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Management Strategy Behind Achieving Internationalization Through Twinning Programs - Focused on the South Korean Maritime Universities -

        Hyun-Young Py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8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4 No.1

        본 연구는 한국 해양대학교의 트위닝을 활용한 국제화 경영전략으로 학령인구 절벽에 직면한 한국 대학의 공통된 문제점을 해운, 조선 특성화 대학의 장점을 살려 한국 해운교육의 수출을 통한 대학경영 기여 및 대학의 국제화, 학생의 글로벌화, 해운사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일반적인 외국대학 및 국내대학의 국제화 배경에 대한 문헌조사와 한국 해양대학의 국제화 현실, 국제화 장애요소와 촉진요소를 파악하여, 현행법에 근거한 고등교육 수출 유형에 따른 한국의 해양대학교가 나아갈 현실성 있는 국제화 방향을 타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현황 및 추세, 교육과정 공동 운영에 대한 법적 타당성 및 활성화 방안, 연구자의 경험을 통하여 연구, 제시하고자 한다. South Korean universities have the common prevalent problem of significantly declining student population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anagement strategy behind how the two South Korean maritime universities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KMOU) and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MMU)) in particular, can solve the above problem by achieving internationalization through Twinning programs, taking advantage of their specialties in shipping and shipbuilding to export South Korean maritime education overseas. Twinning programs will also allow the universities to achiev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ir management, the globalization of their students,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South Korean maritime industry. To achieve the above aim, this study will conduct a literature review on the internationalization background of general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This study will also try to grasp the reality of, the obstacles to, and the factors that will accelerat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South Korean maritime universities. Finally, this study will research and propose directions the South Korean maritime universities can take to achieve pragmatic internationalization that comply with the current law on the export of higher education. This will be done by exploring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other universities' attraction of foreign international students, the legal feasibility and activation measures of the co-operation of curricula, and the researcher's own experiences.

      • KCI등재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에 기반한 해외 대학의 교양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준호,안정호,이인혜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a general education electives(GEE) at overseas universitie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he GEE Korean curricula of overseas universities and examines the content structure system of the 'Korean Standard Curriculum' announced in 2020, the principles and structure of the curriculum development,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urriculum, and the technical direc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 The analysis of GEE Korean courses opened at overseas universities was conducted by region, and we focus on the number of classes per week and how the semester is conducted. The regions reviewed are Northeast Asia, Southeast Asia, Southwest Asia, North America, and Central and South America. Based on this, this study design a two-year course from 1st year to 2nd year, that is, by grade, 1st year is divided into 1st stage and 2nd year is 2nd stage. Accordingly, in this paper,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of the GEE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 overseas universities are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are described, and a proposal for the composition of the liberal arts Korean language curriculum at overseas universities is proposed. In addition, achievement standard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curriculum were developed, which included sett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general goals and focusing on topics, functions, contexts, skills and strategies, language knowledge,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This is the first stage of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GEE Korean for foreign universities and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or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continued. 본 연구는 해외 대학의 교양 과목으로서의 한국어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해외 대학의 교양 한국어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2020년 고시된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 체계를 고찰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와 구성 방안,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수·학습 내용의 기술 방향을 제안하였다. 해외 대학에서 개설되고 있는 교양 한국어 과정의 분석은 동북아, 동남아, 서남아, 북미, 중남미 등 지역별로 시행하였으며, 주당 수업 시수 및 학기 운영 방법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하여 1학년부터 2학년까지 총 2년의 과정으로, 학년별로 1학년을 1단계, 2학년을 2단계로 구분하였고 각 128시간, 총 256시간의 한국어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해외 대학의 교양 한국어 교육과정의 개발 원리를 제시하고, 성격과 목표를 기술하였으며, 해외 대학 교양 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교수·학습 내용 또한 개발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성취기준 및 총괄목표를 설정하고 주제, 기능, 맥락, 기술 및 전략, 언어지식,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등을 중심으로 하는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체계를 개발하였다. 이것은 해외 대학 교양 한국어교육의 발전을 위한 첫 단계 연구에 해당하며,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연구의 후속으로 교재 및 교육 자료 개발 등의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특집1: 보편과 특수로서의 북한 문학예술, 그 중층적 독해의 가능성 : 북한문학의 미적 보편성과 정치적 특수성 -비체제적 양식과 민중적 해석을 중심으로-

        오창은 ( Chang Eun Oh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남한의 연구자들은 북한 문학을 ‘예외적 형식의 문학’, 혹은 ‘결여의 문학’으로 취급하여 왔다. 이는 남한 문학을 보편적인 형태로 상상하였기에 나타나는 태도였다. 이 연구는 남한문학 연구자의 입장을 상대화함으로써, 북한문학을 보편적 특수로 접근하려고 시도한다. 북한문학을 ‘연관적 사유’를 통해 접근하는 것은 중요하다. 북한문학의 고립태로서 바라보지 않고, 언어에 기반한 예술로서 북한 문학의 보편성을 접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북한문학이 내장하고 있는 문학적 진실을 해석해 낼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관점이다. 남한문학과 북한문학은 공통점이 많다. 우선, 동일한 민족언어에 기반해 있고, 근대문학의 경우 기원도 같으며, 분단 이전까지는 공통의 문학사를 공유했다. 그런데 분단 이후 남한문학과 북한문학이 상호 교류 없이 독자적인 길을 걸어옴으로써, 왜곡 현상이 심화되었다. 논자는 북한문학을 접근하기 위해서는 1) 동일성을 전제하기보다는 상호의 차이를 존중 2) 동시대 북한문학에 대한 이해를 통해 현장성 강화 3) 민중적 관점에서 북한문학에 대한 접근 4) 북한문학을 통한 남한문학의 상대화를 제안한다. 논자는 이를 ‘비체제적 민중주의 접근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논자는 북한평론계가 주목하고 있으며, 남한문학 연구자의 입장에서도 해석의 여지가 풍부한 세 명의 작가를 선정했다. 그 작가는 김혜인, 김철순, 서청송이다. 이들 세 명의 작가들이 발표한 동시대 북한 소설을 통해 북한문학의 보편과 특수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했다. 김혜인의 <가보>와 <아이적 목소리>는 세대 간의 갈등을 통해 북한 사회의 윤리의식을 잘 드러낸 작품들이다. 김혜인의 작품을 통해서는 북한사회의 현안이 사적 이익과 공적 이익의 충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해석은 내밀한 세계를 다루는 문학의 보편성으로 인해 도출 가능한 것이다. 김철순의 <인연>과 <꽃은 열매를 남긴다>는 사랑의 서사이다. 사랑은 문학의 보편적 테마이면서, 그 사회가 구현하고 있는 관계맺기를 드러낸다는 측면에서 의미있는 주제이다. 김철순은 정치성을 우위에 둔 사회에서도 사랑의 고뇌는 계속되고 있음을 드러내는 작가이다. 최근 북한문학에서 돋보이는 작가는 서청송이다. 이 작가는 <영원할 나의 수업>과 <무지개>를 통해 체제에 동원되지 않는 인물들에 대한 관심을 표명했다. 북한 노동자들의 구체적 생활상을 반영한 서사를 통해 관료주의를 비판하는 민중적 관점이 드러나는 작품으로서 의미가 있다. 북한문학은 정치우위성을 견지하고 있는 듯하면서도, 내면세계의 탐구라는 문학의 고유영역으로 인해 비체제적 성격을 간헐적으로 드러낸다. 북한문학에 대한 내밀한 읽기를 통해 관습화되고 있는 문학 양식에 대한 도전이 북한문학에서도 끊임없이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북한문학은 체제의 한계 내에서 허용된 자유를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민중적 공통 감각이라는 측면에서는 문학적 상상력의 지평을 확대하는 시도를 멈추지 않고 있다. 북한문학에 나타나는 비체적 양상과 민중적 형상은 문학의 창조성이 지닌 보편성을 증명한다. 그렇기에 북한문학에 내재해 있는 ‘보편성 속의 특수성’에 대한 섬세한 접근은 남한 문학연구자의 과제이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literary universality and North Korea`s political specificity in South Korea`s research on North Korea` literature. To date, North Korean literature has been handled as exceptional-style literature or deficient literature. This is South Korean researchers` viewpoint based on imagining South Korean literature as a universal form. By relativizing South Korean literature researchers` viewpoint, North Korean literature can be approached as a universal specific form. To examine North Korean literature research in the universal-special relationship, associated thinking was used. It is believed that, when examining the universality of North Korea`s literature as a language-based art, literature`s embedded truth can be analyzed. In actuality, South Korean literature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as a lot in common. First, they are based on the same national language, their early-modern literature has the same origin, and prior to the division of Korea, they shared the common history of literature. After the division of Korea, however, South Korean literature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ave not exchanged with each other but have developed in their own way, thereby deepening literary division. This paper proposes the following approaches to North Korean literature: 1) instead of assuming the same identity, respecting mutual difference, 2) strengthening the field sens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mporary literature of North Korea, 3) approaching North Korean literature from people`s point of view, and 4) relativizing South Korean literature through North Korean literature. I will call it is “Methodology of non-regime style Populism”. Towards that end, attention is drawn to North Korea`s literary criticism circles, and three North Korean writers, worth assessing even from the viewpoint of South Korean literature researchers, were selected. They include Kim Hye-in, Kim Cheol-sun an Seo Cheong-song. Through these three contemporary North Korean novelists` novels, North Korean literature`s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were discussed. Kim Hye-in`s Gabo (Family Treasure) and Aijeok Moksori (Childlike Voice) well depict generational conflicts and North Korean society`s ethics. Through Kim Hye-in`s works, North Korea`s important pending issue was found to be the confront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interests. This point can be derived from the universality attribute of literature that deals with the inner secret world. Kim Cheol-sun`s Inyeon (Connection) and Kkoteun yeolmaereul namginda (Flowers leave fruits behind) are love epic poems. Love is a universal theme of literature, and it is a meaningful theme in that the society discloses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that it embodies. Kim Cheol-sun continues to depict the agonies of love in society with overwhelmingly political dominance. Emerging recently as a highlighted writer in North Korean literature is Seo Cheong-song. Through his works, Yeongwonhal naui sueop (Everlasting My Class), and Mujigae (Rainbow), he expresses his interest in figures who are not mobilized for regime propaganda. Depiction of grassroots` lifestyles is intended to criticize bureaucratism, which is highlighted. North Korean literature seems to maintain political superiority, and yet creates cracks in political superiority by literature`s attribute of exploring the inner world. Reading the hidden messages of North Korean literature reveals that it continues to challenge the literary style being customized. North Korean literature uses freedom allowed within the limitation of regime, and yet makes ceaseless efforts to expand the literary imagination horizon from the viewpoint of populace`s common sensibility. In this sense, the non-regime style and populace`s looks depicted in North Korean literature prove the universality of literary creativity. Thus, the more detailed approach to the specificity in the universality of North Korean literature is left as a research task for South Korean literary researchers.

      • KCI등재

        튀르키예의 한국학 현황과 과제-이스탄불대학을 중심으

        정은경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23 한국문화연구 Vol.45 No.-

        - With the rapid expansion of the Korean Wave, interest in Korea is on the rise across various age groups in Türkiye. This phenomenon has resonated significantly with the Turkish population, who already held a basic sense of friendship towards Korea. Additionally, the collaboration between the two nations has strengthened due to large-scale 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undertaken by Korean companies, elevating Korea’s national status. Despite the increasing demand for Korean studies, the research and understanding of trends in this field have not kept pace with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This study is aims to address gap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s at three Türkiye universities, specifically exploring the Korean studies department at Istanbul University with the objective of identifying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for Korean studies within Türkiye. To reinforce Korean studies as a self-sustaining academic field in Türkiye, our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in this paper. 1. Curriculum Expansion: The three universities (Ankara University, Erciyes University, Istanbul University) currently operate individual curricula based on departmental conditions. However, sustained efforts are needed to expand the Korean studies program within these curricula and thus, establishing a platform for close cooperation and regular discussions among curriculum operators is essential. 2. Support for Academic Growth: Securing proficient professors for Korean studies is challenging. To address this, systematic and sustained support from the Korean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s is necessary to translate the current growth momentum into substantive development. 3. Local Collaboration for Talent Cultivation: Given the importance of Korean studies in local public diplomacy and talent cultivation for Korean companies, close collaboration between government-related organizations, corporations, and Korean studies is vital for future growth. 4. Addressing Expertise Gaps Overseas: The issue of the lack of expertise among Korean studies professors overseas needs continuous attention, and corresponding solutions should be pursued. While there are programs such as conferences and seminars, they are significantly insufficient in terms of time and content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o address this challenge, a potential solution involves implementing focused and systematic programs, such as 'Korean Studies Re-education,' during the summer vacation period, tailored specifically for Korean studies professors teaching at foreign universities. Türkiye has immense potential to emerge as a central hub for Korean studies in the Eurasian region. This can be realized through continuous reflection and the shared vision of both Korean and local scholars, paving the way for ongoing growth and cooperation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within Türkiye.

      • KCI등재

        중국대학 한국문학교육을 위한 작품선정 -1990년대 이후 문학을 중심으로-

        신윤경 ( Yoon Kyeong Shi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7 No.-

        Literature selection for the Korean Literature Education from Universities in China -Focus on literature since 1990`s-.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37, 223~242. When we teach foreign students Korean literature, we consider most on "How" to teach "Which" literature. Especially for foreign students learning Korean literature overseas, ths selection of the literature is very important. It, however has not been carried out properly due to the limited local situations and this has driven foreign students to lose their interest in Korean literature and has demotivated them as well.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review current issues in selecting Korean literature and to develop selection criteria and process of Korean literature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arget sample of the study is foreign students majoring Korean from universities in China because China has long history in Korean education and Koreanology, and Korean literature is one of the most common major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education in universities. As a first step, we reviewed the literature from their text books and found out that the literature selection was not diversified, especially, no comtemporary literature since 1990`s could be found. Therefore, new selection criteria for literature selection was designed based on the literature being taught in Korean universities today and a list of literature was selected through the selection process based on the criteria. Through this exercise, a list of literature was chosen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We believe these carefully selected literature will enable students to learn Korean, Korean culture, Korean society better.

      • 강단국사학계의 인식론과 대학의 이념

        허철부(Hur, Chul-Boo) 세계환단학회 2018 세계환단학회지 Vol.5 No.1

        주요대학 국사학계의 고대사연구에 중세적 인식론인 사대주의와 일본제 국주의의 유산인 식민사관의 그늘이 짙게 깔려있다. 이 같은 병리현상을 치유하고 시정하기 위한 본고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역사교육과 연구의 중심점에 있는 국사학계가 재야사학계와 대학의 인접학문분야 연구사들의 혹독한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국사학도 인류공통의 현대문명의 소산이자 그 한 측면을 기록하며 과거기록을 재조명하고 인류 현대문명의 창조자의 중요한 몫을 하는 ‘학문적 지식’이자 지식’의 이론, 즉 지식론이며 현대철학의 중요한 부분인 ‘인식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지난 삼세기에 걸친 지식론인 인식론의 큰 변화를 바로 파악할 알 필요가 있다. ‘강단 국사학계’가 표방하는 인식 론은 실증철학이다. 논리 실증주의란 19세기의 과학철학이며 과학철학은 자연과 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전한다. 1930년대까지 세계의 대표적 지성계인 유럽학 계의 과학철학이었다. 19세기와 20세기는 특히 미국 학계가 2류에서 세계 일류로 도약하면서 영국 과학철학의 전통을 계승하여 20세기와 21세기의 물리학의 발전에 따른 과학철학의 발전의 영향을 입어 인식론의 발전이 이루어진 바 이의 이해를위한 문제도 약술도 하고자 한다. 한국 ‘강단국사학계’의 인식론/연구방법론이 표면상 19세기의 과학철학이자 인식론인 논리 실증주의를 표방하가 있지만 사실상 후기 조선후반기를 독점하면서 우암 송시열의 유지에 고착되어 근본주의에 빠져들게 된 노론의 인식론과 유사한 바 이도 부연하려 한다. 이 중세적 인식론의 악폐를 청산하기 위하여서도 지식론이자 현대철학의 중요한 분야인 한국적 인식론의 문제를 제대로 진단할 필요가 있다. 이 바탕위에서 우리 강단국사학의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2) 인식론과 이에 관련되는 그 맥락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하여서는 현대문명의 큰조류를 이루는 큰 줄기인 ㄱ. 세계 지성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세계 지성사의 이해를 위하여 지식의 역사학자와 지식의 사회사학자들의 연구결과를 약술하려 한다. ㄴ. ‘학문적 지식’인 올바른 인식론과 연구방법론에 입각한 ‘국사 학’을 연구하고 교육을 행하며 사회적으로 확산하는 대학의 이념과 이를 올바르게 시행하기 위한 한국대학의 좌표를 논하고자 한다. (3) 결론부분에서 서구문명의 세계화 속에서 우리대학이 그 것을 충분히 섭렵하고난 뒤 강단국사학계가 우리의 독창적 세계적 수준의 ‘학문적 지식’의 성과를 내어 세계학계에 기여하는 것도 한국대학의 걸머져야 할 사명이 아닌가 한다. The study of the Korean history from the major universities in the country is deeply shadowed by colonialism, under the shadow of toadyism the heritage of medieval epistemology and Japanese imperialism. In this article, an attempt is made to heal and correct this pathology. (1) The established university Korean history scholars are at the center of history education and research. And yet, they are subject to harsh criticism from the researchers in the fields and also from the university adjunct area scholarship in the Korean universities. The subject of Korean history is a part of the common academic knowledge and the source of contemporary civilization shared commonly by all humankind, and it also becomes the subject of epistemology, theory of knowledge. And they too have to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Epistemolog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great change of epistemology, the knowledge theory over the past three centuries. The epistemology manifested by the established Korean history academia is logical positivism, the science philosophy of the nineteenth century. Science philosophy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ural science. Until the 1930s, it was the scientific philosophy of the European academic world, the world s leading intellectual sphere. In the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ies, the British and American academia took the world academic leadership including the area of epistemology centering on their scientific philosophy, empiricism.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 theory of epistemology / research methodology claimed by the Korean history researchers from the key academia is expressed as the logical positivism which is the scientific philosophy, the epistemology of the nineteenth century on the surface, in fact, it is similar to the medieval No Ron epistemology. In order to re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is medieval epistemology, it is necessary to diagnose the problem of the established Korean historians epistemology which is an important field of knowledge and modern philosophy. On this basis, we should seek a new course of Korean national history research method. (2)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mporary epistemology and its contex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big tide of modern civilization, 1) It is necessary to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world intellectual history. 2) Based on the ideal of the university and on the correct epistemology and research methodology, the societal diffusion and the correct course of action for the Korean university is proposed. (3) In the conclusion, correct epistemology of the established Korean history scholars is proposed for the purpose of globalization of the Korean universities.

      • KCI등재

        An Exploratory Study of Korean Programs in Cambodia: Undergraduate Korean Programs at Four Universities in Cambodia

        Bang Yonghwan,Khoun Thavouth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이 연구에서는 한국 정부가 캄보디아와 국교를 수립한 이후 2000년대 들어서면서 KOICA, 한국학중앙연구원, 세종학당이나 대학들을 중심으로 캄보디아에 증가하고 있는 한국어 교육 수요에 맞춘 캄보디아 대학들의 한국어학과 개설지원사례들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캄보디아에서 현재 개설된 한국어 학과들은 국립대학들인 왕립 프놈펜대학교, 바탐방대학교, 민체이대학교 그리고 사립대학교로는 한국 선교단체에 의해 설립된 라이프 대학교가 있었으며 2006년 2007년도에 설립된 사례들이었다. 연구를 통해 각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한국어 학사과정에 대한 교육과정 분석과 교과목들을 살펴보았으며 그동안 배출한 졸업생들의 수 그리고 대학들이 한국어 학사과정을 운영하면서 겪고 있는 어려운 점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들을 중심으로 운영 중인 한국어 교육과정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연구를 통해 현재 캄보디아 대학에서 운영이 되는 한국어 학과들은 주로 한국 정부 및 관련 기관들의 지원을 통해 개설되었으나 충분한 수요조사가 반영된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는 부분과 한국어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한국 교육 기관들과 캄보디아 대학들과의 교류 협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현재 한국으로 오는 캄보디아 외국인 근로자 수와 캄보디아에 진출하고 있는 다양한 한국의 기업들의 한국어 구사가 가능한 캄보디아 인력에 대한 수요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어서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요를 맞추기 위해 개설된 일반 학원들의 교육과정 실태 분석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fter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with Cambodia, in the late 1990s, KOICA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the Central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King Sejong Institute, and Korean universities supported for the establishment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with Cambodian universities in response to the growing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ambodia.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ly opened Korean department in Cambodia including the Royal Phnom Penh University, Battambang University, Mean Chey University, which are national universities, and Life University, which was established by a Korean missionary organization as a private university. Through the research, the curriculum and subjects of the Korean language course operated by each university, were analyzed as well as the number of graduates produced and the difficulties that universities are experiencing in operating the Korean language course. Through this research, the Korean departments currently operated at Cambodian universities were mainly opened with support from the Korean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bu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reflects sufficient demand surveys and to continuously manage the quality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 KCI등재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를 위한 내용 중심 기반 한국사 교육 방안 연구

        장레이 ( Zhang Lei ) 이중언어학회 2020 이중언어학 Vol.80 No.-

        In the curricula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Chinese universities, major courses can be divided into those focusing on the learning of Korean and content courses such as Korean history, Korean politics and economy, and Korean culture, among others. Because learners who study Korean in China do not have a matching linguistic environment, opportunities to learn Korean outside of class are very rare. In order to provide learners with more time to be exposed to the Korean language, it is necessary to create opportunities for learning Korean not only in language classes but also in content courses. Moreover, findings ways to learn Korean in content courses, such as Korean history, will help to change the ongoing system, which establishes a dichotomy between language courses and content courses, thus expanding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Chinese universities and establishing a systematic curriculum that combines language and content. In addition, Content-Based Korean history course can develop learners’ language skills while also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ir academic proficienc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efficient ways to teach Korean history via Content-Based Instruction for Chinese learners who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t Chinese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ntroduc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y research and education in China and then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as taught by Korean departments of Chinese universities. The study then defines and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the different types of Content-Based Instruction. Next,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Korean history course are presented, dividing them into content-based objectives and language educational objectives, and five principles for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 are proposed. Finally, based on the Into, Through and Beyond models, the steps of classroom teaching are presented, with the “March 1st Movement” presented as an example of providing specific educational practice. Analyzing the content courses of Korean language departments at Chinese universities, which have not much received attention thus far,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expand and exte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o focus on Korean history course and to seek specific education plans that combine language and content learn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국외 한국학 관련 커리큘럼 분석 -프랑스 주요 대학의 한국학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조태린 ( Tae Rin Cho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3 동방학지 Vol.163 No.-

        이 연구는 국외 대학에서의 한국학 관련 커리큘럼의 내용과 구성을 살펴보면서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프랑스 주요 대학의 한국학 관련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에서의 한국학 관련 커리큘럼에 대한 기존 연구를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그 성과와 한계를 짚어보았다. 다음으로 프랑스에서 한국학 과정이 개설되어 있는 주요 3개 대학, 즉 파리7대학교, 국립동양언어문화대학,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한국학 커리큘럼을 한국학 일반과 한국어 교육의 두 측면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각 커리큘럼을 실질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전임급 교수진의 직위와 전공도 함께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이들 주요 대학의 한국학 커리큘럼이 가진 특성과 문제점을 (1) 한국학 커리큘럼 내 한국어 교육 강의, (2) 한국학의 한 분야로서의 한국어학, (3) 프랑스 주요 대학 간 역할 분담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 한국학의 질적 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improvement in the curricular of Korean studies abroad through an analysis on the problem of their content and composition, specially with a focus on Korean studies curricular of several major universities in France.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s some preceding studies and points out their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And then, Korean studies curricular of three major french universities, that is to say Universite Paris 7(Diderot), 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INALCO), and L`Ecole des Hautes Etues en Sciences Sociales(EHESS) are concretely analysed in terms of both Koreanology curricular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ar. In this process, the status and major field of full-time professors of these three institutions are also examined. Finally, this study grope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Korean studies abroad Key Words: Korean Studies Abroad, Curricular, Universities in France, Koreanology,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examination the problems of these curricular in three aspects, that is (1)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in the Korean studies curricular, (2) Korean linguistics as one area of Korean studies, and (3) role division between three major french universities.

      • KCI등재

        중국 대학 한국어교육의 흐름, 현황 및 발전방안에 대하여

        허세립(XU, Shili),이인순(Li, Rensh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65 No.-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70여 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현시점에서 바라볼 때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학계의 일각에서는 한국어 관련 학과의 ‘과열 성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각 대학 한국어 관련 학과의 설립연도와 규모 및 발전수준 등에 입각하여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발전 흐름에 대하여 준비기, 발전기, 도약기 등 세 단계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또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전문대 응용한국어학과의 현황, 4년제 대학의 한국어학과의 현황, 대학원 교육의 현황, 한국학 연구의 현황 등에 대해 논의를 하였고 재학생 규모, 정원 충원율, 취업률 등 한국어교육에 있어서의 핵심부분을 바탕으로 중국 대학 한국어교육의 ‘건강 상태’에 대한 진단을 시도하였으며, 앞으로 한국어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지역특성화’, ‘포괄적인 우리 의식 강화’, ‘학과운영능력 강화’ 등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 발전 흐름 및 발전 현황, 발전 대안에 대한 거시적인 파악과 더불어 한국어 관련 학과의 기획․운영에 있어서 일정한 참고가치가 있을 것이다.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has a history of over 70 years and has gained remarkable achievements. Some experts and scholars used to show their concerns or even question about the “extraordinary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data of the founding time of majors relating to Korean and the development scale and level of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is paper elaborates the three stages of the development history of Korean education, including the preparation period, development period and soar period. Based on some existing problems in Korean education and from a macroscopic perspective,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applied Korean education in technical institutes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ajors in four-year universities and in postgraduate education, and that of Korean studies. Using the data of scale of students majoring in Korean and their admission and employment rate, this paper measures and judges the “health status” of majors relating to Korean education. This paper also brings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enhancing the regional features, strengthening the sense of professional community and reinforcing the managing and operating capability of Korean major as the future development strategy of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e research outcomes of this paper will macroscopically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history, status and strategy of Korean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and Korean studies. At the same time, it provides reference for planning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and related maj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