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시인의 전통 한시 국역

        정소연 ( Chung So-yeon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51 No.-

        본고는 20세기 시인들의 전통 한시 번역 양상을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정리하고 그 의미를 도출한 것으로 그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형시인 한시의 국역이 1940년대까지는 전통 국어시가의 특정 율격, 곧 음보율이나 분연체 등을 추구하다가 50년대 이후에는 당대 자유시와 크게 다르지 않는 형식으로 국역하여 도착어인 국어와 국문시가 중심의 경향을 보인다. 둘째, 1960년대 이전까지는 이별과 그리움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여성 한시를 적극적으로 국역하였다. 이는 일제강점기와 전쟁 후의 상황이라는 시대와 정서적으로 밀착되는 경향으로써 시대 반영과 치유의 의미를 갖는다. 셋째, 한시의 대중화라는 방향성을 보이는데, 절구나 율시를 더 작게 잘라 여러 연으로 내용을 나누고, 구술적 표현으로 쉽고 친근하게 하며 작가 소개나 구절 풀이 등 당대 대중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하고자 하였다. 과거 특정 사대부 남성이 즐기는 고급문학으로서의 이미지를 벗고 위항인, 상하 여성, 무명씨, 승려 등 다양한 사람들의 한시를 적극 국역함으로써 한시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문학으로 수용하고자 하였다. 넷째, 해외 당대시를 번역하는 경향 속에서 전통 한시를 국역함으로써 중세 동아시아 문명권의 한시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환기하고 민족 문학사 재인식의 기회를 마련하며 근대시의 한 자리에 한시의 자리를 마련하고 수용하는 의미를 갖는다. 다섯째, 20세기 한시 국역 양상을 시기별로 분류할 수 있는데, 1930년대까지는 한시의 전통 국어시가화, 40년대는 최대한 일대일 대응이 되는 번역시로서의 양상을 보이고, 50년대에서 60년대는 시인의 창작 자유시에 가까운 양상을 보이며 70년대 이후에는 자유시형이면서도 번역시라는 특징 역시 두드러지고 대중들에게 널리 소개하는 의도가 더 강화된다. 여섯째, 대상 한시와 관련하여 1910년대부터 20세기 내내 중국 한시, 특히 특정 시인중심의 당시(唐詩)가 적극적으로 국역된다. 한국 한시는 1930년대부터 국역되는데, 각 시대별로 고루 선정될 뿐만 아니라 상하남녀의 다양한 사람들의 한시가 국역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로써 중세 시문학의 중심이었던 한시를 한문에서 국문으로, 정형시에서 자유시로, 사대부 남성 중심에서 대중 향유의 시문학으로 수용함으로써 한시의 근대시화를 이루고자 한 시인들의 노력을 볼 수 있다. This study organizes the overall results of accepting aspects of traditional hansi by 20th poets and derives its mea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rhyme of traditional Korean poetry and songs which include foot meter, division into several stanzas and so on is pursued by translating traditional Chinese hansi into Korean until the 1940s. However, after the 1950s, hansi was translated into the Korean language in the style that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free verse's. Second, before the 1960s, the main contents of poetry translated into Korean were farewell and yearning. Also, hansi written by female writers was actively translated in those days. It shows that translated poetry was emotionally related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It means that Korean language translation reflects its era and the poetry translated into Korean can heal people's emotion. Third, the translated poetry of hansi shows the directivity of the popularization of hansi. The contents of quatrain and regulated verses were divided into several stanzas. Its expression of orality could be easy and familiar to the public. Also, writer introduction, as well as explaining phrases, made people understand poetry easily. Originally, hansi had been the exclusive property for noblemen. However, poets tried to accept hansi as literature which everyone can enjoy by translating hansi of various authors: high-class and low-class women, the anonymous, Buddhist monk, and etc. Fourth, by translating into Korean, it evokes pride in the Chinese culture of the medieval East Asian cultural sphere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tendency of translating contemporary poetry from abroad into Korean. This means setting up a place for hansi in the Korean modern poetry literature and accommodating it. Fifth, the aspects of Korean language translation in 20th can be classified into periods. hansi was translated into traditional Korean poetry and songs until the 1930s and into translated poetry as one-to-one as possible until the 1940s. Translated poetry was closer to a free verse that poets created from the 1950s to 1960s. In addition, it stood out as the characteristic of not only free verse but also translated poetry after the 1970s. In this period, the aim of introducing the translated poetry to the public strengthened. Sixth, Dang dynasty's poetry, especially certain poets wrote, was translated actively in relation to hansi being targeted. After the 1930s, Korean traditional hansi started to be translated evenly chosen regardless of its author's rank or era. As a result, we can see the crucial effort of poets to make hansi into Korean modern poetry, namely modernization of hansi by accepting hansi from the Chinese classics to the Korean language, from fixed verse to free verse and from gentry male-oriented to popular poetic literature.

      • KCI등재

        1930년대 한시선집의 여성시 수록 양상과 의미

        정소연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3

        In examining the poetry anthologies of the 1930s, this paper deals with, in particular, aspects of hansi written by women. Prior to modern times, hansi were generally written by upper-class men, and this trend lasted for a long time. However, in modern times, not only men but also women came to consume hansi, as poetry readers. In Dae-dong-poong-a and Cheong-gu-si-seon, which are both hansi anthologies, women’s poetry is placed in the appendix, but nevertheless this shows a willingness to publish women’s accumulated literary capabilities to the public. Furthermore, in the case of hansi collections translated into Korean (Modern Joseon Women Literature Anthology and Mang-woo-cho), they provided the public who had difficulty in interpreting sino Korean characters, especially more women readers, with an opportunity to enjoy hansi. In particular, by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hansi as lyric poems, it becomes possible to recognize women’s hansi before modern times as modern poetry, thereby giving them improved status. In the case of the only modern women’s poetry book, Modern Joseon Women Literature Anthology, it can be seen that the formation and growth of the base of modern women poetry was possible not only through modern poetry, but also through the coexistence of Korean traditional women hansi.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role of hansi anthologies’ role in the 20th century, especially its position within the context of modern poetry. Although hansi was historically centered around upper-class men, the publication of 20th century hansi anthologies that included women’s hansi acted to provide women with a place in modern literature and introduce readers to women’s hansi. 본고는 1930년대에 출판된 한시선집에 수록된 여성시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근대에 한시선집의 여성시 수록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시 향유층으로서의 여성의위상이 높아진 근대의 현상을 배경으로 그 일면을 살펴본 것이다. 그 구체적 양상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가) 『대동풍아』(1934)나 『청구시선』 (1938)과 같이 여성의 한시를 말미에 두어 근대 이전에 상층 남성 중심의 한시사와 유사한 시각도 보이나, 여성 한시를 긍정적적으로 인식한 전통을 계승한 측면도 평가할 수있다. (나) 한시선집이면서도 한글로 번역한 『망우초』(1934)와 『역대조선여류시가선』은여성 한시의 향유가 한글 문해층에게까지 이르게 하고, 정(情)을 담은 근대 문학으로서여성 한시의 위상을 근대 서정시로서 자리매김하는 시각을 보여 준다. (다) 여성의 한시만 모은 『동국규방옥설』(1936)과 『역대조선여류시가선』(1939)은 한시사에서 축적된 여성의 문학적 역량을 근대에 정리하여 시인으로서의 여성과 여성 한시의 수준을 독자에게 보이려는 출판의 의지를 보여 준다. 본 논의를 통해 근대에 한시 향유는 현대시에 비하면 미미할지라도 오히려 시 향유층으로서 여성의 위상을 공고히 하는 데에, 또한 근대 서정시로서 여성 한시를 수용하고한국시사의 연속성을 발견하는 데에 여성시를 수록한 한시선집이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한시는 근대문학의 장에서 주변부로 밀려났으나 여성 한시는 근대 서정시의 시선으로 재평가되고 현대 여성시의 전사(前史)로서 인식됨을 볼 수 있다.

      • KCI우수등재

        한용운 한시에 나타난 일상성과 그 확산적 관계망

        전재강(Jeon, Jae-ga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2

        한용운의 한시를 일상성이라는 기준에서 살피면서 선적 성격, 현실적 성격으로 한시의 작품 세계가 어떻게 심화 확장되어 가는지 그 관계성을 논의하였다. 한용운의 다른 문학 갈래인 시조나 현대시, 더 나아가 동시대 은사 격인 경허선사, 동년배 격인 만공 선사, 학명 선사와의 대비에서 입체적으로 드러난 그 한시의 특성을 구명하고자한 의도에서 이 작업을 진행했다. 한용운 한시는 일상성이 그 중심 내용인데 그 일상성은 출세간의 공간에서 일어난 세간의 정서라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일상성은 출가 수행자로서 작가가 출세간의 시간과 공간, 거기서 사람을 만나고 이별하며, 대상 사물을 접하며, 스스로 사유하고 행동하는 국면에서 나타났다. 한용운 한시의 대부분은 일상을 다루면서 모두 인간의 감성적 정서를 표현하는 특성을 보여 주었는데 시간과 공간의 변화에 따른 소외감, 슬픔, 기쁨, 즐거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는 봉별에 따르는 기쁨과 슬픔, 그리움, 대상사물과의 관계에서는 기쁨, 근심, 쓸쓸함 등의 감정, 스스로 하는 행위에서는 즐거움, 흥겨움, 근심, 그리움 등의 세간의 감성적 정서를 주로 표현하고 있었다. 출가 수행자로서 선과 그 관련된 세계, 즉 출세간의 일상 속에서 수행하고 깨닫고 깨달은 이후에 내면적으로도 출세간의 인식이 확립되는 과정이 표현되었다. 한용운 한시에서의 일상은 불교 선 수행과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선 수행은 다시 깨달음으로 전환되며 깨달음에 기초하여 일상이 곧 진리의 현현이라는 인식이 작품에 드러났다. 여기서 세간과 출세간이 하나라는 안목을 가짐으로써 출출세간인 세간 현실로 활동을 넓혀 갈 수 있는 확고한 이념적 기틀을 선수행의 결과 마련한 것으로 보았다. 불교 사상의 전제 위에서 수행하고 마침내 깨달음을 통하여 얻은 안목에 따라 세간과 출세간의 거리를 극복하고 양자 통합적 인식을 가진 한용운은 출출세간으로서의 세간 현실을 지향하는 면모를 한시에서 역시 보여주었다. 그는 처음에 현실 참여에 대한 탐색적 자세를 보이다가 다음은 현실 참여를 보인 인물에 대한 찬양으로 간접적으로 현실에 참여하고, 마침내 스스로 현실에 직접 참여하는 모습을 한시에서 보여 주었다. 출가 수행자로서 출세간의 공간에서 살았지만 자기 내면에는 세간의 감성적 정서를 주로 담았다는 점에서 한시는 일상성을 가장 핵심적 성격으로 보여 주면서도, 그가 수행자로서 선택한 선수행을 통하여 세간과 출세간이 서로 다르지 않다는 불교이념에 기초하여 수행하고 그 진리를 체득하고 새로운 인식을 함으로써 내면까지 출세간에 이르고, 마침내 출출세간인 세간 현실 참여 활동을 치열하게 전개하면서 한시에 현실적 성격을 담아내는 데까지 나아간 모습을 그의 한시에서 확인하였다. This paper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daily life and extension relationship of HanYongUn’s Hansi(漢詩). HanYongUn is very famous as monk and independent campaigner, modern poet in Korea. He wrote many kinds of literary works, for example, many modern poetry, modern novels, Sijo, Chino-Korean Poetry etc. It’s very exceptional that he wrote a lot of Korean traditional Sijo and Chino-Korean Poetry. Because he was a modern poet as same as modern novelist. So studying on his Hansi can help someone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HanYongUn’s all literature. That’s why I’m studying on HanYongUn’s Hansi. There were found the fact that HanYongUn’s Hansi has three kind of themes: his daily life, the Seon(禪), reality by this researching. Firstly, HanYongUn’s various daily life was mainly described in his Hansi. His daily life is connected with the time and space situation, meeting or parting people situation, composing poetry situation, watching object situation, thinking and acting by himself situation etc. There were expressed his positive or negative emotions in these situation. Secondly, HanYongUn’s Seon practicing life was described in his Hansi. Specifically speaking, the processes of Seon practicing and the enlightenment, eye point after the enlightenment were expressed in his Hansi. He attained new thinking that all existence are composed of two sides: being and not being. So he recognized that the real world and ideal world are perfectly same. Thirdly, HanYongUn’s realistic features were described in his Hansi also. According to his enlightenment, he expressed social interesting and social activities in his Hansi. He was interested in the man who dedicated to Choseon independence, for example, HuwangHyon(황현) and AnJoongGeon(안중근) in his Hansi, and also he was interested in the women who were alone because her husbands left for army duty in his Hansi. At last he expressed his Choseon independence activities in his Hansi. Until now from upper discussion, we can understand that the themes of his Hansi was extending from the various daily life to Seon practicing life and realistic features. So we can say his Hansi is the origin of his literature, that is, Sijo, Modern poetry. Even though I studied the daily life and extension relationship of HanYongUn’s Hansi in three aspects But there could be the other things to study about these kinds of theme. I might continue researching the other kinds of theme next time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1930년대 김억의 한시 국역 양상과 의미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시가학회 2018 韓國 詩歌硏究 Vol.44 No.-

        In this study, I examined a translated poetry Mang-Woo-Cho(忘憂草), which clearly depicts various aspects of the translation of hansi by Kim Eok in 1930s. This study compares Kim Eok with other contemporary poets. Kim was a popular 20th-century poet who translated more than 800 hansi into Korean and published the first translated hansi 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are 166 translated hansi in total, including 87 Chinese hansi, 61 Korean hansi, and 18 hansi by the unknown. Chinese hansi involves a lot of Tang poetry, and Korean hansi mostly belongs to th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Most of the hansi are in Chinese quatrain, and the writers are not only male and high class, but also female and low class like Ki-saeng. In the traditional era, China was a main center of hansi, and most of the writers were men. Hansi was a male-oriented high class literature; however, Kim wanted it to be accepted as Korean poetry that could be enjoyed by all in the 20th century. Second, the contents of hansi are mainly emotions such as parting, sorrows of old age and nostalgia. In addition the lyrical poetry of the 1930s is expressed through translated hansi. In most cases the original title was imported, and translated into four lines. Each line 7.5 syllables and 3 feet of meter, and the rhyme of hansi was changed into the rhyme of Korean poetry. Although hansi was comprised written poetry traditionally, Kim's translations were oral songs, similar to Korean traditional poetry and songs. During the 1930s, Kim's contributions accorded an important place for traditional Korean poetry in the modern history of poetry. Third, compared with the works of other poets of the 1910s-1930s, Kim’s works were the same as the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hansi, particularly Tang poetry, and ha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ngs. However, his translations were much better in that they included the Korean hansi of both men and women irrespective of social class and incorporated the unique rhythm of Korean traditional songs In this respect, Kim Eok an be considered a representative poet who accepted the tradition of hansi and embraced all aspects of poetry and songs. Further Kim’s translations of many Korean traditional hansi that date back to the time of severe Japanese oppression express his resistance to Japan, along with the Korean lyrical pursuits of the 1930s.

      • KCI우수등재

        1940년대 시인의 한시 국역 양상과 의미

        정소연(Chung, So-yeon)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3

        본고는 20세기 시인들의 한시 국역 양상과 관련해, 특히 1940년대에 이루어진 한시 국역 현상에 대해 자세히 고찰한 것이다. 김억, 양주동, 이병기, 박종화, 정태진에 의해 한시 국역시집이 적극적으로 출간되면서 1천여 수가 넘는 한시가 국역되었다. 그 이전의 한시 국역 경향에 비해 1940년대 시인들의 한시 국역 양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첫째, 20세기 어느 시대보다 가장 많은 ‘시인’이 가장 많은 수의 한시를 국역하였다. 특히 이전에 신문이나 잡지에 몇 수 실리는 수준에서 더 나아가 국역시집 형태로 적극적인 한시 국역시 작업을 보여주었다. ≪支那名詩選≫ 1·2집, ≪同心草≫, ≪꽃다발≫, ≪夜光珠≫, ≪금잔듸≫, ≪玉簪花≫, ≪아름다운 강산≫의 8권에 한시 1078수를 국역하였다. 일부 중복되는 한시도 있지만 김억은 동일한 한시를 3행시와 4행시의 2가지 방식으로 국역해서 국역시는 이보다 더 많다. 둘째, 원시(原詩)의 특징과 관련하여, 이전 시대보다 한국 한시를 더 적극적으로 국역하였다. 또한 남성 한시보다 여성 한시의 국역이 더 많이 이루어졌고, 한국 여성 한시는 조선시대의 것이 많다. 남성 한시는 장편 고시도 적지 않으나 여성 한시는 절구가 압도적으로 많다. 내용적으로 님, 고향, 나라에 대한 그리움 등 어느 시대적 상황에서도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정서를 많이 다루고 있다. 셋째, 국역시의 형식과 관련하여, 장편 고시나 일부 절구도 다연체로 나누고, 원시(原詩)보다 행수가 더 많게 하면서 시인의 해석과 감상을 적극적으로 담아 국역하였다. 이병기와 박종화는 특정 율격의 지향을 보이지 않았지만 양주동은 2음보, 김억은 3음보와 4음보, 정태진은 4음보 등의 음보율을 지향하고 있다. 김억의 경우에 여성 한시는 3.4.3.4/ 3.4.3.4/ 3.5.4.3의 음절수를 맞추는 시조화를 보이고, 정태진도 음절수는 다르지만 일부 4음보 3행의 시조화를 보인다. 원시의 제목을 우리말로 국역하는 경우가 많고, 우리말 구어의 감탄사, 대화체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1940년대 시인들의 전통 한시 국역 양상은 동시대 일반 독자들 누구나가 한시를 읽을 수 있도록 우리말로 바꾸어 한시의 ‘한국 현대시화’를 꾀하고자 하였다. 원시를 보존하고 전하고자 하기보다는 전통 한시와 수용자의 시대가 공유할 수 있는 정서를 중심으로 당대인이 이해가능한 우리말 시가 되게 하였다. 또 1930년대까지 보여진 한시의 노래화가 1940년대에도 전통 율격을 통해서 지속되었으나 해방 이후 정태진과 김억의 경우에는 음절수 고정으로 부르는 노래보다는 읊거나 보는 시문학으로의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문학사적 특징 외에 1940년대 다섯 시인이 보여준 한시 국역은 일제 탄압이 더 강해진 때에 시인으로서의 고민과 저항을 보여준 현상으로서의 의미도 함께 가지고 있다. This study is on the Korean language translation of traditional hansi in the 1940s by Kim Eok, Yang Ju-dong, Lee Byung-gi, Park Jong-wha, Jeong Tae-jin. There were more than 1000 Korean translated poetry of hansi in 8 anthologies. The specific aspects are as follows. First, More poets than other times have translated more poetry, especially as a book of anthology. They translated 1078 poetry in ≪Chinese Famous Poetry Anthology≫ 1·2, ≪Grass of Same Heart≫, ≪Flowers≫, ≪A Gem that Emits Light at Night≫, ≪Golden Grass≫, ≪Plantain Lily≫, ≪Beautiful Land≫. Second, they translated Korean traditional hansi and female hansi more than Chinese hansi and male hansi. Most Korean female hansi are quatrain and Joseon dynasty"s. The contents are on yearning of lovers, hometown, country, so the theme can be sympathized to the general receivers of that times. Third, they translated into several stanza and longer than original poetry to express poets" feelings. Lee Byung-gi and Park Jong-wha did not show special rhythm, but Yang Ju-dong showed 2 feet of metre, Kim Eok 7.5 syllables and 3 feet and 4 feet of metre, Jeong Tae-jin 4 feet of metre. Kim Eok and Jeong Tae-jin translated into Sijo, especially Kim Eok exactly matched the syllables of 3.4.3.4/ 3.4.3.4/ 3.5.4.3 of Sijo. And they translated the title and words into Korean spoken language as like exclamation and dialogue.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y translated hansi to be Korean modern poetry to be general people in 1940s can be understand and read in Korean not to preserve original traditional hansi. It is continued in 1940s that the efforts to make hansi into songs until in 1930s. But the case of Kim Eok is the limit of translated poetry of hansi in the point of formal fixation.

      • KCI등재

        박인로의 시조와 한시 비교 연구

        정소연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This study is on the correlation of Park Inro’s hansi and sijo,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genres in Joseon dynasty. These two genres are contrasting, namely, hansi is written and high class literature and sijo is song as a spoken literature. And the language of them are different,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Chinese character is the high language of high class as a written language. On the other hand, Korean is a everyday language as a oral language. Though Korean character was made in 15th century, but did not a role as a written language to the high class. So, this study is based in the diglossia in the viewpoint of social linguistics. In Joseon dynasty, there had been several poets who create both hansi and sijo, Park Inro is one of them, and occupy intersection of the early and latter of the Joseon dynasty. Until now, Park Inro’s hansi not only has not been detailedly studied, but also the correlation of his hansi and sijo. The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In the comparison of subjects, the writer and poetic speaker are almost a unit in hansi, but different in sijo. Because hansi is a private genre to writer, so writer speaks to himself through the voice of poetic self. On the other hand, sijo is enjoyed in the elegant society with other people or passage of instruction for other people, so the poetic speaker of sijo puts on a mask for the suitable role. In the comparison of style, it appears orality in the Park Inro’s hansi, namely repetition of rhyming words or dialogic style, etc. Though sijo was mainly a song and Korean was oral language at the time of Park Inro, we can find literacy, namely titles like hansi and Chinese word order’s sentences, in the sijo. This is an example of 17th century diglossic literature. Through the case of Park Inro, we can know the sign of hansi’s change on 18th century, and the one side of the process how the song sijo gain the character of written literature. 본고는 조선시대에 한문과 국어의 두 언어매체를 사용하여 한시와 시조를 모두 지은 박인로를 통해 17세기 양층언어문학의 한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한 작가의 개별적 특성에서 더 나아가 전후 시가사적 전개를 고려해 두 갈래의 상관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탐색하는 관점에서 논의를 전개하였다. 2장에서는 제재를 기반으로 시적 화자와 실제 작가의 관계를 통해 박인로의 시조와 절구의 거리가 좁혀진 것을 보았다. 3장에서는 시조의 표제 방식 및 한문 문장식 표현 등을 통해 기록문학으로서의 시 지향성을 보았다. 4장에서는 절구의 동일 글자의 반복 및 대화체, 허사의 빈번한 사용 등을 통해 근체한시에 노래의 자유로움과 구술성이 접목된 현상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창성이 강한 시조가 근대 이후 읽는 시조가 되기까지 어떻게 기록문학으로의 시적 특성을 획득해가는지 17세기의 한 단면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18세기 한시의 민요 취향 등의 구술적 접목 현상의 전조적 모습이 어떠한지 해명하는데 중요한 사례가 된다. 조선시대에 한문과 한시가 기록매체이자 고급 시문학인 반면에 국어와 시조가 일상 구어이자 노래로 가창되는 양층적 관계가 근대 이후 한시가 문학사의 저변으로 내려가고 국문이 기록매체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어떻게 시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는지의 긴 과정의 한 단면으로서 17세기 나타난 현상으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박인로의 시조와 한시 비교 연구

        정소연 ( So Yeon Chung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This study is on the correlation of Park Inro`s hansi and sijo,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genres in Joseon dynasty. These two genres are contrasting, namely, hansi is written and high class literature and sijo is song as a spoken literature. And the language of them are different,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Chinese character is the high language of high class as a written language. On the other hand, Korean is a everyday language as a oral language. Though Korean character was made in 15th century, but did not a role as a written language to the high class. So, this study is based in the diglossia in the viewpoint of social linguistics. In Joseon dynasty, there had been several poets who create both hansi and sijo, Park Inro is one of them, and occupy intersection of the early and latter of the Joseon dynasty. Until now, Park Inro`s hansi not only has not been detailedly studied, but also the correlation of his hansi and sijo. The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In the comparison of subjects, the writer and poetic speaker are almost a unit in hansi, but different in sijo. Because hansi is a private genre to writer, so writer speaks to himself through the voice of poetic self. On the other hand, sijo is enjoyed in the elegant society with other people or passage of instruction for other people, so the poetic speaker of sijo puts on a mask for the suitable role. In the comparison of style, it appears orality in the Park Inro`s hansi, namely repetition of rhyming words or dialogic style, etc. Though sijo was mainly a song and Korean was oral language at the time of Park Inro, we can find literacy, namely titles like hansi and Chinese word order`s sentences, in the sijo. This is an example of 17th century diglossic literature. Through the case of Park Inro, we can know the sign of hansi`s change on 18th century, and the one side of the process how the song sijo gain the character of written literature.

      • KCI등재

        한시사(漢詩史) 서술의 제문제

        안대회 ( Ahn Dae-hoe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4

        이 논문은 한국 한시사를 새롭게 쓰려고 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검토하였다. 먼저 그 동안 출간된 한문학사와 한시사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한시사를 새롭게 써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에 따라 요구되는 조건을 제시하여 한시사 전개의 큰 구도를 세워 서술하는 의의를 중점적으로 논하였다. 이때 한시사를 쇠퇴의 과정으로 본 시각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조선후기의 비중을 높여 서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시대의 시대정신과 조류를 포착할 것과 한시사를 보는 문학사가의 독자적 史觀이 중요함을 주문하였다. 구체적으로 요구한 사항에는 斷代史 저술이 필요함과 대가를 중심으로 서술하는 한계를 극복하여 논의 대상을 다양한 작가군으로 확장하는 것, 단조로운 작가론의 지양, 다양한 문학 현상을 부각시킴으로써 역사적 맥락을 잡아내는 것이 있다. 자료를 편집하는 기왕의 전통적 방식에서 벗어나 21세기 독자가 기대하는 다양한 각도의 한시사를 지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s to consider when attempting to write, from a fresh perspective, the history of hansi, or Korean poet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t analyses existing publications on the subject, including the history of hanmunhak, or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and argues that the history of hansi must be rewritten from a fresh perspective. In suggesting the conditions for fulfilling the requirements of a new writing, it concentrates its discussion on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big picture”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hansi. In doing so the paper criticizes those works that treat th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a declining history hansi and suggests that more weight be given to the poetry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 paper also calls for future works that capture the zeitgeist and the dominant currents of various historical periods in narrating the history of hansi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aving an independent view of history by literary historians who write the history of hansi. In terms of the content of the writing, the paper calls for more historical accounts by period; works that go beyond dealing only with great poets and expanding the scope of the discussion to include a variety of writer groups; and works that go beyond simply discussing poets and their works but highlighting various aspects of literary development and thereby providing a historical context. It argues for works of hansi history that break out of the traditional practice of simply editing existing sources and for works that broaden the scope of historical writings on hansi that are in step with the expectations of the 21st-century readership.

      • KCI등재

        한용운의 시조, 한시, 자유시의 상관관계 연구

        정소연(Chung, So-Yeon) 한국시조학회 2018 시조학논총 Vol.48 No.-

        본고는 한용운(1879-1944)의 한시, 시조, 자유시를 대상으로 한 작가에게 각각 다른 시가 갈래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그 상관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19세기까지의 한시와 시조의 상관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20세기의 한 사례로서 한용운에게 있어서 한시와 국문시가는 어떤 기능과 위상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20세기 초 다른 시인들이 한시는 짓지 않고 전통 한시를 국역한데 비해 한용운은 한시와 시조라는 전통 시가와 당대 근대 자유시를 모두 직접 지었다는 점에서 20세기 초 한시, 시조, 자유시의 위상을 볼 수 있는 좋은 사례이다. Ⅱ장에서는 시적 화자와 실제 시인의 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한시와 시조에서는 실제 작가가 처한 상황이 거의 그대로 등장하고 지명, 교유 인물등이 나타나 화자와 실제 시인의 거리가 가까운 반면에, 자유시에서는 남성승려 시인인 것과 무관하게 님을 기다리는 여성 화자를 내세우고 있고, 그 ‘님’은 정체가 명확하지 않고 누구나가 될 수 있어서 누구나 겪는 보편적 상황인 이별에 대하여 수용자가 자신을 대입할 수 있는 보편성이 더 커진 것을 볼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시어와 문체, 시의 구조를 갈래별로 비교해보았다. 한시는 이전시대와 마찬가지로 자기 고백적인 문체가 많고, 시조는 외형적으로는 대화체를 취하고 있어도 남을 가르치려는 교훈적 태도를 취하거나 화자 자신에게 말하는 경우가 많다. 또 시조에서 종장 종결어미가 생략되거나 문장의 호흡이 길고(2구~6구가 1문장인 경우), 6구 형식으로 6행 배열을 하되, 2구+4구나 1구+3구+2구 등의 다양한 내적 구조로 화자 주도적이고 화자 중심적인 화법을 보인다. 반면 자유시에서는 청자의 존재를 확실히 보여주고 청자를 높이는 경어체와 일상 구어와 방언의 사용으로 친근감을 더하고, 호격, 의문형 등으로 청자를 적극 끌어들이며 1구=1문장으로 차근차근 청자와의 소통성을 높이는 수용자 지향적 화법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한용운에게 ‘한시와 시조’는 자기 고백적인 시로서 개인성과 특수성의 시라면, ‘자유시’는 독자를 위한 시로서 집단성과 보편성의 시라는 대비적 특성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한용운이 가진 당시 시단의 영향력을 고려할 때에 한용운만의 특성이라 하기는 어렵다. 조선시대에 상하남녀의 많은 사람들이 함께 노래로 향유한 시조가 맡았던 기능과 특성이 20세기 초에는 자유시로 옮겨진 것을 볼 수 있다. 고급화된 기록문학으로서의 시를 지향하면서도 더 많은 수용자를 포용하는 것이 21세기 이 시대의 시가 나아갈 방향임을 한용운을 통해 배울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Han Yong-woon"s hansi, sijo and modern poetry about what the role of each genre is. As a case of the 20th centur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hansi and sijo until the 20th century, I examined the function and status of each genre in Han Yong-woon. In the early 20th century, other poets did not make hansi but instead made translated poetry into Korean of hansi. In contrast, Han Yong-woon created hansi and sijo, and modern poetry. It is a good example to research the 20th century"s situation. In chapter Ⅱ,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etic speaker and actual poet. In hansi and sijo, the actual situation of the writer appears almost as it i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etic speaker and the actual poet is close shown by real poet"s friendship people"s and place"s names. On the other hand, the modern poetry has a female speaker who waits for parting lover, regardless of the real male monk poet"s situation, and the lover could be anyone. We can see that modern poetry allows the reader(receiver) to substitute himself or herself for the situation of parting. In chapter Ⅲ, I compared the language, style, and structure of 3 genres" poetry. As in the traditional era, there are many self-confessing stylistic features in hansi. Even though sijo outwardly takes a dialogic style, often instructive attitude to teach others (receivers) or speaks to the speaker himself. In addition, closing end in the last line is omitted or the breathing of the sentence is long (from 2 lines to 6 lines are 1 sentence). 6 verses are arranged in 6 lines, the internal structure are various from 2 lines + 4 lines or 1 line + 3 lines + 2 lines, etc. On the other hand, in modern poetry, it clearly shows the existence of the listener, adds familiarity through the use of honorable style, the daily spoken language and the tongue. And by using vocative case and questioning sentence. it shows audience-oriented narration.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hansi and sijo are poet"s self-confessed poetry, which has personality and peculiarity and modern poetry is poetry for reader, which has collectivity and universality. It is hard to say that these are Han Yong-woon"s own characteristics when considering his influence at that time. In the traditional era, more and more people in the upper and lower genders enjoyed sijo singing together, and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ijo moved to the modern poetry in the early 20th century. We can learn from Han Yong-woon that taking the universality of oral literature that embraces more receivers while aiming for poetry as a high-quality literature is the direction of poetry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이황의 한시를 통한 대인적 가치 교육 연구

        정소연(Chung, SoYeon),김세희(Kim, Se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이 대인적(對人的) 가치보다는 물질적 측면의 대물적(對物的)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기는 상황에서 대인 관계에서 추구하는 가치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시를 통해 이를 내면화하고 체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 이다. 이를 위해 이황이 300명이 넘는 문인과 가족들과 교유하며 남긴 한시를 대상으로 스승, 동료, 제자, 가족에게 쓴 한시를 대인 관계에 따라 분류 후, 대상과의 관계에서 드러난 가치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대인적 관계에서 요구되는 가치들을 어떻게 습득하고 경험할 수 있을지에 대해 ‘다양한 인간관계 및정서의 경험’과 ‘한시를 통한 대인적 가치의 습득 및 내면화’의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조선시대 도학자의 시를 도학만이 아닌 상위의 ‘가치’ 개념으로 접근할 뿐만 아니라 그간 이황 한시에 대한 수신(修身)적 가치에만 주목한 연구사에 대인(對人)적 가치를 주목해 다양한 한시를 살펴보고, 문학교육에서의 한시 교육의 나아갈 새로운 방향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개인보다는 타인과의 소통과 관계의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는 동기가 되는 동시에, 국어교육에서의 한시 활용 방안 모색에도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is for growing generatio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by hansi education. Hansi had been a kind of communication media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Especially, Lee Hwang is a familiar poet to modern learner because of<12 sijoes of Dosan> and a great educator. There has been much researches about his hansi and sijo, but few about his interpersonal hansi or its educating application. So, this article categorized his interpersonal hansi into 3 groups, between teacher & disciples, friends or seniors & juniors, families. Through these texts, we could find the several interpersonal values, which are respect, reverence in group 1, empahty, friendship, yearning, agony expression, consideration, consolation, in group 2, encourage learning and farming, family affection in group 3. Therefore hansi education is useful to improve interpersonal value and gives opportunities to explain several relational emotions. And this article is meaningful to study deeply Lee Hwang’s social intercourse hans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