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普賢十願歌〉의 漢譯양상 연구

        정소연(Chung So-yeon) 한국어문학회 2010 語文學 Vol.0 No.108

        This article is the full-scale work which study 〈The Buddhist Saint’s Ten Wishes〉’ translation into Chinese poetry. I studied in the two sides, structure of contents and form. In chapter 2, I found the circulation structure in the part of contents’ structure. Namely, the structure of the first half which is from the 1st work to 5th work is [Buddhist → myself(poetic speaker) → me&others]. And the structure of second half is same with it of the first half. In chapter 3, I examined the basic structure of Korean songs(Hyang-Ga) and Chinese poetry. Korean songs have 5 lines and Chinese poetry 8 lines. So, I compared the translation appearances according to one lines in chapter 4. As a result, there were 3 kinds of translation principles, which are creation&addition, materialization and deletion. In chapter 5, I examined the translation aspects according to larger unit, more than two lines and found that Korean songs were translated into [4lines+2lines+2lines] or [2lines+4lines+2line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two structure. In conclusion, I studied the whole structure of a three stage structure in Korean songs and a four stage structure in Chinese poetry. The whole structure in sequence of 11 works has antithesis, so the structure of antithesis in the one work agrees with that of whole 11 work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find the translation condition of Hyang-Ga(Korean songs) which is the sequence works into Chinese poetry in the history of diglossia in Korea.

      • KCI등재

        황윤석의 <목주잡가>에 나타난 시(詩) 지향성의 시조사적 조명 - 18세기 시조의 시(詩) 지향성 발견을 중심으로 -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4 고전문학과 교육 Vol.28 No.-

        본고는 황윤석(1729-1791)의 시조 <木州雜歌二十八首>를 대상으로 18세기 시조가 시조사적으로 가지는 변화적 특징에 포착해 황윤석의 시조가 가지는 18세기적, 나아가 시가사적(詩歌史的) 전개를 해명하는 데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창작 상황면에서, 3장에서는 구성면에서, 4장에서는 내용면에서 접근해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창작 상황에 있어서 지방 은거나 유배기에 주로 지어진 시조 작시 경향과 달리 황윤석은 자기 생애의 가장 높은 관직 시절에 현감으로서의 책임감을 다짐하는 시조를 짓는 변화를 보인다. 둘째, 세계관을 직접 표출하는 통로로서 시조를 지으면서 구성면에 있어서는 ‘木州雜歌二十八首’로 묶어둔 일련의 작품의 연작적 유기성이 약하다. 셋째, 내용면에 있어서 자연을 다루지 않고 사람을 주요 제재로 삼아 다루었다. 특히 임금에 대한 왕(王), 군(君)의 직접적 표현과 화자 자신의 신(臣)이라는 단어 사용, 작가의 가족과 친지 관계의 구체적인 정보와 사실의 표현 등 작가와 화자가 거의 일치되고 생활밀착적인 생활시로서의 현상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한시의 특징, 더 구체적으로는 읽는 시의 특징이기도 한데, 당시의 시(詩)란 한시였던 양층언어작가에게 시조가 시로서의 위상을 성취해가는 과정으로서 시조가 더 이상 고급문학이 아닌 노래가 아니라 읽는 시(詩)로서의 지향을 보이는 갈래로 인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목주잡가>는 18세기 사대부 시조의 변모를 통해 근대로 가는 길목의 시가사적 전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18th century poetic historical significance through Hwang Yunseok’s sijo < Mok-Ju-Jab-Ga(木州雜歌) >. First, Hwang Yunseok created this works when he is the best political position in his life, though other sijo writers had created when they are in local province or in exile. Second, the sequence structure of < Mok-Ju-Jab-Ga(木州雜歌) > is not organically, it is a kind of deviation from other historical sijo’s creative custom. And it is also a new trend to express directly writer’s view of the world by sijo. Third, the content of < Mok-Ju-Jab-Ga(木州雜歌) > did not deal with nature and dealt with human. In particular, Hwang Yunseok directly expressed the king and writer’s real family concretely. From this expression of specific information and the fact of writer, we can know that the distance of writer and poetic speaker is very close and this is almost similar like hansi. Namely, Hwang Yunseok, as a diglossic poet, sought a poetry directivity. So, by Hwang YunSeok, we can find the process from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to Modern Korean poetry in the period of Modern transitional 18<sup>th</sup> century.

      • KCI등재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난 사회 문화적 화용 표현 양상 연구

        정소연(Chung, SoYeon),권순희(Kwon, Soo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본고는 문화적 화용 표현 교육 및 문화 인식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글쓰기를 대상으로 문화 인식과 언어 표현 간의 관련성을 탐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문화와 언어 간의 상관관계와 관련 예들을 고찰하고, 문화 인식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글쓰기 과정을 개관하였다. Ⅳ장 에서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 60여 명의 글에 나타난 특성을 문화 경험, 문화 인식, 언어 인식, 언어 학습으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그 하위의 모문화 기반의 친숙지 위주의 표현, 문화의 차이에 따른 발상의 차이, 가치관의 차이가 글에 나타난 경우, 다문화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표현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언어 표현의 문법적 오류 등의 6가지 현상에 대하여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본고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실제 경험에 나타난 언어활동에 기반해 문화 인식의 상관성을 추출함으로써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글쓰기 지도 시 문화 인식 능력 신장을 위한 고려 요소들이 무엇인지 밝히고, 그 교육 방향은 단순한 언어 지식이 아니라 문화 인식을 고려한 실천적 지식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awareness and linguistic expression by studying the writing of learner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motivated by a critical observation that proposes the need for pragmatic expressions of culture and cultural awareness training. To achieve this, Chapter II investigat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interrel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provides some related examples of these links, and explores teaching-learning models for cultural awareness education. Chapter III provides an overview of the writing proc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hapter IV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results, and clas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about 60 multicultural backgrounds students’ text as cultural experiences, cultural awareness, linguistic awareness, and linguistic learning. In addition, the following phenomena are examined as specific examples: (1) expressions of familiar knowledge based on the mother-culture; (2) different ways of thinking aris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3) different worldviews expressed in writing; (4) revealing or hiding of the multicultural identity; (5) circumstances in which this identity is not revealed; and (6) grammatical errors in linguistic expres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has identified a correlation between cultural awareness and linguistic activities based on analysis of the actual experiences of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Further, this study has shed light on considerations for improving cultural awareness when teaching learn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and has demonstrated that this educational direction is geared not only toward linguistic knowledge, but also toward practical education with consideration for cultural awareness.

      • KCI등재

        박인로의 시조와 한시 비교 연구

        정소연 ( So Yeon Chung )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This study is on the correlation of Park Inro`s hansi and sijo, which are the representative genres in Joseon dynasty. These two genres are contrasting, namely, hansi is written and high class literature and sijo is song as a spoken literature. And the language of them are different,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Chinese character is the high language of high class as a written language. On the other hand, Korean is a everyday language as a oral language. Though Korean character was made in 15th century, but did not a role as a written language to the high class. So, this study is based in the diglossia in the viewpoint of social linguistics. In Joseon dynasty, there had been several poets who create both hansi and sijo, Park Inro is one of them, and occupy intersection of the early and latter of the Joseon dynasty. Until now, Park Inro`s hansi not only has not been detailedly studied, but also the correlation of his hansi and sijo. The result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In the comparison of subjects, the writer and poetic speaker are almost a unit in hansi, but different in sijo. Because hansi is a private genre to writer, so writer speaks to himself through the voice of poetic self. On the other hand, sijo is enjoyed in the elegant society with other people or passage of instruction for other people, so the poetic speaker of sijo puts on a mask for the suitable role. In the comparison of style, it appears orality in the Park Inro`s hansi, namely repetition of rhyming words or dialogic style, etc. Though sijo was mainly a song and Korean was oral language at the time of Park Inro, we can find literacy, namely titles like hansi and Chinese word order`s sentences, in the sijo. This is an example of 17th century diglossic literature. Through the case of Park Inro, we can know the sign of hansi`s change on 18th century, and the one side of the process how the song sijo gain the character of written literature.

      • KCI등재

        기획 논문 : 서사 향유 현상으로서의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의 문학사적 의미

        정소연 ( So Yeon Ch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6 No.-

        본고는 서사를 즐기는 새로운 한 방식으로서 온라인게임에 주목하고, 이를 문학적 현상으로 보고 고전소설과의 비교를 통해 그 문학사적 의미를 탐색한것이다. 2장에서는 문학사의 전개에 있어서 새로운 갈래의 생성을 둘러싼 향유층과 매체의 변화 중심으로 개관하면서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이 어떤 문학사적 위치에 있는지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향유층과 매체 변화, 새로운 갈래의 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논란 등을 중심으로 고전소설과 온라인게임의 문학사적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문학사의 담당층이 소수의 상층남성에서 상하남녀, 나아가 디지털매체의 서사를 통해 상하남녀노소가 모두 문학사의 주체로 등장하는 과정에 주목하였다. 4장에서는 지금의 서사의 한 향유방식으로서의 온라인게임은 문학사에 새로운 주체로서 청소년의 등장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문학사의식에 기반한 문학사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literary history by means focusing on online games as a new way to enjoy the narrative and Korean classical novels by comparing and reporting it as a literary phenomenon. Chapter 2 looked at changes in enjoying people(readers) and media surrounding the creation of new genres in the development of the literature examined whether the classical novel and online games on any literary historical location. Chapter 3 enjoying people(readers) and media change, focusing on such a controversial procedure that appears on the emergence of new genres looked at the literature history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the classical novel and online games specifically. And I looked at the appearance of enjoying people(readers) of literary history, especially from a small number of upper male gender to high and low class, men and women, age and youth people were appeared as the subject of attention in the course of literary history. Chapter 4 was a enjoyment way of narrative as an online game now means the emergence of youth as a new subject in the literary history, so highlighted that literary history education must be made based on literature consciousness.

      • KCI등재

        충동성이 데이트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 관계안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소연 ( So Youn Chung ),김동현 ( Donghyun Kim ),곽대경 ( Daegyung Kwack ) 대한범죄학회 2021 한국범죄학 Vol.15 No.3

        최근 언론보도를 통해 데이트폭력의 심각성이 인지되고 있는 가운데, 데이트폭력 예방 대책이 절실히 요구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반사회적 행위에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충동성을 예측변인으로 설정하였고, 긍정적인 영향인 연인과의 관계안정성의 조절변수를 충동성과 데이트폭력 관계에 투입하여 데이트폭력 가해 경향이 감소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Riggs와 O’Leary (1989)의 배경-상황 모델에 근거하여 배경적 요인으로 충동성을, 상황적 요인에 관계안정성을 설정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총 3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에는 총 2,000명의 교제 경험이 있는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충동성은 데이트폭력 가해의 유형인 신체적·정서적·성적 데이트폭력과 행동통제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나타났으며, 관계안정성은 모든 데이트폭력 가해 유형에 부(-)적 영향이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충동성과 모든 데이트 폭력 가해 유형에서 관계안정성은 부(-)적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3가지의 연구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데이트폭력 예방과 개입 방안을 제언 하고자 한다. Recently, as many incidents regarding dating violence have been reported through the press, Korean society has recognized the seriousness about this issue. Therefore, the effective prevention and interventions to dating violence are now needed. Thus, this study has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impulsivity, which is a strong predictive factor on anti-social behaviour such as violence, and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 physical, emotional, sexual dating violences and behavioral control.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ship safety’ in the relation between impulsivity and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has been examined for contributing to prevention of dating violence. Based on Riggs and O’Leary’s(1989) Background-Situational Model that impulsivity is considered as a background factor, while relationship safety is included in one of situational factors, the three hypotheses have been formulated. A total of 2,000 male adults have been analyz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ship safety has been test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impulsivit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types of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whereas relationship safety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m. Lastly, the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ship safet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 between impulsivity and perpetration of dating viol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s in regard to dating violence.

      • KCI등재

        한시 화답문화의 국어교육적 가능성 탐구

        정소연(Chung, So-ye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5 No.-

        본고는 한문교과에서의 한시교육이 아니라 국어교과에서 한시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탐구이다. 한시를 짓거나 읽을 기회가 거의 없는 현대사회에서 한시 해독이나 한시 쓰기 활동을 하는 것은 국어과 교육에서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고전시가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 하는 한시의 국어교육적 적용을 위해서는 작품 텍스트를 단편적으로 접근하는 시각이 아니라 한시 갈래 전체의 특성을 문화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한시 갈래가 가지는 두드러진 문화적 특징 중의 하나는 한시를 지어서 상대방에게 주거나, 받은 이가 다시 시를 지어주는 화답문화이다. 화답시(和答詩)를 짓되 상대방의 운자를 따라 짓는 차운시(次韻詩)나, 하나의 작품을 함께 창작하기도 하는 연구(聯句) 등의 방식은 의사소통행위로서 언어 내외적인 의사소통기능을 가진다. 그러므로 자구 해독이나 압운, 용사, 평측 등의 작품 분석에만 치중하면 한시 교육의 가능성이 좁아지지만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한시 화답문화에 주목하게 되면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나아가 국어교육의 길이 열린다. 구체적 방법과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적 측면에서는 학습자가 화답의 과정이 되는 작품들을 엮어서 배움으로써 소통의 과정을 알고, 화답시를 지을 대상 작품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청자로서의 태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시를 분석 대상으로서의 물성(物性)보다는 발화자와의 대화인 인간성(人間性)으로 대할 수 있다. 화답시의 대상 작품을 선정하는 순간에는 위로와 치유를 체험하고 시인과의 소통을 경험하여 지식으로서의 한시가 아닌 소통의 주체에 주목하는 소통과정과 소통행위로서의 한시로 인식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생산적 측면에서는 한시에 한글 자유시로의 화답시 짓기, 한시에 행수를 고정한 한글시로의 화답시 짓기, 한시에 화답한 다른 학습자들의 시에 화답시 짓기 등을 통해 소통의 과정을 알고 효과적인 소통의 전략을 배우며 자신이 처한 관계적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한시가 삶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효용적 가치를 가진 존재로 인식하며 학습자간의 소통의 기회를 마련하고 상호 이해와 유대감, 공동체성을 함양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possibility of Korean education on Han-si, Korean classical poetry. For that, I access Han-si as a culture, not just text itself. So I pay attention to responding culture of Han-si as a communicative act, and approach in the viewpoint of communication theory. We can see the communicative features from responding poetry, bouts-rimes, co-creation. These creation cultures of Han-si are communicative acts which have sender and addressee, message, channel and feedback, etc. In the middle ages, creation of works in Korea, also in East Asia had been a communication act forming a bond of friendship and sociability. Today, it is meaningful as creative convention for the growth of communicative ability, community spirit and upright character in Korean education, for the expansion of literary culture in literary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it is in need of "communicative" creation than creating action itself to increase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나타난 고전시가 수용 방식과 현대적 의의

        정소연 ( So Yeon Chung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2 국어교육 Vol.0 No.138

        I studied reception and creation attitude of Il-yeon for Korean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Sam-guk-yu-sa( 三國遺事)≫. It is stereotyped in three ways - descriptive attitude, analytical attitude and creative attitude. And I discussed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it and educational effect. We looked the knowledge, experience, performance and attitude were well fulfilled in this book. The meanings of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we studied how the ancients receive classical songs and poetry. We could find ancient people had active interest in classical songs and poetry and the story surrounding them, attitude which takes advantage of context-related knowledge, Second, we could find the implications and wisdom for teaching classical poetry and songs in the classic documentary, ≪Sam-guk-yu-sa ( 三國遺事)≫. It shows that classic documentary could be repository of wisdom to find ways of classical education as well as educational contents. Third, we could find that the aim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were implicated in the classic documentary of the classical period, and seek educational measure of ``Critical Reception and Creative Production of Literature`` at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1.

      • KCI등재

        1930년대 정인보, 김소월의 전통 한시 국역(國譯) 연구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4

        본고는 20세기 초에 하나의 문학사적 현상으로 나타난 시인들의 외국시 번역, 그 중에서도 전통 한시의 국역(國譯)에 주목하고, 1930년대 한시를 국역한 시인들 중에 정인보와 김소월을 중심으로 그 양상과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정인보가 국역한 한시는 3수에 불과하지만, 고가(古歌) 및 여성 화자 위주의 한시를 행 구분 및 4음보 위주의 국역을 통해 문학담당층이 확대되는 새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면서도 전통 국어시가의 율격을 지속하고자 한다고 보았다. 전통 시대의 중심 갈래인 한시를 20세기에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국역(國譯)하되 국어시가사의 전통적 율격을 계승할 뿐만 아니라, 원시에 없던 일상 구어를 추가함으로써 한`시`의 국역이 오히려 구술성을 획득하는 시가(詩歌)적 지향을 보였다고 하겠다. 김소월은 1930년대에 10수의 한시를 국역하였는데, 모두 중국 당시(唐詩)로서 이별 노래가 압도적으로 많다. 일본이 동아시아 문명권의 주변부인 시대의 시이자 우리의 문화적 자부심을 고취할 수 있는 시대의 시를 국역함으로써 당시 우리 민족 모두의 정서를 대변하고 공감할 수 있는 시를 대상으로 삼았다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국역시는 거의 2음보격으로, 한 행이 7음절이거나, 띄어쓰기가 없이 7언절구처럼 보이는 국역시까지 있어서 시각적으로는 시(詩)로서의 정형성을, 낭독으로는 가(歌)로서의 율격을 동시에 추구하는 시가적(詩歌的) 지향을 보여주었다. 또한 원시를 읽은 독자의 반응을 표현한 수용자 중심의 국역을 보여준 점도 주목된다. 본 논의를 통해 정인보와 김소월은 전통시대 시(詩)의 중심이었던 중국 한시를 우리 `국어` `시가(詩歌)`의 전통적 율격으로 바꾸고, 새로운 시대의 문학 주체의 확장과 공감 가능한 보편적 내용으로 국역하여 20세기 한국 현대시를 모색하는 또 하나의 방안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같은 시대 한시를 국역한 세 시인 중 한 사람인 김억의 경우를 함께 살피지 못해 차후 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language translation of traditional hansi in the 1930s, especially poets Jeong, In-bo and Kim, Sowoel. In the 20th century, Many poets had translated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hansi into Korean language. In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it started Korean language as a national public language. At that time, not only hansi but also several languages` poetry had translated into Korean. First, Jeong In-bo translated 3 Chinese ancient songs which contents are about women into Korean poetry with 4 metre each lines. It means that hansi is past representative poetry genre of male poet, but he translated into women centric Korean poetry and songs because in 20th century the subject of literature enlarges into women. Besides 4 metre rhythm is traditional rhythm of Korean poetry andd songs as like Sijo and Gasa genres. So he inherited tradition in 20<sup>th</sup> century for the search Korean new modern poetry. Second, Kim So-woel translated Chinese tradition Hansi, especially Dang dynasty`s poetry of not only famous male poets like Wang Wei, but also unknown poets and female poet, etc. Poet Kim translated into Korean poetry with 2 metre each line, sometimes 7 syllables each line without word spacing like quatrain Chinese hansi genre. It means he aimed for not only songs as a spoken literature like orality and universality but also poetry visually as a written literature. It shows that they thought Korean modern verse literature should be songs as well as poetry. And it shows continuity of literary history that hansi continues in the modern poetry, though the language is Korean.

      • KCI등재

        1930년대 김억의 한시 국역 양상과 의미

        정소연 ( Chung So-yeon ) 한국시가학회 2018 韓國 詩歌硏究 Vol.44 No.-

        본고는 김억의 1930년대 한시 國譯(국역) 양상을 잘 보여주는 역시집 ≪忘憂草≫를 살펴보고, 동시대 다른 시인들의 한시 국역과 비교한 연구이다. 김억은 20세기에 한시를 국역한 대표적인 시인이다. 800여 수에 이르는 가장 많은 한시를 국역하였고, 한국 한시를 가장 먼저, 가장 많이 국역하였으며 한시 역시집도 가장 먼저 출간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망우초≫의 구성을 보면, 중국 한시 87수, 한국 한시 61수, 실명씨 18수를 포함하여 총 166수의 한시의 국역시가 실려 있다. 原詩(원시)의 시대는 중국 한시는 唐詩(당시)가 압도적으로 많고, 한국 한시는 대부분 조선시대의 것이다. 갈래는 절구가 대부분이고, 작가는 남성과 여성, 사대부와 중인, 기녀와 노비 등 상하남녀가 골고루 있다. 중국이 종주국이었고, 남성 중심의 고급문학이었던 한시를 20세기에는 모든 사람들의 한국시로서 수용하고자 하였다. 둘째, 원시의 내용은 이별, 사별, 탄로(歎老), 그리움 등의 정서가 주를 이루어 1930년대의 서정시적 지향을 한시 국역을 통해서도 이루고자 하였다. 국역 방식은 원시의 제목을 대부분 그대로 가져왔고, 절구를 대부분 4행으로 국역하였으며, 율격은 7.5조의 3음보를 지향하였고, 압운을 우리말의 각운으로 바꾸었다. 전통시대에 ‘시(詩)’문학인 한시를 국역시에서는 우리말노래가 가진 구술성이 드러나게 국역함으로써 한시의 국문시가화를 꾀하고, 1930년대 현대시의 한 자리에 전통시대의 한시와 국문시가가 모두 국역시를 통해 지속되게 하였다. 셋째, 1910~30년대 다른 시인들의 국역과 비교할 때에 중국 당시(唐詩)를 위주로 하여 우리말노래의 특성을 지향했다는 점은 비슷하다. 그러나 상하남녀의 한국 한시를 처음으로 상당수 국역하였고, 3음보의 율격적 지향을 보였다는 점에서는 다르다. 이런 점에서 오랜 한시사의 전통을 수용하고 시(詩)나 가(歌), 어느 한 면만이 아니라 시가적 특성을 모두 담아내 한국 현대시사에 동아시아의 한시 전통이 지속되도록 한 대표적 시인이라 할 수 있다. 또 일제의 탄압이 더 강해진 때에 한국 한시의 적극적 국역은 전통으로의 회귀가 아니라 이 시대의 대항적 목소리와 더불어 1930년대 자유시의 서정시 추구 경향이 한시 국역으로도 드러난 것을 잘 보여준다. In this study, I examined a translated poetry Mang-Woo-Cho(忘憂草), which clearly depicts various aspects of the translation of hansi by Kim Eok in 1930s. This study compares Kim Eok with other contemporary poets. Kim was a popular 20th-century poet who translated more than 800 hansi into Korean and published the first translated hansi bo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re are 166 translated hansi in total, including 87 Chinese hansi, 61 Korean hansi, and 18 hansi by the unknown. Chinese hansi involves a lot of Tang poetry, and Korean hansi mostly belongs to th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Most of the hansi are in Chinese quatrain, and the writers are not only male and high class, but also female and low class like Ki-saeng. In the traditional era, China was a main center of hansi, and most of the writers were men. Hansi was a male-oriented high class literature; however, Kim wanted it to be accepted as Korean poetry that could be enjoyed by all in the 20th century. Second, the contents of hansi are mainly emotions such as parting, sorrows of old age and nostalgia. In addition the lyrical poetry of the 1930s is expressed through translated hansi. In most cases the original title was imported, and translated into four lines. Each line 7.5 syllables and 3 feet of meter, and the rhyme of hansi was changed into the rhyme of Korean poetry. Although hansi was comprised written poetry traditionally, Kim's translations were oral songs, similar to Korean traditional poetry and songs. During the 1930s, Kim's contributions accorded an important place for traditional Korean poetry in the modern history of poetry. Third, compared with the works of other poets of the 1910s-1930s, Kim’s works were the same as the Korean translations of Chinese hansi, particularly Tang poetry, and ha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ongs. However, his translations were much better in that they included the Korean hansi of both men and women irrespective of social class and incorporated the unique rhythm of Korean traditional songs In this respect, Kim Eok an be considered a representative poet who accepted the tradition of hansi and embraced all aspects of poetry and songs. Further Kim’s translations of many Korean traditional hansi that date back to the time of severe Japanese oppression express his resistance to Japan, along with the Korean lyrical pursuits of the 193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