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러티브적 역사 이해를 위한 역사적 상상

        김한종 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논집 Vol.8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unction of historical imagination in exploring and describing historical narratives. I divided to discuss the historical narrative into two aspects: historical research and historical description. In this study, I tried to achieve this purpose through theoretical review of historical narratives and historical imaginations, and to confirm the results in the description of texts including high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Historical imagination help to group separated past facts under a theme and connected to a story for constructing narratives. The imagination that helps historical narratives to be constructed is the interpolation and the alternative interpolation of historical sources. The interpolation is to compose stories and to construct narratives by filling gaps in the historical texts with imagination. Historical thinking for this work is to a priori and rational imagination. In order to make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sources, it is necessary to raise a new question and to try to search an answer to it. This thinking has the character of ‘imagination as a supposal’. It is necessary the historical imagination that can expand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the text for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concerning to the same text. Historical imagination makes the historical narrative to be described convincingly and effectively. It is historical imagination to select an expression form appropriate for the narrative to be described. Textbook authors try to promote students’ understanding of history by changing the form of inquiry activities. Using the imagination to describe historical narratives with appropriate rhetorics, you can raise students’ interest and facilitate communication between authors, teachers, and students. Historical imagination helps us to describe historical narratives properly using rhetoric words as in literature without damaging the truth of historical facts.

      • KCI등재

        역사드라마 <화정>과 역사적 상상력 - 17세기 정명공주의 삶을 재현하는 방식들 -

        김지영 ( Kim Jiyoung ),서보민 ( Suh Bomin ) 한국여성사학회 2018 여성과 역사 Vol.0 No.29

        17세기 조선사회에서 살았던 정명공주의 삶을 재현하는 방식들은 다양하며, 역사드라마와 책과 같은 대중매체는 그 중 하나이다. 이 글은 그것을 역사적 상상력이라는 관점에서 다룰 것이다. 드라마작가 김이영이 재현한 역사드라마 <화정>의 ‘드라마적 상상력’과 역사학자 신명호의 대중서『화정, 정명공주』에 재현된 ‘학문적 상상력’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정명공주와 그녀의 삶에 관한 역사적 상상력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정명공주와 그녀의 삶을 재구성한 두 가지 방식을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화정’이라는 글씨를 남긴 정명공주가 대중적으로 소비됨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본래 목소리는 왜 들리지 않았는지 밝혀보고자 한다. 역사드라마 <화정>은 드라마 <이산>과 <동이>를 쓴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김이영 작가의 작품이다. 정명공주에 관한 역사 기록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작가는 역사적 맥락을 기본배경으로 삼아 나머지는 역사적 상상력을 활용하는, 상상적 역사서술방식을 택하고 있다. <화정>은 역사드라마 가운데 퓨전사극이라는 장르에 속한다. 그것은 정치란 무엇인가? 권력을 대하는 인간의 태도는 어떠해야 하는가? 라는 보편적인 질문을 던지고, 17세기 실존인물인 왕실여성 정명공주를 21세기를 사는 한국사회의 시청자들 앞에 호출하여 그녀의 목소리로 대답하고 있다. 2000년 이후 한국사회에서 여성의 정치적 비중이 커지면서, 드라마 <화정>의 주인공 정명공주는 ‘올바른 정치를 외치는 여성’의 모습으로 재현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당시 드라마가 방영된 시기는 세월호 참사로 한국 최초의 여성대통령 박근혜와 그녀의 정치세력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던 때였다. 그리고 그것이 드라마 속 정명공주의 목소리가 들리지 않게 된 가장 큰 이유였다. 역사학자 신명호의 책 『화정, 정명공주』는 정명공주의 입장에서 학문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정명공주의 인생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그는 정사의 기록뿐만 아니라 야사로 인식되었던 역사기록들 속에서 실제 정명공주의 삶을 그려내고, 왕실문화에 관한 해박한 지식을 활용하여 17세기 왕실사람들의 낯선 행위들을 현대 독자들에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정치사적, 사건사적 역사서술에 치중함으로써 83년이라는 긴 인생을 산 정명공주의 목소리는 잘 들리지 않는다. 『마르탱 게르의 귀향(The Return of Martin Guere)』을 통해 16세기 프랑스 농민의 일상적 삶과 사고방식을 미시적으로 재구성한 나탈리 제이먼 데이비스(Natalie Zemon Davis)가 보여주었던 것과 같이, 과거의 다양한 목소리를 반영한 보다 풍부한 ‘창작물’이 되지 못했기 때문에, 17세기를 산 왕실 여성인 정명공주의 삶에 관한 그의 ‘재현’은 여전히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There are many ways to represent the life of Jeongmyeong, Princess of Joseon in the 17th century, and mass media such as historical dramas and books are among them. This article treats them as ‘historical imagination’, comparing the ‘dramatic imagination’ of the TV historical drama < Hwajeong > with the ‘scholarly imagination’ represented in the popular history book Hwajeong, Princess Jeongmyeong by historian Shin Myeong-ho. By critically analyzing the two different ways of reconstructing Princess Jeongmyeong and her life, we show why her original voice was silenced, despite her extant writing of ‘Hwajeong’ and the popular consumption of her biography. The historical drama < Hwajeong > is the work of Kim Yi-young, a well-known drama writer who wrote popular dramas such as < Isan > and < Dongi >. Due to the limited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Princess Jeongmyeong, the writer adopted an imaginative narrative that uses the historical context as the basic background while filling in the rest with her historical imagination. Thus, < Hwajeong > is a genre called ‘fusion historical drama’ among historical dramas. It raises such universal questions as: What is politics? What should our attitude be toward power? It thereby resurrects Princess Jeongyeong of the 17th century for the audiences of Korean society in the 21st century to answer the questions through her voice. As women’s political power in Korean society has increased since 2000, the main character of the drama, Princess Jeongmyeong is represented as a woman who calls for correct politics. Ironically, however, the drama was aired when criticism of Park Geun-hye, the first woman president in Korea, was at its height due to the disastrous Sewol Ferry accident. This was the biggest reason that the voice of Princess Jeongmyeong in the drama went unheard. Historian Shin Myeong-ho's book, Hwa jeong, Princess Jeongmyeong, tried to represent the life of Princess Jeongmyeong by using scholarly imagination from the Princess Jeongmyeong’s point of view. He tried to depict her life based on historical records that were recognized as ‘informal’ as well as ‘official history’ from his expertise of royal culture. However, it was still difficult to hear the voice of Princess Jeongmyeong, who had lived for 83 years, because he focused on the main events of political history. Unlike the work of Natalie Zemon Davis, who reconstructed the daily life of French farmers in the 16th century through her book The Return of MartinGuere, his attempt did not lead to a rich recreation of history, limiting his representation of the life of Princess Jeongmyeong.

      • KCI등재

        Maxine Greene의 ‘상상력 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역사 수업 사례

        권은재(Eunjae, Kwon),강인애(Inae,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역사적 상상력은 역사적 사실이나 현상에서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의미를 상상을 통하여 발견하는 능력으로 역사적 상상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로 하여금 역사 행위자가 겪었던 상황으로 들어가 과거를 재연함으로써 ‘마치 역사가처럼’ 생 각하고 행동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 상 상력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Maxine Greene의 ‘상상력 학습’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상력 학습은 실제 예술 작품에 초점을 맞추고 관찰과 질문, 사실적 정보 수집, 창작, 공유와 성찰이라는 일련의 학습 활동을 통해 역사적 상상력의 하위 범주인 구조적 상상과 감정이입적 이해의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상력 학습을 활용한 고등학교 역사 수업을 개발, 적용한 결과 학생들이 역사적 상상력을 경험할 수 있는지 구조적 상상과 감정이입적 이해를 중심 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4차시의 수업을 경기도 성남시 P고등학교 1학년 35명을 대상으로 2015년 12월 21일~28일까지 적용하였으며, 학습 결과물, 성찰 일지, 면담, 감상 중 대화내용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상상력 학습은 학생들에게 역사적 상상력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역사적 상상력 신장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istorical thinking, i.e., the ability to think like historians has been emphasized as an important purpose in history education. In particular historical imagination bes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thinking as the ability to imaginatively discover meanings in historical facts or phenomena.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historical imagination’ through Maxine Greene’s ‘Imaginative Learning’ approach based on the constructivist epistemology and the art education theory of John Dewey as a method to expand the historical imagination. The Imagination Learning approach which starts with critical observation of art works, purposes to enhance ability of ‘thinking and acting like artists’ and proceeds through the 4 stages of learning activities such as ‘observation and questions’, ‘inquiry for information’, ‘working for creation’ and ‘sharing and reflection’. This study first developed a Korean history class designed by the Imaginative Learning approach and then applied it to 9th graders in high school. Data collected from the students’ learning outcomes, reflective journals, their conversation in class, and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ere analyzed to examine any effects of their historical imagination according to two categories of ‘structural imagination’ and ‘empathetic understanding.’ The results showed the class based on the Imaginative Learning approach worked for providing positive experience of the historical imagination to the students.

      • 역사학과 상상력은 어떻게 만나는가?

        설혜심 延世大學校 文科大學 2008 人文科學 Vol.88 No.-

        근대 역사학이 과학적 검증성을 통해 합리적 인과관계를 도출하는 것을 본질로 천명한 이래 역사학은 상상력과는 동떨어진 학문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미 지나간 과거를 고찰의 대상으로 삼는 역사학에는 상상력이 필수적으로 개입한다. 이 논문은 역사연구에 있어 상상력이 동원되거나 개입되는 다양한 방식을 소개하며 역사학에서의 상상력의 중요성을 되짚어보는 글이다. 상상력은 오랜 학문인 역사학을 지속시켜온 가장 중요한 원동력으로, 상상력으로 인해 역사는 절대적인 '과거'가 아닌, 끊임없이 새로워질 수 있었다. 이제 역사가는 역사적 사건뿐만 아니라 과거 사람들의 꿈과 상상력까지도 고찰의 대상으로 삼게 되었고, 미시사와 감각의 문화사 같은 새로운 접근들이 이 분야를 한층 풍부하게 만들었다. 여기서 한 시대를 온전하게 재구성하고자 하는 '사회적 상상력'은 특히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다. 검증적 작업에 있어서도 역사가의 건전한 상상력은 부족한 사료를 메워주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역사가는 무의식적으로 역사가라는 동질적 집단을 상정하는가 하면, 기술의 대상으로 관습적인 상상의 공동체를 조형해 내곤 한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한편, 역사의 생산자인 역사가뿐만 아니라 소비자인 독자들 역시 상상력을 발휘하며 역사서술을 접하게 되는데, 향후 역사가들은 역사소비에 개입되는 독자들의 상상력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Since modem history proclaimed the rational empirical causal explanation as its true vocation, historical study has often been perceived as a learning without imagination, Imagination, however, is essential to the historical study. With imagination, history has constantly been able to renew itself, and the historical analysis now encompasses, not only the external events and the historical situations, but also the dreams and imaginations of the people who lived the past. Such new historical methods as the micro-history and the cultural history of senses enrich these arenas where the concept of 'social imagination' emerges as a crucial factor. Even in the field of empirical analysis, historian's sound imagination is useful and often desired, because it could fill the gaps appearing on the imperfect historical evidences. Meanwhile, historian must stay vigilant against the abusable application of imaginative concept in his own historical writing, like 'us(historians)' and such other homogeneous groups as 'nation' and 'community.' Now, besides the imagination of the historian who produces history, more attention is required to explain the imagination of the readers who consume history.

      • KCI등재

        체험형 역사콘텐츠와 한국고대사

        최희수(Choi, Hee-Soo) 한국고대사학회 2016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84

        최근 한국고대사와 관련된 일반대중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그것은 한편으로는 좋은 일이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우려스럽기도 한 일이다. 왜냐하면 그 관심이 역사학계의 연구성과를 바르게 받아들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역사학계가 대중들과 소통하는 것은 매우 긴요한 일이다. 한국고대사 학자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대중과의 소통을 시도하는 것도 그런 맥락에서 볼 때 매우 바람직하다. 대중과의 소통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는 것은 콘텐츠이다. 그 가운데에서 대중들의 역사인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것이 역사콘텐츠임은 물론이다. 역사콘텐츠는 역사를 소재로 하거나, 역사를 주제로 삼은 콘텐츠를 의미한다. 역사콘텐츠는 콘텐츠가 유행하기 시작한 1990년대 이후부터 급격히 발달해 왔다. 역사드라마, 역사영화 등이 대중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역사학계에서는 역사콘텐츠들이역사적 사실을 충실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불만을 토로해 왔다. 따라서 역사학과 콘텐츠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절실하다. 역사콘텐츠는 우선 역사지식을 집적하는데서 비롯되었다. 민간주도의 역사자료 데이터베이스가 선행되었고, 뒤이어 국가주도의 지식정보 집적 사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일반대중들이 접근하기에는 많은 한계를 갖고 있었다. 그 때문에 새롭게 대중들에게 다가설수 있는 콘텐츠들이 기획되고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일반대중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서비스를 개선하고, 콘텐츠를 다시 가공하는 사업들이 진행된 것이다. 역사학의 목표는 대중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함양시켜서 올바른 역사인식을 하게 만드는데 있다. 그 가운데 콘텐츠는 역사적 상상력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사료상의 공백으로 인해 생기는 역사상의 빈 공간을 역사적 상상력으로 채울 필요가 있는 것이다. 역사적 상상력에 기여할 수 있는 콘텐츠는 ICT와 결합된 체험형 콘텐츠이다. 대표적인 기술이 가상현실, 증강현실이다. 그것은 인간의 체험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우리가 접할 수 없었던 과거시대의 역사상을 재연하고, 감정이입을 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이같은 방식을 디지털세계에서는 메타버스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메타버스는 증강현실과 가상세계, 거울세계, 라이프로깅의 4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들을 기반으로 체험콘텐츠가 제작되면 과거 역사상에 대한 대중들의 구체적 경험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역사적 사고력을 제고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역사학계에서 ICT 기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콘텐츠 제작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또한 역사콘텐츠에 대한 비판도 역사적 사고력에 필요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그 기준을 정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역사학은 학계의 성과를 콘텐츠에 반영하고, 콘텐츠는 대중들의 역사적 상상력을 제고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In recent years the general public has increased interest related to ancient history. On the one hand it is good, but, on the other hand, is a worried thing. Because it is not accepted properly research the history of academia. So it is a very critical one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the history of academia. Such attempts that scholars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various ways are highly desirable. Content is exercised enormous influence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Of course, it is an historical content, as well as being profoundly affect public perceptions of history. Historical content means content include history as a material, or history as a subject. Historical content has been developed rapidly since the 1990s. Historical dramas, historical movie, it started to exert greater influence on the public. However, academics have complained these contents failed to reflect historical facts faithfu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win-win between the content and history. Historical contents were first derived from the accumul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he private sector was leading database of historical documents, subsequently it was pursued state-led projects accumulated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there were, despite the many achievements, has a lot of limitation in the general public to access. Therefore, content that appeal to the masses began to have a new development. It was carried out to improve and re-processed content services to facilitate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The goal of history is making the proper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masses by cultivating historical thinking. Among them has the content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imagination. The empty space in the history caused by space of the historical documents that will need to fill in the historical imagination. Content that can contribute to the historical imagination is combined with experimetial content with ICT. Typical technology i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It is allows us to reproduce the history of a bygone era could not access, and empathy by expanding the area of human experience. Such a method is described the concept of meta-bus in the digital world. Metaverse is divided into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worlds, mirror world, life logging area. If experimetial these product based on these area, it can implement detail experience of the public about the history of the past, also can enhance the historical thinking. Therefore, academic history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historical content production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ICT technology. In addition, the history academics shall define the criteria by considering the elements needed for historical thinking about criticism of the historical content. Thereby, the academic history reflects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ntent, and the content should contribute to enhancing the historical imagination of the public.

      • KCI등재

        저항하는 상상력으로서의 전기소설

        박기태(Park, KiTae)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8 日本 硏究 Vol.0 No.49

        This research involves an analysis of the aspects of resistance and imagination in the early works of Masaki Yamada, including God Hunting, Maitreya War and Glacier People. The key concepts for the analysis were “daily life” and “extraordinariness.” In God Hunting, Yamada’s religious imagination, the hero’s imagination about a better world and people’s imagination in the real world such as occult were used. In Maitreya War, religious imagination and pseudo-historical imagination were combined. In addition, the hero who symbolized the concept of extraordinariness defended the world by fighting the enemy, the other symbol of the same concept. Finally, in Glacier People, a bloodsucking subspecies of human being based on the imagination of the Gothic Romance genre was used as the symbol of extraordinarine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species were reasonably explained through pseudo-scientific imagination. By analyzing these novels, it was found that various imaginations had joined or coexisted to support pseudo-historical fantasy novels of the 1970s, and had also affected later generation novels since the 1980s. Furthermore, the elements and methodologies appearing in Yamada’s early works were also found the later generation novels which were written since the 1980s. A strong combination of resistance and imagination was shared through generations of the pseudo-historical fantasy novels. As “the imaginations for resistance,” Yamada’s works contributed to “the renewal” of pseudo-historical fantasy novel genre, the literary flow that was created by Ryo Hanmura, Kazumasa Hirai and Futaro Yamada. In this sense, it can be said that Yamada’s early works played a role as a bridge between the 1970s and later eras.

      • KCI등재

        사극의 변화하는 풍경과 역사를 재현하는 관점들을 맥락화하기: <별순검>과 <한성별곡>을 중심으로

        이기형 한국방송공사 2007 방송 문화 연구 Vol.19 No.2

        Traditionally historical dramas have been one of the most visible genre forms in South Korean television. In recent years, historical dramas are booming and have been increasingly transformed in terms of narrative and visual schemes. In particular, “fusion”and “faction”texts have emerged and gained popular interests. These new breed of historical dramas usually do not necessarily embrace the received representational and generic conventions : cultural producers freely borrow mythical or imaginary characters and elements as well as (re)create incidents that are not necessarily part of the recorded histories. What is also distinctive about emerging fusion and faction dramas is : they tend to employ spectacular images and CGI, large-scale sets and luxurious costumes, as well as to present more “modern”and complex characters. To some extent, the popularity of these new historical dramas seems to reflect the wide-spread popular interests in cultural history, micro-historia, as well as the boom in popular literary forms on various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In this article, after surveying and exploring the main trends in historical drama-making, I want to focus on two historical dramas, <Bulsunkum> and <Hansungbeulkok> which attempt to chart alternative ways of experimenting with historical drama form and redeploying historical narratives. The former creatively interweaves detective genre, crime story, and humor in a historical narrative form. In doing so, <Bulsunkum> introduces new angles and impulses in dealing with historical dramas through its innovative use of cultural imagination. In <Hansungbeulkok>, a powerful, thoughtprovoking, absorbing, and well-crafted political drama meets historical genre form. This drama accentuates the role of historical drama as a kind of narrative delivery vehicle for linking the past and the present by inviting the audiences to reflect on complex and contentious socio-political issues. Through such remediation, <Hansungbeulkok> provides the interested audiences with uncommon experiences of re-thinking and re-envisioning the political matters. In my opinion, these two texts collectively present much valuable and alternative forms of experimenting with, and upgrading historical drama's potential as an important televisual form and culturally nuanced genre in our times.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역사적 상상력 : 역사-드라마의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을 중심으로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한국문학연구 Vol.0 No.44

        역사-드라마는 역사적 상상력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극적으로’ 주선한다. 이 때 역사적 상상력은 역사적 사실과 극적 허구라는 이질적 층위의 이야깃거리를 하나의 균질적 이야기로 집성해내고, ‘그때/거기’와 ‘지금/여기’라는 결코 공존할 수 없는 시공간을 자유로이 넘나들게 한다는 점에서 역사드라마의 핵심적 역사 기술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상상력은 주로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을 통해 구현된다. 상호텍스트성은 그때/거기와 지금/여기 사이에 산포하는 다종다양한 텍스트의 호출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간극을 좁히고, 아나크로니즘은 그때/거기를 지금/여기와 흡사한 시대감각으로 그려냄으로써 이를 더욱 강화시킨다. 현재화된 과거라는 모순적 시간계 속에 존재하는 역사드라마의 본질은 역사와 드라마의 절합을 통해 인간과 세계를 ‘읽어내는’ 데에 있다. 그것은 역사와 드라마라는 인문과 예술에 대한 ‘태도’의 문제와 연관될 수밖에 없다. 자연히 역사적 상상력은 어디까지나 역사드라마로서의 ‘진지함’ 이라는 태도 속에서만 정당성을 부여받는다. 역사드라마의 이러한 태도는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이 어떻게 텍스트 속으로 수렴되고 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가늠할 수 있다. 역사적 상상력의 수행으로서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은 그때/거기와 지금/여기로 분할되어 있는 화면 안팎의 시공을 초월하여,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통해 과거를 복기하고 현재를 환기하는 극적 재현에 있어 더없이 유용한 극작 기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추노>, <공주의 남자>, <뿌리깊은 나무>, <해를 품은달> 등의 미니시리즈는 역사적 상상력의 극적 수행인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의 성패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다. <추노>와 <뿌리깊은 나무>는 ‘사실로서의 큰 역사(History as a fact)’ 사이에 그럴듯한 ‘허구로서의 작은 역사들(histories as a fiction)’을 틈입시키거나, 그때/거기의 허구적 재현을 통해 지금/여기에 대한 사실적 발화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돋보인다. 하지만 <공주의 남자>와 <해를 품은 달>은 굳이 소환해야 할 당위가 없는 역사를 가벼이 불러내어 소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상상력의 빈곤을 드러낸다. 드라마가 지니고 있는 정서 혹은 정조(情操)와는 무관하게 역사적 상상력의 진지함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추노>와 <뿌리깊은 나무>는 <공주의 남자>와 <해를 품은 달>을 압도하고 있는 셈이다. History-drama arranges convers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Historical imagination is core principles of History-drama. It gathers heterogeneous stories and form into a homogeneous story. It also crosses incompatible space time border, or then/there and now/here, with no limitations. Historical imagination was operated based on intertextualit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y calling out various texts, and anachronism, representing then/there with the sense of the times of now/here. History-drama's essence lies in the reading of human world through articulation between history and drama. History-drama's earnestness gives some validity to historical imagination in the ‘presented’ past. This attitude could be found by seeing how intertextuality and anachronism converge towards text. Intertextuality and anachronism transce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elevision screen, or time space divided between then/there and now/here. Both of them are useful dramaturgy that not only duplicates the past but also arouse the present. In this respect, intertextuality and anachronism, as a dramatic performance of historical imagination, could be good examples in the mini-series such as <Chuno>, <The princess' man>, <Deep-rooted trees> and <The Moon embracing the Sun>. Small histories as a ‘plausible’ fiction not only intrude into History as a fact, but also try realistic discourses on now/here in <Chuno> and <Deep-rooted trees>. However, histories with no validity are recalled easily, then exhausted in <The princess' man>, <The Moon embracing the Sun>. This shows poverty of historical imagination. Regardless of emotion in drama, <Chuno> and <Deep-rooted trees> overwhelm <The princess' man> and <The Moon embracing the Sun> in an earnest aspect of historical imagination.

      • KCI등재

        망명시인, 심연수 시의 상상력 체계

        김영철(Kim Young-chul) 우리말글학회 2010 우리말 글 Vol.49 No.-

        This study aims at the study on the imagination system of Shim Yeon-su's poetry. Shim Yeon-su visualized as poetry the life and experience of emigrants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He is a representative of emigrants and emigrant poets. His family poetr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not only personal history but national history. His poetry is appreciated as national literature and resistance poetry because of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identity and nationality restoration. The poetic imagination of Shim Yeon-su's poetry is divided into hitorical imagnation, diaspora imagination and animus imagination. The historical imagination is based on the optimistic historicism. Historical imagination includes the ideology of fire, seed and earth towarding the circulatory natural viewpoint. Diaspora imagination shows the expression of emigrant consciouness and the emotion of northern district. Diaspora imagination includes the homesickness motive and it calls into being tour poetry and landscape poetry. Animus imagination shows the continental scale and masculinity. The space time of his poetry heads toward the vastitude and eternity and visualizes the grand scheme of human idea and dream. The grand scheme comes to a conclusion of masculinity and heads toward the expressin of strong volition and conviction. Historical imagination, diaspora imagination and animus imagination of Shim Yeon-su's poetry furnishes abundant nutition and freh breath of modern Korean poetry.

      • KCI등재

        이병주 문학의 역사의식 고찰 : 장편소설 『관부연락선』을 중심으로

        김종회(Kim, Jong-Hoi)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7 No.-

        이 글에서는 작가 이병주의 소설과 그 역사의식이 어떤 경로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그 경향과 의미가 어떠한가를 검토한 다음, 이를 전체적인 문맥 아래에서 조감할 수 있도록 그의 작품세계 전반의 전개와 문학적 인식의 방식 및 유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의식을 드러내는 대표적 장편소설이자 유사한 성격을 가진 장편소설들의 출발을 예고하 는 첫 작품 ??관부연락선??을 중심으로 그 역사의식의 발현과 성격적 특성을 점검해 보았다. 그와 같은 경로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작가 이병주의 소설에 나타난 역사의식은 우리 문학사에 보기 드문 강렬한 체험과 그것의 정수를 이야기화하고, 그 배면에 잠복해 있는 역사적 성격에 대해 이를 수용자와의 친화를 강화하며 풀어내는 장점을 발양했다. 주지하는 바 역사 소재의 소설은, 실제로 있었던 역사적 사실을 근간으로 하고 거기에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소설적 이야기를 덧붙이는 것인데, 이러한 점에서 이병주의 소설과 그 역사의식은, 한국 근대사의 극적인 시기들과 그 이야기화에 재능을 가진 작가의 조합이 생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병주의 문학관, 소설관은 기본적으로 ‘상상력’을 중심에 두는 신화문학론의 바탕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기록된 사실로서의 역사가 그 시대를 살았던 민초들의 아픔과 슬픔을 진정성 있게 담보할 수 없다는 인식 아래, 그 역사의 성긴 그물망이 놓친 삶의 진실을 소설적 이야기로 재구성한다는 의지를 나타낸다. 그러한 역사의식의 기록이자 성과물로서, 한국문학사에 돌올한 외양을 보이는 『관부연락선』 『산하』 『지리산』 등의 장편소설을 목격하게 된다. This essay will shed a light on the route of Lee Byung-Joo’s historical awareness and the meaning of its trend and purpose. It will also look at these issues within the context. In order to do so, this essay must also take a look at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author’s works along with the method and pattern of literary cognition. Focusing on [The Ferryboat] which is the most well-known fiction for this kind of historical recognition, and also the first one to announce the arrival of similar type of other fictions, this essay will inspect manifest of the historical awareness and characteristic quality. As discussed, the historical awareness shown in Lee Byung-Joo’s fiction narrates intense experience that is rare in our literature, and makes a story out of its essential spirit. In terms of historical character that is hidden in the base, his fiction reinforces the intimacy between this fact and the receiver. A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historical fiction is based on the real historical events and adding fictional stories within author’s imagination. For this, Lee Byung-Joo’s fiction and his historical awareness is the result of the mixture between the dramatic time period in modern Korean history, and author’s talent of making it to be a story. Lee Byung-Joo’s literary and fictional view basically starts from mythological literature that is focused on ‘imagination.’ Because that recorded history cannot genuinely show all of the pain and sorrow of real people who actually lived in that era, the author’s view represents his intention of reconstructing the reality of human life into a fiction. As the outcome, readers witness fictions like [The Ferry boat][Mountain and River] [Mt. Giri] that are unique and special in Korean literary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