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 대장용종증 환자의 임상양상 및 내시경적, 조직학적 소견

        임미선,서정기,고재성,양혜란,강경훈,김우선,Lim, Mi-Sun,Seo, Jeong-Kee,Ko, Jae-Sung,Yang, Hye-Ran,Kang, Gyeong-Hoon,Kim, Woo-Sun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2010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13 No.2

        목 적: 대장용종증은 소아에서는 드문 질환군으로 다수의 용종으로 인한 출혈, 복통, 장중첩증 등이 반복될 수 있고 용종의 악성화나 장외종양이 발생할 수 있으나 아직은 이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 대장용종증의 임상 양상과 내시경적, 조직학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에서 1987년부터 2009년까지 대장내시경을 시행 받은 2,956명의 소아 환자중에서 대장용종증으로 진단받은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장용종증 환자들의 진단 시 평균나이는 8세였다. 결 과: Peutz-Jeghers 증후군이 22예로 가장 많았으며 연소성 용종증 7예,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6예, 림프성용종증 2예이었다. 내원 시 가장 흔한 주소는 혈변이었다. 50% 이상의 환자에서 혈변과 복통이 동반되었고 일부에서 항문종괴, 설사, 변비가 동반되었다. 용종의 수와 크기는 다양하였고 위장과 소장에 용종이 동반된 환자는 각각 21명, 17명이었다. Peutz-Jeghers 증후군 환자에서는 주로 다엽성의 목이 있는 용종이 관찰되었다. 연소성 용종증 환자에서는 둥글고 목이 있는 용종이 대부분이었다.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환자에서는 작고 둥글며 목이 없는 용종이 관찰되었다. 림프성 용종증 환자에서는 목이 없는 용종이 관찰되었다. 모든 환자는 내시경적 용종절제술을 시행받았고 14명(38%)은 수술적 용종절제술을 시행받았다. 부분장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13명(35%)이었고, 가족성 선종성 용종증 환자 4명은 전대장절제술을 시행받았다. Peutz-Jeghers 증후군 환자 중 일부에서 장외 종양이 발생하였으나 용종의 악성화는 없었다. 결 론: 소아의 대장용종증 환자는 출혈, 복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장중첩증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며 정기적인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용종의 악성화나 장외 종양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Purpose: Colonic polyposis is less common in children than in adults. The clinical data pertaining to colonic polyposis in children are limited. Children with colonic polyposis hav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numerous polyps, malignant transformation of the polyps, and extraintestinal neoplasms. We studied the clinical spectrum, endoscopic characteristics, and histologic findings of colonic polyposis in Korean children. Methods: We reviewed the clinical data of 37 children with multiple colonic polyps between 1987 and 2009. The mean age at the time of diagnosis of colonic polyposis was 8.0${\pm}$3.2 years. Results: Peutz-Jeghers syndrome, juvenile polyposis syndrome,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 (FAP), and lymphoid polyposis was diagnosed in 22, 7, 6, and 2 children,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clinical presentation in children with colonic polyposis was hematochezia. A family history of colonic polyposis was noted in 7 children. The colonoscopic findings of colonic polyposis varied with the size and number of polyps. The majority of polyps were multi-lobulatd and pedunculated in children with Peutz-Jeghers syndrome. The polyps in children with juvenile polyposis syndrome were primarily round and pedunculated. For the children with FAP, the colon was carpeted with small, sessile polyps. There were multiple sessile polyps in the patients with lymphoid polyposis. Surgical polypectomy was performed in 14 children (38%). Intestinal segmental resection was performed in 13 children (35%). Four patients with FAP underwent total colectomy. Four children with Peutz-Jeghers syndrome had extraintestinal neoplasms. No malignant transformation of polyp was identified. Conclusion: Children with colonic polyposis should undergo a careful initial evaluation and require periodic re-evaluation.

      • H.264 복호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역변환기와 역양자화기 하드웨어 설계

        임미선(Misun Lim),정홍균(Hongkyun Jung),류광기(Kwangki Ryoo) 대한전자공학회 2010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10

        본 논문에서는 H.264/AVC 복호기의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율적인 역변환과 역양자화의 하드웨어 구조를 제안한다. 역변환과 역양자화과정에서 AC 계수는 역양자화를 수행하고 역변환(IDCT,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을 수행하지만, DC 계수는 역변환(하다마드 역변환)을 수행하고 역양자화를 수행하기 때문에 같은 순서로 수행할 때보다 복잡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역변환과 역양자화의 순서를 제안하고, 파이프라인 구조를 적용하였다. 제안하는 구조에서 역양자화기의 구조를 프리-스케일(Pre-scale)부, 곱셈기, 포스트-스케일(Post-scale)부로 구현하여 순서를 재배치함으로써 복호된 영상데이터가 손실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역변환기의 구조는 수평 IDCT와 수직 IDCT를 병렬로 구현하고 역변환기와 역양자화기의 구조를 역양자화, 수평 IDCT, 수직 IDCT/라운딩으로 구성된 3단 파이프라인으로 구현하여 수행 사이클을 감소 시켰다. 제안한 역변환기와 역양자화기의 사이클을 비교·분석한 결과, 기존의 구조에 비해 49%의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자외선차단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구형 입자의 개발

        임미선 ( Mi Sun Lim ),김영백 ( Young Baek Kim ),정택규 ( Teak Kyu Jung ),윤경섭 ( Kyung-sup Yoon ) 대한화장품학회 2005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1 No.1

        자외선 차단제로 널리 사용되는 p-methoxycinnamoyl기를 함유하는 폴리실세스퀴옥산 전구체를 합성하고 그로부터 자외선을 흡수 차단하는 구 형태의 입자를 제조하였다. 여러 가지 제조 조건을 조절하여 100nm에서 수 ㎛ 사이의 직경을 가진 구를 제조하였으며, 얻어진 구의 피부 도포와 자외선차단 실험을 수행하였다. 직영이 대략 0.6 ㎛인 구를 10%의 농도로 바셀린에 분산시킨 제재를 손등에 도포하였을 때 백화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10% 농도 바셀린 제재의 자외선차단지수, SPF는 5.7로 양호한 편이었다. 또한 자외선을 흡수 차단하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구는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자외선차단제에 비하여 농도 증가시 SPF의 상승효과가 커, 자외선차단용 기능성화장품 신소재로의 사용이 기대된다. A silsesquioxane precursor that contains p-methoxycinnamoyl group was synthesized to produce UV absorbing spherical polysilsesquioxane (PSQ) spheres with diameters of 10nm to a few ㎛ under different conditions. A dispersion of 10 wt% in Vaseline of these PSQ spheres with diameters of approximately 0.6 ㎛ showed SPF values of 5.7 and the identical dispersion did not turn white when applied to human hands. These UV absorbing PSQ spheres showed higher boosting effect of sun protection factor (SPF) than the well known UV blocking octyl methoxycinnamate (OMC).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SQ spheres with p-methoxycinnamoyl group should be useful as the ingredients in UV screening functional cosmetics without causing allergies and whitening.

      • KCI등재

        국립국악원 악기연구소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

        임미선(Lim, Misun) 국립국악원 2016 국악원논문집 Vol.34 No.-

        국립국악원에 악기연구소가 개소된 것은 2006년으로 설립 당시 악기연구소의 주요 목적은 악기연구 및 개발에 있었다. 국립국악원에서는 일찍이 1965년부터 악기개량 사업을 시작하였고, 이후로 국악기 개량 사업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악기개량 사업에서 한 단계 나아가 1989년부터 악기연구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본격적인 연구사업이 실시되었다. 악기 음향연구, 음고측정 프로그램 개발, 음향 특성과 방사패턴에 대한 조사 및 연구가 2005년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2004년 창작악단의 출범은 안정적인 기반에서 체계적인 악기연구를 위한 전문연구소의 필요성을 더하게 되었다. 국악의 새로운 지평을 열기 위하여 현대인의 미감에 맞는 악기연구의 필요성과 더불어 국악 대중화 실현을 위한 악기 보급 등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도 악기연구소 설립의 목적이 되었다. 2006년 악기연구소가 출범하여 악기연구를 위한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한 지 어느덧 10년의 세월이 지났다. 악기연구소 개소 10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국립기관으로서 악기연구소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립국악원의 비전과 목표에서 강조하고 있는 국악의 창조적 계승과 미래전략 수립에 악기연구소가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한 숙고가 필요하다. 본고는 악기연구소 개소 10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악기연구소의 새로운 도약을 위하여 그간 추진해온 사업 성과와 그 이면의 한계를 진단하고, 악기연구소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에 대하여 악기연구, 음향연구 창작, 교육 등의 측면에서 제시하는 데에 목적으로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악기연구소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연구소 기능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행정 조직의 확대와 전문연구원 확충이 시급하다. 또한 중장기 발전방안에 대한 실천전략이 구체적이고 유기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본다. 한편으로 국악원의 사회적 역할로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교육에 기여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 교육용 국악기, 국악교구 개발을 강조하고 싶다. National Gugak Center launched a project to improve musical instruments in 1965 and the improvement of Gugak instruments was continued until 1989. Since then, efforts had been made to study the sound of instruments, to develop a program for measuring the pitch and to investigate features of sound and radiation patterns till 2005. As National Gugak Center established a special orchestra for creative music in 2004, people suggested the necessity of creating a professional institute to systematically study musical instruments. As a result, the korean musical instrument research office was built in National Gugak Center in 2006. It already has been a decade since the National Gugak Center was launched to prepare the basis for new development in the studying of musical instruments. It is a state-funded research center and from such an aspect, it can be said that the center has inherited the historicity of Akgidogam created during the era of Great King Sejong when the independent culture of Korean people was blooming and Akgijoseongcheong was established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Joseon era. This paper proposes development plans to activate the korean musical instrument research office focusing on a study of musical instruments and the gugak sound, creation and education, in order to diagnose results of projects that the center had pursued and their limitations and to find ways to develop the center. The details are as follows. The center, first of all, should strengthen its functionsin order to enhance its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it is urgent for the center to expand its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nd to increase the number of professional researchers. The most important part of National Gugak Center s social roles is to make a contribution to education. For this, gugak instruments for education and related teaching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practical strategies for mid-term development plans should be formed specifically and organically. It is time to deeply think about how the center will cope with the creative inheritance of gugak and the establishment of future strategies which have always been emphasized regarding the vision and goals of National Gugak Center.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for the center to think about its roles to promote the globalization of gugak.

      • KCI등재

        해방공간기 전라북도 농악의 발전 양상

        임미선 ( Mi Sun Lim )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3 No.-

        본 논문은 해방공간기(解放空間期)에 전라북도에서 농악(農樂)이 발전하게 된 배경을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우도(右道)에서 정읍농악(井邑農樂)이, 좌도(左道)에서 남원농악(南原農樂)이 새롭게 발전하게 된 상황, 좌도와 우도 농악이 포장걸립으로 연예농악을 펼치면서 발전하게 된 과정 등에 비중을 두고 논의하였다. 그러한 과정에서 좌도농악(左道農樂)와 우도농악(右道農樂)의 교섭이 이루어진 배경과 시기에 대한 내용도 아울러 다루었다. 논의에서 해방 이전에 보천교가 농악을 장려함으로써 정읍농악이 전문 치배들로 구성되는 농악대(農樂隊)의 형성을 가능케 했던 측면과 전문 예인들에 의해 판굿이 짜여지는 등의 기반이 이루어진 환경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였다. 해방공간기에 개최되었던 전국농악경연대회(全國農樂競演大會)가 농악 발전의 촉매 역할을 한 점에 주목하여 대회 출전을 위해 이름난 잽이들이 결집하여 농악단(農樂團)이 구성되었던 점, 대회에서 전북팀이 특등상을 받아 전북의 농악이 전국적으로 알려짐으로써 1940년대에 포장걸립이 시작되었던 점 등을 부각시켰다.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해방공간기에 호남 농악(湖南農樂)은 좌도에서는 남원농악이, 우도에서는 정읍농악이 주축이 되어 많은 명인들을 배출하고 기예를 발휘함으로써 최고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이 기간 좌도와 우도의 보이지 않는 경쟁구도도 농악의 기예능, 특히 판굿의 형식이 발전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고창에서와 같이 재산가들의 후원을 받아 상업적으로 농악을 연행한 것도 일정 부분 기여한 측면도 제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the North Cholla province 全羅北道 nongak 農樂 (farmers`` music). Expecially, the paper deals with how Chongop nongak 井邑農樂 and Namwon nongak 南原農樂 newly emerged in Chwado 左道 (left region of province) and Udo 右道 (right region of province) respectively, focusing on the process of farmers`` music being advanced into an entertainment music performed in a stage, the tent, called p``ojang kollip 포장乞粒. Also, the paper includes a discussion on how and when Chwado and Udo farmers`` music began to interact each other. In the discussion, the background and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North Cholla province farmer``s music are highlighted. A new form of farmer``s music band, which was composed of professional musicians, began in Chongop nongak 井邑農樂 (Chongop farmers`` music) while pan ``gut 판굿 was arranged by professional entertainers, as Poch``on``gyo 普天敎 religion encouraged farmers`` music before the Liberation. First, I paid attention to the role of National Farmers`` Music Competition called Chon``guk nongak kyongyon taehoe 全國農樂競演大會 that it accelerated musical development of nongak during the Post-Liberation period. In consequence, the paper emphasizes the composition of the bands with well-known performers, and presents the history of p``ojang kollip in 1940s after the North Cholla province farmers`` music band became famous winning a special award. Though a short amount of time, however, the liberation period was the hay day of the farmers`` music in South Western region (Honam 湖南 or Chollado 全羅道) in Korea as many talented performers were produced and artistic skill were developed. At the same time, the competitive structure between Chwado 左道 (left region) and Udo 右道 (right region) would have improved the artistic aspects in farmers`` music, more specifically the formality of pan``gut 판굿. The sponsorship, the financial support from wealth people, is also mentioned in terms of commercial performance and th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armer``s music.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여민락계 음악의 연주전통, 그 단절과 전승

        임미선 ( Mi Sun Lim ) 한국음악사학회 2012 한국음악사학보 Vol.49 No.-

        본 논문은 여민락계 악곡의 용례와 그에 따른 연주관행의 분석을 통해 조선조 여민락계 음악의 용례와 그 연주형태의 형성-단절-전승의 국면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연주관행에 대한 분석은 여민락이 다양한 형태로 조선조에 연주된 양상을 드러낼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다양한 연주 형태 중 일부가 단절되고, 그 일부가 어떻게 전승되어 오늘에 이어지고 있는가를 밝힐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오늘날 여민락만과 령은 합악 형태의 관악합주 형태, 여민락은 관현합주 형태로 연주되고 있으나, 여민락만 · 여민락령 · 여민락 3곡은 조선 후기에 한 동안 관악합주와 관현합주 두 가지 형태로 연주되었다. 그러나 순조 대(19세기 전반)부터 만과 령은 등가의 연주곡으로 채택되지 않으면서 관현합주의 연주전통은 단절되었고, 여민락은 전정 헌가의 연주곡으로 채택되지 않게 되어 관악합주의 연주전통은 단절되었다. 결국 조선 후기에 여민락만 · 여민락령 · 여민락 3곡이 관악합주와 관현합주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하였던 것 중에 일부만이 현재로 전승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the musical examples of yomillak 與民樂 and the formation, severance and transmission of the performance form of this music during the Choson 朝鮮 Dynasty. For this, I have analysed several examples of musical pieces related to Yomillak and the performance practice of those musical pieces.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practice revels the various performance aspects, and the process of severance and transmission of some pieces during the Choson Dynasty. At present, Yomillak man 與民樂慢 and Ryong 令 are performed as a form of wind and string orchestra and Yomillak is performed as a form of wind orchestra only. However, in the past these three pieces were all performed as a form of wind and string orchestra and as a form of wind orchestra as well. Since the reign of the King Sunjo in the early 19th century, man 慢 and ryong 令 were not adopted to the pieces for tungga 登歌 performance and there two musical pieces` traditional form of wind and string orchestra was cut off. In the case of Yomillak, the form of wind orchestra of this piece was cut off since it was not included to chonjong bonga`s 殿庭軒架 performance list. In conclusion, those three pieces, Yomillak man, Yomillak ryong 與民樂令 and Yomillak were existed as a form of wind and string orchestra and as a form of wind orchestra as well during the late Choson Dynasty, whereas only few of them have been transmitted to the present.

      • KCI등재

        조선조 왕실음악의 국왕 표상과 그 음악사적 성격

        임미선(Lim, Mi-su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9 한국문학과 예술 Vol.29 No.-

        본 논문은 조선조 왕실음악에서 국왕의 표상의 어떠한 방식으로 발현되었는가를 살피는 데에 목적을 두고, 국왕의 의례에서 나타나는 음악의 차등적 사용의 측면을 다루었다. 왕실음악은 기본적으로 오례의를 실행하는 데에 수반되었기 때문에 순수한 감상용음악과는 거리가 멀었다. 오례의에 속하는 의례는 격에 따른 차이가 명확하게 존재했고, 그러한 분변이 음악에서도 실현되어야 했다. 의례에 차서에 따라 음악에 차등을 두는 방식은 악대의 사용을 달리하거나, 연주 악곡에 차이를 두는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로 운용되었다. 따라서 국왕의 위상을 드러내는 방법도 다양했는데, 본 논문에서는 연주 악곡과 노부의 고취악대의 쓰임을 중심으로 조선 왕실음악의 운용에서 나타나는 국왕의 표상을 살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use of music in the royal ceremony, with the aim of examining how King "s representation of King"s court music was expressed. Although there existed a way of expressing the king"s representation in the royal music of the Joseon Dynasty, no researches on it have been made so far.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way in which the King "s representation of King" s royal music was manifested in the Joseon Dynasty. Royal music was basically involved in practicing baptism, so it was far from pure impressionistic music. The rituals belonging to the Oryeui(Five typies rite) were clear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such fate had to be realized in music. The manner in which the music is differentiated in accordance with the rituals has been operated in a variety of complex forms that differentiate the use of the bands or differentiate the playing music. In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the music symbolized the feat of the founding country. In the reign of king Sejong, it was named as Yungan-jiak(隆安之樂). Therefore, in this paper, we looked at the representation of the King in the operation of the Joseon royal music centered on the use of the musical pieces and the band of Nobu(鹵簿).

      • KCI등재

        민요를 활용한 가야금병창 제재곡 개발과 지도방안

        임미선(Lim, Mi-sun),김미희(Kim, Mi-hui)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3 No.-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가야금병창 교육 내용을 검토하고, 중학교 과정에서 학습하기에 적합한 가야금병창 제재곡을 개발하고 그에 대한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가야금병창은 연주자가 가야금을 연주하며 노래하는 형태로 가창과 가야금연주를 통해 민요의 시김새 표현 등 국악 교육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가야금병창에 대한 교육의 강점을 강조하면서 가야금병창 교육을 위한 제재곡을 개발하고, 그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를 검토해 본 결과, 가야금병창 제재곡이 다양하지 않고 단가 위주로 되어 있으면서 내용에서는 다수의 오류가 발견되었다. 이처럼 미흡한 내용은 가야금병창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을 준다고 보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학교 과정에 적합한 가야금병창 제재곡의 개발이 필요하다. 제재곡은 학생들이 초등학교부터 학습해서 익숙한 민요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시김새 표현이 용이한 경기, 남도 지역 민요로 한정하였다. 학습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제재곡을 단계별 학습으로 구성하였다. 1단계는 <풍년가>, 2단계는 <도라지타령>, 3단계는 <강강술래>로 삼았다. 아울러 이들 민요를 가야금병창으로 지도할 때에 필요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제 교육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민요를 활용한 가야금병창 제재곡을 개발함으로써 중학교 과정에서의 학습 가능성, 민요 가창에서 학습한 시김새를 기악 연주 표현으로 체득하는 효과성 등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제재곡은 가야금병창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부각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앞으로 교육적 활용을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향후 가야금병창이 교과서에 적극 다룰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ontents of Gayageum Byeongchang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deduce problems, and present the validity of reasonable purposes, and methods for the development and teaching of musical pieces. Gayageum Byeongchang, where Gayageum players play the Gayageum singing a Korean traditional song, allows students to widely understand the Korean traditional vocal and instrumental music. Furthermore, it also has a benefit:Students can reveal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such as Sigimsae expressions, through Sori and Gayageum. This paper emphasizes the educational strengths of this Gayageum Byeongchang. The review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 found that it does not contain a variety of Gayageum Byeongchang musical pieces and lots of errors make it difficult to understand Gayageum Byeongchang. Based upon these problems, Gayageum Byeongchang musical pieces, suitable for middle school curricula, were developed by utilizing folk songs familiar to learners.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Pungnyeonga> on stage 1, <Doraji Taryeong> on stage 2 and <Gang Gang Schiele> on stage 3. And then teaching methods for each musical piece have been presented so that they may be utilized in actual education fields. By developing Gayageum Byeongchang musical pieces based on folk songs, this paper emphasizes the learning possibility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effectiveness of understanding Sigimsae learned in singing folk songs through instrumental performance, etc. As musical pieces developed in this paper lay emphasis on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Gayageum Byeongchang, they suggest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on their educational utilization. Continuous studies will seek to find solutions to actively dealing with Gayageum Byeongchang in textbook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