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Commercialization of Leisure : English Spa Towns in the Sixteenth and the Seventeenth Centuries

        설혜심 한국서양사학회 1996 西洋史論 Vol.48 No.1

        현대사회에서 레저가 차지하는 비중에 비하여 레저를 역사적인 대상으로 고찰하는 연구는 극히 미진하고 단편적인 상태이다. S. R. Paker나 Barrie Newman같은 사회학자들은 레저란 산업화과정에서 힘든 노동에 대한 보상의 형태로서 고안된 필요악이라 단정짓고, 유럽사회에서 레저문화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온천장의 기원과 발달이 18세기 이후의 현상이라고 말한바 있다. 또한 J. H. Plumb나 Peter Borsay같은 영국사가들은 영국의 온천장이 상업화된 레저를 제공하게 된 것은 중산층의 부의 증가에 따른 레저에 대한 욕구에 상응하는 당연한 귀결로서, 역시 18세기 이후의 일이라 주장하였다. 그러나 레저가 반드시 산업화과정의 부산물 혹은 중산충의 발달과 더불어 갑자기 나타난 현상일까? 본 연구는 영국에서의 온천장의 발달과정을 검토함으로써 상업화된 레저가 도래한 정확한 시기, 그리고 그러한 레저의 상업화를 이끌어 낸 원인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온천장이 존재하던 지역의 시정문서, 수도원 기록, 토지대장, 병원기록, 일기, 서간, 시집, 여행기, 설교집, 의학논집 등과 같은 다양한 사료에 따르면 영국에서의 온천장의 탄생은 16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미 18세기 이전에 성숙된 형태의 휴양지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었음이 나타난다. 이들의 탄생은 또한, 중세를 통해 지속되어 온 거의 모든 사회계층의 레저에 대한 추구, 특히 순례라는 관습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온천장들은 중세의 순례 지였던 holy well이었던 역사를 갖고 있는데, 중세에 있어 성지순례란 종교적 헌신을 표방하고 신의 은총에 의해 질병을 고치려던 표면적인 역할 이외에도 지루한 일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합법적 레저활동의 성격을 강하게 포함하고 일었다. 16세기 초 종교개혁에 수반된 일련의 조치들이 순례여행을 금하게 되고 주순례지였던 holy well들을 폐쇄한 뒤 그 자리에 온천장들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중세에 있어 holy well의 물이 신의 은총을 매개하는 신비한 치유력을 갖고 있다고 믿어진데 반하여 종교개혁 후 도입된 르네상스 과학은 광천수의 성분이 질병치유에 탁월한 효과를 보인다고 설명하였다. 이러한 개념상의 변화위에 이윤추구를 정당화하는 세속화의 물결은 온천장을 다각적인 상업활동이 가능한 중심지로 발달시키게 되었다. 의술가와 사업가, 온천장 인근 주민들은 온천수와 온천요법의 판매는 물론 숙박, 건전한 스포츠로부터 퇴폐적 향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레저를 상업화하게 된 것이다. 이상의 주제를 위해 제 1장에서는 중세 순례의 본질을 분석하고 그것이 중세사회에서 중요한 오락적 기구였음을 증명하였다. 제 2장에서는 종교개혁에 의해 순례가 금지된 후 기존의 holy well이 광천으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물에 대한 개념상의 변화와 연관지어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이러한 세속화의 기류 아래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취할 수 있던 집단-의술인-을 중심으로 온천장을 합법적인 휴양지로 만드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한 온천요법의 발달과 의술인의 상업적 동기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제 4장에서는 의술인 이외의 일반인들의 상업화 참여과정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온천장이 16세기 후반, 17세기를 통해 확고히 발달하였음을 검증하였다. 제 5장에서는 이러한 상업화가 끊임없이 모여들던 빈곤층을 어떻게 이들 온천장으로부터 배제해 나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전통적 크리스트교적 의무감이 상업화에 밀려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제 6장에서는 이들 온천장에서 공급하던 다양한 레저활동들을 소개하고 온천장의 기능이 중세 성지순례라는 관습에 수반되던 레저활동의 연장선임을 재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영국 온천장이 18세기 이후의 갑작스런 산물이 아닌, 이미 16, 17세기에 고도로 상업화된 휴양지였음과 이의 기원을 중세 순례라는 관습에서 찾을 수 있음을 증명함으로써 레저활동의 전통이란 단지 사회제도의 변화에 따라 재편성될 뿐 거대한 역사의 흐름 속에서 면면히 지속되어 왔음을 주장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18세기 대영박물관에 전시된 인삼: 입수 경로와 당대의 반응

        설혜심,Sul, Heasim 고려인삼학회 2021 인삼문화 Vol.3 No.-

        이 연구는 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박물관으로 꼽히는 대영박물관이 개관 당시부터 인삼을 주요 전시품으로 취급하고 있었음을 학술적으로 규명했다. 대영박물관은 영국의 저명한 의사이자 과학자, 수집가인 한스 슬론(Hans Sloane, 1660-1753)의 유언에 따라 그의 컬렉션을 토대로 건립된 것으로, 인삼을 비롯한 '식물성 물질 표본(Vegetable Substances specimens)'이 그 핵심에 놓여 있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슬론이 방대한 컬렉션을 모으는 과정을 재구성하면서 영국의 초기 제국주의와 본초학, 수집과의 관계를 밝혔다. 대영박물관에 전시되었던 인삼 표본 4개--Radix Ginseng or ninzin from China (VS 532)/ Ginseng. Id (VS 8,198)/ Roots & seeds of Gin-seng (VS 7,825)/ Ginseng root (VS 12,140)--의 출처와 입수 경로를 추적하였다. 이들은 각각 중국, 일본, 북아메리카에서 온 것으로, 각각 고려인삼, 죽절삼, 화기삼으로 추정된다. 당시의 영향력 있던 인쇄물을 통해 인삼이 대영박물관의 주목할 만한 전시품으로 대중들에게 홍보되었으며, 영국에서는 화기삼이 고려인삼에 비해 열등한 평가를 받고 있었다. This research uncovered that the world-renowned British Museum has displayed ginseng as part of notable exhibitssince its opening. The British Museum was established in 1753 upon the bequest of Sir Hans Sloane, a famous physician, scientist, and collector. At the heart of his collections was the vast amount of vegetable substance specimens. This study first reconstructed Sloane's collection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British Imperialism and botanical science in the early modern period. It then traced the origins and routes by which four ginseng specimens were obtained: Radix Ginseng or ninzin from China (VS 532), Ginseng. Id (VS 8,198), the roots and seeds of ginseng (VS 7,825), and ginseng root (VS 12,140). These specimens were presumed to originate from one type of Korean ginseng from China, a Japanese ginseng variant from Japan, and two ginseng species from North America. The English public learned about ginseng and ginseng exhibits via a flourishing printing culture. In England, Korean ginseng was appreciated much more highly than American ginseng.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낚시와 인문학 : 아이작 월튼(Izaak Walton)의 『조어대전(釣魚大全)』다시 읽기

        설혜심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09 人文科學 Vol.90 No.-

        Izaak Walton's The Compleat Angler, or the Contemplative Man's Recreation is most frequently reprinted book in English literature. Scholars, however, have not paid serious attention to this book, because it is categorized as a fishing guidebook rather than a authentic literary work. This article examines the reason of sudden acknowledgement of sport fishing and the enormous popularity of Walton's book in 17th century England. Hunting, especially falconry was a popular sport and status symbol among the nobles in medieval Europe. In England, however, from the 17th century Puritanism began to give steady pressure against the atrocities of blood sports. As falconry declined in importance and popularity, fishing or Angling emerged as a desirable alternative. Also, the English began to divide their environment into two distinct categories-- the natural and the artificial, the city and the countryside. Within this dichotomous framework, countryside was perceived as natural and healthy. New sensibilities arose towards animals, plants and landscape, and recreations in countryside were exalted as the morally beneficial activities. In this context, Walton could argue that fishing in quiet waters is a form of contemplative activity. The Compleat Angler is not merely a pastoral discourse on stratagems of fishing, but a humanistic literature on peaceful lifestyle and pleasure of soul. In this book, Walton's style and narratives are extremely lucid refreshed by verses, songs, anecdotes and Biblical analogies. The style and contents also explains why this work appealed to millions of people who have never caught a fish. 653년 아이작 월튼이 출간한 『조어대전』은 ‘낚시의 고전,’ 혹은 ‘낚시의 바이블’이라 불리는 베스트셀러이다. 본 논문은 문학작품이기보다는낚시안내서로 분류되어 학술적 조명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 『조어대전』을 심층적으로 읽어내어 17세기 영국의 사회상을 이해하는 한편 이책의 폭발적 인기의 원인을 분석한다. 낚시는 매사냥이 쇠퇴하면서 스포츠로서 각광받기 시작했는데, 그 배경에는 탐욕과 유혈스포츠를 경계하는 청교도주의의 영향, 도시에 대비되는 시골의 미덕을 고양하던 시대적 분위기, 명상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정립 등의 변화가 놓여있었다. 또한 『조어대전』은 단순한 낚시법 안내서를 넘어서 훌륭한 교양서로서의 미덕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독자를 끌어 모았던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책은 낚시를 매개로 삶을 반추하는 명상의 중요성을 설파한 인문학서라고 볼 수 있다.

      • 역사학과 상상력은 어떻게 만나는가?

        설혜심 延世大學校 文科大學 2008 人文科學 Vol.88 No.-

        근대 역사학이 과학적 검증성을 통해 합리적 인과관계를 도출하는 것을 본질로 천명한 이래 역사학은 상상력과는 동떨어진 학문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미 지나간 과거를 고찰의 대상으로 삼는 역사학에는 상상력이 필수적으로 개입한다. 이 논문은 역사연구에 있어 상상력이 동원되거나 개입되는 다양한 방식을 소개하며 역사학에서의 상상력의 중요성을 되짚어보는 글이다. 상상력은 오랜 학문인 역사학을 지속시켜온 가장 중요한 원동력으로, 상상력으로 인해 역사는 절대적인 '과거'가 아닌, 끊임없이 새로워질 수 있었다. 이제 역사가는 역사적 사건뿐만 아니라 과거 사람들의 꿈과 상상력까지도 고찰의 대상으로 삼게 되었고, 미시사와 감각의 문화사 같은 새로운 접근들이 이 분야를 한층 풍부하게 만들었다. 여기서 한 시대를 온전하게 재구성하고자 하는 '사회적 상상력'은 특히 중요한 요소로 부각된다. 검증적 작업에 있어서도 역사가의 건전한 상상력은 부족한 사료를 메워주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역사가는 무의식적으로 역사가라는 동질적 집단을 상정하는가 하면, 기술의 대상으로 관습적인 상상의 공동체를 조형해 내곤 한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한편, 역사의 생산자인 역사가뿐만 아니라 소비자인 독자들 역시 상상력을 발휘하며 역사서술을 접하게 되는데, 향후 역사가들은 역사소비에 개입되는 독자들의 상상력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Since modem history proclaimed the rational empirical causal explanation as its true vocation, historical study has often been perceived as a learning without imagination, Imagination, however, is essential to the historical study. With imagination, history has constantly been able to renew itself, and the historical analysis now encompasses, not only the external events and the historical situations, but also the dreams and imaginations of the people who lived the past. Such new historical methods as the micro-history and the cultural history of senses enrich these arenas where the concept of 'social imagination' emerges as a crucial factor. Even in the field of empirical analysis, historian's sound imagination is useful and often desired, because it could fill the gaps appearing on the imperfect historical evidences. Meanwhile, historian must stay vigilant against the abusable application of imaginative concept in his own historical writing, like 'us(historians)' and such other homogeneous groups as 'nation' and 'community.' Now, besides the imagination of the historian who produces history, more attention is required to explain the imagination of the readers who consume history.

      • KCI등재

        품격이 필요해: 엘리아스의 『문명화 과정』과 18세기 영국의 매너

        설혜심 영국사학회 2022 영국연구 Vol.48 No.-

        This article analyses three courtesy books of the 18th century — the propriety text for young gentlemen and ladies, The Polite Academy; Erasmus Jones’s conduct manual for social upstart, The Man of Manners, or Plebeian Polish’d; Samuel Richardson’s letter-writing manual, Letters Written to and for Particular Friends. These sources prove the existence of a variety of new manners for the middle class in 18th century Britain, challenging Norbert Elias’s argument that French courtly manners of the 17th century were spread down to all over Europe without any notable resistance. Although British manners contained some French influences, the manners of the middle class despised the superficiality of French manners, and accentuated the simplicity, sincerity and concern for others. While these texts reveal the awareness of commercial society and social mobility, they also emphasize the idea that polite manners were the important means to unite and ameliorate the commonwealth. That is where manners, which prompted the politeness debate in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18th century, are associated with the British character and patriotic discourses. 이 글은 18세기 예법서 세 권—소년 소녀를 위한 예절 교본인 『품격 있는 아카데미』; 에라스무스 존스가 벼락출세한 사람을 위해 쓴 『매너 있는 사람』; 사무엘 리처드슨의 서간문범(書簡文範) 『특별한 친구에게 쓰는 편지들』—을 분석한 것이다. 17세기부터 프랑스 궁정 매너가 유럽 전역으로 별다른 저항 없이 사회 저변부로 퍼져나갔다는 노르베르트 엘리어스의 도식과 달리, 이 사료들은 18세기 영국에서 중간계급을 위한 새롭고 다양한 형태의 매너가 생겨났음을 증명한다. 프랑스의 영향을 받은 예법도 일부 존재했지만, 전반적으로 영국 중간계급의 매너는 겉치레를 경계하며 단순성과 진정성, 타인에 대한 배려를 강조하는 것이었다. 이들 예법서는 상업 사회와 사회적 이동성에 대한 분명한 자각을 드러내는 한편, 품격 있는 매너가 공동체의 화합과 발전을 가져올 중요한 수단임을 강조한다. 그것이 바로 18세기 정치담론 폴라이트니스 논쟁을 촉발한 매너가 영국성 및 애국 담론과 연결되는 지점이다.

      • KCI등재후보

        라이프니츠와 인삼

        설혜심,Sul, Heasim 고려인삼학회 2019 인삼문화 Vol.1 No.-

        위대한 철학자이자 미적분을 발견한 수학자로 잘 알려진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1716)가 인삼에 대해 물었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유럽의 계몽주의를 열었던 라이프니츠는 왜 인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까? 이 글은 라이프니츠가 남긴 방대한 기록 속에서 인삼을 찾아내고, 개인적 생애와 당대의 지적 흐름을 엮어 그가 인삼에 관심을 갖게 된 경로를 추적한 작업이다. 16세기부터 유럽에서는 약물지와 같은 고대 그리스 텍스트의 재발견과 해외에서 들여온 새로운 식물들로 인해 본초학이 크게 발달하게 되었다. 같은 맥락에서 '구대륙' 중국에서 만병통치약으로 이름을 떨치던 인삼 또한 여행기 등을 통해 유럽에 소개되기 시작했다. 중상주의 기치 하에 유용한 약용식물에 대한 관심이 커 가던 유럽에서는 과학단체들을 중심으로 본격적으로 인삼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라이프니츠는 그런 연구의 중심지였던 왕립학회와 프랑스 왕립과학원을 방문하고 학자들과 교류를 나누었으며 독일에 그와 같은 연구기관을 설립하는 것을 평생의 목표로 삼았다. 라이프니츠는 로마를 방문했을 때 예수회 선교사들과 긴밀하게 교류하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중국에 대한 지적 호기심이 한층 더 깊어갔고, 그 맥락에서 인삼에 대한 관심도 커갔다. 라이프니츠는 그리말디, 부베 등 중국선교에서 핵심적인 활동을 했던 학자들과 인삼의 효능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게 된다. 이 논문은 유럽의 계몽주의에서 전혀 주목받지 못했던 인삼이 17세기 말 유럽의 학문적 지형과 지식인들 사이의 교류, 중상주의적 해외팽창을 얽어내는 단초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한 것이다. What is unknown about Leibniz (Gottfried Wilhelm Leibniz, 1646~1716), a great philosopher and mathematician, is that he inquired about ginseng. Why Leibniz, one of the leading figures of the Enlightenment, became interested in ginseng? This paper excavates Leibniz's references on ginseng in his vast amount of correspondences and traces the path of his personal life and cultural context where the question about ginseng arose. From the sixteenth century, Europe saw a notable growth of medical botany, due to the rediscovery of such Greek-texts as Materia Medica and the introduction of a variety of new plants from the New World. In the same context, ginseng, the renowned panacea of the Old World began to appear in a number of European travelogues. As an important part of mercantilistic projects, major scientific academies in Europe embarked on the researches of valuable foreign plants including ginseng. Leibniz visited such scientific academies as the Royal Society in London and $Acad{\acute{e}}mie$ royale des sciences in Paris, and envisioned to establish such scientific society in Germany. When Leibniz visited Rome, he began to form a close relationship with Jesuit missionaries. That opportunity amplified his intellectual curiosity about China and China's famous medicine, ginseng. He inquired about the properties of ginseng to Grimaldi and Bouvet who were the main figures in Jesuit China mission. This article demonstrates ginseng, the unnoticed subject in the Enlightenment, could be an important clue that interweaves the academic landscape, the interactions among the intellectuals, and the mercantilistic expansion of Europe in the late 17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