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鹿門 任聖周의 尙書學의 특징 -先儒의 주석서 수용과 비판을 중심으로-

        민혜영 동방한문학회 2024 東方漢文學 Vol.- No.98

        본고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였던 鹿門 任聖周(1711~1788)의 尙書學을 검토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 논문이다. 그는 經學ㆍ禮學ㆍ學行으로 천거될 만큼 뛰어났으며, 鹿門集 에는 그의 경학과 예학에 대한 저술이 남아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력이나 업적에도 불구하고 그의 학문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성리학에 편중되어 있다. 이에 본고는 녹문 임성주의 상서학의 특징 중에서도 선유의 주석서 수용과 비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임성주는 蔡沈의 書集傳 의 내용에 대해 약간의 흠이 있으나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충실하게 수용하였다. 그러나 채침의 주석이 경문의 내용을 분명하게 설명하지 못하거나 설명이 부족하거나 주석에 동의하지 못하는 점이 있음을 밝혔다. 그는 채침이 주자의 초본을 정리하면서 제대로 산정하지 못한 채 조감을 잘못하였다고 하였고, 이 때문에 언해에 오류가 생긴 것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주자의 상서 해석을 대부분 존숭하였으나 주자의 「舜典」의 주석과 「禹貢」의 주석에 의문을 제시하여 묵수하지 않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였음을 드러내었다. 임성주의 상서 주석에 있어 특기할 점은 그가 조선 선유들의 설을 수용하였던 점이다. 그는 西人ㆍ老論系인 沙溪 金長生ㆍ三淵 金昌翕 등의 상서 주석을 인용한 것이 많이 있는데, 선유의 주석을 묵수하지 않고 비판적으로 취사선택하였다. 그리고 언해의 오류에 대해서도 4가지의 유형을 들어 지적하였다. 이처럼 임성주는 채침과 주자의 설을 존숭하면서도 묵수하지 않고 비판적으로 상서 를 이해하며, 尙書正義 나 조선 선유들의 설을 수용한 것은 주자의 상서 연구와 채침의 서집전 의 부족한 부분과 오류를 보완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임성주의 상서학은 채침의 상서 주석의 범주를 벗어났으며, 아울러 주자의 설만 묵수하는 학문 풍토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상서 연구를 시도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Shang Su studies of Nokmun Im Seong-ju(1711-1788), a civil servant and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He was outstanding enough to be recommended as a Confucian Classi, Yehak, and academic practice, and his writings on Confucian Classic and Yehak remain in the of the Nohkmunjip . However, despite such history and achievements, most of his studies are focused on Neo-Confucianism. Therefore, this paper focused on the acceptance and criticism of Seonyu's commentar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hang Su studies of Nokmun Im Seong-ju. Lim Seong-ju had some flaws in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 of Seojibjeon of Cai Shen, but generally positively evaluated them and accepted them faithfully.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commentary of Cai Shen did not clearly explain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 lacked explanation, or did not agree with the comment. He pointed out that Cai Shen made a mistake in the bird's eye view without being properly scrupulous and organized while organizing the abstract of the runner, and that there was an error in the statement. He pointed out that Cai Shen was unable to properly count Zhu Xi's abstract because it was not properly calculated and organized, and that there was an error in Korean annotation because of this. In addition, most of Zhu Xi's interpretation of the Shang Su was respected, but it was revealed that Zhu Xi's commentary on 「Canon of Shun」 and the commentary on 「Tribute of Yu」 were not adhered to but critically accepted. Lim Seong-ju's Shang Su is unique in that he accepted the theories of Joseon seniors. He cited many comments on the of Shang Su , such as Samyeon Kim Chang-heup, but he did not stick to the senior's comments and critically chose them. In addition, he pointed out the errors of the Korean annotation by citing four types. As such, Lim Sung-ju respected the theories of Cai Shen and Zhu Xi, but he did not unconditionally adhere to them, understood Shang Su critically, and accepted the theories of Shangshu Zhengyi and Joseon seniors because of the intention to compensate for the deficiencies and errors of Zhu Xi's study of Shang Su and Cai Shen's Seojibjeon . Im Seong-ju's Shang Su studies are beyond the scope of Cai Shen's Shang Su study, and it can be evaluated that he attempted his own Shang Su studies by breaking away from the academic climate that only adheres to Zhu Xi's theory.

      •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관한 Sargent의 연구모형 고찰

        민혜영 영유아교육학회 2001 영유아교육연구 Vol.4 No.-

        유아의 사회성 발달 연구자 중 Sargent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은 여러 변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짐을 강조하며 사회성 발달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Sargent에 의하면 한 개인의 사회성 발달은 투입, 과정, 산출의 맥락으로 발달하며, 사회성 발달에서 투입은 과정에 영향을 미치고 과정은 산출에 그리고 투입 역시 산출 맥락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러한 Sargent의 사회성 발달 모형의 가정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연구함에 있어 보다 다각적인 시각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의 상호관계를 Sargent의 사회성 발달 모형을 통해 검증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그의 사회성 발달 모형을 보다 상세히 고찰해 보고자 한다. One of researchers on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Sargent, stressed that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can get accomplished by interaction of various variables. He made more broader research model on social development. According to Sargent's model, social development of person could expand to context of inputs, process and products. Social development is organized that products can be affected by inputs and processes. Processes can be affected by inputs also. We can get more broader sight for research of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by understanding Sargent's research model. This study can be contributed to verify Sargent's research model through fundamental research.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is attained by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important variables that could affect the soci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Effects of an Adolescent Obesity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o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민혜영,김신정,조해련 한국간호과학회 2017 Asian Nursing Research Vol.11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adolescent obesity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 (AOMEP) o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Methods: A quasiexperimental, pretest post-test design was performed to test primary variables, including adolescent obesity management knowledge, attitude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he concepts presented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Results: A total of 61 teachers participated. The experimental group (n = 30) received 15 hours of AOMEP, whereas the control group (n = 31) did not receive an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knowledge (t = 2.53, d = .65, p = .014) and attitude (t = 2.77, d = .71, p = .008) toward adolescent obesity manageme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r behavioral intention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AOMEP may be utilized as an effective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adolescent students in schools.

      • 포도 추출물들의 자유 라디칼 소거 작용 및 마우스 대식세포주의 염증 발현 매개 인자들에 대한 생성 억제 효과

        민혜영,박은정,이상국,조용진 梨花女子大學校 藥學硏究所 2003 藥學硏究論文集 Vol.- No.12

        국내에서 생산된 거봉 및 캠벨 포도의 씨, 줄기 및 껍질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 작용, 염증 관련 인자 생성에 미치는 활성 및 암세포 성장에 대한 영향 등을 resveratrol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포도 추출물 중 거봉줄기, 캠벨줄기, 캠벨씨 및 거봉씨 추출물들이 항산화 능력을 나타내었고 그 중 거봉씨 추출물은 vitamin C와 효력이 유사하게 나타나 항산화 효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을 이용하여 포도 추출물들의 LPS 처리에 의한 PGE₂ 및 NO 생성을 저해 여부를 확인한 결과, 거봉줄기, 거봉씨, 및 캠벨씨 추출물이 50 ㎍/mL에서 PGE₂ 및 NO 생성을 50% 가량 저해하는 효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사람 폐암 및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포도 추출물들이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였는데 거봉줄기 및 씨 추출물 50㎍/mL에서 30% 정도의 암세포 성장 저해 작용을 나타내었다.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s of various grape extracts were evaluated. Extracts from Kyho seed, Kyho stem, and Campbell seed showed potent l,l-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to resveratrol (IC_(50) 16.9, 21.5, 21.9, 34.6 ug/mL, respectively), among which, antioxidant effect of Kyho seed extract were similar to that of vitamin C (IC_(50)=12.2㎍/mL). These extracts also exhibited inhibitory activities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prostaglandin E₂ production and nitrite formation in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s at 50㎍/mL. Kyho stem and seed extracts showed growth inhibitory activities in human lung and colon cancer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roles of grape extracts as antioxidants and anti-inflammatory agent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성격에 따른진로탄력성의 차이 연구

        민혜영,송경섭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4

        본 연구는 141명의 예비유아교사들의 성격에 따른 진로탄력성의 차이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직업 환경에 따른 다양한 문제해결 대처능력과 아이디어의 창출 능력을 가늠하는 진로탄력성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라 판단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성격의 유형 중 외향성, 성실성 성격의 경우, 평균점수 이상의 집단이 진로탄력성의 창의성, 유연성, 도전정신, 미래지향성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개방성 성격의 경우는 창의성 유연성, 도전정신에서, 친화성 성격의 경우는 유연성, 미래지향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신경증 성격의 경우는 반대로 평균점수 이하인 집단이 유연성, 도전정신, 미래지향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긍정적인 성격 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 상담 등 포괄적인 프로그램들의 필요성을 시사한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학교기반 정신건강정책의 흐름 분석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민혜영,강경석 한국학교보건학회 2015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28 No.3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agenda-setting process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school-based mental health policies by applying a policy stream model. Methods: For this purpose,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was used as the analytical framework. Results: First, when establishing a school-based mental health policy, the agenda was set going through unpredictable and nonlinear changes. Second, for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policy to be selected onto the agenda and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as an actual policy, the role of policy makers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the process. Third, the policy window for school-based mental health policy was closed around the year 2013. Finally, an analysis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policy stream identified two key features. One is that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policy first emerged when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expanded its scope into relevant neighboring policies. The other is that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policy has taken shape through a linear decision-making process (being put on the government’s agenda,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during the policy implementation period after it has been selected as an alternative policy. Conclusion: Conclusion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policy needs continuous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case the window for the policy may open in the coming future. The government’s support is needed to draw policy mak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who play the biggest role in establishing policies.

      • KCI등재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가족의 응집성·적응성 간의 관계 연구

        민혜영 미래유아교육학회 2005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현재자아분화 수준과 과거 출생 가족의 영향과의 관계 및 가족의 응집성 · 적응성과의 관계를 분석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 인천 · 김포에 거주하고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총 276명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 및 차이검증을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어머니의 현재자아분화 수준과 과거 출생 가족과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영향력의 요인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는데, 과거 출생가족의 영향력 요인들이 긍정적일 때 보다 높은 수준의 자아분화를 보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과 가족의 응집성과도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는데, 특히 과거 출생가족의 영향 요인과 가족의 응집성간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일차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어머니에 대한 정서교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아울러 긍정적인 가족 구성원 간의 상호적용에 미치는 개인의 자아분화 수준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부모교육 프로그램 刊발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mother's self-differenciation levels on the basis of Bowen's theory that the unique quality of near relationship is transmitted over generation and cohesionㆍadaptability of family. The subjects were 276 mothers who have early childhood. Using Spss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self-differenciation according to affection of the family of origin. The more positive group in family of origin was the higher present self-differentiation. Second, affection of origin family was correlated with family cohesion. The more positive group in family of origin was the higher cohesion of fami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known that the experience of family of origin is related with mother's self-differenciation and the latter with the interaction of family persons reasoning guid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ment level when practicing parental education.

      • KCI등재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지도성 유형 및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민혜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의차이를 연구해봄으로써 보다 질 높은 보육과정의 운영을 위해 필요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는데 있어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의사결정 유형의 영향력을 검토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대상은 어린이집의 보육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원장의 지도성 유형및 의사결정 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의 차이 분석을 위해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대부분 가장 긍정적인 지도성 유형인 효율형일 때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마찬가지로 원장의 의사결정 유형의 경우도 가장 이상적인 유형인 참여형 의사결정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 모든 하위 요소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는 긍정적인 지도성과민주적인 참여적 의사결정 과정을 선호하는 원장의 경우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여 주어 어린이집의질적 발전을 위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