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자의 불확정성을 반영한 인자점수 추출 및 인자점수 회귀모형에의 응용

        윤영주(Young Joo Yoon),연규필(Kyupil Yeon)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6

        인자분석(factor analysis)은 다변량 자료로부터 잠재인자를 추출하여 차원축소를 통한 다차원 자료 해석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분석법이다. 또한 추출된 인자에 대한 개별 관측치들의 인자점수(factor scores)를 산출하여 후속적인 회귀분석에 활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자모형은 인자적재행렬이나 특이분산 등의 모수가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 모수의 불확정성(parameter indeterminacy)과, 인자모형의 모수가 결정된 상황에서도 잠재인자가 일의적으로 결정되지 않는 인자의 불확정성(factor indeterminacy)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인자의 불확정성과 이를 계량화한 거트만 기준값에 대하여 살펴보고, 인자점수 산출시 인자의 불확정적인 부분까지 반영하여 추정함으로써 이를 활용하여 인자점수 회귀모형의 설명력과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한다. 즉, 인자점수를 설명변수 값으로 활용하는 인자점수 회귀모형에서 반응변수와 인자간의 상관계수가 최대가 되도록 인자의 불확정적 부분을 반영한 인자점수를 추출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인자점수와 수정된 인자점수를 기반으로 하는 회귀모형을 모의실험과 실제 데이터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비교한다. 데이터 분석 결과 제안된 인자점수를 이용하는 경우에 회귀모수 추정의 정밀도 및 추정된 회귀모형의 설명력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Factor analysis is a multivariate analysis method widely used to extract latent factors from high dimensional data and interpret multidimensional data through dimension reduction. Additionally, factor scores of individual observations for the extracted factors are calculated and used in a subsequent regression analysis. This factor model has the characteristics of parameter indeterminacy which means parameters such as the factor loading matrix or unique variance are not uniquely determined, and factor indeterminacy which represents that latent factors are not uniquely determined even in situations where the parameters of the factor model are determined.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indeterminacy of factor scores and propose a new method of calculating factor scores that maximiz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 response variable and a factor in a factor score regression model. Simulations and real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existing factor scores using the regression method and the proposed factor scores utilizing the indeterminate part of factors in factor score regression setting.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stimation accuracy of regression model was higher when using the proposed factor scores.

      • 인자생태분석에 의한 광주광역시의 거주지역구조

        이현욱 ( Hyunwook Lee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현대사회과학연구 Vol.22 No.-

        광주에 대한 도시인자생태분석은 1985년 연구된 바 있다. 30년이 흐른 2015년의 광주 거주지역구조는 어떻게 변모했을까 하는 의문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광주의 95개 동 37개 변수로 인자분석을 수행한 결과 고유치 1.0이상의 4개 인자가 총 변량의 67%를 설명해 주었다. 각 인자와 높은 인자 부하량을 가진 변수들과를 관련지어 본 결과 제1인자는 가족지위를, 제2인자는 사회ㆍ경제적 지위를, 제3인자는 남성노동력과 외국인 비중을, 제4인자는 노년인구비중을 반영하는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각 인자의 공간분포 패턴은 서구 도시들의 연구에서 밝혀진 것처럼 제1인자는 동심원적 패턴, 제2인자는 섹터적 패턴, 제3인자는 국지적 집중을 잘 보여주었다. 1985년의 인자구성은 제1인자가 도시화인자, 제2인자가 가족지위인자, 제3인자는 사회ㆍ경제적 지위인자로 되어 있는데 반해, 2015년은 제1인자가 가족지위인자, 제2인자가 사회 경제적지위인자, 제3인자는 남성노동력 및 외국인 인자로 달라진 사회구조를 반영했다. 각각의 연구는 도시발달단계의 단계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1985년은 단핵 도심을 중심으로 한 도시화가 가속화 되던 시기로 도시발달단계의 초기 단계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2015년은 30년 동안 지속된 신흥 택지개발사업으로 교외화가 가속화되면서 생애주기 및 사회경제적 차이에 따른 거주지분화가 더 뚜렷이 드러나는 교외화 단계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2015년의 인자구성이나 각 인자의 공간패턴은 서구의 도시들에서 검증된 것과 거의 같은 양상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e to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residential structure in Gwangju through the analysis of factorial ecology. With 37 variables selected from the census data(Table 1) on 95 census tracts in Gwangju, I extracted some factors by attempting the factor analysis and drew four maps on the basis of the distribution of standardized factor score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factor loadings, I extracted four main factors that explained 67.6% of total variance. Family status and socio-economic status occurred as the two main factors. They correspond to the general factor structure of Western cities. The third factor is named male workers and foreigners factor. The fourth factor is named old age people factor. As the total city area expands outwards from the built-up area to the rural areas, the spatial variation between built-up area and rural area is more obvious than the variation between urban core and peripheral residential area. This is related to recently developed residential areas. The spatial pattern of each factors are shown in Figures 1,2,3,4. The factor of family status displayed a zonal pattern while the factor of socio-economic status had a sectoral distribution. This result also corresponds to the spatial pattern of both factors in western cities. The distribution of male workers and foreigners as the third factor is closely related to the big industrial complex. After all, residential structure of Gwangju in 1985 represented urbanization stage while residential structure of Gwangju in 2015 represents the urban sprawl stage in urban development stage model.

      • KCI등재

        양형기준에서 일반양형인자의 실효성 검증 및 효율성 제고 방안

        정숙희 대검찰청 2019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2

        Sentencing Council tried to ensure the uniform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sentencing purpose by dividing the sentencing factors qualitatively. The special sentencing factors determine the recommended sentencing range, and the general sentencing factors ar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adjudgment in the recommended sentencing range with other sentencing factors. As such, there have been concerns since the beginning of the implementation of sentencing guidelines since the general sentencing factors do not play an independent role within sentencing guidelines. And now, 10 years after the implementation of sentencing guidelines, it is debated whether the general sentencing factors will be maintained. However, the existence of the general sentencing factor is meaningful in that the sentencing guideline system is unique to Korea, where the grade of sentencing is determined by qualitative division of sentencing factors. The remaining task is to find way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general sentencing factor. First, compliance with sentencing guidelines can be confirmed by noting the judge's intent, but by explicitly stating the reasons for determination of punishment in the sentencing. If an explicit statement is omitted in the sentencing because the general sentencing factor plays an ambiguous role in comparison with the special sentencing factor, the transparency of the sentencing and sentencing process cannot be guaranteed. Efforts should be made to find the general sentencing factors that are mixed with the favorable and unfavorable circumstances, and mitigation of punishment in extenuation of circumstances in the reasons for determination of punishment in the sentencing. Second, in the process of reaching the sentence I suggested a concrete way that the general sentencing factor can be positioned as an active position within the sentencing guidelines rather than the complementary status and passive status of the special sentencing factor. that is, the sentence is determined in the recommended sentencing range by evaluating the general sentencing factors. Of course, in this process, reassessment of the sentencing factors and finding new sentencing factors not included in the sentencing guidelines must be performed concurrently. 양형위원회는 양형인자를 질적으로 구분하여 양형의 목적인 균등성과 적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특별양형인자는 권고영역을 결정하고, 일반양형인자는 다른 양형요소와 함께 권고영역에서 선고형을 결정할 때 고려된다. 이렇듯 일반양형인자가 양형기준 내에서 독자적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양형기준 시행 초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다. 그리고 양형기준 시행 10여년이 지난 현재, 일반양형인자의 존치여부까지 논의의 장에 올라오고 있다. 그러나 양형기준이 양형인자의 질적 구분에 의해 양형의 등급이 정해지는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제도라는 점에서 일반양형인자의 존재가치는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남겨진 과제는 일반양형인자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 일반양형인자가 실무에서 어떻게 고려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판결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거의 모든 판결문에서 일반양형인자에 해당하는 양형요소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양형기준의 적용과정에 누락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마도 일반양형인자의 모호한 역할과 작량감경사유와 내용상 유사점 등이 일반양형인자의 명시적 기재를 생략하게 만드는 것이라 추측해 볼 수 있다. 양형위원회는 양형기준의 높은 준수율을 부각시키고 있다. 양형기준의 준수는 판사의 내심이 아니라 판결문에 양형이유의 명시적 기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반양형인자가 특별양형인자와 비교하여 그 역할이 모호하다고 하여 판결문에 명시적 기재를 누락시켜서는 양형 및 양형과정의 투명성을 담보할 수 없다. 판결문의 양형이유에서 유·불리한 정상 및 작량감경사유에 뒤섞여 있는 일반양형인자를 찾아내어 제자리를 찾아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일반양형인자가 선고형에 이르는 과정에서 특별양형인자와 작량감경사유의 보충적 지위, 소극적 지위가 아닌 양형기준 내에서 적극적 지위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일반양형인자를 평가하여 권고 형량범위에서 선고형을 결정하게 되면 이중평가금지원칙을 준수함과 동시에, 종래 문제시되어 왔던 양형기준의 넓은 형량범위를 통제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이 될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양형인자의 비교 형량을 더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 양형인자의 재평가와 양형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새로운 양형인자의 발굴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현행 양형기준상 양형인자로서의 합의(처벌불원)에 관한 제문제

        김혜정 사법발전재단 2018 사법 Vol.1 No.45

        In 2007, the sentencing guideline system was introduced as part of judicial reform to achiev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sentencing. Since then, some positive change have been made in that regard. Some empirical studies on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sentencing guideline system have been made,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entencing factors. Sentencing factors in sentencing guideline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range of recommended sentence and the specific type of sentence. Therefore, empirical research on sentencing factors is also important and necessary. The most important sentencing factor considered in the sentencing practice is the expression that the victim does not want the offender to be punished based on the settlement of the victim.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sentencing guideline system, a criminal settlement in criminal trials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consideration in sentencing. These criminal settlement are expressed by the declaration, on the victim side, of the expression that the victim does not want the offender to be punished. Therefore are many sentencing factors in the current sentencing guideline, which include the declaration of the victim’s expression of not wanting the offender to be punished. However, these sentencing factors are unstructured and lack in uniformity in sentencing guideline. In addition, a number of different definitions are presented in the same sentencing factor, and the definitions are stated unclear in terms of their specific details. The overlapping of the contens of the sentencing factors may bring about a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double evalu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entencing factors regarding damage recovery. In the past, the judgment on whether to recognize the victim’s expression of not wanting the defendant’s punishment was made based on the defendant's recovery efforts. However, it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ictim's recovery status, and the sincerity of his expression. It is also necessary to systematize the sentencing factors according to the interests infringed upon, and unify the basic definition of the sentencing factors related to damage recovery. A guidance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sentencing factors are not applied redundantly. 양형의 객관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법개혁의 일환으로 2007년 양형기준제도가 도입된 이후, 양형의 객관성 및 신뢰성 확보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양형기준제도의 운영현황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어느 정도 이루어진 반면, 양형인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양형기준에서 양형인자는 권고형량 범위와 구체적인 선고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그에 대한 실증적 연구도 중요하고도 필요하다. 양형실무에서 가장 많이 고려되면서도 논란이 되고 있는 양형인자로 피해자의 합의를 전제로 한 ‘처벌불원’을 들 수 있다. 사실 양형기준제도가 도입되기 전부터 형사재판에서 합의는 양형에서 중요한 고려요소의 하나였다. 이러한 형사합의는 피해자측면에서 처벌불원의 의사표시로 표현된다. 따라서 현행 양형기준에 합의를 바탕으로 한 처벌불원이 대부분의 범죄에 중요한 양형인자로 들어와 있다. 양형기준에는 처벌불원을 포함한 다양한 피해회복 관련 양형인자를 두고 있다. 다만 이러한 양형인자들이 전체 양형기준에서 체계성과 통일성을 갖추고 있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일한 양형인자에 대하여 여러 개의 인자정의가 제시되고 있고, 인자정의의 구체적인 내용에서 명확성이 떨어져 그 판단이 쉽지 않다. 예컨대 “피해회복을 위한 진지한 노력을 하였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하여 상당한 금액을 공탁한 경우”와 “피해회복을 위한 진지한 노력 끝에 합의에 준할 정도의 상당한 금액을 공탁한 경우”를 객관적으로 판단하여 일반양형인자와 특별양형인자로 구분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더욱이 인자정의의 내용이 중복되는 양형인자를 특별양형인자와 일반양형인자에 모두 포함하는 경우, 이중평가금지의 원칙에 반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피해회복 관련 양형인자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먼저 종래 처벌불원에 대한 판단이 피고인의 피해회복 노력을 기준으로 이루어졌다면, 이제는 피해자의 회복정도 및 처벌불원의사의 진정성에 따라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피해회복 관련 양형인자를 그 침해 법익에 따라 특별양형인자와 일반양형인자로 체계화하면서 기본적인 인자정의를 명확하게 통일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피해자가해자 화해를 시도하고 확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양형인자가 중복적으로 적용되지 않도록 지침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쥐와 개의 척수 손상 모델에서 신경영양인자의 변화 및 의미

        송인수,양준영,이준규,주용범,차수민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1

        Study Design : Experimental, prospective study Objectives :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variable factors after an acute spinal cord injury(SCI) in rats and dogs simultaneousl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 No study has examined the variations of several factors in a SCI model in different species. Materials and Methods : In rats, a laminectomy was performed at the T10 level and the injured spinal cord was extracted. In Beagle dogs, the laminectomy level was T10 and T11. The motor function was evaluated using a modified Tarlov’s scale. A RT2 profiler PCR array was used to examine each factor (inflammatory cytokines, factors-related with apoptosis, neurotrophic factors, factors-related with extraceullar matrix). Results : IL-2, TNF, TNFRSF11B increased with time and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species, but TNFSF13B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DNF decreased with time in both species, and GDNF was significantly lower in dogs. NGFβ, CTNF and its receptor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two species. MMP1 increased in both species but MMP7 decreased in rats and increased in dogs with time,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ecies. Conclusion : The change in inflammatory cytokines and extracellular matrix correlates with each factor in the combined patterns. Moreover, during the first week after SCI, inflammatory cytokines, apoptosis, neutrophic factors, and extracellular matrix factors may show a partial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imals, which means that an animal model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articular experimental plan. Key Words : Spinal cord injury, Inflammatory cytokines, Factors-related with apoptosis, Neurotrophic factors, Factors-related with extraceullar matrix 연구방법: 실험적, 전향적 연구목적: 급성 척수 손상 후 다양한 인자의 변화가 쥐와 개에서 어떻게 일어나는 지 동시에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다른 종(種)간의 급성 척수 손상 후 다양한 신경 인자(염증 사이토카인, 세포 사멸과 연관된 인자, 신경영양인자, 세포외 기질과 연관된인자) 들의 변화를 비교하는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 대상 및 방법: 쥐의 10번째 흉추 위치에서 추궁 절제를 시행 후, 인위적 척수 손상을 유발하였고 개에서는 10번째와 11번째 흉추에서 추궁 절제, 척수손상을 유발하였다. 운동학적 평가는 변형된 Tarlov’s scale을 이용하였다. 염증 사이토카인(IL-2, TNF, TNFRSF11B, TNFSF13B), 세포 사멸과 연관된인자(JUN, NFKβ1), 신경영양인자(BDNF, GDNF, NGFβ, NGFRAP1, CNTF, CNTFR), 세포외 기질과 연관된 인자(CSPG2, MMP1, MMP7) 분석에 RT2profiler PCR array를 이용하였다. 결과: IL-2, TNF, TNFRSF11B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두 종간에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으나 TNFSF13B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보였다. BDNF는 두 종 모두 시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고 GDNF는 개에서는 확연히 감소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NGFβ,CNTF와 그 수용체들은 종간의 뚜렷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MMP1은 두 종 모두에서 증가하였으나 MMP7은 쥐에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고 개에서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두 종간에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신경영양인자를 중심으로 염증 사이토카인과 세포외 기질 인자의 변화는 상호 작용하는 것이며, 척수 손상 후 급성기 중 일주일까지 염증, 세포사멸, 신경영양인자, 그리고 세포외 기질의 연구에 실험 동물간에 일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어 향후 실험 계획 중 동물 모델의 선정 자료로 활용할 수있을 것이다. 색인 단어: 척수 손상, 염증 사이토카인, 세포 사멸 인자, 신경영양인자, 세포외 기질 인자약칭 제목: 척수 손상 후의 신경인자들의 변화

      • KCI등재

        인간 황체화과립막세포에서 변형성장인자-α가 인슐린유사성장인자-2와 인슐린유사성장인자 결합단백질-1, 3의 분비 및 표피성장인자 수용체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강은희 ( Eun Hee Kang ),홍석호 ( Seok Ho Hong ),조준식 ( Jun Sik Cho ),김성훈 ( Sung Hoon Kim ),채희동 ( Hee Dong Chae ),김정훈 ( Chung Hoon Kim ),강병문 ( Byung Moon Kang ),남주현 ( Joo Hyun Na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12

        목적 : 변형성장인자-α (transforming growth factor-α, TGF-α)를 인간 난소 황체화과립막세포 (luteinized granulosa cell)에 처리하고 배양하여 TGF-α가 인간 난소 황체화과립막세포의 인슐린유사성장인자-Ⅱ (insulin- like growth factor-Ⅱ, IGF-Ⅱ), 인슐린유사성장인자 결합단백질-1, 3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1, 3, IG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α on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α,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 (IGFBP)-1, and 3 secretion and epidermal growth factor (EGF) receptor expression in cultured hum

      • KCI등재

        살인범죄 양형기준 고찰 - ‘범죄유형화’와 ‘특별양형인자’를 중심으로-

        이재방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홍익법학 Vol.18 No.4

        In the application of sentencing guidelines, decisions of 'offence types' and 'sentencing range' are the most important stages, in which the concrete scope of sentencing range is recommended. This article explores the general principle of 'classification of offences' and avoiding double counting of special sentencing factors in this two stages. Reviewing the application of crimes of Homicide Sentencing Guidelines, the main assertion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considering the fact that 'classification of offences' in sentencing guidelines reflects the degree of 'seriousness of crime', subjective motive criteria might be transformed into the standard of crime seriousness. Subjective factor such as five murder motives could be arranged into the degree of seriousness. The study reviews the validity of offenc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five subjective motives, and possibility of assessment of subjective motive factors in the stage of deciding sentencing ranges. Second, once the offence type decided in the first stage, concrete recommended sentencing range might be determined after considering special sentencing determinant factors. In this stage, the article asserts the need of qualitative evaluation of some special sentencing factors such as 'murder with premeditated' aggravating factor and '(strong) provocation of the victim' mitigating factor. If those special factors in special sentencing determinant are to be balanced equally with other special sentencing factors, characteristic(nature) of murder may not be accurately reflected in sentencing. Thus, qualitative values should be added into those two special sentencing factors. And las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most of the murder cases applicable 'Crimes of homicide sentencing guideline' has been classified into the second type of murder offences, current method of offence classification in sentencing guideline needs to be reconsidered. Current classification of murder offences should be reclassified by adequate objective criteria or the second type of murder offences should be subdivided for differentiating various common murder offences. If the classification of offences in individual sentencing guideline reflects the degree of 'seriousness of crimes', classification of offence is the most important stage in deciding sentencing range. There are no common principle for classification of the offences in individual sentencing guideline. The article maintains as a conclusion that common format and principle of classification of offences in establishing sentencing guidelines be needed not only for the consistency of structures of sentencing guidelines but also avoiding double assessment of 'seriousness of crimes' in the process of considering sentencing factors for recommended sentencing ranges. 양형기준 적용과정에서 ‘범죄유형 결정’ 단계와 ‘형량범위 결정’ 단계는 선고형결정 이전에 권고형량범위가 구체적으로 제시되는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살인범죄의 경우 이 두 단계에 적용될 범죄유형이 어떤 원칙에 의해 결정되었는지, 범죄의 중대성과 관련하여 이 두단계에서 양형인자가 중복적으로 고려될 가능성은 없는지, 형량범위 결정단계에서 질적 가중평가가 되어야 할 특별양형인자는 무엇인지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검토하였다. 첫째, 양형기준에서 제시되는 ‘범죄의 세부유형’은 ‘범죄의 중대성’의 정도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범죄유형 결정단계에서 측정된 살인의 동기요소가, 형량범위 결정단계에서도 고려되어 이중으로 평가될 위험성이 있다. 아울러 살인범죄 양형기준에서 동기에 의한 범죄유형 결정의 타당성 여부, 동기의 해석 및 분류와 관련한 문제를 검토해 보았다. 둘째, 범죄유형이 결정되면, 특별양형인자를 고려하여 구체적 형량범위가 결정되는데, 외국의 입법례와 같은 살인의 유형에 대한 용어상 구분이 없기 때문에 특별양형인자의 가중요소 중 ‘계획적 살인 범행’인자와 감경요소로서 ‘피해자 유발이 강함’ 인자는 가중치를두어 다른 감경인자나 가중인자와 1대 1로 상쇄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살인유형의 특성에따른 범죄의 악성이 적절하게 반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단 ‘피해자 유발’ 인자는 구체적이고 한정적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 셋째, 양형기준 적용 대상 범죄 중 대부분의 살인범죄가 ‘보통 동기 살인’인 제2유형에속하고 있어, 양형기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 양형기준으로서 실효적 분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서는, ‘범행 동기’이외의 새로운 기준을 활용하여 유형을 재분류하든지, 아니면 기존의 제2유형 내에 하위유형을 설정해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양형기준에서 제시된 범죄유형이 ‘범죄의 중대성’ 정도를 반영하는 것이라면, 범죄유형의 분류 기준이 명쾌하게 천명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향후 전체 양형기준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유형 분류 원칙이 필요하다고 본다.

      • KCI등재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위험 인자 및 수술적 치료 후 예후인자

        김환정,정상욱,이규상,박경훈,박건영,권원조,성환일,최원식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4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xplore the risk factor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eurological improvement after operation in th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 cause of the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is unknown. The objective risk and prognostic factors are still controversial.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4, a total of 12 patients with spontaneous epidural hematoma were evaluated. The risk and prognostic factors analyzed were sex, age, underlying diseases, medications, neurologic status, level and extent of hematoma, cord edema, and interval from onset to surger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and neurologic recovery. The neurologic status was analyzed using the American Spinal Injury Association impairment scale (AIS) at the first and the last neurologic examinati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68.6 years. S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ticoagulation therapy, and two were advised to switch to a healthier diet. The initial neurologic status of the patients was AIS A in 2 cases, B in 5 cases, C in 4 cases, D in 1 case, and in two patients, cord edema was reveal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interval of time from onset to surgery was less than 24 hours in 6 cases, 24–48 hours in 4 cases, and more than 48 hours in 2 cases. Conclusions: Th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were found to be initial neurologic status, cord edema on MRI, and interval from onset to surgery. We found no correlation between anticoagulation therapy or healthy diet and spontaneous spinal epidural hematoma, but anticoagulation therapy cannot be excluded as a risk factor.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적: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인자와 예후 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 문헌의 요약: 자발성 척추 경막외 혈종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아직 발생 원인에 대해서 밝혀지지 않았고 이와 관련된 위험 인자와 예후 인자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발생 원인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서 성별, 나이, 기저 질환, 약물 복용 및 건강 보조 식품 복용 여부를 신경학적 증상과 관련된 예후 인자로서 내원 당시의 신경학적 손상 정도, 혈종의 발생 부위, 혈종의 범위, 척수 부종 동반 여부, 초기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에 대해 교차분석을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68.6세였고, 항응고제 복용이 7예, 건강 보조 식품 복용이 2예였다. 초기 신경학적 증상은 AIS A가 2예, B가 5예 C가 4예, D가1예였고, 척수 부종이 2예였다.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은 24시간 이내가 6예, 24~48시간이 4예, 48시간 이상이 2예였다. 결론: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예후 인자로 내원 시 AIS정도, 척수 부종의 유무, 초기 증상 발생 후 수술적 치료까지 걸린 시간이 관련이 있었다. 또한, 자발성 척추 경막 외 혈종의 발생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서 항응고제의 사용과 건강 보조 식품 복용이 통계적 상관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으나 위험인자임은 배제할 수 없다.

      • KCI등재

        유져다이어리를 통한 심박측정 웨어러블 피트니스 트래커 형태인자(Form Factor) 연구

        강동근,정도성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1

        Background of this study is interest in wearable tracker market for start up as well as big company. Wearable deviceis improving heart rate measuring fitness tracker at presen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alysis about what type is the most convenient one among the form factors of heart rate measuring fitness tracker in terms of ergonomics. Methods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we offer a chance to learn the theory about convenience, which is a form factor and ergonomic evaluation criteria, and define form factors of heart rate measuring wearable health care device based on the research data. Secondly, we figured out the definition of the principals to evaluate the convenience of heart rate wearable health care device based on the research papers available thus far, and current ways of using heart rate measuring wearable health care devices and design elements through FGI (focus group interview). Thirdly, we performed a user-dairy based on the extracted way of use for the heart rate measuring wearable health care device and design elements based of way of usage. form factor by type weigh up the pros and cons via user-dairy. This study show heart rate measuring fitness tracker direction. As a result, we found that form factors are classified based on the location of heart rate measuring sensor, and we were able to divide it into 3 form factors. we found 7 Evaluation Elements by literature investigation, FGI. We analyze the ways of usage of 3 type form factor to be important that Engage and disengage of the equipment, pairing, exercise, daily life. People feel comfortable wear wrist type and feel uncomfortable wear chest type by user-dairy. Wear wrist type is becoming the most popular the form factors of heart rate measuring fitness tracker. However, they seems to need to improve for more effectiv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the way of leangth fixation type and high-dense type. 본 연구의 배경은 웨어러블 트래커 시장이 대기업 뿐만 아니라 스타트 업기업들까지 관심을 받는 분야이다. 현재 웨어러블 기기는 심박측정센서를 내장한 제품으로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목적은 인간공학적 측면에서 심박측정 웨어러블 피트니스 트래커의 형태인자(form factor)들 중 어떤 유형이 가장 편리한가에 대한 분석 내용을 유저다이어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논문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로 형태인자(form factor)와 사용편의성의 평가요소인 사용편의성에 대한 이론을 습득하고, 자료조사를 바탕으로 심박측정 웨어러블 헬스 케어 기기의 형태인자(form factor)를 정의하였다. 둘째, 현재까지 연구되어진 문헌들은 토대로 심박측정 웨어러블 헬스 케어 기기 사용편의성을 평가하기 위한 원칙에 대한 정의와 심박측정 웨어러블 헬스 케어 기기의 사용행태, 디자인 요소들 FGI (focus group interview), 심층면접조사를 통하여 도출하였다. 셋째, 추출된 심박측정 웨어러블 헬스 케어 기기 사용원칙과 사용행태 디자인 요소들을 바탕으로 유져다이어리를 시행하였다. 유저다이어리를 통하여 사용에 있어서 형태인자(form factor)의 유형별로 장단점을 얻는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심박측정 웨어러블 피트니스 트래커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본연구의 결론은 출시한 제품을 분석한 결과 심박측정 센서의 위치에 따라 형태인자(form factor)가 분류되는 것을 알았으며 총 3가지 형태인자(form factor)로 나눌 수 있었다. 그리고 문헌조사와 FGI를 통해 7가지의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3가지 형태인자(form factor)의 사용행태를 분석하여 장비 착용 및 탈착, 페어링, 착용 후 운동 (걷기, 달리기, 자전거타기), 일상생활이 중요하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유저다이어리를 통해 손목착용형에서 가장 편안함을 느꼈고, 가슴착용형이 가장 불편함을 느꼈다. 연구의 결론은 앞으로도 손목착용형이 가장 대중적인 제품으로 인정받을 것이다. 그렇지만 길이 고정하는 방식과 높은 강도에서 보다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사용성 향상을 위한 개선의 필요성이 보였다.

      • KCI등재

        주취감경(酒醉減輕)의 형법적 문제와 양형기준 합리화

        김한균 대검찰청 2018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61

        This essay aims to review the issue of alcohol intoxication and crimes in the area of criminal responsibility and sentencing. So called ‘common sense of the people’ demands re-evaluation of intoxication as mitigating factor in sentencing. The issue of criminals under alcoholism, as not only legal issues but also socio-economic issues, needs more evidence-based criminal justice policies and more rational sentencing policies. Sentencing guidelines of 2018 recognize intoxication with his/her own responsibility as general-offender-mitigating factor, and intoxication without his/her own responsibility as special-offender-mitigating factor. Sentencing guideline on sex crimes provides its own special guidance on sex crimes under the influence of voluntary alcohol intoxication : intentional intoxication to commit sex crime will be evaluated as aggravating factor, and some habitual intoxication may not be evaluated as mitigating factors. The author proposes that such negative sentencing factor can be a way of implementing special policy concerns against problems of alcohol and violent crimes. Medicalization of ordinary emotional status, such as depression or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also can be negative sentencing factor which should not be evaluated as mitigating factor. Further to the introduction of negative sentencing factors into the current framework of sentencing guidelines, ‘prolonged murderous attack of utmost ferocity’ as the results of violent crime under intoxication should be added as general-criminal act-aggravating factor. Such elaboration of sentencing guidelines and sentencing factors will promote public confidence in criminal courts. 한국사회에서 음주와 범죄에 관대해서는 더 이상 아니 된다는 판단 변화에 대해서 형사법개정에 앞서 형사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 ‘국민의 건전한 상식’을 반영함으로써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공정하고 객관적인 양형을 위한 양형기준 개선도 살펴봐야 한다. 다만, 음주의 습벽 안에서 범죄로 나아가는 현실 맥락도 함께 고려해야 주취감경을 포함한 형사입법과 양형정책의 방향과 내용이 합리적으로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양형위원회는 주취감경과 같은 사회적 현안에 주목하고 기존 양형기준을 적정한 양형, 상식을 반영하는 양형, 과학적 양형의 방향으로 정교화할 필요가 있다. 현행 38개 양형기준에서 주취는 본인 책임 있는 심신미약에 해당하기 때문에 일반-행위자인자로서 감경요소다. 특별히 성범죄의 경우 만취상태를 일반가중인자로 반영하거나, 소극적으로 감경인자로 반영하지 않도록 특별한 기준이 부가되어 있다. 본인 책임 있는 심신미약으로서 뿐만 아니라 특정범죄유형에서만큼은 주취상태를 일반감경인자로서 반영할 여지를 열어 두지 않겠다는 양형정책적 판단을 양형기준에서 관철하려면 양형기준에서 고려하지 말아야 할 소극적 양형인자도 필요하다. 만취로 인해 타인에 해악을 끼칠 소질의 범행발현과 만취하였으나 심신미약에 이르지 않은 상태에서의 범행을 각각 소극양형인자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정신장애증상 중 과잉진단이 문제되는 경우는 과학적 증거가 충분히 확보될 때까지 감경요소로 인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양형인자는 국민의 양형에 대한 인식과 양형정책적 고려에 기해 설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취로 인한 심신미약(본인 책임 있음)상태에서 치명적인 공격행위를 지속하여 잔혹한 결과를 야기할 경우 일반-행위인자의 가중요소로서 도입도 검토해 볼 수 있다. 이같은 양형인자 합리화는 양형과 양형기준의 합리성을 높이고 형사사법에 대한 국민신뢰 또한 높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