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도관찰(指導觀察)을 통해 살펴 본 효과적인 산조가야금 지도 방법 연구

        유선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3 국악교육연구 Vol.7 No.1

        The traditional approach of sanjo gayageum has been orally transmitted. Through this approach and for along time, the performers have reached to improvise with the instrument making their audiences cry and laugh. Also, the musicianship, from the beginning, must be learned from its great masters. These days sanjo gayageum is taught in various institutes by staff notes, not by oral transmission. This approach to sanjo gayageum has resulted in confusion with the real notes of sanjo gayageum, being transmitted with distorted. In order to resolve these contradictions of sanjo gayageum,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three approaches to teaching sanjo gayageum as examined by teaching and through observation. In the first approach, the curriculum of sanjo gayageum has been divided into beginning(focusing in technique), intermediate(playing Korean folk songs), and advanced levels(playing sang). In the intermediate level, Korean folk songs and sanjo were instructed together. This approach has resulted in the surrender of learning gayageum, which has been reduced and has also resulted in confusion of the real notes of sanjo gayageum and of the acquisition of sigimsae. Secondly, the second approach was similar to the first, but the intermediated level, playing sanjo, was instruc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difficulty of sigimsae and according to technique. Also, this approach, using gueum has distinguished the result of performing sanjo gayageum without confusing the name of gayageum from string and real note. The third approach has been instructed according to proper posture and correct technique, and by using gueum and sigimsae for performing sanjo in a one semester course. Through this approach, the basic performance of sanjo was accomplished in one semester. From these approaches, in order to resolve the contradictions of sanjo gayageum,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proper approaches to teaching sanjo gayageum. This curriculum for sanjo gayageum has been divided into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while the beginning level also presented the approaches and contents of teaching divided into1,2,3steps. Firstly, the first step introduced good posture and the basic technique for using gueum, not notes for performing sanjo gayageum. Secondly, the basic performance of sanjo was mainly applied in the first step, and Korean folk songs were presented as reference music. Thirdly, since the staff notation is normally used in the present time, the second and third step was approached through the score. However, sigimsa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was orally instructed, and the terms representing the correct techniques of sigimsae were presented. Consequentl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disseminate the proper approaches to teaching sanjo gayageum naturally acclimating students to Korean oral transmission. 전통적인 산조가야금 교수법은 구음에 의한 구전심수(口傳心授)로 오랜 기간의 수련 끝에 상황에따라 사람을 울리고 웃기는 성음을 즉흥적으로 만들어 내는 경지에 이른다. 오늘날에는 다양한 교육기관에서 가야금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구음으로 전해지는 구전심수의 교수법이 아니라 오선보 기보음으로 교육되고 있어 가야금 실음과 달라 혼란을 주고, 국악이국악답게 전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산조가야금 기초학습자를 대상으로 3차에 걸쳐 지도 관찰하여 현행 가야금 지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효과적인 지도법을 연구하였다. 제1차 지도관찰에서는 기존의 가야금 학습단계인 ‘초급(주법) → 중급(민요) → 고급(산조)’ 중 중급 과정에서 민요와 산조를 병행 지도한 결과 학습 포기자는 줄었으나, 기보음으로 익힌 가야금 줄이름과 가야금 실음과의 혼란이 나타났고 기보음으로 산조를 지도할 때 시김새가 제대로 학습되지않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제2차 지도관찰의 학습단계는 제1차 학습단계와 같으나 중급 과정의 산조를 시김새나 주법의 난이도에 따라 구분하여 지도하고, 구음으로 학습한 결과 가야금 줄이름과 실음과의 혼란이 없었으며산조 지도 효과도 뛰어났다. 제3차 지도관찰은 현행 학교교육 실정에 따라 한 학기 과정으로 설정하여 구음으로 지도함으로써 바른 자세와 정확한 주법을 익히도록 하였으며, 산조 지도에서는 지속적인 구음창과 시김새 용어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학습효과가 뛰어났으며 또한 한 학기 중에 산조를 초벌 지도 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오랜 기간 교수법을 변화시켜 지도관찰한 결과, 산조가야금 교육과정을 초급․중급․고급으로 나누고 초급단계를 1․2․3단계로 구분하여, 초급 단계에서 효과적인 산조가야금 지도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 첫째, 초급 1단계에서는 악보를 제시하지 않고 구음을 활용하여 바른 연주 자세와 기초연주법을정확히 익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산조 초벌 학습과정을 초급단계에 포함시켜 주요 교육 자료로 삼고 민요는참고곡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초급 2․3단계에서는 오선보가 일반화 되어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악보를 제시하되 시김새를 우리 일상 언어로 지도하도록 시김새 용어를 제시하였고, 주요 선율음을 연주하는 주법의 정확한 지도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산조가야금 기초 교육 과정에서 구음에 의한 구전심수 교수법을 활용하여 국악이 가지고 있는 본질적 요소들이 학습자의 몸에 녹아 배어들도록 하는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가야금을 가야금답게 지도하고 전승할 수 있는 연구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KCI등재후보

        가야금 기초연습 체계와 연습곡 연구

        송혜진 ( Hye Jin Song ) 한국동양예술학회 2011 동양예술 Vol.16 No.-

        본 연구에서는 12현 가야금과 25현 가야금의 기초연습 체계와 연습곡 개발을 위한 방법론 연구이다. 필자는 「가야금 교수이론체계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2002)를 통해 가야금 교수이론에 대한 학술적 논의와 奏法 학습 이전의 통합적인 음악성 향상을 위한 학습 목표의 설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효율적인 연주를 위한 자세와 연주법을 주제로 한 「가야금 초기 연습 방법론 연구(1)-신체 운동 원리와 연주 자세」(2004)를 발표하였고, 가야금 기초연습의 합리적인 체계와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연습곡 개발이 시급하다고 판단하여 관련 교재 연구와 실습을 진행해왔다. 기존의 남북한의 가야금 교본 류 저작물과 피아노, 바이올린, 기타 등의 기악 교재, 일반적인 음악 교수법 등을 참조하여 가야금 기초학습 및 연습곡 체계를 구상하는 한편, 대학원에 ‘가야금교수법’이라는 학과목을 개설하여 실기전공자들과 함께 집중적으로 토론하면서 연구의 기초영역을 넓힌 결과를 종합하여 본 논문을 작성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12현 가야금과 25현 가야금의 기초연습 체계와 연습곡 개발을 위한 논의와 그동안의 실습을 통해 검증과정을 거쳐 ‘기본연습과정’과 ‘응용연습과정’으로 구분하여 4가지의 연습체계로 구성하였다. 일반 기악연습의 예와 남북한의 가야금 교본 류에 적용된 방법론을 살펴본 결과 보다 효율적인 연습을 위해서는 단 권으로 이뤄진 교본보다 연습체계와 연습곡이 각각의 목표에 맞게 설계되고, 지도자가 학습자의 상황에 맞게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연습을 위한 창의적인 다양한 응용연습체계와 이에 맞는 연습곡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본 연구에서는 12현의 응용연습과정에서는 ‘표제적 음형 연습을 위한 연습체계와 연습곡’을, 25현 가야금 응용연습과정에서는 ‘코드 익히기를 중심으로 한 연습체계와 연습곡’을 제시하였다. 연습체계에서는 난이도를 고려한 단계별 학습체계가 효율적임을 검토하였고, 각각 ‘주법익히기를 위한 간단한 악구’, ‘주법연습’, ‘연습곡’, ‘연주곡’의 체계를 수립하여 이에 맞는 곡들을 개발하였다. 간단한 악구와 주법연습은 각 단계의 목표에 맞게 새로 만들었는데 이 과정에서 악보읽기, 부호익히기, 소리내기, 음색익히기, 이전 및 다음 단계와의 연계성, 수법 고치기, 음악표현력 익히기 등을 부수적으로 고려하였다. 연습곡은 기존의 악곡을 활용하여 악보를 가야금에 맞게 정리하거나 부분적으로 편곡하였는데, 악곡의 소재는 기초학습과정임을 고려하여 가야금 음악의 전통음악성 함양에 목표를 두어 주로 민요로 한정하였고, 25현 기초연습과정의 경우 창작국악동요를, 25현 응용연습과정의 경우 외국의 민요와 대중음악 등을 활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연습체계별로 30곡에서 70곡 정도의 연습곡을 마련하고, 실습과정에서는 이 체계와 연습곡이 1) 주법의 종류를 과정별로 달리하여 단계적으로 난이도를 높여 연습할 수있다는 점, 2) 각 주법별로 ①주법 익히기를 위한 악구, ②연습, ③연습곡 ④연주곡으로 구성된 연습체계는 기존에 남한에서 간행된 교본류의 연습체계에 비해 효율적이라는 점, 3) 연습곡과 연주곡을 통해 다양한 악곡의 체험, 장단 익히기, 지역별 민요의 음악성과 특징적인 표현법 익히기, 악상기호에 유의하며 연주하기 등을 익힐 수 있도록 고려한 점, 4) 각 과정이 너무 길지 않아, 다음 단계로 연습을 지속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도록 기획되었음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is on the methodology for developing rational and basic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s for the gayageum, which enables students to comprehensively learn the educational contents essentially required for all beginners in the instrument. In 2002, in another paper entitled, "Basic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oretical system for teaching and learning gayageum," I have already suggested various issues that spring from teaching gayageum, strongly advocating for sequential research on the topic. Ever since, I have continued pursuing this issue with students of gayageum,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focusing on their learning experience, to learn if they need a special course according to individual performance level, and whether developing creative teaching methodology based on step-by-step learning and systematic etudes is necessary for their learning.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suggested learning system and methods for developing etudes for the 12 and 25-stringed gayageum, based on the result of my compiling of basic disciplinary works for the gayageum and its application on the students for 12 weeks. This paper first looks at what is considered important in most textbooks for teaching he piano, violin, and guitar, followed by an intensive analysis of the teaching manuals for gayageum currently used in both North and South Koreas. Then it suggests 4 types of systems as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systematic teaching for the basic disciplinary etudes for the 12 and 25 stringed gayageums respectively. First, the essential constructive elements necessary for basic disciplinary system of gayageum is categorized into basic learning process and its application. Based on the premises that creative and multiple application system and related etudes must be developed, I have suggested, for the 12 stringed gayageum,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s for learning program note forms`` and, for the 25-stringed gayageum,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s for learning to play chords.`` I have decided also that it is more efficient to presuppose different learning levels for teaching gayageum, for each of which various systems for learning are provided with appropriate musical examples accordingly; ``simple melodic forms for learning different techniques,`` ``training your fingers`` ``etudes`` and ``stage pieces.`` In ``Simple melodic forms for learning different techniques, special care is given to learning to read scores and symbols, as well as training to make sound and different tone colors. This is supported with tips for learning lower and higher technical levels, as well as practice methods for correcting your techniques and for learning various musical expressions. Etudes are partial arrangements of established musical pieces to suit gayageum performance. The subjects for the pieces were chosen based in the consideration that this is for basic learning and that it should promote the deepening of musical abilities required for playing traditional pieces. Therefore, the etudes include mostly folk songs, but for the 25 stringed gayageum, I have included newly composed children``s songs for the basic level and folk songs of other culture and popular tunes for the application level. The resulting 30-70 etudes, categorized into different practice levels, were tested through actual application, which yield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t allows a step-by-step learning, by altering the level of etudes according to one``s present abilities. 2) For each technique, four levels of difficulty are provided; ①basic melodic forms ② its application ③ etude ④ musical piece. Such format allows a more efficient learning compared to other currently practiced textbooks. 3) Experiencing and learning various musical pieces and rhythmic forms through etudes and musical pieces, learning musical features of local folk songs and their unique musical expressions, and playing with a special attention to expressive symbols. 4) Each section is not too extensive, designed in order to motivated students to keep going without slackening their energy. I have no doubt that such study as this, of the disciplinary system and etude for the instrument, has already been formulated in the minds of most textbook designers and teachers of gayageum. However, there was no sufficient discussions on what kind of system would be most appropriate, which leads to mere duplication of current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it is required a more logical approach and open discussions on the disciplinary system and methodol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gayageum.

      • KCI등재

        가야금 지도내용의 방향 모색-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중심으로-

        유선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5 국악교육연구 Vol.9 No.2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contents of the gayageum written in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s, for example, the history and kind, the structure and role, the tuning and gueum, the playing position and sigimsae of the instrument. Also, it aimed to explore the better approaches to playing it. Although the approaches to the gayageum have been introduced in the music textbooks of middle schools since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this study could identify that the contents have been insufficient, or had some mistakes. From th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the effective approaches to understanding and playing the gayageum in the textbooks as the followings. Firstly, as the relics of the ancient gayageum had been unearthed in Sinchangdong of Gwangju and Dunsandong of Daejeon, the origin of the gayageum should be rewritten as indigenous Korean instrument made before one century, not the instrument imitated by the jang of the Chinese instrument around 6 century. Also, it would be needed the following research about that the 18 string instrument and 25 string instrument developed in the present could be included in the kinds of the gayageum. Secondly, the principle of making sound as well as the structure and role of the gayageum should be included and taught in the music textbooks in order to improve the creativity by playing the gayageum. Thirdly, the main string for tuning the gayageum and the pitch of the string as well as the gueum of 12 strings should be presented with the tuning method of the gayageum. Fourthly, a sitting position for playing the gayageum and the correct technique of right hands were explained with the related pictures, and the technique of left hands were presented by the table of the kinds and signs of sigimsae. Also, the approaches to playing the sigimsae were established by the proper repertoire for practicing deeply waved sigimsae and shortly ornamented sigimsae. Therefore, the approaches to playing the gayageum in music classes should be variously composed of the historical·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s and performing technique of the gayageum for the creative expression. Furthermore, the approaches and repertoires for instructing the gayageum by levels should be more developed and the more studies of instructing the gayageum would be followed.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가야금 관련 내용을 가야금의 유래 및 종류, 악기의 구조 및 역할, 조율법과 구음, 연주 기본자세와 오른손 연주법, 왼손 연주법과 시김새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검토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올바른 가야금 지도내용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서 가야금곡 감상 뿐 아니라 가야금 유래와 특징 및 연주법에 관한 내용까지 포함하게 되었지만,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가야금 관련 내용을 살펴본 결과 미흡하거나 오류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야금 연주와 관련된 바람직한 지도내용 및 방향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제시해 보았다. 첫째, 가야금의 기원은 6세기 경 중국의 쟁을 본떠 만든 것이 아니라 광주 신창동과 대전 둔산동에서 발견된 현악기를 가야금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볼 때 가야금의 기원은 기원전 1세기까지로 추정되므로 이에 대한 지도내용이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18현금이나 25현금의 경우 가야금으로 불러야 할지 명명(命名) 기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가야금 연주로 창의성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악기의 구조 및 역할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수록하여 소리의 발생 원리를 이해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야금 12줄의 구음은 물론, 12줄을 조율하는 데 있어 중심이 되는 줄과 그에 해당하는 음고를 제시하고 조율방법을 제시해야 한다. 넷째, 가야금 연주 시 앉는 자세 및 오른손의 바른 주법을 사진과 함께 설명하였고, 왼손 주법에 관련된 사진은 시김새 종류 및 기호와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굵게 떠는 시김새와 꺾는 시김새를 지도하기에 적절한 연습곡을 제시하여 단계에 따른 시김새 지도내용 및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렇듯 음악 수업에서 가야금 연주의 지도내용은 가야금에 대한 역사․사회 문화적 이해를 바탕으로 연주 기능을 익히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폭넓게 구성될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가야금 지도단계에 따른 지도내용 및 제재곡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학교 교육에서의 가야금 교육에 대한 실천적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이소향 가야금병창 ≪화용도≫의 전승과 특징

        이소영 한국국악학회 2015 한국음악연구 Vol.58 No.-

        가야금병창 ≪화용도≫는 현재 판소리 적벽가 중 유일하게 가야금병창으로 전승되는 대목으로, 박귀희부터 안숙선․강정숙의 계보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본 논문은 20세기 전반기에 가야금병창으로 대표적 활동을 한 이소향의 ≪화용도≫를 동시대 명인인 오비취의 음악과 비교하고, 박귀희로부터 이어져 오는 현행 ≪화용도≫와의 연관성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유성기음반에 녹음된 이소향의 ≪화용도≫는 사설의 내용면에서는 오비취와 유사하지만, 악곡을 구성하는 방식은 달랐다. 사설 면에서 볼 때 오비취는 판소리명인으로의 음악적 배경을 적극 활용하여 사설을 구성하였고, 이소향은 주변 경광을 언급하는 등의 사설을 활용하여 재구성하는 특징을 보였다. 선율 면에서는 두 사람 모두 두 옥타브의 음역 내에서 평조로 노래하였고, 가야금반주선율이 소리선율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진행을 보였다. 특히 빠른 장단에 맞춰 노래하는 ≪화용도≫의 특성상 가야금반주선율은 비교적 단순하다. 그러나 오비취는 장단 안에서 가야금반주를 생략하고 소리만으로 채워가는 방식을 주로 활용하는 반면에, 이소향은 소리와 가야금반주선율에 한 옥타브 가량의 음정차이를 두어 다성적 효과를 주는 등의 방식을 활용하여 음악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사실들은 20세기 전반기 가야금병창 ≪화용도≫가 기본적인 틀 안에서 연주자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불리는 가야금병창 ≪화용도≫는 이소향의 ≪화용도≫와 상당히 일치하였다. 사설 면에서 박귀희는 이소향에 없는 아니리를 추가하였을 뿐이고, 강정숙은 박귀희가 추가한 아니리부분을 장단에 맞춰 불렀을 뿐 이소향의 사설구성방식이 그대로 이어져 온 것을 알 수 있다. 선율 면에서도 소리와 가야금반주의 선율진행까지 이소향의 연주방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었다. 가야금병창이 판소리나 산조에 비해 가변성이 농후한 음악이기는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음악을 중심으로 본다면, 적어도 오늘날 박귀희 계열에서 불리는 가야금병창 ≪화용도≫는 이소향의 음악적 구성방식의 영향을 받았고, 이를 전승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으로 가야금병창 ≪화용도≫는 20세기 전반기만 해도 연주자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연주되는 음악이었으나, 오늘날에는 이소향의 연주방식이 박귀희 계열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20세기 전반기 가야금병창을 주도하던 연주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간과되었던 이소향의 음악에 대해 재조명되어야 할 것이다. At present, <Hwayongdo> is the only song performed as gayageum byeongchang in pansori Jeokbyeokga and it has been handed down through Park Gwi-hui and An Sook-Sun ․Gang Jung-suk.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usical relationship between today's gayageum byeongchang <Hwayongdo> and that of the early 20th century. This study, at first, compares gayageum byeongchang <Hwayongdo> by Oh Bi-chui and Yi So-hyang, masters gayageum byeongchang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n compares gayageum byeongchang <Hwayongdo> by Yi So-hyang, Park Gwi-hui and Gang Jung-suk.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Comparing <Hwayongdo> in phonograph record by Oh Bi-Chui and Yi So-hyang, content of both texts are similar but Oh Bi-Chui's text is more influenced by pansori such as dialogic style, while Yi So-hyang's text is recomposed adding descriptions in sections on natural scenery. Both performers have in common that they compose melody in woo-jo 羽調 in two octaves and gayageum accompaniments are composed based on the vocal melodies, which is relatively simple because of <Hwayoungdo>'s fast rhythm. The differences between two performers are displayed in the interrelation of singing and gayageum accompaniment. Yi So-hyang's gayageum accompaniments is composed with heterophonic melodic progression of the singer and gayageum, while some part of Oh Bi-Chui's melody for the singer is composed without gayageum. According to this comparison study, gayageum byeongchang <Hwayongdo> in the early 20th century, show some similarities but, at detailed analytical level, show differences in each performer's musical background. The similarities between gayageum byeongchang <Hwayongdo> by Yi So-hyang and that of present-day are clearly displayed according to this study. Both Park Gwi-Hui's text and Gang Jung-suk's text generally coincide with Yi So-Hyang's text except that Park Gwi-Hui adds aniri of pansori in her text and Gang Jung-suk adds more text in the part aniri. Both Park Gwi-Hui and Gang Jung-suk's melody are commonly very similar to Yi So-hyang's melody and the interrelation of singing and the gayageum accompaniment. This study shows that gayageum byeongchang <Hwayongdo> was performed differently in each performer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Park Gwi-hui's version at present seems strongly influenced by Yi So-hyang. In addition, Yi So-hyang's gayageum byeongchang should be re-evaluated, who has not been focused so far although she is one of leading gayageum byeongchang musicians in the early 20th century.

      • 현대 가야금 음악의 욕망

        전지영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15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4 No.-

        ‘가야금 음악’을 ‘가야금 연주자들이 하는 음악’ 혹은 ‘가야금으로 연 주하는 음악’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할 때, 오늘날 공연장에서는 몇 가지 특징적인 면을 살필 수 있다. 첫째, 연주자들의 음악지향성이 다양화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양식화된 서구 현대음악을 중심으로 한 엘리트주의적 성향에서부터 극 단적 상업주의 경향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예전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이 넓어지고 다양해진 것이다. 둘째, 일종의 자기포장이라고 할 수 있는 출 신학교나 사승관계에 대한 집착과 홍보가 강화되고 있는 점을 들 수 있 다. 이는 물론 전통음악 연주자로서의 정통성 과시를 위해 전통음악계 에서 보여 왔던 오랜 관행이긴 하지만, 최근 들어서 더욱 강화되고 있는 형편이다. 셋째, 음악에 있어 소외와 지배의 내면화가 심해지고 있는 현상을 포착할 수 있다. 오늘날 음악가들은 독립적ㆍ주체적으로 존재하 는 것 같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음악가가 할 수 있는 것은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고 그를 통해 규범과 시스템에 잘 적응하는 것일 뿐이다. 말 하자면 오늘날 음악이 음악가 스스로의 것이 되지 않으며, 이는 음악가 가 음악으로부터 소외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자신이 주체가 되 지 못하기 때문에 제도에 의해 지배당하면서 동시에 자기 자신으로부터 지배당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가야금 음악이 가야금으로부터 탈피하 고자 한다는 점이다. 전통을 굴레로 여기고 그 굴레를 벗고 싶은 욕망 은 가야금 음악을 가야금으로부터 탈피시키고자 하는 역설적 욕망이다. 이는 또한 사회적 ‘인정 욕망’이기도 하다. 그런데 본질적 의미에서 가야금 음악이란 가야금 연주자의 음악이거 나 가야금으로 연주하는 음악이라기보다는 ‘가야금을 위한 음악(혹은 작품)’이어야 한다. 가야금의 악기적 속성을 위한 작품이 진정한 ‘가야 금 음악’이라고 간주된다면, 어쩌면 현대 가야금 음악은 실제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이 때 속성은 가야금이 전통음악 양식 속에 서 적응하면서 생성된 것이므로, 선율적ㆍ시김새적 전통성이 포함될 수 밖에 없다. 오늘날 가야금 음악이라고 불리는 음악들은 대부분 서구적 요소와 전통적 요소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음악이지 실제적 가야금 음악 이라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게다가 음악가들이 ‘대중’에 집중하면 서 스스로 ‘가야금’을 소외시켰으며, 가야금이 소외된 공간에서 가야금 연주자들은 어떠한 ‘음악가적’ 지향성을 보듬은 채 함께 경쟁할 경쟁상 대가 사라진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오늘날 가야금 연주자들이 하는 경 쟁은 실제로는 가야금 경쟁이 아니라 하이브리드 경쟁이다. 그러므로 가야금 연주자들은 경쟁 과다가 아니라 아예 경쟁이 죽어버린 공간에 남겨지게 되었고, 스스로 가야금을 버리고 대중 속으로 뛰어들 고민을 하고 있다. 이처럼 현대 가야금 음악 속에서 가야금은 사라지고 있는 것은 음악 가의 욕망이 빚어낸 현상이다. 하지만 욕망은 음악가 개인의 것이 아니 라 사회가 만들고 제도가 조장한 것이다. 그 속에서 당연시되는 생존의 노력은 음악가들로 하여금 음악적 욕망이 아니라 사회적 인정욕망만을 낳는 것으로 귀결된다. 즉, 가야금 연주자들의 욕망에 의해 가야금은 점 점 사라지고 있으며, 음악가들 스스로 음악으로부터의 소외와 지배의 내면화를 겪으면서, 마침내 음악이 음악가를 버렸는지 모른다. 하지만 가야금을 버린 것도 가야금 전공자였지만, 가야금을 구할 존 재도 가야금 전공자이다. ‘음악’보다 ‘생존’이 우선시되는 시대이기에 가 야금 음악도 위태롭듯이, 역으로 가야금 음악 부활의 혹독한 노력은 사 회적 존재로서 숭고하면서도 윤리적인 생존 가능성과 긴밀하게 연결될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 가야금 음악은 욕망의 언저리를 벗어나 윤리적 차원에서 반성되어야 한다.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s in Korean contemporary music played by gayageum. First, the musical directions of musicians are diversified. Second, the self-decoration is intensified, like the strong display for the diploma or famous teacher. Third, the music can not become an independent art, changing to the consequence of desire for survival of musicians, for which the music is ruled by patterns and systems and customs of society. Fourth, paradoxically speaking, the music played by gayageum want to outgrow the gayageum itself. The gayageum music in truth may not be the music played by gayageum but the music 'for' gayageum, however the most music played by gayageum are not the music for gayageum itself. This is a phenomenon caused by the desire of musicians. However, a desire is not personal but social. It is made by society and system, so the musicians have the desire for social recognition firstly rather than musical artistry. The real gayageum music may not exist in contemporary Korea, in which gayageum are vanishing away by the desire of gayageum musicians. It is important to perceive that the people who can rescue the gayageum muisc are the gayageum musicians, as the people who has forsaken the gayageum music was the gayageum musicians. The contemporary gayageum music should not lie in western tonal music and serial music, which have deforced the most of the deluded contemporary gayageum music so far. It become the era that 'survival' is more important rather than 'art', in which the gayageum music may be more dangerous. Therefore, the task of the revival of the gayageum music may be closely connected with the possibility of lofty and ethical life as social existence. The contemporary gayageum music should be reflected by ourselves in the ethical point of view, shedding the old thinking under the delusion of 'desire'.

      • KCI등재

        민요를 활용한 가야금병창 제재곡 개발과 지도방안

        임미선(Lim, Mi-sun),김미희(Kim, Mi-hui)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3 No.-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가야금병창 교육 내용을 검토하고, 중학교 과정에서 학습하기에 적합한 가야금병창 제재곡을 개발하고 그에 대한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가야금병창은 연주자가 가야금을 연주하며 노래하는 형태로 가창과 가야금연주를 통해 민요의 시김새 표현 등 국악 교육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가야금병창에 대한 교육의 강점을 강조하면서 가야금병창 교육을 위한 제재곡을 개발하고, 그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검토해 본 결과, 가야금병창 제재곡이 다양하지 않고 단가 위주로 되어 있으면서 내용에서는 다수의 오류가 발견되었다. 이처럼 미흡한 내용은 가야금병창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준다고 보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학교 과정에 적합한 가야금병창 제재곡의 개발이 필요하다. 제재곡은 학생들이 초등학교부터 학습해서 익숙한 민요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시김새 표현이 용이한 경기, 남도 지역 민요로 한정하였다. 학습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제재곡을 단계별 학습으로 구성하였다. 1단계는 <풍년가>, 2단계는 <도라지타령>, 3단계는 <강강술래>로 삼았다. 아울러 이들 민요를 가야금병창으로 지도할 때에 필요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민요를 활용한 가야금병창 제재곡을 개발함으로써 중학교 과정에서의 학습 가능성, 민요 가창에서 학습한 시김새를 기악 연주 표현으로 체득하는 효과성 등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제재곡은 가야금병창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부각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앞으로 교육적 활용을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향후 가야금병창이 교과서에 적극 다룰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ontents of Gayageum Byeongchang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deduce problems, and present the validity of reasonable purposes, and methods for the development and teaching of musical pieces. Gayageum Byeongchang, where Gayageum players play the Gayageum singing a Korean traditional song, allows students to widely understand the Korean traditional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Furthermore, it also has a benefit:Students can reveal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such as Sigimsae expressions, through Sori and Gayageum. This paper emphasizes the educational strengths of this Gayageum Byeongchang. The review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found that it does not contain a variety of Gayageum Byeongchang musical pieces and lots of errors make it difficult to understand Gayageum Byeongchang. Based upon these problems, Gayageum Byeongchang musical pieces, suitable for middle school curricula, were developed by utilizing folk songs familiar to learners.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Pungnyeonga> on stage 1, <Doraji Taryeong> on stage 2 and <Gang Gang Schiele> on stage 3. And then teaching methods for each musical piece have been presented so that they may be utilized in actual education fields. By developing Gayageum Byeongchang musical pieces based on folk songs, this paper emphasizes the learning possibility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effectiveness of understanding Sigimsae learned in singing folk songs through instrumental performance, etc. As musical pieces developed in this paper lay emphasis on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Gayageum Byeongchang, they suggest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on their educational utilization. Continuous studies will seek to find solutions to actively dealing with Gayageum Byeongchang in textbooks in the future.

      • KCI등재

        12현 가야금과 25현 가야금 음향의 분석과 비교

        종해,박재록 국립국악원 2023 국악원논문집 Vol.47 No.-

        Korean gayageum (plucked zither) has been modified for more than 100 year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21st century. In the process of modifying the 12-string traditional gayageum representing gayageum for jeongak (classical music) and sanjo (solo instrumental music) into the 25-string gayageum, the specifications of the resonator, the number of strings, and the playing method have changed. This study measures the data such as the volume, decay time, pitch change, and harmonic characteristics of each string using spectrum analysis tool after sampling the sound, in order to compare the sound of the traditional and modified gayageum through the data and to def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s a result, the sound of the 12-string and the 25-string gayageum are similar in many respects, but the 25-string gayageum compared to 12-string gayageum has superior results in terms of sound sustain, pitch stability, and richness of overtones.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found that the low volume of the gayageum, which has long been a problem in new Korean music ensembles such as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 was not solved even in the 25-string gayageum. This study aims to be an important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on the sound of gayageum and the modif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한국 가야금은 19세기 후반부터 21세기까지 100년 이상의 개량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정악 가야금과 산조 가야금으로 대표되는 12현 가야금(전통 가야금)에서 25현 가야금(개량 가야금)으로 개량하는 과정에서 공명통의 규격, 현의 수, 연주법에서 변화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가야금과 개량 가야금의 소리 차이를 데이터로 비교하고 정의하기위해, 소리를 샘플링한 후 스펙트럼 분석 도구로 현 별 음량, 감쇠 시간, 피치 변화, 배음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2현 가야금과 25현 가야금의 음향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하지만, 25현 가야금은 12현 가야금에 비해 음의 지속력, 피치의 안정성, 배음의 풍부함에서 떠 뛰어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국악 오케스트라 같은 새로운 국악 앙상블에서 오랫동안 문제시되고 있는 가야금의 작은 음량의 문제는 25현 가야금에서도 거의 해결하지 못했다는 것도 결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몇 가지의 한계점을 가지는 연구이기는 하지만 향후 가야금의 음향과 국악기의 개량 연구에 있어 중요한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정남희 월북 이전 가야금병창의 특징 -〈청춘을 허송마라〉를 중심으로-

        이윤정(Lee, Yun-jung)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8 No.-

        본 연구는 정남희의 가야금병창 녹음 목록 중 현재 복각된 단가 중 〈청춘을 허송마라〉를 주 대상으로 사설과 음악적 요소를 분석하여 이 곡이 지니는 특징을 고찰하였다. 더 나아가 정남희가 가야금병창을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해 나가는지를 살펴보았다. 〈청춘을 허송마라〉의 사설은 인간만사의 근본이 충과 효임을 강조하는 내용으로,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어화 세상 벗님네야 청춘을 허송말고 헐일을 허여보세”로 시작한 후 인간만사의 근본이 효임을 나타나는 내용이며, 두 번째 부분은 왕상이나 맹종 같은 효자들의 효행을 열거하고 있으며, “여력으로 학문하여 입신양명이 더욱좋다”로 시작하는 세 번째 부분에서는 입신양면에 대한 내용을 언급하고 있으며, 마지막 부분에서는 중국의 삼황오제를 비롯한 많은 성군들과 불로불사를 꿈꾸었던 진시황을 언급하면서 삶의 무상함을 노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청춘을 허송마라〉는 도입부-효자들의 효행-입신양면-인생무상의 구조로, 〈충효가〉의 사설 구조와 동일하다. 〈청춘을 허송마라〉는 전체 35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9장단에서 제21장단까지의 세 장단은 노래 없이 가야금만 연주하는데, 이 부분을 전후로 악조 사용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즉 가야금 연주 앞부분은 우조를, 뒷부분은 평조를 활용하다가 마지막 세 장단에서는 처음의 악조인 우조로 복귀하여 곡을 마무리한다. 단가의 특성상 다양한 붙임새가 사용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로 〈청춘을 허송마라〉 역시 엇붙임 하나 정도만 나타났다. 노래 선율과 가야금 반주 선율과의 관계는 다른 가야금병창에서와 같이 노래 선율을 연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노래가 없는 부분에서는 가야금 연주를 통해 소리가 없는 공간을 채워주기도 하였다. 〈청춘을 허송마라〉의 사설을 보면 단가 〈효도가〉와 동일하므로 정권진 · 오비취 · 오정숙의 〈효도가〉를 비교하였다. 〈청춘을 허송마라〉는 세 사람의 〈효도가〉 중 오정숙과 사설 및 악조의 활용양상이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정남희의 〈청춘을 허송마라〉라는 단가는 〈효도가〉임을 알 수 있다. 정남희의 가야금병창은 반주 부분의 경우 소리와 유사한 선율로 진행하다가 소리가 없는 부분에서 가야금으로 화려하게 장단을 끝맺음하고 있다. 소리 없이 가야금만 연주하는 부분은 노래 선율과 상관없이 화려한 주법을 사용함으로써 가야금이 지니는 특징을 최대한 드러내었을 뿐만 아니라 악조의 변화 양상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가야금산조의 명인이었던 정남희는 가야금만 연주하는 부분을 활용하여 음악적 변화를 꾀하는 방식으로 음악을 구성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chuneul Heosongmara (Do Not Waste Youth)’, one of the dangas (short songs) restored from the record list of Jeong Nam-hee’s Gayageum Byungchang, by analyzing the text and musical elements. Furthermore, this study looked into how Jeong Nam-hee organized her Gayageum Byungchang. The text of ‘Cheongchuneul Heosongmara’ is about emphasizing that loyalty and filial piety are the base of all human affairs, and it is largely composed of 4 parts. The first part begins with “Oh, my dear fellows in this world! Don’t waste your youth, but let us do what we are supposed to do”, and tells about filial piety as the base of all human affairs most of the time. The second part is enumerating filial behaviors of devoted sons, such as Wang Xiang and Maengjong. The third part starts with, “It is much better to rise in the world and gain fame by studying with surplus strength”, and tells about rising in the world and gaining fame most of the time. The last part is singing about vanity of life by mentioning many good and wise kings including Three Sovereigns and Five Emperors of China and even Qin Shi Huang, who dreamed of eternal youth and immortality. ‘Cheongchuneul Heosongmara’ has a structure of Introduction-Filial behaviors of devoted sons-Rising in the world and gaining fame-Vanity of life, which is the same as the text structure of ‘Chung-Hyo Gah(Song of Loyalty and Filial Piety)’. ‘Cheongchuneul Heosongmara’ consists of 35 jangdans (rhythms) in total. Especially, three of them, Jangdan 19 to 21, are performed only on the gayageum without any songs, and there appear differences in the use of keys and modes before and after these three jangdans. Specifically, wu-jo is used before these jangdans, but pyeong-jo is used after them, and in the last three jangdans, the key and mode is back to wo-jo, finishing this danga. As dangas are characterized by not using various buchimsaes in general, there appears only one eot-buchim in this danga. When examin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song melody and the accompaniment melody in this danga,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song melody is performed on the gayageum most of the time, similar to the other gayageum byungchangs. Besides, in the three jangdans without any songs, the space without sori is filled with the sound of gayageum instead. As examined earlier, the text of ‘Cheongchuneul Heosongmara’ is the same as that of another danga, ‘Hyodo Gah (Song of Filial Pity)’, so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d the text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Hyodo Gah’ in different versions by Jeong Gwon-Jin, Oh Bee-chi and Oh Jeong-sook respectively. As a result, Cheongchuneul Heosongmara’ was found most similar to Oh Jeong-sook’s one out of them, especially in the text and the use of keys and modes. Considering this fact, this study concluded that this danga of Jeong Nam-hee, ‘Cheongchuneul Heosongmara’, is a song of filial pity. In Jeong Nam-hee’s Gayageum Byungchang, the sori-accompaniment part proceeds with a sori-similar melody, but in the parts without sori, the gayageum playes a role in leading the jangdans rhythmically. Especially, as the gayageum is performed with virtuosic techniques in the three jangdans, regardless of the song melody, it makes the best out of the features of gayageum, even leading to changes in the key and modes. Overall, this study came to conclusion that as a virtuoso of gayageum sanjo, Jeong Nam-hee organized her music by seeking musical changes with the gayageum-solo technique.

      • KCI등재

        중국 조선족 가야금교육의 발전과 실천 - 연길시 신흥초등학교를 중심으로

        hau cui 한국아시아학회 2023 아시아연구 Vol.26 No.2

        Under the background of inheriting national music culture,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national music and regional culture has gradually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society. As a cross-border ethnic group, Chinese Korean is one of the ethnic minorities with outstanding cultural traditions in the big family of the Chinese nation. In Korean traditional music, gayageum is a popular musical instrument with a broad mass base. Since the beginning of the new century, Korean gayageum art has been lis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the state, and people pay more and more attention to gayageum. With the spread of inheritance, gayageum inheritance activities are actively carried out in many fields of society, including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t all levels. In many schools, the inheritance of traditional culture is an important part of school music education, and plays a key role in the inheritance of minority music culture. At the same time, it also faces some unfavorable problems, but leading talents with the excellence of this culture and the ability to popularize culture can solve this difficulty. For example, under the guidance of professional gayageum teachers, Xinxing Primary School in Yanji City inherited gayageum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ll students in the school gradually popularized the development of gayageum education model. This can improve students' national consciousness, master national music culture, improve national self-confidence and pride, and improve music accomplishment and overall quality. This study takes gayageum education in Xinxing Primary School in Yanji City as the starting point, analyzes the curriculum content, inherits and publicizes traditional culture by means of questionnaire survey and statistics, and tries to explore their achievements and inheritance status through the actual situation of gayageum in primary school music education.

      • KCI등재

        가야금과 소금을 이용한 민요합주 방법론 연구-아리랑 제재곡을 중심으로-

        오진호 한국민요학회 2013 한국민요학 Vol.38 No.-

        Korean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s printed methodology using a gayageum(伽倻琴), a sogeum(小芩) and danso(短簫). Usually sogeum and danso are noted by jeongganbo(井間譜) and yuljabo(律字譜) used Korean music, gayageum is noted by staff notation used western music. so it is difficult to ensemble with sogeum, danso and gayageum. I showed musical theory and a score of gayageum and sogeum regarding Korean folk song arirangs. A gayageum is possible to move flats(named anjok), so it can play as various musical scales. If tone closed six hole of sogeum(B5b) and sixth string tone of gayageum(B4b) put together, we can play various style folk song. Korean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s printed scores using a gayageum and a sogeum but there is no scores of gayageum and sogeum. So it is necessary to show scores using a gayageum and a sogeum. 현행 초․중․고등 음악교과서에 대부분 선율악기로 단소, 소금, 산조가야금의 연주방법이 수록되어 있다. 단소․소금의 경우 정간보와 율자보로 가야금의 경우 오선보로 표기되어 있고, 서로 기보법 및 조율체계가 달라서 합주하기가 어렵다. 본문에서는 가야금과 소금의 합주악보를 아리랑 제재곡을 중심으로 합주할 수 있는 이론적인 방법과 악보를 제시하였다. 먼저 가야금의 경우 안족을 이동하여 여러 가지 조현법으로 연주가 가능한데, 소금 6관(淋=B5b)에 가야금 6현을 B4b(林)으로 맞추면 옥타브 차이가 나서 조금 어색한 느낌은 있으나, 여러 가지 토리를 스케일을 바꾸지 않고 연주할 수 있으며 나중에 산조대금을 연주할 때 운지법이 비슷하여 도움이 된다. 실제 교육현장에서 국악기가 합주되기는 힘들겠지만, 가야금과 소금 배우기에서 아리랑과 같은 제재곡이 쓰이고 있으므로 가야금과 소금의 합주악보를 제시하여 합주할 수 있도록 하는것도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