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Korean Repository』에 소개된 LOVE SONG 연구

        송민규 ( Min Gue S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2

        본고는 한국 최초의 영문 월간잡지 『The Korean Repository』에 게일(James Scarth Gale, 奇一, 1863-1936)이 소개한 문학작품 중, LOVE SONG이라고 인식한 번역시를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다. 19세기 말에 이르러 한국 문학에 관련된 서양인들의 기록 또는 번역작품이 등 장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는 한국문학의 전반적인 인상이나 평을 기록한 오페르트(Ernest J. Oppert)나 그리피스(William E. Griffis)가 있었고, 한국 소설을 번역한 알렌(Horace Newton Allen)이나 아노로스(Arnous H. G)가 있었다. 한국시가에 대한 기록은 1895년에 이르러 처음 등장하는데, 바로 『The Korean Repository』에 실린 헐버트와 게일의 성과들이 그것이다. 이 중 게일은 『The Korean Repository 』에 여러 편의 한국시가를 번역하고 논의한 인물로서, 양적인 측면에서 단연 돋보인다. 『The Korean Repository』에 실린 게일의 번역시가는 ODE, LOVE SONG, SONG등으로 불린다. 이와 같은 명칭이 영시(英詩) 고유의 분류법임은 말할 것도 없다. 특히 LOVE SONG으로서의 한국시가는 가장 많은 편수가 번역되었음은 물론, 그 LOVE SONG으로서 처음 소개된 1895년 4월의 기사 ``KOREAN LOVESONG``에는 ``specimens of Korean versification(한국 시형식의 형태)``라고 소개되어 특히 주목된다. 본고는 이외에도 1896년 1월 소개된 ``LOVE SONGS``라고 소개된 작품까지 합하여 총 7편의 LOVE SONG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LOVE SONG으로서 한국시가들의 원문은 모두 『남훈태평가』에 실린 애정류시가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다양한 주제의 ODE나 SONG과는 차별된다. 『The Korean Repository』는 1892년 1월에서 1898년 12월까지(1893년과 1894년의 2년의공백기를 제외하고) 6년에 걸쳐 발간되었는데, 이 시기는 한국의 애정류 시가가성행하던 시대이기도 하다. 더구나 게일이 번역의 대상으로 삼았던 『남훈태평가』에서 애정류 시가가 차지하는 비율은 가장 높다. 따라서 게일은 19세기말 한국사회에서 애정류 시가가 가장 유행했음을 인식하고 이 LOVE SONG을 번역하는데 관심을 쏟았으리라고 추측된다. 한편 LOVE SONG에 드러난 사랑의 표현방식은 『남훈태평가』의 원작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LOVE SONG의 사랑표현은 매우 열정적이며, 구애의 방식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반면, 원작의 사랑표현은 간접적이며, 구애의 방식에 있어서도 적극적이지 못했다. 더구나 LOVE SONG은 시어 ``love``를 적극적으로 쓰는데 반하여, 원작에는 시어 ``?랑``이 한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게일은 번역의 과정에서 19세기 말 애정류 시가에 표현된 한국의 정서를 열정적이고 적극적인 사랑으로 변모시켰다. 훗날 게일은 『구운몽』, 『춘향전』 등의 번역에까지 이르게 되는데, 이와 같은 번역소설에 드러난 게일의 사랑관은 그 이전에 번역한 LOVE SONG으로서 시가에 드러난 사랑관과 연결시킬 수 있다. This article studied translated poems perceived as ``Love Songs``out of literary works published on "The Korean Repository", the first English monthly magazine in Korea, by James Scarth Gale (奇一, 1863~1936). In the end of the 19th century, records of Korean literature or translated literature works by westerners came to appear. Among them, there were Ernest J. Oppert and William E. Griffis who recorded overall impression and Horace Newton Allen and Arnous H. G who translated Korean literary works. Records on Korean lyrics first appeared in 1895, which was achievements of Herbert and Gale published on "The Korean Repository". Among them, Gale translated many Korean lyrics and discussed them on "The Korean Repository", and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in terms of quantity. Korean lyrics on "The Korean Repository" translated by Gale are called as ODE, LOVE SONG or SONG. These names followed English poetry classification. In particular, the biggest number of Korean poems were translated under the name of ``LOVE SONG`` and the first article introducing Korean poetry under the title of ``KOREAN LOVE SONG`` in April 1895, they were introduced as ``specimens of Korean versification``. This article studied total 7 LOVE SONGS including the works introduced as ``LOVE SONGS``in January in 1896. The original texts of Korean poems published as LOVE SONGS were all love songs on "Namhuntaepyungga". Such characteristics made Korean love songs differentiated from ODE or SONG with various kinds of themes and subjects. "The Korean Repository" had been published for 6 years from January, 1892 to December, 1898 (excluding two years``break of 1893 and 1894), when love songs were popular in Korea. Additionally, "Namhuntaepyungga" which Gale translated contained high percentage of love songs. Actually, the highest portion of the works was love songs. It can be guessed that Gale perceived that love songs were popular in Kore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ried to translate these love songs. On the other hand, the expressions of love on LOVE SONG were different from those on the original poems in "Namhuntaepyungga". Love expressions on LOVE SONG were very passionate and the courting method was very active, while those on the original works were indirect and less active in courting. Besides, in LOVE SONG ``love`` has been used actively but in original poems did not use ``?랑``at all. Gale transformed Korean`s emotion expressed in love songs in the 19thcentury to active and passionate love during the course of the translation. Later, Gale translated "Guwunmong" and "Chunhyangjeon", and sense of love shown in his translated novel could be connected to the sense of love shown in LOVE SONG that he had translated before.

      • KCI등재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의 이해(理解)와 사적(史的) 전개(展開)

        박인희 ( In Hee Park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3

        고전시가 중에는 충신연주지사라 불리는 작품들이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충신연주지사의 개념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거의 없었다. 그래서 본고는 『조선왕조실록』에 충신연주지사라 언급된 <정과정곡>을 중심으로 충신연주지사에 대해 살펴보았다. 살펴본 결과 충신연주지사라 불리려면 세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만 함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충신연주지사의 작가는 충신으로 불릴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다른 인물이나 세력으로 인해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왕으로부터 멀어진 상황 속에서 작품이 지어져야 한다. 셋째 왕에 대한 걱정과 그리움이 전제된 내용이어야 한다. 아울러 둘째 조건으로 인해 충신연주지사를 유배 중에 지어진 작품으로만 볼 필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셋째 조건으로 인해 충신연주지사에서 왕을 원망하는 내용은 문학적 관습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충신연주지사를 이렇게 이해할 때, 신라 때 지어진 <물계자가>, <실혜가>, <원가>와 조선시대 윤선도의 <견회요>도 충신연주지사로 볼 수 있음을 보았다. 본고를 통해 충신연주지사의 개념과 충신연주지사로서 고전시가가 어떤 성격을 갖는 작품인지 좀 더 구체화되었으리라 본다. 또한 이 논의를 통해 충신연주지사라는 표현을 몇몇 작품, 특정 장르에만 사용할 필요가 없음도 드러났다고 본다. In classical poetry, there are some works called as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忠臣戀主之詞].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f the concept of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until now.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literally has referred to some work with loyalist`s longing for his king. Or, because a work called as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was written in one`s exile, it has referred to some work that one wrote as he missed his king in his exi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concept of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focused on Jeonggwajeonggok[鄭瓜亭曲] which has been stated as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result indicates that a work called as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must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First, its writer should be appreciated as a loyalist. Second, the song should be written in the situation that the writer grows away from his king regardless of his will due to some influence blocking between his king and him, namely the king`s subject. Third, in that situation, the writer should express his own feelings honestly with his longing for his king. A work called as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should measure up to these conditions. And the second and the third conditions increase the possibility that a work is regarded as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Due to the second condition, it is not necessary that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is defined as some work written in one`s exile. It is enough that the song was written in some situation that the writer grew away from his king regardless of his will. The third condition allows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to involve some expression of resentment over his king. The resentment reveals itself when the writer expresses his feelings in the situation that he is far away from his king. The expression of resentment over a king is comprehensible as a literary convention of those day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hat Mulgyejaga[勿稽子歌], Silhyega[實兮歌] and Wonga[怨歌] written in the period of Silla are regarded as loyalists` love-songs for their kings. Unfortunately, the lyrics of Mulgyejaga and Silhyega have been lost to history. However, the situation that they were written in considered, they deserve to be called as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Wonga should be called as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because it measures up to the three conditions. This paper examined what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is, through the documents regarding Jeonggwajeonggok. In this process, it seems that the meaning of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has taken concrete shape a little more. And, in this discussion, it seems that it ie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a loyalist`s love-song for his king is not just for a few works or a specific genre.

      • KCI등재

        1950년대 대중음악 속 사랑의 제 모습: 노래책 『대중가요』 제1, 2, 3집 수록곡을 중심으로

        장유정 ( Zhang Eujeong ) 민족음악학회 2021 음악과 민족 Vol.- No.61

        본고는 1950년대 말에 발간된 노래책 『대중가요』 1, 2, 3권 속 사랑 노래를 고찰한 것이다. 노랫말을 중심으로 노래에서 사랑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를 몇 가지 형태의 사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누가 누구를 향한 어떤 사랑인지를 중심으로 해서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 연인에 대한 미련과 집착, 이국 여성에 대한 동경과 환상으로 나누어 보았다. 먼저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을 표출한 노래는 대체로 아이가 부모 내지 어머니에게 전하는 말이나 남매 중 오빠가 여동생에게 건네는 말로 이루어진 노래가 있었다. 이러한 노래들은 1950년대 당시 전쟁 이 후 발생한 전쟁고아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전장에서 어머니와 고향을 그리워하는 병사들의 목소리와도 연관된다. 다음으로 연인에 대한 미련과 집착을 보여주는 노래들은 성별을 단정할 수 없는 노래 화자의 방백으로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드러냈다. 특히 이별 후 노래 화자가 느끼는 외로움과 그리움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노래들은 그 이전 노래들이 보여주었던 이별의 정서를 계승하는 측면이 있었다. 즉 ‘현재는 없으나 과거에는 존재했던 임’과 ‘시적 화자의 수동적인 태도’가 그것이다. 그런데 그 내용을 보면, 떠난 임에 대한 미련과 집착을 보여준다는 특징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1950년대 사랑 노래에는 이국 여성에 대한 동경과 환상이 드러났다. 이는 6.25 전쟁 이후에 당시 우리나라 사람들이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무수한 이국과 관련이 있다. 영화를 위시한 수많은 서양 문화를 접하면서 이국 여성에 대한 동경과 환상을 키웠다. 이국 남성을 사랑의 대상으로 선정한 노래가 거의 없는 것과 달리, 이국 여성이 노래 화자의 사랑과 이별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은 대중가요의 작사자가 대부분 남성이었다는 것과도 연결된다. 하지만 이러한 노래가 많이 나왔음에도 다소 공허하게 들리는 것은, 이것이 실제라기보다 현실을 도피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한 환상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1950년대는 그 누구도 6.25 전쟁의 영향과 여파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사랑을 다룬 노래에서도 이러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연인간의 사랑을 다룬 노래들은 그 이전 시기나 이후 시기와 유사한 측면이 많다. 하지만 노래에서 남매를 위시한 가족이 소환된다든지, 이국 여성과의 사랑을 다룬 노래들은 1950년대 대중가요에서 유독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즉 전쟁 이후의 특수한 상황이 노래에서 가족이나 이국 여성을 소환했다고 볼 수 있다. 1950년대 이후 대중가요에서 가족이 소환되더라도 군인 신분의 아들이나 부모 잃은 남매의 모습을 찾기 어렵다는 것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더 이상 이국이 동경의 대상이 아니라 실제 접할 수 있는 대상이 되면서 이국 여성과의 사랑을 다룬 노래도 찾기 어려워졌다. 연인간의 사랑의 경우, 시대와 상관없이 오랫동안 대중가요의 중요 소재이다. 노래는 그러한 사랑을 반영하고 사랑에 아파하는 사람들을 대신해서 울어주었다. 그리고 이것이 노래가 존재하는 이유이다. 1950년대 남녀간의 사랑 노래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연인간의 사랑 노래에서는 1950년대만의 특징을 찾기 어려웠다. This paper considers the aspects of love in a song book, Popular songs vol. 1, 2, 3 published in the late 1950s. We divided how love is portrayed in the song with the words of the song into several forms of love. They include longing and love for family, lingering and obsession with lovers, yearning and fantasies about exotic women. First of all, there were songs that expressed longing and love for family, which consisted mostly of words delivered by a child to his parents or mother, or words given to his younger sister by his brother and sister. These songs are related to the war orphans that occurred after the war in the 1950s. It is also related to the voices of soldiers who miss their mother and hometown on the battlefield. Next, the songs that show lingering attachment and obsession with lovers were characterized by the gender-definite release of the song speaker. In particular, most of the cases focused on the loneliness and longing felt by the singing speaker after the breakup. These songs inherited the sentiment of parting that previous songs showed. In other words, "lover who is not present but existed in the past" and "passive attitude of poetic speaker." However, according to the contents, it shows the lingering attachment and obsession of the person who left. Finally, love songs of the 1950s revealed their yearning and fantasies about foreign women. This is related to the myriad foreign countries experienced directly or indirectly by Korean people after the Korean War. By experiencing numerous Western cultures such as movies, he developed his yearning and fantasies for foreign women. Few songs have selected foreign men as objects of love. However, the fact that foreign women have become the subject of love and farewell by songwriters is also linked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song's lyricists were male. In the 1950s, no one could be free from the effects and aftermath of the Korean War. Such traces can be found in songs about love. Songs that deal with love between lovers have many similar aspects to the period before or after that. However, songs about family members such as siblings are summoned in the song, and love with foreign women are particularly prominent in popular songs in the 1950s. In other words, the special situation after the war can be said to have summoned family members or foreign women in the song.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even if a family is summoned from a popular song after the 1950s, it is difficult to find a son of military status or a brother and sister who lost their parents. In addition, it has become difficult to find songs dealing with love with foreign women as foreign countries are no longer subject to admiration, but are subject to actual contact.

      • KCI등재

        〈신작 사랑가〉연구

        최동현(Choe, Tong-hyon)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7 No.-

        〈신작 사랑가〉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의 세 대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대목은 동일한 사설 표현 방식과 동일한 내용으로 된 부분, 사설 표현 방식은 동일하지만 내용은 새로운 부분, 사설 표현 방식과 내용 모두 새로운 부분 등으로 매우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신작 사랑가〉는 전통의 지속과 갱신이라고 하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신작 사랑가〉의 형성 시기에 관해서는 정광수의 기록이 유일한데, 정광수의 기록은 다소 오류가 있어서 사실에 부합하지 않았다. 당시의 공연 상황을 신문 자료 등 다른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1945년 해방과 함께 결성한 대한국악원이 주체가 되어 의욕적으로 제작한 〈대춘향전〉에서 탄생했을 가능 성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에는 〈신작 사랑가〉를 처음 만든 사람은 조상선이며, 김연수, 임춘앵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개작되었다는 증언이 소개되기도 했다. 〈신작 사랑가〉의 전승 과정을 밝히기 위해서 열 가지의 이본들을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해방 이전의 이본들과는 같은 부분이 별로 없었다. 결국 〈신작 사랑가〉는 어느 한 이본을 토대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대부분 〈신작 사랑가〉는 창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신작 사랑가〉는 창극이나 가야금병창 또는 창극 형태로 녹음된 음반에 남아 있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신작 사랑가〉가 창극을 위해 만들어졌지만, 창극 형태의 음반과 가야금병창으로 확대되면서 전승이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신작 사랑가〉의 해석에서는 춘향과 이도령의 사랑은 자신들의 의지(맹세)에 의해 깊어진 것이며, 이도령과 춘향의 욕망이 갈등을 일으키는 전통 〈사랑가〉에서와 달리, 춘향이 이도령의 욕망에 적극적으로 호응하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신작 사랑가〉에서의 사랑은 ‘지금’ ‘여기’에서의 사랑이며, ‘밤’의 사랑인바, 여기서 밤은 도덕과 풍속의 억압을 벗어나 자유로운 육체적 결합이 가능한 해방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고 하였다. 또 〈신작 사랑가〉에서 밤의 지속을 노래하는 것은 두 사람이 사랑하는 순간을 영속화하려는 의지의 표현으로 보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로 〈신작 사랑가〉에 관한 많은 사항이 밝혀졌다. 그 결과 〈신작 사랑가〉에 관한 대략적인 얼개는 그릴 수 있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mposition, development, transmission and the meaning of the New Love Song in Pansori Chunghyangga. The results are as below. The New Love Song is composed of three parts of Jangdan(Korean musical meter), Jinyangjo, Jungmori and Jungjungmori. Each parts of the New love Song represents the two values of the duration and renewal of tradition in various ways. The New Love Song was made by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itute around 1945. Lately a evidence was introduced that the song was continuously revised in later period by Kim Yeonsu and Im Chungaeng. The New Love Song was not made from a certain version but mostly created. And the song remains in Gayageum accompanied Pansori and Pansori theatre. This means that the song was originally made for Pansori theatre but afterwards it was accepted by Pansori style recordings and Gayageum accompanied Pansori. The meaning of love in the New Love Song is a love of ‘now’, ‘here’ and ‘night’. Night means a time of liberation without the repression of moral and custom. During this time they can make a physically free relationship. In the New Love Song, the singing of lasting of night is the expression of the willingness to perpetuate their moment of love.

      • KCI등재

        고려궁정잔치노래와 무녀의 사랑노래

        엄국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3 No.-

        The Song of the Koryo dynasty was known as a folk song of an anonymous person. But it is not a folk song but a song of shaman. The words of it are related with Shamanism. The Shaman song was created by female shaman, because the speaker of the poems uses woman's manner of speaking. The Shaman song had two kinds of love song. One was sad love song which a female confess her devotion to the God. And the other was sensual love song which man and female loves each other with strong carnal appetites. It induces pleasant laughing. So the love song has not a lustfulness but a delight. It is supposed that the sensual human being's love was made by the female shaman who wanted to delight her lover God. In Koryo dynasty, there was Korean traditional prayer, Byeol Ki Eun which prays for longevity of King and peaceful reign of the kingdom. When the prayer was over, there was female concert. It was performed by the professonal beauty entertainer, Kisaeng who lives in the royal palace of Koryo kingdom. I think the song of the Koryo dynasty was the female shaman's love song which was performed by the Kisaeng.

      • KCI등재

        万葉集에 나타난 도시문화 연구 - 相聞歌를 중심으로 -

        이상준 동아시아고대학회 2013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0

        일본 고대국가에서 다이카 개신(大化改新, 645년)으로 전제군주 국가 확립을 위하여, 율령이 반포되고, 그 동안 자주 이동되던 왕도(王都)도 한 곳에 장기간 건설되고 점점 확장․발전되어 갔다. 본 논문에서는 만요슈(万葉集) 소몽카(相聞歌)에 투영된 왕도문화의 번천과정과 그 특성을 고찰해 보려고 한다. 고대 일본에 중국의 혼인 제도를 그대로 적용하려는 율령을 반포한 이후에도, 고대의 전통적인 풍습인 모계제 잔재와 “부부가 따로 살며 남편이 밤에 아내의 처소로 다니는” 「妻問婚」 등이 율령의 시행과 부딪치는 현상이 相聞歌에 그대로 투영되어 있어서, 율령사회로 나아가는 과도기에 남녀의 사랑이 얼마나 힘들고 어려웠던 것인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전제 군주로서의 천황제가 확립되고, 화려한 왕도 서울인 헤이죠쿄(平城京)로 천도한 와도(和銅) 三(710)년을 전후한 시대에, 황후로서 지녀야 하는 덕목인 「인내」와 「끝없는 사랑」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시대적 염원에 부응하여, 질투의 화신인 「이와히메노 오호키미(磐姬皇后)」를 사랑의 화신으로 승화한 것이다. 즉, 万葉集 卷二 相聞의 권두가군(卷頭歌群)은 그 동안 구전되어 오던 노래들을 모아, 연작 형식으로 재구성하여 磐姬皇后가 닌토쿠 천황(仁德天皇)을 그리워하는 相聞歌로서 스토리를 엮어 재배치된 것이다. 万葉集 卷二 相聞歌 가군의 노래는 왕도의 중심인 궁정에서 생활하는 고귀한 사람과 관인 등 궁정 사람이 주고받은 연가(戀歌)다. 이 연가는 본연의 목적인 사랑을 얻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궁정생활의 하나로 행해진 연애유희인 것이다. 후지와라쿄(藤原京)의 중심에 위치하는 후지와라궁(藤原宮)에서부터 천황의 덕(德)을 유출(流出)하는 한, 藤原京에서는 예(礼)가 지켜는 사회가 된다. 황도 서울이 礼에 의해 질서가 지켜지는 것이야말로 천황의 덕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연애는 사회적인 질서로부터 일탈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예를 들면, 연애를 하게 되면, 노동을 해야 하는 대낮에도 연인을 만나고 싶은 법이다. 그래서 연애는 남의 시선인 「히토메(人目)」와 남의 말인 「히토고토(人言)」를 기피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히토메」과 「히토고토」가 가어(歌語)로서 와카(和歌)에 등장하게 되는 것은 후지와라쿄(藤原京) 시대부터인 것이다. 藤原京의 礼을 근간으로 한 질서를 지키는 사람을 「미야비오(風流士)」라고 한다. 藤原京의 풍류(風流)를 잘 반영하고 있는 풍류사라고 하는 「미야비오(風流士)」는 「오호토모노 스쿠네타누시(大伴宿祢田主)」고, 「이시카와이라스메(石川女郎)」는 보다 호색적인 색채를 띤 「미야비오」로서, 헤이죠쿄(平城京)의 「미야비(風流)」로 나아가는 가교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In a Japanese ancient state, legal codes of the Nara and Heian eras are distributed by the Daika innovation. Although capital city was also moved well, from the Emperor Jito era Fujiwarakyo is new for being built. It carried out by forming capital city culture. In the inside of such environmental transformation, The Manyousyu  was born. This research has considered the change process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capital city culture reflected in the Manyousyu love poem song Soumonka. Although it is that the China style marriage system was introduced into the ancient Japan society by legal codes of the Nara and Heian eras distribution, Also after distributing legal codes of the Nara and Heian eras, the phenomenon which collided with the existing traditional customs is reflected in the love poem song Soumonka as it is. It is as showy as the Tenno system establishment as a tyrant. The patience which is the time which transfered the capital in Heijokyo which is capital city, and which got mixed up for wado 3 years, and a virtue which it must have as the Empress, and endless love were required forcibly. The Tenno system as a tyrant is established, The period which got mixed up 710 which transfered the capital to Heijokyo which is showy capital city, The patience which is a virtue which it must have as the Empress, and endless love were required forcibly. such an antique demand is accepted, constituting the songs which are told from collaboration, in order to make Empress Iwahime who is the incarnation of jealousy sublimate with the incarnation of love, It was edited in the beginning-of-a-book song of the Manyousyu Volume 2 love poem song Soumonka. The song of the Manyousyu volume 2 love poem song group is a love song which the valuable person who lives on the court which exists at the center of capital city, and courtiers, such as a government official, exchanged. It is the love play performed by one of the court lives rather than saying that this love poem song is for obtaining the love. As long as the Emperor's virtue is being made to flow out of Fujiwara Miya situated in the center of Fujiwarakyo, the society based on a greeting is maintained in Fujiwarakyo. Such order of Fujiwarakyo was also the proof of the Emperor's morality. A possibility of love of deviating from social order is high. For example, I would like to meet also in the daytime which works. Then, society comes to induce the idea referred to as being evading the “person word" of the words of the “public notice" which is others' eyes about love, and others'. It appeared by the poetical word. It is the Fujiwarakyo age. Elegant person which keeps the order of the society based on the decorums of Fujiwarakyo is called “Miyabio". “Miyabio" who is often reflecting the elegant style of Fujiwarakyo is “Otomonosukunenotanusi". Because “Ishikawanoitatume" is sensual “Miyabio", she becomes a background which newly makes “Miyab" of Heijokyo.

      • KCI등재

        영남 지역 <모심는소리>의 愛情 노랫말에 나타난 情緖와 그 의미

        정한기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1 No.-

        In this thesis, I aim at investigation at the emotion in love song of Yeongnam’s <rice-planting song> and the emotion’s mean.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emotion in love song of Yeongnam’s <rice-planting song>:The speaker expresses the feeling of love in Yeongnam’s <rice-planting song> through two ways. The one is the fragmentary expression and the other is the concrete expression. The one of concrete expression is that the speaker expresses the feeling by taking dependent attitude toward lover and expecting union with parting lover. So the speaker’s expectation of union with parting lover is the emotion in love song of Yeongnam’s <rice-planting song>. In this song, the contents are developed from parting grief to expectation of union with parting lover or from expectation of union with parting lover to frustration. The emotion’s mean:The speaker express the grief on the parting with lover in love song of Chinese poem related with <rice-planting song> through one way. The way is that the speaker expresses the feeling by taking dependent attitude toward lover and expecting union with parting lover. So the speaker’s expectation of union with parting lover is the emotion in love song of Chinese poem related with <rice-planting song>. In this song, the contents are developed from expectation of union with parting lover to frustration. The grief is formed by this development. 본고의 목적은 영남 지역 <모심는소리>의 애정을 화제로 한 노랫말에 나타난 정서와 그 정서가 지닌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남 지역 <모심는소리>의 애정 노랫말에 나타난 정서이다. <모심는소리>의 애정 노랫말에 나타난 감정에는 단편적으로 표출된 것과 구체적으로 표출된 것이 있다. 구체적인 표출에는 묘사를 통한 것, 주객 대응을 통한 것, 화자의 태도를 통한 것 등이 있다. 화자의 태도를 통한 표출에 情緖가 나타난다. 그 정서는 화자가 님을 위한 생각․행동에 몰두함으로써 님과의 결합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期待이다. 그 기대란 정서가 중심이 되어 노랫말은 ‘이별(배신)→기대’로 전개되거나 ‘기대(결합)→좌절’로 전개된다. ‘기대(결합)→좌절’로 전개된 노랫말은 悲哀가 형성된다. 둘째, 애정 노랫말에 나타난 정서의 의미이다. 정서의 의미를 애정을 화제로 한 <모심는소리> 관련 한시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애정을 화제로 한 <모심는소리> 관련 한시에 나타난 화자의 감정은 悲哀이고, 화자의 정서는 期待이며, 작품은 ‘기대(결합)→좌절’로 전개된다. <모심는소리> 관련 한시 가운데 이학규의 한시가 특히 주목된다. 이학규는 민중의 천연한 정감을 한시에 수용하려 하였다. 그의 한시에 나타난 화자의 감정은 비애이고, 그는 비애를 형상화하기 위하여 화자의 기대란 태도에 주목하였고, ‘기대(결합)→좌절’이란 전개를 하나의 작품 안에 압축하여 그 전개로 비애를 형상화하려 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모심는소리>의 애정 노랫말에 나타난 기대란 정서는 민중의 천연한 정감이란 점에 의미가 있고, ‘기대(결합)→좌절’이란 전개를 이루어 비애가 형상화된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릴케를 통한 시적 전신(轉身) ― 전봉건의 ‘사랑의 노래’를 중심으로

        송현지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6

        By analyzing that Jeon Bong-keon's poetic transition - delivery and discontinuance of ‘song about lo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at Jeon Bong-keon sought attitude and method as a poet fighting back against the ruins of postwar period through Rainer Maria Rilke. This was done with the judgment that Jeon Bong-keon referred to Rilke at every aspect of thinking about what to write as a poet at this moment, at this place based on his confession that he took Rilke’s attitude as poet as his own poetic mirror.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Jeon Bong-keon changed his poetic direction by singing ‘song about love’ after questioning his identity as a poet to Rilke. The direct cause of singing ‘love' so abruptly, for a person who had been writing war poems based on participating in a war, was discovering vital power from ‘love’. However, when seeing that such a transition took place right after questioning Rilke and that ‘love’, which he chose as a way of fighting back, was eros, it can be assumed that he had been influenced by Rilke since Rilke not only emphasized recovery of humans’ basic and simple desire such as sex as a way to resolve problems of contemporary era but also suggested the vocation of a poet which Jeon Bong-keon tried to achieve through ‘song about love’ by seeing poet as the existence who can give birth to new life like women. His poetic strategy to overcome ruins through ‘love’ discontinues after 「Repetition for Love」, 「Chunhyang Yeonga」, and 「Inner Sea」 and he changed direction toward singing about the scars of war again since he realized that ‘song about love’ cannot be a sound way of overcoming reality in the process of singing ‘song about love’ through the mouths of Chunhyag and Cheoyong. The next step he took through Chunhyang and Cheoyong after confronting impossibility of love shows that he obtained an answer from the essay on poetry by Rilke. Their accepting impossibility of love, facing reality, and neutralizing life and death, hope and despair, and confrontation between scar and love coincides with the step of ‘woman in love’ who faced impossibility of love which Rilke praised. Jeon Bong-keon acknowledging that the scars of war are always accompanied in life after discontinuing singing ‘song about love’ and not trying to overcome them and accommodating them in reality was the way of love ultimately pursuing Rilke and the way of writing poems. Jeon Bong-keon practiced Rilke's poetry by going beyond and singing another ‘love’. 본 연구는 ‘사랑의 노래’의 타전과 중단이라는 전봉건의 시세계에서의 두 번의 시적 전환이 전봉건이 릴케의 시학을 능동적으로 전유한 흔적임을 분석함으로써 전봉건이 릴케를 통해 전후의 폐허에 응전하는 시인의 태도와 방법을 모색해갔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릴케의 시인으로서의 태도를 자신의 거울로 삼았다는 그의 고백에 기대어 그가 지금-이곳에서 시인으로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를 선택해야 했던 기로마다 릴케를 참조하였다는 판단에 의해서였다. 전봉건은 전후의 폐허에서 시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시인의 소명에 대해 궁구하며 릴케에게 질문을 던진 이후, 폐허에 응전하는 첫 번째 방법으로 ‘사랑의 노래’를 부르는 것을 선택하였다. 전투시를 쓰던 그가 시적 방향을 선회한 직접적인 원인은 사랑에서 생명력을 발견하였기 때문이었지만, 그러한 전환이 릴케에게 질문을 던진 직후에 이루어졌으며 그가 선택한 사랑이 에로스를 뜻한다는 점에서 이는 릴케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릴케 역시 현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성(性)과 같은 인간의 기본적이고 소박한 욕구 회복을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시인을 여성과 같이 생명을 낳을 수 있는 존재로 봄으로써 전봉건이 ‘사랑의 노래’를 통해 의도한 시인의 소명을 선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랑을 통해 폐허를 극복해보려는 그의 시적 전략은 「춘향연가」와 「속의 바다」를 거친 후 중단되고, 그는 전쟁의 흔적이 남은 현실을 노래하는 것으로 방향을 바꾼다. 그것은 ‘사랑의 노래’가 전쟁의 폐허를 극복할 수 있는 온전한 방법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그가 춘향과 처용의 입을 빌려 ‘사랑의 노래’를 부르는 과정에서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사랑의 불가능성 앞에서 춘향과 처용은 좌절하기보다는 현실을 직시하며 이를 다른 창조의 가능성으로 승화한다. 이러한 춘향과 처용의 모습은 릴케가 찬양하였던 ‘사랑하는 여인들’의 행보와 일치하는데 이는 그가 여전히 릴케의 시론에서 모종의 해답을 얻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사랑의 노래’를 중단한 후 전봉건이 전쟁이 남긴 상처를 극복하려 하기 보다 그것이 언제나 삶과 함께 하는 것임을 인정하고 전쟁의 기억을 소환하는 것은 우리의 삶이 전쟁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으며, 전쟁이 남긴 상처는 극복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님을 그가 깨달았기 때문이다. 그는 처용이 ‘일식의 춤’을 추었던 것처럼 폐허에 맞서는 방법으로 폐허를 노래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다른 이에게 각인된 전쟁의 상처를 포용하게 된다. 이는 릴케가 궁극적으로 추구하였던 융합과 헌신, 그리고 유대로서의 사랑이라는 점에서 그가 전(全) 전 시작 과정에 걸쳐 릴케의 시학을 실천하였음을 증명한다.

      • KCI등재

        南朝 民間樂府에 나타난 고대 중국 민간의 사랑 - 〈吳聲歌曲〉을 중심으로

        주기평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文學 Vol.102 No.-

        본고에서는 《악부시집⋅청상곡사》에 수록된 남조의 민가 중 〈吳聲歌曲〉을 중심으로 민간에서의 사랑의 내용과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사랑의 단계를 ‘사랑의 시작’과 ‘사랑의 결실’, ‘사랑의 파국’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로 민가에 나타난 사랑의내용과 방식이 문인귀족의 애정시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오성가곡〉에서는 문인애정시에서와는 달리 사랑의 시작 단계와 결실 단계에서 여성 주도의 대담하고 적극적인 구애와 격정적인 사랑의 행위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사랑의 파국 단계에서도 비록 변심한 임일지라도 임의 미래를 축원하는 문인 애정시와 달리, 〈오성가곡〉에서는 임에 대한 비난과 저주가 나타나고 있으며 외부의 억압이나 폭력으로 인한 파국의 상황이 나타나 있다. In order to examine the content and method of love among the populace in the Southern Dynasty (南朝), In this study divided love folk songs of 〈WuSungGeQu(吳聲歌曲)〉 in the 〈YueFuSiJi(樂府詩 集)〉 into three kinds folk song according to the stage of love; The beginning of love, The realization of love, The breaking of love, and contrasted it with the love poems of Literati. In the love folk songs of 〈WuSungGeQu(吳聲歌曲)〉, At the stage of the beginning and realization of love, The bold and aggressive courtship and passionate affection of women is prominent. and it is unlike passive common women in the love poems of Literati. In the love folk songs, at the stage of the breaking of love, there is a reprehension and curses of lover, and appeared a circumstances of breaking due to external oppression and violence. it is unlike common women are blessing the future of lover even if forsake her in the love poems of Literati.

      • KCI등재

        万葉의 女性像 - 여성의 사랑가에 보이는 「늙음」 -

        사이토 아사코 동아시아고대학회 2004 동아시아고대학 Vol.10 No.-

        Love is indeed a central topic in about 270 songs compiled in “Manyoshu"written by clearly identified female writers. However, it is hard to find songs talking about aging in life. The typical song-writers talking about the rare issue are Isigawanoiratzme (石川郞女), Automonosakanouenoratzme (大伴坂上郞女), and Kinoiratzme (紀郞女). Although Isigawanoiratzme (石川郞女) is an old woman, she describes the story of falling in love as if she was young. The old lady portrayed as an aged woman (古りにし嫗) in the story is likely tobe in love and also suffers from the troubles of love many times in her life. Automonosakanouenoratzme (大伴坂上郞女) depicts the ardent passion of love as much as someone loves "until the days of black hair becoming white hair" (黑髮に白髮交じり老るまで). Although there is a usual expression of "falling frost" for aging, she intentionally describes it with the term of "white hair". The expression of "until the days of frost falling on black hair" defines her sorrow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pain beyond endurance while living a life, whereas the expression of "white hair" implicates becoming old as time goes by. Kinoiratzme (紀女郞), corresponding many verses with Automono yakamochi (大伴家持), illustrates her own feelings as she behaves "actions in a graceful manner (神さぶ)" as an old partner in terms of "whether she is too old to love or not ((神さぶと否にはあらず)". By making a song with the subject of 'getting old' that should not be necessarily explicit, she seems to take a provocative attitude toward her love on purpose. It is believed that such humors in love songs are used to verbalize their feelings more deeply than ever. As mentioned above, the female writers who has introduced the conception of "getting old" into love songs occupies a position of a "female leader". The "female leader"means those are selected by their brilliant talent, aptitude, and dignity, representing their own family. That is why they are supposed to manage the term "getting old"in their works. Consequently, this fact would help presume the possible locations where they could enjoy making songs about "getting old". It allows more studies on the subject needed to be done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