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종대(中宗代) 음악정책의 중흥과 개혁

        성영애 ( Sung Young-ai ) 온지학회 2022 溫知論叢 Vol.- No.70

        이 연구는 중종대 음악적 중흥과 개혁 과정을 왕권의 위상 변화와 함께 그에 따른 음악정책의 전개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사항에 변화가 나타난 주요 사건들을 기준으로 중종대를 다섯 시기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 번째 시기는 중종 즉위년 9월부터 중종 9년 12월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중종이 즉위하면서 연산군대에 확대된 여악제도를 바로 잡기 위해 재정비한 사실과, 여악을 혁파하자는 빗발치는 대간(臺諫)의 상소에 여악을 양감(量減)하고, 또 남녀상열지사를 금지한 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두 번째 시기는 조광조(趙光祖)가 등용되는 중종 10년부터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는 해인 중종 14년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는 사림이 언관직(言官職)에 대거 진출하고 언관직을 중심으로 정치적 역할을 증대해 가며 커다란 변화가 초래되고 있었다. 중종과 대신, 조광조와의 논쟁에서 외방 여악(外方女樂)의 혁파와 악장 쇄신(樂章刷新)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 번째 시기는 기묘사화 이후 대신들이 다시 주도적인 정치세력의 지위를 회복한 중종 15년부터 중종 25년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에는 전체적으로 정치세력 간의 갈등이 비교적 적었던 안정된 국면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조광조와 기묘사림(己卯士林) 시기에 혁파되었던 외방여악의 복설(復設)이 대두되어 혁파된 외방 여기(外方女妓)가 어떻게 다시 설치되었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네 번째 시기는 중종 26년부터 중종 32년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는 권신(權臣) 김안로(金安老)가 집권하면서 척신정치(戚臣政治)가 실시되어 정치세력 사이의 권력균형이 크게 와해(瓦解)되면서 국정 전체에도 상당한 문제점이 드러났다고 파악된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사실은 그동안 비판적 언론기관으로 충실히 활동해온 삼사(三司)가 김안로라는 한 개인의 정치적 도구로 전락하는 심각한 기능 변질을 나타냈다는 점이다. 이 점을 인식하면서 명(明)사신 접대에 관한 문제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다섯 번째 시기는 중종 33년부터 중종 39년까지의 시기에 해당한다. 이 시기는 앞 시기의 복잡한 정치적 부침(浮沈)을 겪으면서 그동안 왕권을 충분히 행사하지 못했던 중종이 자신의 정치적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노력한 국면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종의 노력한 국면을 음악정책에서는 악공·악생의 폐단과, 재해로 인한 여기(女妓)를 임시로 혁파하는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중종대는 연산군의 폭정으로 무너진 예악(禮樂)을 수습해 음악문화를 재건하려는 목표로 다양한 모색과 실험을 거듭하면서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남긴 기간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musical restoration and reform in the reign of King Jungjong by focusing on changes in the status of royal authority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music policy. For this, the reign of King Jungjong was divided into five periods on the basis of main incidents showing changes in the relevant matter. The first period is from September in the year of King Jungjong’s enthronement to December in the 9th year of King Jungjong. After the enthronement, King Jungjong reformed the Yeo-ak(music performed by female entertainers) system which was expanded in the reign of King Yeonsan-gun, reduced the Yeo-ak because of government officials’ petitions to abolish it, and also banned the discussion of love songs between man and woman. The second period is from the 10th year of King Jungjong when Jo Gwang-Jo was appointed to the 14th year of King Jungjong when the Gimyosahwa happened. During this period, a large number of Sarim got into the Eongwan post and also increased their political roles, which caused huge changes. This study examined the arguments of King Jungjong, ministers, and Jo Gwang-Jo by focusing on the abolition of Yeo-ak outside of Seoul and innovation of movement. The third period is from the 15th year of King Jungjong when the ministers recovered their status of leading political power again after the Gimyosahwa, to the 25th year of King Jungjong. In this period, it was overall stabilized with relatively less conflicts between political powers. However, the re-provision of Yeo-ak outside of Seoul that was abolished by Jo Gwang-Jo during the period of Gimyosarim emerged during this period.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reinstalling the abolished Yeogi(female entertainers) outside of Seoul. The fourth period is from the 26th year of King Jungjong to the 32nd year of King Jungjong. After a powerful retainer Kim An-Ro seized power, the balance of power between political powers was greatly broken up, which was led to many problems in the overall state affairs. And the most important fact is that the Samsa that used to be faithfully working as critical media agencies was degraded to a personal political tool for Kim An-Ro. Considering this point, this study examined the discussion of a problem shown in the reception poems for Chinese envoys. The fifth period is from the 33rd year of King Jungjong to the 39th year of King Jungjong. In this period, King Jungjong who could not fully exercise his royal authority while going through complex political power struggles in the previous period, made the last effort to realize his own political conception. This study examined such King Jungjong’s efforts into music policy by focusing on the abolition of evil effects of AkgongㆍAksaeng(court musicians) and the temporary abolition of Yeogi by disaster. The reign of King Jungjong showed both outcomes and limitations through the repetition of various explorations and experiments for the goal of rebuilding the music culture by amending the Ye-ak(rites and music) collapsed by King Yeonsan-gun’s tyranny.

      • KCI등재

        중종 시대 심언광의 정치 문학

        김명준 ( Myung Joon Ki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論叢 Vol.43 No.-

        이 논문은 중종 시대 심언광의 정치 문학에 대한 의미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심언광은 중종 시대에 중종의 측근으로 주요 관직을 두루 거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런 까닭에 그는 문학 행위를 통해 중종의 고민을 해결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중종이 가지고 있는 왕위 계승에 대한 콤플렉스를 심언광은 정현왕후에 대한 만사를 통해 어느 정도 극복하고자 했다. 정현왕후를 문왕과 무왕의 어머니로 비유하는 방식으로 중종의 정당한 왕위 계승을 강조한 것이다. 그리고 심언광은 중종을 위협하던 권신 세력을 차단하기 위해, 중종이 명 천자와의 권위를 빌리는 정책에 동의하여 시를 통해 외교활동을 펼치기도 하였다. 또한 관료 전체에 대해 맡은 직분에 따라 올바른 자세를 제시하면서 그 근본에 충절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심언광은 중종 개인의 의중만을 충실히 파악하고 그대로 전파하려는 전도사는 아니었다. 그는 조선을 중종 시대에 이상국가로 건설하려는 꿈이 있었다. 겉으로는 중종의 왕위 계승을 노래했지만 이면에는 중종을 고대 성군처럼 만들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고, 관료들에게 역설한 충성은 언로를 개방할 때만 가능한 조건적 충성임을 잊지 않았다. 그리고 그의 외교시는 중종의 친명정책을 따르면서도 조선을 명과 같은 문명국가로 만들고자하는 의지가 반영된 산물이었다. 결국 그는 군주의 인재 등용과 인재의 긍정적 활용만이 조선을 이상국가로 만들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그에게 중종 시대는 꿈을 이룰 수 있는 최적기였던 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meaning of political literature of Shim Eon Gwang from the Reign of King Jungjong. Shim was a close servant of King Jungjong and he served in various major posts with relatively good understanding of King Jungjong`s intentions. For that reason, it seems that he tried to resolve King Jungjong`s concerns through literature activities. King Jungjong`s complex related to the succession of throne was overcome by a certain degree through Shim`s eulogy for Queen Jeonghyeon. Queen Jeonghyeon was compared to the mother of King Moon and King Moo to justify King Jungjong`s enthronement. Shim also agreed to King Jungjong`s borrowing of authority of the Emperor of Ming Dynasty to fight the political powers that threatened him and engaged in diplomatic activities through poetry as the diplomatic delegation. He suggested the righteous attitude for the entire government officials and emphasized that the essence should be the loyalty. However, Shim was not a missionary who only worked to understand and spread King Jungjong`s message. He had a dream to make Joseon an ideal state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He sang about King Jungjong`s enthronement on the surface, but he actually intended to make King Jungjong like an ancient ruler. He emphasized the loyalty of servants, but did not forget to mention that it is conditional faith that should be given only with freedom of speech. His diplomatic poems were the outcomes of his determination to make Joseon a civilized state like the Ming Dynasty while following King Jungjung`s alliance with Ming. In conclusion, he believed that the king`s appointment and positive use of competent manpower could make Joseon an ideal state, so King Jungjong was not his purpose, but a political tool.

      • KCI등재

        中宗代 對明외교의 추이와 정치적 의도

        구도영 조선시대사학회 2010 朝鮮時代史學報 Vol.54 No.-

        본고에서는 중종대 외교 노선의 추이를 明 조정의 정국동향과 관련하여 살펴보고, 집권 후반기의 외교정책은 어떠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먼저 중종대를 正德帝와 嘉靖帝 시기로 구분하여 명 조정의 정국동향과 이에 대한 조선의 대응책을 검토해 보았다. 정덕제는 정사에 관심이 없는데다, 京師 밖 출행도 매우 잦아서 황제가 신임하는 宦官이 정권을 장악하였다. 정덕제 치하에서는 어떤 정치적 개변도 환관의 협조 없이는 불가능할 정도였다. 그러한 정덕제 시기에 중종은 反正으로 즉위하였다. 따라서 명 조정의 왕위 계승 추인이 중요한 외교적ㆍ정치적 과제였다. 이에 조선은 원칙을 중시하는 明 禮部 관리들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환관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매개로 어려웠던 王位 承襲 문제를 해결하였다. 조선은 환관이 주도하는 명의 정치 상황을 비판하면서도 환관들을 통하여 외교적 난점을 해결하였으며, 이들의 뇌물 요구와 징색에 모두 응하는 등 친환관 노선을 걸었다. 정덕제가 후사도 없이 사망하자 가정제는 명대 황제 중 유일한 傍系로 皇位에 올랐다. 가정제는 즉위하자마자 그의 親父에 대한 존칭문제를 두고 신료들과 큰 정치적 갈등을 겪었으니, 이른바 대례의 사건이다. 이는 결국 가정제의 의도대로 귀결되었으나, 가정제는 친부모에게 지속적으로 尊號를 올리며 대례의의 정당성을 더욱 확고히 함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높이려 하였다. 조선은 명의 황제와 신료들이 대립하는 대례의 관련 사안을 두고 進賀使 파견을 고민하였으나, 전례를 참고하며 명과의 관계에 누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수위 조절을 하였다. 그러나 중종은 재위 후반기로 갈수록 신하들과의 마찰 속에서도 대례의 경우처럼 황제를 위한 사행파견에 매우 적극적이었다. 이로 인하여 조선은 가정제에게 극진한 대우를 받는 성과를 얻었다. 신하들과 의견 충돌을 지양했던 중종의 일상적인 통치 방식과 달리 그가 사행파견을 강력하게 주도했던 이유는 중종 24년 대두된 辨誣問題를 해결하기 위함이었다. 변무문제는 작게는 王家의 문제지만 크게는 국가의 正統性과 관계되는 일이었다. 중종이 각종 폐단이 따르는 사행파견을 힘써 주도했던 것은 단순히 자주의식이 쇠퇴했거나 중국에 대한 의탁심이 강해졌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 아니었다. 변무문제 해결을 위해 명과의 외교에 적극적으로 나서던 중 대례의 관련 사행 파견이 가정제로부터 극진한 환영을 받게 되자, 중중은 이를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꼬리표처럼 따라다니던 자신의 반정 콤플렉스를 극복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황제가 조선을 우대하는 이 기회를 이용하여 외교적 난점들을 해결해야 한다는 중종의 주장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난다. 중종의 변무 성취는 왕으로서의 정통성을 더욱 드높여 줄 수 있는 상징적 과업이었다. 중종대 조선은 명 조정의 정국동향의 변화에 주목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외교노선을 취하였다. 정덕제 시기에는 친환관 노선을 통해 큰 무리 없이 왕위를 책봉 받았고, 가정제 시기에는 친황제 정책으로 변무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외교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에 맞는 전략을 추구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중종대 대명관계의 모습은 16세기 사대의식이 심화되어 가는 와중에서도 역동적인 외교가 전개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objective set in this article, is to inspect the development of the diplomatic course in Jungjong(中宗)'s reign with reference to a shifting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Ming dynasty court, and to examine what political purpose was Joseon's diplomatic policy toward Ming in the second half of the time of Jungjong(中宗). First, I would like to segment the time of Jungjong(中宗) on the basis of the emperors' change in the Ming, Zhengdedi(正德帝) and Jiajingdi(嘉靖帝). I also look through the shifting of Ming's political situation and Joseon's response to that. Zhengdedi(正德帝) was not interested in the affairs of state, and went out the capital of China frequently. So eunuchs trusted by him seized power. Nobody couldn't engage in politics without the cooperation of eunuchs under Zhengdedi(正德帝)'s rule. This time, Jungjong(中宗) was enthroned by deposing Yeonsangoon(燕山君) in Joseon. Therefore it is a diplomatic and political works of the greatest importance that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was ratified by the court of Ming. Though Ming's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who valued principles as being very important criticized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in Joseon, Joseon solved the difficult problem about that by the medium of Ming's eunuchs. While Joseon criticized Ming's political picture led by eunuchs, Joseon sloved the diplomatic problems and continued to maintain the pro-eunuch stance, such that Joseon accepted all of their demands for bribes. Zhengdedi(正德帝) died without having a son to carry on his name, then Jiajingdi(嘉靖帝) succeeded to the throne in the quality of the only collateral line. This case was the only one of its kind in the Ming Dynasty. As soon as Jiajingdi(嘉靖帝) mounted the throne, he suffered political conflict with subjects because of his father's title. So called it is the Grand ceremony(大禮議). Finally that issue was concluded with Jiajingdi(嘉靖帝)'s intention. Furthermore, Jiajingdi(嘉靖帝) intended to raise his authority by strengthening legitimacy of the Grand ceremony(大禮議) with addressing eulogistic posthumous title of his parents. Joseon was in a quandary over whether to allow dispaching the envoys for celebration(進賀使) to the Ming as there was a feud between the Ming Emperor and his subjects about the Grand ceremony(大禮議) issue. So Joseon tried to control the diplomatic level without damaging relations between the Ming while Joseon refered to a precedent. But as Jungjong(中宗)'s time went on, he showed an more enthusiastic attitude on dispatching envoys to Jiajingdi(嘉靖帝) in spite of his subject's dissenting opinion. As a result, Joseon achieved excellent results that Joseon was kindly treated by Jiajingdi(嘉靖帝). The reason why he led dispatching envoys powerfully was to resolve the jonggye(宗系) correction issue emerged in 1592. Such his behaviour differed from his earlier management style that headed off the collision with his subjects. The jonggye(宗系) correction issue related to the royal family of Joseon. On the other hand, that issue connected to the legitimacy of the dynasty. Jungjong(中宗) took the lead in dispatching envoys though which followed by various negative effects. That did not mean a lack of a individuality and autonomy. It was that Jungjong(中宗) tried to overcome usurpation complex using this golden opportunity tactically. This facts showed clearly Jungjong(中宗) insisted Joseon had to solve the crux of diplomatic affairs using this Jiajingdi(嘉靖帝)'s hospitality too. To solve the jonggye(宗系) correction issue meant a kind of symbolic task that heighten the legitimacy of his throne for Jungjong(中宗). In Jungjong(中宗)'s time, the members of Joseon's court watched the shifting of the political situation in Ming's court, then they selected various diplomatic course. Jungjong(中宗) was fully invested by continuing to maintain the pro-Ming's eunuch stance in Zh...

      • KCI등재

        중종의 권력ㆍ권위 만들기와 소릉 복위

        김경래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7

        중종 즉위 초의 정국은 불안했지만, 그렇다고 중종을 ‘무기력한 군주’, ‘허약한 군주’로 평가하는 것은 과도하다. 분명 중종은 왕실 내에서 차기 왕이 되기에 유리한 위치에 있었으며, 즉위 당시 이미 19세였다. 또한 막연한 추정과 달리, 반정의 삼대장을 비롯한 공신 세력과 특별히 갈등 관계에 있었던 것도 아니었다. 중종이 즉위 초반 내수사 장리와 기신재 폐지 등 범신료 차원의 대대적 요청을 거부하며 최종 결정권자로 국왕의 권한을 단호하게 강조하는 모습은 이 시기 그의 왕권이 처한 상태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다만, 중종반정에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았고, 그 직전 연산군이 군주의 타락이 초래할 수 있는 국가적 위기 상황을 여실히 보여주었기에, 군주로서 자신의 권위와 권력을 새롭게 만들어가야 할 과제에 직면했다는 점 또한 분명한 사실이었다. 중종이 중종 5년부터 『삼강행실도』와 『속삼강행실도』를 간행하며 신하들의 충절을 강조하고, 국정의 세세한 사안까지 간여하는 모습은 자신의 권력을 구축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었다. 그리고 중종 8년의 첫 달, 선농제와 친경례를 거행한 일은 유교적 군주로 자신의 권위를 과시하기 위한 행위였다. 결정적으로, 중종 8년 3월 단종의 생모인 현덕왕후의 소릉을 복위하도록 조치한 일은 이제 자신이 구상하는 정치를 본격적으로 펼치겠다는 의지와 자신감의 표현이었다. 소릉 복위는 세조의 계유정난에 대한 평가와도 이어질 수 있는, 매우 민감한 문제였지만, 중종은 신료들로부터 복위 합의를 유도해 내는 방식으로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였다. 중종의 기묘사림 등용은 바로 이상과 같은 상황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반정 삼대장이 모두 사망한 상황에서, 중종은 자신과 함께 정국을 이끌어갈 새로운 지원 세력으로서 기묘사림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그 배경에는 자신과의 학문적 친연성, 그리고 국정의 쇄신에 그들의 개혁 에너지를 활용하려는 목적 등이 작용하고 있었다. Despite the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at the outset of King Jungjong’s reign, to characterize him as a “helpless” or “weak” monarch would be an overstatement. King Jungjong’s position within the royal family afforded him a clear advantage in his claim to the throne, and he was already 19 years old upon his ascension. Contrary to unfounded speculation, he was not particularly at odds with the faction of meritorious vassals, including the so-called three generals who led the coup that backed him. His refusal to accede to sweeping demands made by the general retainers and determination to follow through with his policy decisions such as the abolition of the long-term interest imposed by the Royal Treasury (Naesusa) and the Buddhist-style ancestral memorial rite carried out by monks (Gisinjae), firmly underscored the king’s authority as the final decision-maker and exemplified the tenor of his early reign. At the same time, he played only a limited role in the Jungjong coup overthrowing the previous king, Yeonsan-gun, and the latter had demonstrated the dire national crisis posed by a corrupt monarch. Given these circumstances, it is evident that King Jungjong faced the uphill task of shoring up his authority and power as a monarch. From the fifth year of his reign, King Jungjong thus began publishing the Illustrated Guide to the Three Relationships (Samgang haengsil-do) and its sequel (Sok samgang haengsil-do), which emphasized the loyalty of his subjects and addressed the minutiae of state affairs down to the smallest detail in a concerted effort on his part to consolidate his power. In the first month of his eighth year, he conducted an ancestral memorial rite for the god of agriculture (seonnongje) and partook in the royal ceremony of the king himself farming (chingyeongrye) to assert his authority as a Confucian monarch. Most notably, his decision in the third month of the eighth year of his reign to reinstate Soreung, the tomb of Queen Hyeondeok, biological mother to King Danjong, signified his resolute will and confidence in the full implementation of his political agenda. The reinstatement of Soreung was a highly sensitive matter, potentially linked to an evaluation of King Sejo’s struggle for power, specifically the Gyeyu Jeongnan, a coup in 1453 that resulted in the ouster of King Danjong. Nevertheless, King Jungjong persevered, skillfully maneuvering his vassals to a consensus in support of the reinstatement. King Jungjong’s inclusion in his administration of the Gimyo sarim, the Confucian scholars’ faction who would later lose their political footing in the Gimyo literati purge of 1519, can be viewed as an extension of the aforementioned circumstances. In the absence of the three generals behind the coup upon their death, King Jungjong opted for the Gimyo sarim as a new support force to govern alongside him. His scholarly affinity with them and the great use to which he could put their energy for reform served as the backdrop to this decision.

      • KCI등재

        中宗 時代 중앙관료의 『尙書』 이해 - 『朝鮮王朝實錄』에 수록된 經筵을 중심으로 -

        민혜영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0 No.-

        Jungjong was crowned as king by vassals who dethroned Yeonsangun due to his despotism. At the time, the central government bureaucrats made various efforts to prevent Jungjong from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Yeonsangun. In particular, they aimed at educating the king with Confucian political ideas and statecraft through a process called gyeongyeon (king and vassals studied Confucian classics and history together). This paper examined how scholars of the time understood 『Shangshu』 (Book of Documents) and utilized it through the lectures made through the 『Shangshu』 in gyeongyeon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list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bureaucrats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claimed that 『Shangshu』 was the foundation for governing a country and that it must be dealt with in gyeongyeon. During gyeongyeon, they lectured the 『Shangshu』 to the king and presented two main issues. The first emphasized the cultivation of the king and urged in the first half of Jungjong’s reign not to fall into women, hunting and complacency. In the second half, they advised the king to foster his disposition. The second discussed revising systems using the 『Shangshu』 sutras, and it ranged widely from abolishing female musicians to the abuse of punishment by local governors.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the central government bureaucrats especially emphasized 『Shangshu』 among the Confucian scriptures. In particular, they were very wary of the king falling into women, hunting and complacency in the early days of the king’s rise to the throne and focused on the parts about governing by the king such as 「Ojajiga」 (Cries of five sons) and 「Muil」 (Idleness knows no growth). This shows that the bureaucrats educated and paid attention to Jungjong so that he does not follow in the footsteps of Yeonsangun. Furthermore, it can be presumed that they tried to realize the ideal monarchy government through Jungjong, while also trying to check the despotism of the throne. 中宗은 연산군의 폭정에 반정을 일으킨 신하들에 의해 추대되어 왕이 된 인물이다. 당시 중앙관료들은 중종이 연산군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여러 가지 노력을 하였으며, 특히 경연을 통해 유가적 정치사상과 경세관을 교육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朝鮮王朝實錄』에 수록된 중종대의 경연에서 『상서』를 진강한 내용을 통해, 당시 학자들이 『상서』를 어떻게 이해하였고 활용하였는지 알아보았다. 중종대의 관료들은 『상서』가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임을 강조하면서 경연에서 필수적으로 다루어야 하는 과목임을 주장하였다. 그들은 경연에서 『상서』를 진강하면서 크게 두 가지를 논의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군주의 수양을 강조한 것으로, 중종 재위 전반기에는 여색・사냥・안일함에 빠지지 말 것을 진언하였으며, 후반기에는 心性 수양에 대해 진언하였다. 두 번째는 『상서』 경문을 활용하여 제도를 정비할 것을 논의하였으며, 그 범주는 女樂의 폐지로부터 지방관의 형벌 남용에 대한 내용까지 다양하였다. 중종대 경연에 참석한 중앙관료들이 다양한한 유가 경전 중에서도 특히 강조한 것은 『상서』였다. 특히 즉위 초에는 여색・사냥・안일함에 빠질 것을 경계하여 「五子之歌」와 「無逸」 등 군주의 실정과 관련된 편을 진강하였다. 이를 통해 중종이 연산군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당시 관료들이 교육하고 주의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상서』를 교육함으로써 중종을 통해 왕도정치의 이상을 구현함과 동시에 중종이 왕권을 전제하는 것을 견제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조선 중종대 김정(金淨)의 가자(加資)반대론과 여악(女樂)폐지론의 내용과 성격

        이정우(Lee, Jung-woo)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8 충청문화연구 Vol.21 No.-

        중종 초기 공신에 대한 가자는 중종반정이 성공한 2일 뒤인 1506년(중종 즉위) 9월4일부터시행되었다. 공신에 대한 가자는 공신 자신뿐 아니라 그의 아버지나 아들, 형제도 포함되어 시행되었는데, 직급상의 특혜 뿐 아니라 경제적 수혜를 따르게 하여 관직질서를 문란하게 하고 국가경제에 타격을 주기도 했다. 이러한 가자시행에 대해서 대간은 반대를 했다. 대간의 가자반대론이 전개되던 가운데 김정은 1507년(중종 2) 봄, 20세의 나이로 봄에 치른 별시에서 갑과(春中別試甲科) 제1등으로 급제했다. 이후 1508년(중종 3) 1월26일 대간이 된 김정은, 2월 12일 중종에게 “대간의 말을 수용하지 않는 것은 언로를 막는 것이고, 언로가 막히는 것은 국가의 복이 아니다.”라며 중종이 대간의 말을 수용하고 대간의 언로를 보장해 달라고 요구했다. 곧 대간이 주장하는 가자의 폐지수용하라는 것이었다. 이후 가자시행과 관련해서 김정은 족친에 대한 가자와 공신에 대한 음직의 가자를 지속적으로 반대했다. 그러나 중종은 그의 의견을 수용하지 않았다. 그러자 김정은 임금이 대간인 자신들이 제기하는 가자반대는 수용하지 않고 대신의 말만을 따르고 있다며 중종을 비판했다. 김정은 직언을 올리는 대간의 입장보다는 그렇지 않은 대신들의 입장을 따르고 있으며, 이러한 태도는 언로를 포기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했다. 김정은 임금의 이러한 결정과 태도는 임금이 대간을 인정하는 않는 것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인식했다. 이러한 임금의 이중적인 태도는 임금이 대간의 말을 수용하지 않고 피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의심했다. 그렇기 때문에 더 이상 대간의 직에 있을 수 없다며 사직을 요청했다. 사직요청이 있은 한 달 뒤인 1571년(중종 3) 7월 4일 김정은 사간원 정언에서 전보되어 홍문관 부수찬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그렇게 되면서 김정의 공신과 족친의 가자와 관련된 비판과 반대론은 더 이상 등장하지 않게 되었다. 여악은 고려 때부터 있어 오던 것으로 조선초기에도 있었다. 그런데 여악은 성인기녀들이 담당한 것으로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폐지론이 제기되었지만, 그렇게 되지 못하고 지속되었다. 여악폐지가 본격논의 되기 시작한 것은 중종이 즉위하면서 부터였다. 1506년(중종 즉위) 12월 17일부터 여악폐지가 본격 논의되기 시작되었지만, 왕실에서의 잔치에 여악을 시행해야 했기 때문에 쉽게 폐지되지 않았다. 이런 과정에서 김정은 1519년(중종 14) 2월 26일 정도의 시기에 여악을 폐지하고 그 대안으로 음악은 일반인이 아닌 시각장애인의 고악으로 담당하게 하고, 절주는 나이든 할머니가 담당하며, 춤은 미성년자 여자로 대신하게 하자고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정의 주장은 이전에 논의된 여러 가지 안건의 종합적인 성격이었다. 그러나 이런 김정의 의견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자신의 의견이 수용이 되지 않자 김정은, 1519년(중종14) 3월 17일 사직을 청했다. 사직을 청한 것은 중종에게 언관을 포기하겠다고 하는 의사의 표현이었는데, 대간의 주장을 수용하지 않는 중종의 태도를 비판하는 것이었다. 김정은 중종이 언관을 대접하는 것이 경솔하고 부당하다고 생각했다. 김정은 임금의 이런 태도는 언관이 그 직분을 다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이며 그것은 곧 언로를 막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정은 “대간은 언로를 담당한 자로, 임금에 대해서 주저 없이 끝까지 직언을 말하는 자이니 임금은 대간의 말을 믿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러자 김정은 여악폐지와 관련한 발언을 하지 않았다. 대간의 말을 수용하지 않는 임금, 대간의 입장을 수용하지 않는 대신들에 대해서 여악폐지론을 제기하지 않는 일종의 권당(捲堂)을 행사한 것이었다. 이후 김정은 1519년(중종 14) 5월 16일 형조판서가 되면서 대간직에서 물러났다. 판서가 된 이후 김정은 여악폐지론은 제기하지 않았다. 판서는 직언이 허용된 언관이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김정이 대간으로서 언관의 길에 나서 처음 마주치면서 제기한 가자반대론은 관직질서의 문란과 국가경제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는 뜻에서 나온 것으로, 대간들이 제기했던 주장의 연장선상에서 제기된 의견이었다. 그리고 이런 과정에서 김정은 대간의 직언을 수용하지 않는 임금은 비판했다. 김정은 중종이 대간의 언로를 차단하는 행위를 하고 있다고 규정하고, 대간과 대신사이에서 대신 측에 서서 편향적 태도를 취하고 있던 임금을 비판했다. 김정이 언관의 길에서 마지막으로 제기한 여악폐지론은 폐정을 개혁하고자 하는 그의 정치적 입장을 반영한 것이었다. 그는 여악폐지론을 주장하는 과정에서 중종이 대간의 직언을 수용하지 않자 임금이 언로를 막는 것이라며 비판했다. 그것은 단순히 김정 개인의 주장은 아니었다. 개혁을 이루고자하는 사림파의 의견을 대변하는 것이기도 했다. 이처럼 김정의 가자반대론과 여악폐지론은 폐정에 대한 개혁으로서 이상주의 정치를 실현하려는것이었다. 둘 다 모두 임금에 대한 언로의 문제를 제기한 공통점이 있었는데 이런 그의 주장은 중종 및 대신과 갈등을 빚었다. 김정은 대간의 말을 수용하는 않는 중종과 대간의 말을 반대하는 대신을 설득하고 극복해야 했다. 곧 김정의 폐정 개혁론은 풀어야 할 숙제가 있었던 것이었다. 그러나 김정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1519년(중종 14) 11월 15일 이른바 기묘사화를 맞이하고 말았다. Kim Jeong"s first meeting as a dae-gan(대간) was the opposition of Ga-jha. It came from the improvement of the disorder of the government office and to promote the stability of the national economy. Ga-jha for King Jungjong was problematic that it was overissued. At this time, Ga-jha was implemented including not only a meritorious retainer but also his father and son and brother. Which gave rise to resulting in disorder in official order and a blow to the national economy. But the king did not accept Kim Jeong"s opinion, the opposition of Ga-jha. Kim Jeong suspected and criticized that the king"s attitude was to avoid the public general opinion. Kim Jeong"s he Abolitionism of Yeo-ak was the last one he made in a dae-gan. It began with an attempt to correct problems that had arisen from the vassal and king. This has been around since the Goryeo Dynasty and was als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However, Yeo-ak was recognized as negative because adult girls were in charge, so the abolition theory was raised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it was not abolished and continued for many reasons. Therefore, it was decided that the king and his officials would not use female evil in the provinces when they had parties. However, King Jungjong was unable to fundamentally abolish the Yeo-ak in the palace because of the feast of his mother, Queen Jeonghyeon. In the process, Kim Jeong proposed to abolish Yeo-ak at around February 26, 1519 (the 14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let music be played as blind peoples, and let the elderly do the dance as a substitute for minors. Kim"s argument was a synthesis of several previously discussed agendas. However, Kim"s opinion was not accepted. In March 1519, Kim Jeong criticized king Jungjong, who was not accept the idea of abolishing Yeo-ak. He has not made any comments on the abolition of Yeo-ak. It was a kind of political atitude. Kim Jeong reflected his idealistic political stance to reform the government. And he have tried to reform the system"s the evil of convention in Joseon Dynasty. But his reformation ideology was failed. It was something in common that the bureaucracy of vassal and the indifferentism of king.

      • KCI등재후보

        조선 중종 후반기 성균관 유생들의 학풍 문제

        장재천 ( Chang Jae-cheo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7 No.-

        조선 최고의 고등교육기관인 성균관은 임란과 병란 같은 국난 때 말고도 연산군(재위년도, 1494년~1506년) 때 도리어 큰 수난을 겪었다. 그런데 중종 반정을 통해 즉위한 중종(재위년도, 1506년~1544년)이 38년 동안이나 통치했기 때문에 성균관의 모든 교육적 기능이 원래대로 회복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역사적 현실은 예상과는 달리 성균관의 모든 모습이 연산군 이전인 성종 때만큼은 회복되지 아니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종 재위 기간을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전반기의 성균관 학풍상황에 대한 논문(한국사상과 문화 96집)에 뒤이어 이번에는 그 후속편으로 중종 후반기를 주로 살펴보았다. 성균관 유생들의 사습은 유생들의 학풍을 뜻하는 것이고, 그 학풍은 성균관 유생들의 공부하는 자세나 도덕적인 태도, 그 외의 전체적인 학생다움을 말하는 것이었다. 성균관의 외형적인 모습은 복원이 되었다 할지라도 진짜 문제는 성균관 유생들의 전체적인 학습풍토나 공부자세가 좋아졌느냐 하는 것인데 사실상 결과는 갈수록 더 나빠졌다는 것이다. 중종 전반기부터 모든 관계자들이 성균관 부흥을 위해 많은 힘을 기울였으나, 연산군 때 생긴 외상(外傷)과 중종 전반기의 기묘사화(중종 14년)로 인한 트라우마 때문에 성균관의 내면적 부흥은 별로 좋아지지 아니 하였다. 또한 연구를 진행하는 데 꼭 필요한 증거들 중 성균관과 연관되는 자료들은 다른데서는 나오지 않고 오직 『조선왕조실록』에서만 찾아볼 수 있었다. 그것을 기반으로 고구한 결과, 중종 후반기에는 성균관의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반기보다도 더 많은 노력들을 하였으나 거의 대부분 중종의 결단력부족으로 별다른 효과는 없었으며, 또 이를 둘러싼 많은 대신들의 주장들이 계속 발생하였다. Sungkyunkwan(成均館), the highest tertiary education institution of the Joseon Dynasty, suffered from King Yeonsangun(燕山君). Then, after the reign of King Jungjong(中宗), it ruled for nearly 40 years, and Sungkyunkwan could not have been restored to normal? It is natural that this assumption is obvious, but the historical reality was not as good as the case of Sungjong(成宗), the situation before Sungkyunkwan unexpectedly. In this paper, we divided the period of King Jungjong and the latter half of King Jungjong into the first half of the year. When it comes to Sungkyunkwan customary practice, the custom is finally referring to the customs of Yusang(儒生), and its climates are the words of academicity, moral attitude, and integrity. Since the first half of the many efforts for reconstruction of jungjong Sungkyunkwan has been occurred when Yeonsangun trauma and the flag of the first portrayal of jungjong(jungjong 14 years) because of the trauma caused by the dot product of the revival is not greatly liked Sungkyunkwan. On the other hand necessary to write this and I'm being associated with those of the literature are mainly Sungkyunkwan 『annals of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could find only. It builds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re are a number of problems in the second half of the Sungkyunkwan jungjong to solve even more than the first half, but lack the determination of jungjong efforts make a big difference are there, there is also much controversy surrounding these issues.

      • KCI등재

        한국 고소설을 통해 본 한국역사문화의 트라우마와 치유 -역사, 사회, 가족 ; 중종(中宗) 초기의 정국과 < 설공찬전 > 파동의 추이

        엄기영 ( Ki Young Um ) 한국고소설학회 2015 古小說 硏究 Vol.40 No.-

        본고는 중종 초기에 일어난 <설공찬전> 파동의 추이를 당시 정국의 동향과 관련하여 살펴본 것이다. 그간 <설공찬전> 파동은 주로‘훈구 대 사림’이라는 구도 속에서 그 의미를 해석해왔다. 하지만 ‘훈구 대 사림’이라는 구도 자체에 대해서 많은 문제가 제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런 구도를 받아들인다고 하더라도 중종 초기는 이런 구도를 적용하기 어려운 시기임을 감안하면, 이 사건의 의미를 ‘훈구 대사림’의 구도에서 파악하는 것은 재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는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왜 하필이면 중종 6년 9월에 <설공찬전>이 문제가 되었는가? 둘째, 파동이 일어나고 불과 3개월이 지난 뒤 채수는 복직되는데, ‘치도(治道)를 어지럽힌 중죄인’이었던 채수는 어떤 이유와 배경에서 다시 복직되었는가? 셋째, 왜 파직의 과정이나 복직의 과정에서 별다른 논란을 찾아볼 수 없는가? 그리고 그 과정은 왜 그토록 신속하게 진행되었는가? <설공찬전> 파동이 일어나기 직전, 중종은 이극돈에 대한 처리를 두고서 국왕으로서의 권위가 심각하게 손상되는 타격을 입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대간들의 발언권이 상대적으로 강해졌다. 채수와 <설공찬전>에 대한 처리가 이례적으로 매우 신속하게 진행되고, 그 과정에서 별다른 논란이 보이지 않았던 것은 정국의 이런 상황과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이극돈이 성종에게 『유양잡조』 등의 책을 바쳤다가 탄핵을 당한 일, 그가 사초를 누설함으로써 연산군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었다는 대간들의 비판, 소설에 대한 애호가 연산군의 음일을 드러내는 것 중 하나였다는 사실 등은 채수와 <설공찬전>에 대한 ‘과도한’ 공격을 불러일으킨 이유가 되었다. 파동이 일어난 지 불과 3개월 뒤 채수는 복직되었다. 그것도 애초에 법 적용이 잘못되었다는 이유에서였다. 채수가 복직되기 직전 조정에서는 ‘능상(凌上)’이라는 말로 인해 큰 파장이 일어난다. ‘능상’은 연산군이 사화를 일으키면서 빌미로 삼았던 말이었기 때문이다. 중종은 이것을 문제 삼아 대간들을 전원 교체하고 의금부에 조사할 것을 명하는 등 강경하게 대응한다. 이로 인해 이극돈 처리 문제부터 이어졌던 대간들의 기세가 일시에 꺾이고 정국의 주도권이 순식간에 중종에게 넘어간다. 그리고 이와 함께 채수에 대한 처벌은 대간들의 과도한 주장으로 인해 “상벌이 중(中)을 잃은” 경우로서 재변(災變)을 일으킨 원인으로 간주된다. 복직의 과정도 파직의 과정만큼이나 신속하게, 별다른 논란 없이 진행되었던 것에는 이러한 배경이 있었다. 채수가 파직된 지 겨우 3개월 만에 복직하는 극히 이례적인 과정에는 반정을 통해 성립했으나 반정의 명분과는 거리가 있었던 당시 정권의 상황, 확고한 정치 원칙이나 시대적 비전을 제시하지 못한 채사안에 따라 그때그때 흔들렸던 정치 주체들, 그리고 ‘능상’이란 단어로 드러난 연산군 시대가 남긴 트라우마가 자리 잡고 있었던 것이다.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meaning of Seolgongchanjeon(薛公瓚傳) issue in the early period of Jungjong(中宗)``s reign, with raising three questions - ①why this work created a serious problem at 6th years of Jungjong``s reign ②what is the reason that Chae Soo(蔡壽) could make his comeback to politics only after three months ③why we couldn``t find any controversy about his discharge and comeback. Just before this issue, Jungjong``s authority was eroded seriously in the process of disposing of Yi Keukdon(李克墩), so the power of lieges on audit and inspection grew strong. It was the background of Seolgongchanjeon issue. Only after three months Chae Soo came back to politics by reason of the wrong application of the law. Just before his comeback, ``Neungsang(凌上), the comment of lieges on audit and inspection made quite a stir in royal court. This comment was the cause which brought about the ruthless purge in the reign of former King Yeonsan(燕山). Consequently the initiative in the political situation had gone over to Jungjong. In short, there were the following background - the governing power with a lack of legitimacy, the political group who had no future and the trauma, a vestige of Yeonsan``s reign.

      • KCI등재

        중종반정 핵심 주동자들과 반정 경위에 대한 검토

        송웅섭 조선시대사학회 2020 朝鮮時代史學報 Vol.- No.92

        This is a study of the plan makers of the king Jungjong’s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and its progres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and the political forces in the early days of King Jungjong. The king Jungjong’s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was driven around the three-leader and the armed forces who were close to them. They caused the incident in a state of uneasiness, which could not guarantee the safety of the senior officials after the gabja-sahwa. The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were completed in approximately less than a day from the training center meeting to the coronation ceremony of King Jungjong. No military clashes occurred during the restoration of righteous governance process. Many incumbent officials have joined the anti-government forces.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appointed to the jeonggug-gongsin. As many as 117 in total were appointed to the jeonggug-gongsin. However, the excessive appointment meant that the cohesion among the the jeonggug-gongsin was weak. By the eighth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it was no longer possible for the gongsin to wield influence as an independent force. This is because most of the key gongsins have died and a generational shift in senior officials has been made. As a result, the influence of the king and ordinary officials was magnified, particularly by the cheong-yojig. Cho Kwang-jo's entry into government service came under these very circumstances. 본고는 중종반정의 핵심 주동자들과 반정의 진행 과정을 천착하고, 궁극적으로는 중종 초반의 정치세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 연구이다. 중종반정 주동자들은 박원종․유순정․성희안 삼대장과 신윤무․박영문․장정․홍경주 등의 모의 참여자들로, 모두 정국공신 1등에 책봉된 인사들이었다. 삼대장의 경우 정변을 함께 할 만큼 친분이 많지는 않았다. 하지만 연산군에 대한 개인적인 원한과 갑자사화 이후 조정 대신들의 안전마저 보장할 수 없는 불안 속에서 성희안이 연산군 축출에 대한 입장을 피력하자 반정이라는 대의 하에 결합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박원종과 친분을 갖고 있었던 신윤무 등의 무장들과 홍경주 등의 일부 문신이 반정 모의에 동참했다. 반정은 훈련원 회합(9월 1일 저녁)으로부터 중종의 즉위식이 거행되기까지(9월 2일 오후) 대략 하루가 채 못 되는 시간 안에 마무리되었다. 반정 과정에서 군사적 충돌은 확인되지 않으며, 현임 재상과 대신 상당수가 반정군에 합류했다. 합류자들 상당수가 정국공신으로 책봉되었고, 삼대장 등 주요 공신들의 인척까지 공신에 책봉되면서 117명이라는 대규모 공신 책봉이 이루어졌다. 과도한 책봉은 그만큼 정국공신들 사이의 응집력이 약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따라서 중종 초반의 정국은 표면적으로는 정국공신들의 영향력이 막강했던 것처럼 보였지만, 내부를 살펴보면 삼공신과 재상․대신으로 합류한 공신들이 관료조직 안에서 협력 관계를 이루고 있던 형국이었다. 그 결과 삼공신이 관료 집단 전반을 통제할 정도의 영향력을 확보하지는 못했으며, 재상․대신 출신의 공신들 역시 삼사의 탄핵에 노출되는 가운데 세대교체가 이루어지던 상황이었다. 결국 삼공신과 1등 공신들이 모두 死去하는 중종 8년 이후로 정국공신들은 더 이상 독자적인 세력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공신 그룹의 이 같은 태생적인 위약성으로 말미암아 중종 8년 이후의 정국은 조정 내에 주도 세력이 부재한 채 국왕과 일반 관료들의 비중이 보다 높아지는 형국이었다. 다만, 삼사로 대표되는 청요직들의 언론 활동 역시 한 층 더 활발해지며 영향력이 확대되어 갔다. 중종 10년 조광조의 진출은 바로 이 같은 상황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 중종 대 정국공신의 동향과 홍경주의 정치활동

        송웅섭 ( Song Woong-sup ) 한국계보연구회 2022 한국계보연구 Vol.12 No.-

        본고는 홍경주의 정치활동을 중종의 왕권과 연계해 이해하기 위한 연구이다. 홍경주는 중종반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고, 중종은 그런 홍경주를 꾸준히 지원했다. 홍경주는 정국공신 제1등에 책봉되었고 그의 딸은 중종의 후궁이 되었다. 하지만 박원종 등 삼대장의 사망을 계기로 정국공신의 영향력은 약해졌고, 신윤무ㆍ박영문의 옥사는 그 같은 경향을 가속했다. 홍경주 역시 신윤무ㆍ박영문 옥사에 이름이 거론되며 정치활동이 주춤해지게 된다. 조광조를 신임했던 중종은 조광조 세력을 통제할 수 없는 권력으로 인식하게 되면서 이들을 축출하기 위한 모의를 진행했다. 이때 홍경주는 정국공신 1등으로서, 그리고 후궁의 부친으로서 중종의 의중을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을 하게 된다. 홍경주는 중종의 최측근으로서 남곤ㆍ심정과 같은 동조 세력을 규합하는 데 일조했고, 중종은 그에 힘입어 조광조 세력을 축출하는 데 성공했다. 중종의 복심을 전달하는 메신저, 이것이 기묘사화에서의 홍경주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to understand Hong Kyung-ju's political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King Jungjong's royal authority. Hong Kyung-ju played a key role in the process of the King Jungjong's rebellion. However, the death of the three generals, including Park Won-jong, weakened the influence of Jeonggukgongsin, including Hong Gyeong-ju. Meanwhile, King Jungjong, who trusted Jo Gwang-jo, recognized Jo Gwang-jo as an uncontrollable power. And they went on a conspiracy to oust them. At this time, Hong Gyeong-ju, as the closest aide to King Jungjong, helped to rally collaborators such as Nam Gon and Sim jeong. And thanks to him, King Jungjong succeeded in driving out the Jo Gwang-jo forces. This is Hong Kyung-ju's role in the Gimyosahwa, a messenger that conveys Jungjong's inten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