사들은 한편으로는 강력하게 불교를 폄하하고 부정적으로 묘사하였고, 다른 한편으로는 각종 수단을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기독교 복음을 전파하였다. 서양과 저우산군도의 관계는 전환기 중국과 서양관계의 축소판으로 초기 서방이 경제적, 문화적, 정치적 수단을 이용하여 중국의 대문을 열고자 했던 절실한 욕망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이 시기 중국 사회의 보수, 자만, 답보를 보여주고 있으며 결국 근대 서방열강과의 경쟁에서 중국은 패배하게 되었다. Ming and Qing Dynasties in China was just the period of Great Transition Times of Western Europe and Western European powers were gradually in touch with coastal areas of China. Western European powers paid much attention to Zhoushan Ilands, which had excellent economic and military status in the middle coastal areas of China, and kept frequently contact with them. Three relationships between Western European powers and Zhoushan Ilands were summarized briefly in this article. The first was in economic field, which Western powers always expected to trade to China based on Zhoushan Ilands. Portugal was the first country which requested and undertook trade to China, and then made Lampoo as the smuggle base after the prohibition of Chinese government to trade. Britain also frequently asked to trade with China by sending commercial and official envoys, and also tried to make Zhoushan as its trade base. Secondly, Western powers tried to make Zhoushan Ilands their colonies. In Ming Dynasty, Portugal founded its colonial authorities at Lampoo, its colonial intention was evident though Ming government destroyed the Portuguese colonial authorities. Britain waged war agaist China after the failure of the diplomacy and accroached Zhoushan as its colony. Athough had to returned Zhoushan to China, Britain always clung to memories of it. Thirdly, Western powers downgraded Buddhism and spread Christ actively. Originally,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western missionaries to the coastal areas of China(including Zhoushan Ilands) was to spread Christ. Because Buddhism held sway over Zhoushan, the missionaries strongly downgraded Buddhism on one hand, and spread Christ actively by all kinds of devices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Western powers and Zhoushan Ilands was the epitome of relationships between Western powers and China. it reflected, on one hand, the willings of Western powers to open China by economy, culture and politics, and on the other hand, the conservativeness and arrogancy of China. At last, China failed the competition to Western powers in modern times.

      • KCI등재

        조선 초기 對明事大論의 역사적 성격 검토

        허태용(Huh, Tae-yong) 동양사학회 2016 東洋史學硏究 Vol.135 No.-

        This articl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The discourse on serving the Ming China in the early of Joseon period had character as diplomatical way to pursue peaceful relationship between Ming and Joseon, because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was resulted from the opposition of campaign toward Ming China that was planed by the former dynasty, Goryeo. Secondly, The discourse on serving the Ming China in the early of Joseon period had character as political way to not only consolidate the new regime but also confirm the foundation the new dynasty by approval acquisition from Ming China. In this process, the ruling class figures of new dynasty asked emperor of Ming China for naming of their new dynasty, because it could appeal their submissive attitude toward Ming China contrary to their former dynasty, Goryeo. However, thirdly The discourse on serving the Ming China in the early of Joseon period could exist only in range which not collide with other various ways to justify the foundation of new dynasty which had replaced Goryeo dynasty in Korea. In this context, the ruling class figures of Joseon dynasty did not feel any difficulty to subjugate Jurchens, and killed their chief who had government post of Ming China as well as tsushima island, because military campaign toward neighbor that exist out of border was one of most useful ways to level up state dignity and to justify the foundation of new dynasty. In sum, The discourse on serving the Ming China in the early of Joseon period was not a superb value that dominate all other actions and values of Joseon dynasty, but one of political ways to justify and to consolidate the foundation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의 연구

        이익주(Lee, Ikjoo)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3

        이 논문은 고려가 반원운동에 성공한 1356년(공민왕 5)부터 북원이 멸망한 1388년(우왕 14)까지 고려와 원의 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이 시기의 고려-원 관계는 1219년부터 시작된 고려-몽골 관계의 대미에 해당하나 지금까지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근래 들어 고려의 반원운동 이후 고려-원 관계와 원-명 교체 이후 고려-북원 관계가 연구되고 있지만, 두 시기의 고려-원 관계를 종합하는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고 있다. 14세기 후반 고려-원 관계는 고려의 반원운동으로 ‘세조구제’가 폐기된 이후 그것을 대신할 원칙을 수립하지 못했고, 새로이 명이 등장함으로써 다원적인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에 따라 단기간에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게 되었으므로 다음과 같은 몇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 단계는 1356년 고려의 반원운동이 성공한 뒤로부터 홍건적의 침입을 받는 1359년(공민왕 8)까지의 시기이다. 이때는 고려가 원과의 관계를 일방적으로 주도하면서 형식적인 책봉 -조공 관계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홍건적의 침략으로 고려가 대원관계의 개선을 위해 원에 접근하고, 그에 따라 원의 입장이 다시 강화된 시기이다. 이에 대응하여 원은 고려와의 관계를 반원운동 이전으로 되돌리고자 했는데, 그러한 정책은 공민왕을 폐위하는 것으로 절정에 이르렀지만 결국 실패로 끝났고, 이후로는 고려의 주도권이 다시 회복되었다. 세 번째 단계는 1369년(공민왕 18) 이후의 시기이다. 중국에서 원-명 교체의 조짐이 보이자 고려는 원과 관계를 단절하고 명과 책봉 -조공 관계를 수립함으로써 정세 변화에 대응하였다. 그 뒤로도 북원이 건재하면서 명과 대립하였지만, 고려는 시종 친명·반원 정책으로 일관하였다. 네 번째 시기는 1374년(공민왕 23) 우왕이 즉위한 뒤로부터 북원이 멸망하는 1388년(우왕 14)까지의 시기이다. 공민왕 시해와 명 사신 살해사건을 계기로 고려와 명의 관계가 일시 중단되고, 그 사이에 고려는 북원과의 책봉 -조공 관계를 일시 회복하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는 친명반원 정책을 포기하지 않았다. 고려가 원-명 교체를 일찍부터 인정하고 친명 정책을 채택함에 따라서 북원과의 관계는 급속히 소원해지고, 북원의 존재가 고려-명 관계에서 중요한 변수로서 작용하지 못했다. 당시 고려가 친명 정책을 견지한 것은 공민왕의 반원운동 이후 양국 관계를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원의 공민왕 폐위 등 무리한 정책에 대한 고려의 반원 감정과 더불어 당시 원-명 간의 대립에서 명이 우세하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명과 북원이 대립하고 있었으므로 고려의 외교정책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이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Goryeo’s relationship of with the Mongol Empire from its successful anti-Yuan movement in 1356 until the fall of the Yuan Dynasty in 1388. Despite the importance of this period, there have been only a few relevant studies. Some current research on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after the anti-Yuan movement and the Goryeo-Northern Yuan relationship after the Yuan-Ming transition are insufficient to account for the entire relationship between Goryeo and the Mongol Empire. In the late 14th century, the Goryeo-Mongol relationship had no replacement for Sejoguje (世祖舊制) after its abolishment by the anti-Yuan movement. As a consequence, relations became unstable with the emergence of Ming China. The resulting significant short-term changes in the relationship are discussed in the following four stages. First, soon after the anti-Yuan movement succeeded, Goryeo was in the leading position over Yuan while establishing a perfunctory investiture-tribute relationship. However, during the Red Turban Invasion in 1359, Goryeo approached Yuan seeking a stronger relationship. Acquiring a reinforced position accordingly, Yuan demanded to restore the relationship to the pre-anti-Yuan movement level, but this did not continue beyond the dethronement of King Gongmin, and finally failed. The starting point of the third stage is the Yuan-Ming transition in 1369. Recovering its superiority again, Goryeo severed diplomatic ties with Yuan and created a new investiture-tribute relationship with Ming China, which it kept coherent despite Northern Yuan’s presence and antagonism against Ming China. The last stage is from the enthronement of King Wu in 1374 to the fall of Northern Yuan in 1388. During this period, the Goryeo-Ming relationship was severed for a time due to the assassination of King Gongmin and the murder of a Ming envoy. There once was a two-sided diplomacy as Goryeo temporarily restored the investiture-tribute relationship with Northern Yuan, but Goryeo maintained pro-Ming and anti-Yuan principle. Goryeo experienced a sinking in its relationship with Northern Yuan since its quick acceptance of the Yuan-Ming transition and the inclination toward Ming China. Although Goryeo could have profited through a two-sided diplomacy between Northern Yuan and Ming China, its unbalanced foreign policy of pro-Ming and anti-Yuan prevented this from working. In that sense, Goryeo’s foreign policies in the late fourteenth century can be evaluated as not having fully reflected the contemporary situation.

      • KCI등재

        15세기 대명사행 사무역 허용 수량과 조선 정부의 정책적 지향 -『經國大典』 규정의 미시적ㆍ거시적 재검토를 중심으로-

        이재경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6

        본고는 『經國大典』의 대명사행 사무역 규정을 실마리로 삼아 15세기 조선 정부가 허용한 대명 사무역의 규모를 추정하고, 사무역 통제에 관한 조선 정부의 정책적 지향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14세기 중반 몽골제국과의 밀접한 관계를 바탕으로 활발하게 전개되던 대중국 사무역은 원명교체 이후 민간 월경무역 대신 공식 사행무역의 비중이 커지는 변화를 보였으나, 무역품의 수량과 물종 면에서 본질적으로 지속되었다. 고려 말 국가는 대명관계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부작용을 감안하여 대중국 사무역 전체를 불법화하였고, 이는 조선 건국 이후에도 지속되었다. 하지만 태종 후기가 되면 사행무역 근절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졌고, 조선 정부는 사행무역을 합법화하되 무역품의 종류와 수량을 직급별로 규제하는 방향으로 선회하였다. 조선 정부는 대명사행 구성원들에게 일정한 수량의 布ㆍ인삼 무역을 차등적으로 허용하는 규정을 마련하여 『經國大典』에 수록하였다. 조선 정부가 허용한 사무역품 수량은 외교사절의 무역품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지나치게 적은 것은 아니었으며, 무역의 이익보다는 사행원의 노고를 경제적으로 보상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정규 사행만 파견된다고 가정하면 『經國大典』 규정 하에서 연간 쌀로는 14,292석, 은으로는 5,301냥 가치의 무역이 가능했으며, 이는 15세기 대명사행 사무역 규모의 최소치로 간주할 수 있다. 조선 정부는 북경무역, 특히 북경에서의 布 수출을 최소화하고자 한 반면 요동무역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대한 태도를 취했는데, 여기에는 조선은 무역의 이익을 적극적으로 추구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심어주기 위한 목적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aimed to estimate the official quota of private trade between Joseon Korea and Ming China in the 15th century and to reconstruct what the Joseon government intended by its policy of control and restriction on private trade. For tha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gulations in Gyeongguk Daejeon, the compendium of law codes of the Joseon dynasty, on private trade of the Joseon envoys dispatched to Ming. Based on the close tie between the Koryo dynasty and the Mongol empire, Sino-Korean trade flourished in the mid-14th century. Even after the takeover of China proper by the Ming dynasty in 1368, the private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continued in essence, though now it was mainly conducted by diplomatic envoys rather than ordinary merchants. From the last days of the Koryo dynasty, the Korean government began prohibiting private trade with Ming China to prevent a diplomatic dispute and to stop the ill effects of international trade on society. By 1417, however, it became clear that forbidding all private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was simply impossible. Therefore, the Joseon government opted to legalize the private trade of its diplomatic missions to China but regulated the types and quantity of trade goods by rank and position. According to Gyeongguk Daejeon, the members of diplomatic missions were granted the right to carry a certain amount of ramie cloth and ginseng to China. The government didn’t want the envoys to make a fortune by trade, so the trade quota was set just enough to gain enough compensation for their hard work. Under the official trade quota, if the Joseon dynasty yearly sent three regular missions to Beijing and one official dispatch to Liaodong, the annual volume of its trade with Ming China would be equivalent to 14,292 seok of rice, or 5,301 taels of silver, which could be regarded as a minimum of Sino-Korean trade in the 15th century. To convince the Ming officials that Joseon did not seek commercial gains by its tribute missions, the Joseon government tried to suppress the trade in Beijing, while loosening the grip on the trade in Liaoyang.

      • KCI등재

        문학 : 의암 유인석의 시에 나타난 중국과 우리의 관계 연구 -「화동음(華東吟)」을 중심으로-

        송기섭 ( Gi Soep Song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퇴계학논총 Vol.25 No.-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으로 중국대륙에 접해있는 반도국가로 삼면이 바다이다. 그래서 교통이 발달하지 못했던 조선말까지는 중국으로 주로 진출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었다. 이런 까닭으로 우리의 역사가 태동하면서부터 중국과의 관계가 밀접하여 중화를 받아들이는 역사로 시작되었는데, 이는 우리에 비해 중국의 역사가 앞서 있음은 물론 문명에 있어서도 수준이 높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조선 때에 중화가 도입되어 삼국시대, 고려, 조선으로 내려오면서 儒道가 우리 삶의 잣대가 되었고, 중화제도가 우리 생활에 중심에 있었다. 이에 대하여 의암 유인석(1842∼1915)은 그의 시 「華東吟」 25수와 『毅菴集』 속의 「宇宙問答」, 「道冒篇」 등에서 언급하고 있다. 시 「華東吟」 25 중 중국과 우리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는 시 11수와 이 시의 내용과 밀접한 문장을 「宇宙問答」, 「道冒篇」에서 발췌하여 華東의 관계를 相補하였는데,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암은 중국과 우리나라를 ‘宗·支家’와 ‘人種一’의 관계로 인식하고 이 관계를 춘추의리의 명분에서 찾고 있다. 나아가 당시 이를 실천하는 것이 ‘尊明’이고 명나라가 멸망했음에도 中華의 명맥을 보전하고 있다는 자긍심이 小中華정신이다. 따라서 명의 국권을 회복하여 대중화정신으로 세계가 ‘大一統’이 될 때, 태평성대가 이루어진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둘째, 역사로 본 중화와 소중화는 중국과 조선이 主從이나 命伏의 관계가 아닌 兄弟 또는 父子의 관계임을 말하려고 한 것이다. 이러한 관계이기 때문에 명나라가 망한 후에도 그 의리를 지켜 崇明하였고, 華脈이 조선에서 보전됨으로써 이곳이 곧 중화임을 밝히고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측면으로 본다면 중국과 우리의 관계에서 그가 말하는 ‘小中華’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짐작하게 한다. Geopolitically, Korea is a state surrounded on three sides by water and peninsula adjacent to the Chinese continent. The undeveloped transport forced Korea to enter into China until the late Joseon. Therefore, Korea was closely related to China and accepted Sinocentrism from the beginning of its history because China had much higher level of culture and civilization than Korea. Thus, Sinocentrism was introduced to Korea during the Gojoseon and Confucianism became the standard in daily life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Goryeo period. These are found in Ui-am Yu In-seok(1842∼1915)’s works such as 25 poems in 「Hwadongeum」 and 「Ujumundap」 and 「Domopyeon」 in 『Ui-am jip』.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with Hwadong in detail by extracting the content of 「Ujumundap」 and 「Domopyeon」 closely related to 11 out 25 poems in 「Hwadongeum」.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i-am regarded China-Korea relations as ‘main-branch families’ and conspecific looked for these relations from the cause of loyalty of the Chunchu period. Furthermore, he described that the ‘respect for Ming dynasty (Jonmyong)’ was to practice them and the intention to conserve the cultural context of China was Sojunghwa even after the Ming dynasty collapsed. Therefore, he thought that the peaceful reign would be achieved when China was unified with such a Sojunghwa spirit. Second, he tried to describe that China-Joseon relations were not master-servant relationship but sibling or father-son relationships Sinocentrism and Sojunghwa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He also tried to emphasize that Joseon kept loyal to Ming by expressing the respect for Ming even after the Ming dynasty collapsed and Joseon was the place representing the center of the world by conserving the cultural context of China. Such a perspective enables us to guess what ‘Sojunghwa’ mentioned by him means in China-Korea relations.

      • KCI등재

        임진왜란 전후 대중관계의 정립과 의주의 위상

        윤여석 부경역사연구소 2017 지역과 역사 Vol.- No.41

        Joseon’s international relations have a feature that the diplomacy business was performed around the areas. Especially Japanese invasions, Ming’s decay, domination of Hugum and Chung’s appearance happened at that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like this and the change of the relationship among Joseon, Ming and Hugum, Uiju worked effectively and represented the relations with China of Joseon. Uiju was close to a special area, Liadong and borders on Ming and Jurchens. Uiju worked as a gateway to Ming and as a defense area relating to the military to Jurchens.These were based on the fraternity and dependence of Joseon’s foreign policy. This is proved through cultivation of the island around Uiju. They defended actively with the military action about the Jurchens’s invasion of the territory but they gave up farming about the Ming’s territorial expansion. It shows their dual public policy on foreign policy about China. Period before and after the Imjin War that Uiju did various roles. It out of the traditional diplomatic role with Ming. The Naebu(內附) of Sunjo was defeated. Uiju became an informal settlement for king and a canter of the conduct of war. Also be caused by Ming supported arms and the setting of Jungganggaeshi(中江開市) Uiju was made the personal and materiel route possible. After the war Uiju was based on the nation reconstruction and was used to make the royal authority strong for Sunjo. Because of this, status of Uiju was raised domestically but they came into conflict in relations with Ming as the area for the gateway and management area of Jungganggaeshi. Moreover Ming was in conflict with Hugum and it made Uiju get main information and defend militarily. In the process that Hugum expanded to Liadong and was established in relations with China, Uiju took an symbolic action of demonstrating movement from Ming to Hugum in the center of the relations with China. 조선의 대외관계는 외교적인 실무가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의주는 임진왜란의 발발, 명의 쇠퇴와 후금의 발호 및 청의 등장이라는 시대적 변화와 조선ㆍ명ㆍ후금 상호 간의 관계변화에 따라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조선의 대중관계를 대변하였다의주는 요동이라는 특수한 지역과 인접해 있으면서 명과 여진족을 함께 접하고 있었다. 의주는 조선의 사대교린관계를 기반으로 명에게는 관문으로서, 여진족에게는 군사적 성격을 지닌 방어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의주 주변의 도서경작을 통해서도 이러한 성격이 잘 드러나고 있다. 여진족의 약탈이라는 영토 침입에는 군사적 조치를 취하며 적극적으로 방어하지만 명의 동팔참 정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영토 확대 시도에는 오히려 경작을 포기하는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면서 이원적인 대중정책을 보여준다. 임진왜란의 발발로 의주는 명을 중심으로 한 외교적 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였다. 선조의 내부가 무산되면서 왕의 임시거주지이자 전쟁수행의 중심지였으며, 명의 원군파병과 중강개시의 설치로 인적ㆍ물적 유통로로서 기능하였다. 전쟁 이후 의주는 재조의 기반으로서 선조의 왕권 강화에 이용되면서 국내적으로 그 위상이 높아졌지만, 대명관계에 있어서는 외교적 관문이자 중강개시 관리지역으로서 갈등이 발생하였다. 더욱이 명과 후금의 대립으로 조선은 의주를 중심으로 주요 정보를 습득하고 군사적 방비를 이어가며 명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지만, 후금이 요동을 점령하면서 의주의 사행로와 중강개시를 중심으로 조선의 대중관계가 명에서 후금으로 선행되어 편입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 KCI등재

        임진왜란 시기 명나라로 건너간 조선 유민 고찰

        박현규 동북아역사재단 201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1

        This paper analyzes displaced Koreans who flowed into China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壬辰倭亂) from 1592 to 1598. These immigrants form a watershed in the history of Koreans’ immigration to China. Korean refugees appeared in large number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due to war and famine. Some among them crossed the border for safety or entrusted themselves to the camp of Ming China’s troops in Joseon and later entered China when the Chinese army withdrew from Joseon. The Ming army received many Koreans into their camps and took them when returning to China for such reasons as relief,convenience of action, supply of soldiers, and reinforcement of military forces. And some Koreans entered China due to the pressure and enticement of Ming troops. The Joseon government endeavored to gain permission for Koreans to leave Ming camps and to prevent them from crossing the border. But its efforts were fruitless because of the personal conditions of Koreans in Ming camps and the lukewarm cooperation of the Ming army. It seems that more than 10,000 wandering Koreans entered China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They resided in Liaoyang (遼陽),Qianshan (千山), Zhenjiang (鎭江), Guangning (廣寧), Gaoping (高平),Xingshan (杏山), Shanhaiguan (山海關), Tongzhou (通州), Nanjing (南京), Yangzhou (揚州), Dengzhou (登州), Hangzhou (杭州), and Sichuan (四川). Many of them lived in Liaoyang and Guangning. Slaves from Japan who were taken as prisoners of war lived in Guangning. They earned a living by begging, or by serving in a Chinese home or as a soldier at the border. Sometimes an individual used his specialty to serve in an individual business. Among these instances, being a soldier was used as a short cut to success. While all wandering Koreans experienced homesickness, they showed many differences due to their individual conditions. 본 논문은 한민족의 중국 이주사에 있어 작은 분수령을 한 임진왜란 조선 유민에 대해 분석한 글이다. 임진왜란 시기에 전쟁과 기근으로 조선 난민들이 대량으로 발생했다. 이들 가운데 스스로 생존의 길을 찾아 국경을 넘어가거나 한반도에 지원해온 명군 진영에 투탁하여 살아가다가 나중에 명군이 또한 철수할 때 동행 형식을 띠며 중원으로 들어갔다. 명군은 구휼 차원, 활동 편의, 사병 충당, 군사력 증강 등 여러 차원에서 많은 조선인들을 진영으로 받아들였고, 훗날 이들을 데리고 중국 대륙으로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일부 조선인들이 명군의 강압과 꼬임에 빠져 들어가기도 했다. 조선 조정은 투탁자를 명군 진영에서 나오게 하고 국경을 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투탁자의 개인 사정과 명군의 미온적인 협조로 별다른 효과를 누리지 못했다. 임진왜란 시기 중국 대륙으로 건너간 조선 유민의 숫자는 최소한 1만 명은 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遼陽, 千山, 鎭江, 廣寧, 高平, 杏山, 山海關, 通州, 南京, 揚州, 登州, 杭州, 四川 등지에 살았고, 그 중에서도 요양과 광녕 지역에 많이 몰려있었다. 광녕에는 전쟁 포로로 추정되는 倭奴들도 살고 있었다. 유민들이 살고 있는 양상을 보면 주로 유랑 걸식하거나 명 집안의 가정 노릇, 변방 지역의 군인이 되었고, 간혹 장기를 살려 개인 업종에 종사하고 있었다. 그 중에서도 군인 직업은 단기간에 신분상승을 꾀할 수 있는 첩경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甘州參將 崔用晦는 병사 3천 명, 泗川把摠 趙貴祥은 병사 수백 명을 이끄는 장수이다. 유민들은 고국에 대한 향수를 가지고 있지만, 고국으로 돌아온 의사 표현에 있어서는 중국 대륙으로 들어온 자발적과 피동적 과정, 본국에서의 혈족 유무, 중국에서의 직업 만족도, 혼인과 처자식 유무 등 개인 사정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 KCI등재

        15-16세기 朝鮮 白磁에 보이는 明代 磁器의 影響

        이현정 한국미술사학회 2011 美術史學硏究 Vol.- No.270

        This paper examines the influence of Ming-dynasty Chinese ceramics on Joseon white porcelains of the fifteenth to sixteenth century. To understand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 Ming ceramics influenced Joseon white porcelains during this period, I first try to establish the types of Ming-dynasty ceramics that were imported into Joseon, based on documentary sources available in Korea and elsewhere and archaeological finds. Secondly, I compared the white porcelain of Joseon with that of Ming China, and tried to find out the influence from the Chinese dynasty. Thirdly, I divided the ceramic art of Joseon into three periods, and discussed the process in which Joseon white porcelains accepted the influence from Ming and changed it to their own style. During the first period (circa 1392-1450), the achievement of Ming in the ceramic art flooded into Joseon, resulting in the appearance of the Ming’s influence while the Goryeo’s tradition formed under the influence from Yuan was still maintained as represented by the form of the Joseon’s white porcelain bowls and bottles. During the second period (circa 1450-1500), the influence from the style of Ming’s ceramics is clear in the shape of the bowl, vase, jar and vessel lid as well as the use of floral and vine,cloud and dragon, Chinese characters, auspicious seven objects and modified cloud design. The styles adopted in the second stage reflect, except for the modified cloud design, the styles developed in China during the reign of Yongle, Xuande and Zhengtong and imported in the first stage. I assume that the situation can be explained by that Ming was put into a period of political and economic unrest while Joseon was able to produce high-quality white porcelain and blue-and-white porcelain and established an effective production system as represented by the successful operation of gwanyo (royal kiln). Joseon was now in a stage of full-fledged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and blue-and-white porcelain, and the influence from the Ming ceramics had now ceased. The characteristics in this period therefore can be traced back to the Ming styles introduced extensively in the first period. This also had to do with the selective manner in which Ming-dynasty ceramics were imported to Joseon. During the later part of the second period, there was a sizeable amount of Ming ceramics imported into Joseon through non-official trade. But the stylistic elements traceable to the Ming dynasty from around this time are only modified cloud design, which were used as secondary motifs. In other words,Joseon white porcelains adopted the Ming styles not unconditionally but selectively. During this same period, aside from Ming dynasty-influenced white porcelains, many other types of white porcelains were produced in Joseon, including originally-shaped vessels such as cups with two handles, dishes with a wide and flat rim, flat bodied-vases, water droppers and tall and round jars with the rims of their mouth rolled outward, and vessels decorated with poetic motifs, figurative designs showing pines, bamboo, apricot trees; yet more evidence of the selective and discriminating approach to yielding to external influence. During the third period (circa 1500-1592), Ming-dynasty stylistic elements received during the second period were assimilated and reinvented by adding native elements. Some of the elements of sixteenth-century Ming-dynasty ceramics were also received at this time, as attested to by the shapes of vases and plates as well as Chinese character motifs and rolled-out ring-shaped motifs in underglaze cobalt-blue used on the inside of a vessel. Through discussions of the above-described three periods, this study shows that Joseon porcelains selectively embraced the influence of Ming-dynasty ceramics, choosing only those elements that suited the native aesthetic and used them to take the local tradition of white porcelain-making to the next level in a manner not to sacrifice its own original style. 본 논문은 15·16세기 조선 백자에 보이는 명대 자기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도자관련 문헌기록과 유적 출토품을 분석하여 유입된 명대 자기의 양상을 고찰하였다. 둘째, 조선 백자와 명대 자기의 양식을 비교 분석하여, 조선 백자에 보이는 명대 자기의 요소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셋째, 이를 종합하여 세 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마다 조선 백자가 명대 자기 양식을 어떻게 받아들이며 변화시켜 가는지 그 수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1기(1392-1450년경)는 명대 자기의 공식적인 유입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조선 백자의 발, 병의 기형에서 원대 자기의 영향을 받은 고려의 전통이 지속되면서도, 새로운 명대 자기의 요소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기였다. 2기(1450-1500년경)에는 발, 병을 비롯해서 호, 뚜껑의 기형과 화당초문, 운룡문, 문자문, 칠보문, 변형운문 등에서 명대 자기의 양식이 수용되었다. 그런데 2기에 수용된 양식은 변형운문 외에 대부분 1기에 유입된 영락·선덕·정통연간의 양식이었다. 이는 당시 조선의 경우 양질의 백자와 청화백자가 제작되고, 관요가 설립되는 등 제도적으로도 생산체제를 갖추고 있던 시기인 반면, 명의 경우 정치적·경제적 혼란기였던 상황에서비롯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곧 조선은 본격적으로 백자와 청화백자를 생산하는 시기였지만, 더 이상 명대 자기의 공식적인 유입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따라서 1기에 다량 유입되었던 명대 자기의 양식을 수용한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는 조선 백자의 수용태도에도 그 원인이 있었던 것으로 보았다. 2기 후반기가 되면 사무역을 통해새로운 명대 자기가 유입되는데, 그 영향은 보조문양인 변형운문에서만 보인다. 곧 조선 백자가 명대 자기의양식을 무조건적이 아닌 선택하여 수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당시 명대 자기의 요소가 보이는 백자와는 별도로 양이잔, 전접시, 편병, 연적, 구연이 외반하여 말린 입호, 원호 등의 기형과 시문, 회화적인 송죽매 계열 등의 문양이 시문된 조선 백자가 다수 제작되고 있었음은 이를 또한 반증해 준다. 3기(1500-1592년경)에는 조선백자가 2기에 수용한 명대 양식을 조선적으로 변화시키며 발전하고 있었으며, 이와 함께 병과 접시, 문자문, 내저면의 청화원권 등 일부 기형과 문양에서 16세기에 유입된 명대 자기 양식을 수용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조선 백자는 각 시기마다 명대 자기의 영향을 받았지만, 주체적인 입장에서 조선의 미감에 맞게 명대 자기 양식을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조선적인 특징을 지니며 발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