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WSN 기반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조영태(Youngtae Jo),최진섭(Jinsup Choi),정인범(Inbum Jung) 한국정보과학회 2014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0 No.7

        현대사회에 들어 차량의 폭발적 증가는 도로의 교통 혼잡을 가중시켜왔으며 이러한 교통 혼잡은 환경오염, 교통사고 증가 등의 문제를 유발시켜 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통시스템과 IT기술이 융합된 지능형 교통 시스템이 연구되어 왔다. 교통정보 수집기술은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기술 중 가장 기초적인 기술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기존의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은 큰 사이즈, 유선을 통한 파워 공급 및 통신으로 비용이 크고 확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낮은 비용과 높은 확장성을 위해 WSN 기반 교통정보 수집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WSN 기반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은 저전력 센서를 통해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무선을 통해 교통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하지만, WSN 기반이라는 특징으로 인해 낮은 컴퓨팅 파워, 제한된 배터리용량, 전송 지연 등의 문제점이 존재한다. 기존의 WSN기반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모두 고려하여 설계하지 않거나 실제 시스템구현으로 접근하지 않고 이론적인 접근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모두 고려한 WSN 기반 교통정보 수집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실제 도로에 설치되어 그 성능이 평가되었으며 실험결과 높은 정확성, 낮은 파워 소비, 작은 전송 지연 등의 장점을 확인하였다. Recently, the explosive increase of vehicles on the roads has caused huge traffic congestion which leads various problems such as increase in air pollution and the frequency of car accidents. To address these problem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s) - the converge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ransportation systems - has been studied. As an essential technology of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traffic information acquisition technology plays an important role among the ITS technologies. Existing systems for traffic information acquisition have high cost and low scalability owing to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large size, wired power supplies, and wired communication. Recently, for the low cost and high scalability, wireless sensor networks (WSN)-based traff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s have been suggested. WSN-based traffic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collects traffic data using low power sensors, and transmits it through wireless networks. However, WSN-based systems have many issues to consider, such as low computing power, limited battery capacity, and transmission delay. Existing studies on WSN-based acquisition systems have not considered all the issues together. Moreover, most studies have focused on theoretical problems rather than practical ones. Therefore, we propose a new system that considers all the issues. In our experiments, we installed our system on real roads for an accurate evaluation. The results show that our system has a high detection accuracy, low power consumption, and low transmission delay.

      • KCI등재

        도로교통 지능형교통체계의 사용자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이희엽(Lee, Hee Yup),최정민(Choi, Jung M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3 No.-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다. 자동차 증가에 따른 도로시설의 용량제한, 교통의 혼잡, 교통사고의 안전문제, 온실가스의 배출로 환경문제가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 도로체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지능형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가 제시되었다. 국내는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를 중심으로 교통부문의 효율화를 위해서 1997년 9월에 ITS 기본계획을 총 3단계로 수립하였다. 현재는 ITS 사업의 마지막 3단계 사업(2011년부터 2020년까지)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그 동안의 ITS 사업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평가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 및 내용,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방법은 ITS 분야의 사용자 만족도 평가요소의 도출이 핵심적인 사항이다. 사용자 만족도 평가요소는 ITS 구성도, 국가 ITS 아키텍쳐, 단위시스템의 정보흐름연계도(Architecture Flow Diagram: AFD)로 구성된다. ITS 사용자의 불편한 점을 서술형 설문조사하고, 전문적인 ITS 내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교통관련신문에서 상호연관성있는 내용을 접목하였다. 사용자 만족도 평가는 4개 단위시스템의 8개 평가항목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범위는 1990년 부터 2015년까지 한국의 ITS 추진현황을 조사하고, 서울시의 ITS 기본계획과 정책을 조사하여 설문조사로 사용자 만족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용자 만족도 평가는 성별에 관계없이 서울시에 거주 또는 직장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의 평가결과는 4개 단위시스템의 평가는 상대적으로 비교했을 때, 기본정보제공서브시스템이 제일 낮고, 시내버스정보시스템이 제일 높게 평가되었다. 전체적인 사용자 만족도 평가는 교통과 관련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공받는 것을 사용자는 가장 만족하게 평가하고 있다. 향후, ITS 분야의 체계적인 사용자 만족도 평가를 위한 일반적인 평가영역별 항목, 평가지표와 함께 가중치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서 지속적인 ITS 분야의 유지관리와 새로운 기술의 융합으로 발전된 ITS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Restricted road infrastructure capacity and traffic congestion due to the increase of number of cars, safety problem due to traffic accident, greenhouse gas exhaustion are deteriorating the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existing roadsystem, th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ITS) is suggested. In Korea, a three-step general plan regarding ITS was set up in September 1997 to efficiently solve the traffic problem with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presentl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s the center. Presently, the last stage of the three-step plan in ITS is being executed(starting from year 2011 to year 2020). This study will aim to evaluate the user satisfaction for the ITS project in the meantime. The study method and conten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In the evaluation method, Deducting the factor for evaluating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ITS sector is very important. The evaluation factor of the user satisfaction is composed of the structure of ITS, the nation"s ITS architecture, Architecture Flow Diagram(AFD) of the unit system. The inconvenient point of the ITS user has been investigated as a descriptive survey and the relevant contents in the transportation-related newspaper in order to complement the contents of the professional ITS have been combined. The evaluation of the user satisfaction has been divided into eight evaluation items of the 4 units system. The study scope is as follows. The enforcement situation of the ITS in Korea from 1990 to 2015 has been investigated. The master plan and the policy of the ITS in Seoul has been investigated. The evaluation of the user satisfaction must be executed without discretion of gender on those who reside or have a job in Seoul.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study, In comparison to the evaluation of the 4 unit system, the basic information broadcasting subsystem is the values the worst and the city bus information system is the best. The overall evaluation of the user satisfaction states that the most satisfactory factors for the user is the accurate real-time, promptness,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information. In the future, the item of general evaluation areas, evaluation indicators and the weighting in order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ITS sector will be needed to be developed. Through such continual maintenance of the ITS sector and fusion of new technology, a developed ITS environment for users will be created.

      • KCI등재

        지능형교통체계의 사용자 평가에 관한 연구

        이희엽(Lee, Hee Yup),김창현(Kim, Chang Hy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1 No.-

        증가하는 교통량에 비교하여 도로시설의 용량제한, 자동차의 증가에 따른 교통의 혼잡, 교통사고에 의한 안전문제, 온실가스의 배출로 인한 환경문제로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 도로체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지능형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ITS) 가 제시되었다. 국내에서는 건설교통부(현, 국토해양부) 를 중심으로 교통부문의 효율화를 위해서 1997년 9월에 ITS 기본계획을 총 3단계로 수립하였다. 현재는 ITS 사업의 마지막 3단계 사업(2011년부터 2020년까지)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그 동안의 ITS 사업에 대한 사용자 평가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평가방법은 1) ITS 분야의 사용자 평가요소의 도출이 핵심적인 사항이다. 사용자 평가요소는 ITS의 정의, ITS 구성도, 국가 ITS 아키텍쳐, 단위시스템의 정보흐름연계도 (Architecture Flow Diagram: AFD)로 구성된다. 2) 사용자 평가문항은 일반적인 평가(4개 평가문항)와 구체적인 평가(4개 평가문항)로 구분하였다. 연구범위는 199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의 ITS 추진현황을 조사하고, 서울시의 ITS 기본계획과 정책을 조사하여 설문조사로 사용자 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용자 평가는 성별에 관계없이 서울시에 거주 또는 직장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의 평가결과는 1) ITS 분야의 평가는 환경친화적 교통체계가 상대적으로 교통시설의 이용효율성, 교통이용 편의성, 교통의 안전성과 비교하여 낮은 평가를 받았다. 2) 4개 단위시스템의 평가는 상대적으로 비교했을 때, 기본정보제공서브시스템이 제일 낮고, 시내버스정보시스템이 제일 높게 평가되었다. 3) 전체적인 사용자 평가는 교통과 관련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공받는 것을 사용자는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다. 향후, ITS 분야의 체계적인 사용자 중심의 평가를 위한 ITS 평가지표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서 지속적인 ITS 분야의 유지관리와 새로운 기술의 융합으로 발전된 ITS 사용자 환경을 설정하여야 할 것이다. Limited road infrastructure capacity in comparison to the increasing volume of traffic, traffic congestion due to the increase of number of cars, safety problem due to traffic accident, greenhouse gas exhaustion are deteriorating the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existing roadsystem, th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ITS) is suggested. In Korea, a three-step general plan regarding ITS was set up in September 1997 to efficiently solve the traffic problem with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presentl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s the center. Presently, the last stage of the three-step plan in ITS is being executed(starting from year 2011 to year 2020). this study will aim to evaluate the user for the ITS project in the meantime. In the valuation method, 1) Deducting the factor for valuating the ITS sector user is very important. Evaluation index of the users is composed of the definition of ITS, structure of ITS, the nation"s ITS architecture, Architecture Flow Diagram(AFD) of the unit system. 2) The evaluation questions are classified by general questions(4 questions) and technical questions(4 questions). The study scope is as follows. The enforcement situation of the ITS in Korea from 1990 to 2015 has been investigated. The master plan and the policy of the ITS in Seoul has been investigated. The user evaluation must be executed without discretion of gender on those who reside or have a job in Seoul.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study, 1) Regarding environment-friendly is fairly low. 2) In comparison to the evaluation of the 4 unit system, the basic information broadcasting subsystem is the values the worst and the city bus information system is the best. 3) The overall user evaluation states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user is the accurate real-time, promptness, efficiency of transportation information. In the future, in order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user-oriented ITS sector a ITS evaluation indicator will be needed to be developed. Through such continual maintenance of the ITS sector and fusion of new technology, a developed ITS environment for users will be created.

      • KCI등재

        지능형교통시스템과 민사법적 관제

        변용완 중앙법학회 2015 中央法學 Vol.17 No.3

        A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incorporate data-gathering and compiling systems into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new privacy implications stemming from the potential misallocation or abuse of collected data have been created. The types of vehicle information collected by ITS technologies include trip routes, frequency of use and compliance with traffic laws. As new technologies continue to improve traffic flow and safety, they also require increasingly enhanced abilities to capture and utilize data. Yet, this capability to gather, store, and transmit data about a transportation network user carries implications for the privacy of vehicle owners, drivers, and potentially passengers. Questions of how the technologies interact with public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privacy, as well as the current legal framework established to protect privacy, are important to determining the ways in which ITS will be allowed to operate in the future. By taking into account the legal principles governing information practices. Also important for the future of ITS, this academic trend rejects the legal equivalency of unaided visual observation, technology-assisted observation, and technology-enabled recording. This train of thought calls this element of the historic legal paradigm erroneous for reasons including the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the privacy violation, the degree of scrutiny to which a person is subjected,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may infringe on the victim's privacywhentechnologyisincorporated. Just as the new technology of computers required extension of an existing legal framework to accommodate the new reality, so too will ITS require extension of existing legal concepts. 지능형 교통 체계(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이하 “ITS라고 함.”)란 사고와 정체라는 자동차 교통 문제를 해결하고, 자동차 교통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전자기술이나 정보 통신 기술 등 첨단 과학기술을 이용한 차량 도로 교통의 지능화 내지 정보화 시스템이다. 최근에는 전자 및 통신 기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현행 교통체계를 첨단화하기 위한 노력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ITS는 최근 위치정보의 폭넓은 보급과 유ㆍ무선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위치정보서비스, 텔레매틱스 서비스 등과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들을 만들어가고 있다. 또한 기존에 중점적으로 추진되어 왔던 도로 및 차량 영역뿐만 아니라 ITS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다양한 하위 시스템들간의 통신 및 정보체계 표준화와 관계된 기술, 시스템, 서비스 등의 시장이 형성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기술과 안전기술 등의 신기술 개발은 기존의 책임법체계에서 예정하고 있던 것이 아니어서, 이에 대한 법적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정보기술 개발에서는 모두 차량 데이터를 추적하여 수집 및 이용하는 과정에서 프라이버시의 침해가 문제되고, ITS가 단순한 정보제공을 하는 차원을 넘어 운전제어를 통해 시스템이 개입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게 되므로, 이로 인한 사고의 경우 운전자의 책임 문제와 함께 운전제어기술의 오류에 대한 제조물 책임 문제나 민사‧형사적 책임의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경고시스템, 잘못된 정보제공, 교통제어 기술 등으로 교통사고가 발생된 경우 각 당사자(도로시스템 관리자, 시스템 제조자, 운전자 등)의 책임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법적 문제는 지금까지와 다른 새로운 법적 패러다임이 전개되고 있다. ITS 기술이 현재 발전해 가는 상황이고, ITS도 단순히 운전자에게 가시적인 위험을 경고하는 정도에 그치는 것에서부터, 운전자의 운행에 상당정도 개입하는 고도 단계까지 다양한 시스템이 존재하는 과도기에 있다. 여기서 ITS가 사용되는 자동차교통 시스템 하에서의 문제 될 수 있는 법적 이슈들을 현 시점에서 완벽하게 논한다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현 시점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사고책임 관련 제조물책임과 정보이용에 따른 개인정보 침해부분을 검토 하였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향후 ITS기술의 발전과 함께 그 기술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법적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 위험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법적 환경을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통정보 언론제공 연계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정성학(Sung-Hak Chung),박회용(Hoy-Ryong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언론매체 특성에 따른 요구정보 제공과 첨단교통정보의 효율적 활용, 사용자 중심의 편리한 교통정보 제공, 교통정보 유통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교통정보 언론제공 연계시스템의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외 교통정보 언론제공시스템 현황을 분석하고, 언론매체별 요구사항을 검토하여, 시스템 구축방안과 연계 제공체계를 구현함으로서 언론제공 통합연계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설계는 정보이용자와 정보공급자의 필요충분조건을 중재하여 보다 다양한 교통정보를 활용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광역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효율적인 공간이동 및 경제적인 이용가치를 높이도록 하였다. 언론매체를 통한 교통정보의 제공은 도로운전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며, 교통정보 언론제공으로 인한 교통량의 분산 및 교통 혼잡완화가 예상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ntegrated press system design for traffic information service by multi-connecting traffic information services which are now being serviced by each different requirements for the press service and by providing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ervice which organically user oriented design such as traffic broadcast, news, journal, semantic web and also related traffic ontology as well as road traffic information. For the objective, the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traffic information supply system was analyzed and then the requirements by media were reviewed. Then, by analyzing the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and the implementation system the method of implementing such the system was suggested. The design method suggested in this study enabled the information users to utilize a variety of traffic information through intervening between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of information users and information suppliers. Throughout the result of this study, for the users who used the integrated transport, the efficient space movement and the economic using value was improved. Providing the traffic information through the press media will become useful information to road drivels, and it is effected that the traffic volume will be dispersed and the traffic jam will be relieved owing to the supply of traffic information to the press.

      • 교통시스템 정보화와 철도중심의 연계교통정보시스템

        남두희,이진선 한국철도학회 2003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6 No.1

        The Korean high speed railroad is scheduled to open in 2004. For railroad-based integrated transfer system, it is essential to develop the intermodal information system for easy transfer to other travel modes. The understanding of mode choices by KTX passengers is crucial for the intermodal transportation planning. Recent development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ITS) made it possible for railroad users to access the transportation information in a cabin or waiting areas at the station. Development of intermodal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will influence the relative demand for traveling by train from competing other transportation modes. The research is focused on a general overview of the ITS with an emphasis on intermodal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 KCI등재

        버스정보기반 통행속도 추정에 관한 연구

        빈미영,문주백,임승국 한국ITS학회 201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2 No.4

        본 연구는 버스정보가 도로의 통행속도 정보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연구이다. 도로통행속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치된 지점검지기, 구간검지기로부터 수집되는 정보와 경기도에서 수집되는 버스정보를 속도정보로 가공하여 비교하였다. 버스정보가 교통정보 검지기의 기능을 할 수 있다면, 통행속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도로구간의 교통류에 대한 패턴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접근방법보다는 기존에 검증된 방법을 중심으로 버스정보를 이용한 교통류 패턴 인식 방법을 적용하여 버스정보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버스정보를 이용하여 모형을 추정하였는데, 단순이동, 지수평활법과 이중이동, 이중지수평활법, ARIMA(p,d,q)모형을 적용하였다. 이 모형들은 평가지표인 100-MAPE, MAE, EC로 비교한 결과 상호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단순평균이동법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로서 버스정보를 구간의 통행속도로 이용할 경우, 모형의 추정도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at bus information was used as an information of travel speed. To determine the travel speed on the road, bus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oint detector and the interval detection installed were compared. If bus information has the function of traffic information detector, can provide the travel speed information to road users. To this end, the model of recognizing the traffic patterns is necessary. This study used simple moving-average method, simple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Double moving average method, Double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ARIMA(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 model) as the existing methods rather than new approach methods.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ility to replace bus information system into other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 KCI등재

        DGPS를 이용한 VMS 메시지 판독거리 모형개발

        오철,김원기,이수범,이청원,김정완 대한교통학회 2007 大韓交通學會誌 Vol.25 No.5

        도로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s)는 지능형교통체계(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를 구성하는 주요 서브시스템 중의 하나로서,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실시간 교통소통 및 돌발상황 정보를 제공해 주는 유용한 기능을 수행한다. VMS에서 표출되는 교통정보는 운전자가 보다 쉽게 이해하고, 눈에 잘 띄고, 적정거리 내에서 판독하기 쉬워야 하는 조건을 만족 시켜야 한다. VMS 판독거리 (Legibility Distance)는 운전자가 VMS 메시지의 문자를 읽기 시작할 수 있는 지점에서 해당 VMS의 설치지점간의 거리를 의미하는데, 도로 및 교통여건, 운전자 특성 등을 고려한 적정 판독거리의 산정은 차량의 주행속도, VMS 메시지 정보량 등과 함께 효과적인 VMS 메시지의 설계 및 운영을 위한 필수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도로교통환경에 노출된 운전자의 작업부하를 고려한 보다 현실적인 판독거리 추정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도시고속도로, 영동 및 경부고속도로에 설치된 27개 VMS에 대한 운전자의 판독거리, VMS 메시지 특성, 운전자 특성, 도로기하구조 및 교통특성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실제 주행환경에서 운전자의 판독위치 수집을 위해서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장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판독거리 모형은 VMS 메시지 설계 및 운영을 위한 기본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Variable message sign (VMS), which is used for providing real-time information on traffic conditions and incidents, is one of the important components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MS messages need to meet the requirements with the consideration of human factors that messages should be readable and understandable while driving. This study developed a legibility distance model for VMS messages using in-vehicle 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data (DGPS). Traffic conditions, highway geometric conditions, and VMS messag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establishing the legibility model based 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height of VMS characters, speed, and the number of lanes were identified as dominant factors affecting the variation of legibility distance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odel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signing VMS messages for providing more effectiv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 KCI등재

        정보 서비스 장치 테스트를 위한 메시지 프레임 자동 생성기법

        김정숙(Jung-Sook Kim),김재형(Jaehyeong Kim),정준호(Junho Jeong),정은미(Eunmi Jung)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4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4 No.4

        지능형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는 첨단 교통체계의 구성요소, 통신, 컴퓨터 및 제어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교통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교통체계의 지능성, 안전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지능형교통체계는 도시의 경관과 어울리게 구성하고자 하는 각 도시들의 환경 정책에 따라 시스템의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며, 따라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정보나 데이터가 각 시스템마다 다 다르다. 이에 정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업체들은 요구가 발생되는 정보 서비스에 따라 매번 다른 메시지 프레임을 갖는 시스템을 제작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많은 시간과 인력이 낭비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메시지 프레임을 쉽게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현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 테스트하기 위한 메시지 프레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윈도우즈 환경에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are advanced applications which, without embodying intelligence as such, aim to provide innovative services relating to different modes of transport and traffic management and enable various users to be better informed and make safer, more coordinated, and "smarter" use of transport networks. However, ITS has the different size and shapes according to the city environment policy to adjust the city scene and it has to be displayed by different message on the information display device in real-time. And the information service providers must make the information display system which has the different information and data each time. That is very time and workers consuming and auto message frame generation system is necessary. In this paper, we design and develop the message frame generation system which can set several parameters easily for the generation of the message frame automatically on the windows environment and we do not need to go the field to get the test data.

      • KCI등재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과 제조물책임

        장재옥,윤태영 한국재산법학회 2012 재산법연구 Vol.29 No.1

        Korea has recently started SMART highway project as a major state project and the project is expected to change the current transportation system within the next few years.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the problem on ‘product liability’ of ITS system after SMART highway project. ITS refers to a new transportation system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such as car accidents or traffic congestion by building networks among individuals, roads and vehicles with the aid of high-tech Information Technology. The expected chang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ITS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automobile may bring some issues on the current legal approach where only car driver is liable for an accident. That is, car accident under ITS intervention is likely to impose legal liability on the manufacturer product liability.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th U.S. on the product liability about ‘Information’ and examines on the applicability of that theory to product liability of ITS. This paper proves that the applicability of product liability is decided how much drivers have to depend on ITS in new system. 이 논문은 스마트 하이웨이 사업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고도의 ITS시스템이 갖추어질 경우를 상정하여 어떠한 제조물책임이 문제될 수 있는가를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ITS는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사용하여 사람과 도로와 차량을 정보로 네트워크화 함으로써 교통사고, 지체 등 도로교통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구축한 새로운 교통시스템이다. 현재로서는 기술발전 수준마저 예측에 불과하고 따라서 정확하게 법적 책임을 논하는 것이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현재까지의 기술 발전 추이만을 감안하더라도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을 비롯한 현재의 법적 책임구조가 만들어진 당시의 상황과는 완전히 다른 교통 시스템이 출현할 여지가 있다. 향후 ITS가 일반화되는 자동차 교통 시스템이 갖추어진다면, 자동차사고에 있어서 운전자보다도 자동차에 탑재된 ITS제조자가 법적 책임주체로 등장할 가능성이 크다. 지금까지 이에 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황이므로, 이 논문은 그동안 축적된 ‘정보에 대한 제조물책임’에 관한 미국의 판례를 자세히 분석하고 그 이론이 ITS의 제조물책임에 적용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한다. 이 논문에서는 교통사고에 대해 운전자의 책임으로 보는가 제조물책임으로 해결되는가의 핵심이, 운전자가 ITS에 얼마나 의존하는 시스템이 갖추어지는가에 있다는 점을 논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