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텃밭 가꾸기 교사 연수의 방향성 탐색

        이보람,김기대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교사교육연구 Vol.5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ientation of gardening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cusing on biodiversity, and how to activate the diversity of gardening with native plants in the school garden. There were a total of nine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ing high-career teachers with experience in training, young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appointment,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jor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the data being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and analysis of existing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current status of training courses related to garde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need for training accordingly. Biodiversity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rare even after environment education training. Gardening was included as a small portion of this training with the main focus being on gardening skills. Since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ust distributed basic knowledge and concepts about biodiversity throughout many subjects, it is difficult to emphasize biodiversity without teacher intention and professional knowledg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nhance teacher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rofessionalism which can be achieved by expanding the gardening trai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training teachers in gardening has great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erms of urban biodiversity and ecological well-being, gardens are a great place to provide environmental education such as sustainability and biodivers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here environmental education is not a separate subject. Gardening education can be a good mea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uld also be linked to promoting and educating students of mental health and well-being. Third, the direction of the training for the garden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centered on environmental education was explored. It was hoped that the purpose of the training, improvement of the contents system and training method, implementation of the training materials,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the training policy, and the basic data of the gardening training program centered on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uld b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t is not too much to repea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several times, but at present, environmental education training is extremely insufficient compared to its necessity. Additionally, the current school gardening training is emphasized in the technical aspect of gardening, and now it is time to change the focus. It can be a very appropriate means to cultivate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rather than simply focusing on knowledge of the environment. If we provi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ithfully with the training of gardening centered on environmental education, we will be able to provide environment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very effectively.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대상의 학교 텃밭 가꾸기 연수의 주안점을 생물다양성 교육 중심으로 하기 위하여, 텃밭 가꾸기 연수 활동을 텃밭에 자라는 토종 식물을 이용한 생물다양성 교육으로 방향 전환을 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집단은 연수에 경험이 많은 교사, 발령 5년차 이내의 교사, 환경교육 전공의 초등교사 등, 총 9명이었으며, 자료는 면담 및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 대상 생물다양성 및 텃밭 관련 연수의 현황을 알아본 결과 생물다양성 교육 연수는 거의 없었으며, 텃밭 가꾸기 연수는 비교적 실시되었으나 연구 내용이 텃밭을 가꾸는 원예 기술에 집중되어 있으며, 생물다양성 교육에 관련된 연수는 없었다. 특히, 초등학교 과정에서 생물다양성에 대한 기본 지식과 개념들이 여러 교과에 분산되어 있어 교사의 전문성 제고와 환경 감수성 신장을 위해 텃밭 가꾸기 활동을 이용한 생물다양성 교육 연수가 꼭 필요하다. 둘째, 환경교육 교과목이나 시간이 정해지지 않은 초등학교에서 텃밭 가꾸기 활동은 매우 효과적으로 지속가능한 교육을 할 수 있으며, 생물다양성 교육 활동을 위한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셋째, 현재 실시하는 학교 텃밭 가꾸기 연수에서 정원 가꾸기와 관련된 기술적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 것을 텃밭에 자라는 토종 식물의 다양성에 대한 내용으로 전환하면, 초등교사 대상 생물다양성 교육을 중심으로 한 텃밭 가꾸기 연수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 고찰: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이유미(Lee, You-me),안지혜(Ahn, Jee-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유․초 연계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러한 인식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에 대 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초등학교 간 역할동일성은 낮고, 유․초 연계교육 필요성은 높으며 연계교육이 필요한 이유로 아동의 심리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함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유․초 연계교육 운영에 대해 다 소 부정적이며, 자신의 초등교육과정 이해 정도는 낮다고 인식하였다. 그러나 초등교육과정 이해 효과에 대한 인식이 높아, 유․초 연계 관련 교과목 개설 시, 수강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초 연계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으로는 ‘수업 참관을 통한 상대 기관의 교육과정 운영 이해’를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초 연계교육을 위한 유아교사 역할 인식은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이며, 하위요인 별로 살펴보면 사회정서지원, 부모와의 협력, 기본생활습관지도, 교수계획, 학습능력향상 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라 살펴본 결과, 유․초 연계교육의 필요성, 초등교육과정 이해 효과, 유․초연계 교과목 수강 의사 및 교수계획을 제외한 유아교사의 모든 하위역할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초 연계교육 운영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nd analyze if these perceptions differ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pre-service teachers teacher efficacy. The 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mostly believed that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have different roles, but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need to be continuous mostly to lessen children’s psychological burden. Also, they thought that linked education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s currently not operated properly and they have littl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But they thought that better understanding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s would be positive fo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and they were highly motivated to learn about the courses on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For the improvement of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hey preferred observation of classe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urriculums. Secon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ro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s high and the subfactor s level were appeared in order of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cooperation with parents, guides for basic daily habits, teaching plans, and improvement of learning abiliti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needs fo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he effectiveness of understanding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desire to take courses on continuity, and overall level of perception of roll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plan was proposed for the operation of continuity education between the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국가관과 관련된 사회과 정치교육의 지향성 탐색

        이수룡(Lee, Su-Ryo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2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형성·변화된 국가관이란 무엇인가의 물음을 제기하고, 이와 관련하여 그들이 학교 현장에서 실천할 사회과 정치교육의 지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65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그들의 국가관 형성·변화요인을 맥락적으로 탐색하고, 국가관이 적용될 사회과 수업의 양상을 예상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국가상징에 대한 학습경험과 주변인들과의 관계 맺음을 통한 일상생활 경험, 그리고 국가의 구성요소, 역할, 정치·경제·문화현상 이해에 대한 학교교육 학습경험을 통해 국가관을 형성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국가의 위상, 치안, 정책영역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국가관을 강화하고, 국가의 정치적 역할에 대한 실망, 정치인의 부정부패, 한국인의 낮은 시민성, 역사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사실을 확인하였을 때 부정적인 국가관으로 전환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국가의 존재와 역할에 대한 신념을 내세우는 사회과 수업, 초등학생의 국가관 선택을 존중하는 사회과 수업, 교사의 국가관과 여러 관점의 국가관을 중립적으로 제시하는 사회과 수업, 초등학생의 국가에 대한 자유로운 표현을 통한 토론활동 중심의 사회과 수업을 구상하였다. 이에 예비교사들은 국가에 대한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스스로 탐구할 수 있는 학습의 기회가 필요하며, 초등학생들의 국가관 학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의 민주시민성 교육을 위해 교사는 다양한 관점을 통해 국가를 파악할 수 있고, 초등학생들의 새로운 사회공동체 역량 형성에 기반이 될 수 있는 국가관 형성의 사회과 수업 설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what the formed and changed a view of the nation is through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with regard to the view of the nation, the purpose was to explore the orientation of politic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practice at schools. This study used unstructured questionnaires with 65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is study explored the formation and change factors of a view of the n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ontext and predicted the pattern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to which a view of the nation will be appl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med a view of the nation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daily life through learning about national symbols and form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them.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med a view of the nation through their experience in learning school education on understanding the components, roles,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phenomena of the nation.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rengthened a positive a view of the nation through direct experience in the status, security, and policy areas of the nation.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anged to negative a view of the nation when they confirmed their disappointment in the nation’s political role, corrupt politicians, low citizenship of the Koreans and failure to resolve historical issues. Thir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visioned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at espoused beliefs about the existence and role of the n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oriented social studies instructi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at present a neutral view of the n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social studies instruction on countries centered on debating activitie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a learning opportunity to explore the causes that affect teachers’ roles in education about the nation. And various efforts are required to raise teachers’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of the view of the n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s should grasp the nation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st think about designing social studies instruction to form a view of the nation that can serve as a basis for the formation of new social community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초등교사의 미각교육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지도능력 및 교육요구도

        이경애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teaching ability and educational needs of sensory education. A survey of 235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B metropolitan city was conducted from the second week of April to the first week of May, 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not aware of sensory education well, and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the fact that sensory education was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it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nly 20% of them were interested in sensory education, and male teachers were less interested in it than fe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less than 2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were less interested in than those with more than 20 years. Only 15.4% of them were confident about senso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teachers with lower educational experience were less confident. More than 50% of them responded that the most necessary thing in applying sensory education to Practical Arts was practice materials and tools for sensory education. 85.5% of them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a sensory education training.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senso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adequacy of the introduction into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was 4 points for female teachers, and 3.5 to 3.6 points for male teachers. The perception was lower in teachers with less than 2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than those with more than 20 years. The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sensory education was relatively high, with most of 12 items being 4 points or more.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valued each sensory learning element of elementary school more importantly, and female teachers gave more importance perception on them than the male teachers. Their teaching ability on sensory learning elements was 3.45 ~ 3.61 points on average, which was not high. Fourth, they have educational needs for all sensory learning elements, and female teachers showed to have higher needs than male teachers. The ranking of educational needs for each sensory learning elements differed between male and female teacher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have a sensory edu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 particular, more education is needed for 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less than 2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in order to properly apply sensory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lessons.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미각교육에 대한 인지, 중요도 인식, 지도능력 및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고자 B광역시 초등학교 소속 초등교사 235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2째주 부터 5월 첫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미각교육에 대해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특히 2015년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미각교육이 도입된 사실과 그 내용 및 방법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가 높지 않았다. 초등학교 미각교육에 대해 관심이 높은 초등교사는 약 20%에 불과했고,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교육경력 20년 미만인 교사가 20년 이상인 교사보다 관심이 낮았다. 초등학교 미각교육에 대해 자신이 있는 초등교사는 단지 15.4%에 불과하였고, 교육경력이 낮은 교사가 자신감이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의 50% 이상이 실과에 미각교육을 적용할 때 가장 필요한 것은 미각교육 실습준비물이라고 응답하였고, 미각교육 연수에 조금이라도 참여의사가 있는 초등교사는 85.5%이었다. 둘째, 초등학교 미각교육의 필요성이나 초등 실과에의 도입 적정성에 대한 인식은 여교사는 4점 정도인데 반해 남교사는 3.5~3.6점 정도로 낮았으며, 교육경력이 20년 미만인 교사가 20년 이상인 교사보다 낮았다. 미각교육 효과에 대한 인식은 12개 항목 대부분 4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초등학교 미각교육의 각 학습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초등교사들의 초등학교 미각교육 학습요소에 대한 지도능력은 전체 평균 3.45~3.61점으로 높지 않았다. 넷째, 초등교사들은 미각교육의 모든 학습요소들에 대해 교육요구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미각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더 높았다. 미각교육의 각 학습요소에 대한 교육요구도 순위는 남녀 교사간에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초등 실과에 미각교육이 제대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초등교사 대상의 미각교육 연수가 필요하며, 특히 남교사와 교육경력이 20년 미만인 교사 대상의 교육이 더 필요하다.

      • KCI등재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정창희,손정우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科學敎育硏究誌 Vol.47 No.2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서 초등교사들이 과학 수업을 준비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각론은 중요하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는 데 시사점을 얻기 위해서는 지도서 각론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와 디자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여 초등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초등교사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별 필요성, 만족도와 활용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지도서 각론의 구성 요소와 디자인 등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수업 준비와 진행에 도움이 되는 구성 요소들에 대해 초등교사들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수업에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배치와 가독성 높은 디자인 구성을 원하였다. 결론적으로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각론은 과학 교수·학습에 필요한 수업 준비, 수업 흐름, 교수·학습 자료 등을 한눈에 파악하고, 가독성 높게 구성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초등교사들이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교과용도서가 될 수 있게 새로운 접근과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In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the guide in details that can help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difficulties when preparing and conducting science classes are essential. To gain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e in detail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by analyzing the components and design of a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in details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this purpose, we first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ir needs, satisfaction, and the utiliz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current guide in details. Next, we investigated teachers' needs regarding the specific components and design of a guid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delighted with the components that help them prepare and conduct lessons.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nted an easy-to-read design with a layout that allowed them to see the components they needed for their lessons at a glance. In conclusion,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 in details to be readable and organized to provide at-a-glance information on lesson preparation, lesson flow,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needed for science teaching-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new approaches and attempts should be made to develop a textbook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utilize in the future.

      • KCI등재

        초・중등교사 직무스트레스 연구동향 분석

        한혜정,유기웅 안암교육학회 2022 한국교육학연구 Vol.28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trend of job stress researc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by analyzing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 for 10 year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job stress researc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78 studies on job stres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conducted from 2012 to 2021, and the contents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published year, published journal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related variables. First, the study on job stres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as conducted steadily from 2012. Second, studies were conducted in various journals, and thir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the most common subjects, and among them, there were many studies on general middle school teachers. Fourth, the study on the factors that job stress affects in relation to research topics was the most dominant, and the theme related to burnout, which is an emotional factor, was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Fifth, most of the job stress stud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conducted quantitatively, and other research methods were not used frequently. Fifth, most of the job stress studi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conducted quantitatively, and other research methods were not used frequently. Sixth, as for related variables, there were many personal emotional factors and job-related job attitude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study on job stres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on teachers who experience job stres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job stres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reduce the job stress of teachers by identifying the cause of job stress and solving it.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subjects of education such a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Fifth, the study on factors that can reduce or defend teacher job stress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Six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ing programs and treatment programs to relieve job stres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provide them to teachers. In the follow-up study, it is suggested that qualitative research should be utilized, accurate survey of teachers who are experiencing job stress should be conducted, and the potential type of job stress should be identified.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10년 동안 발간된 학술 논문을 분석하여 초・중등교사 직무스트레스 연구 동향을 탐색하고 초・중등교사 직무스트레스 연구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 논문 중 초・중등교사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 총 78편을 대상으로 게재년도, 게재 학술지,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관련 변인을 분석의 틀로 하여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중등교사 직무스트레스 연구는 2012년을 기점으로 꾸준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다양한 학술지에서 연구가 수행되고 있었고, 셋째, 연구대상으로는 중등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서도 일반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주제와 관련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가장 우세하였으며, 정서 요인인 소진과 관련된 주제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다섯째, 초・중등교사 직무스트레스 연구는 대부분 양적 연구로 이루어졌고, 그 외 연구방법은 자주 활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련 변인으로는 개인 관련 정서요인과 업무 관련 직무태도가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향후에도 초・중등교사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초・중등 일반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다른 특징을 가진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의 원인을 밝혀내고 이를 해결하여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경감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 학생, 학부모 등 교육의 주체를 통합적인 시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교사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거나 방어해줄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초・중등교사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는 치유 프로그램, 처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들에게 제공해야 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를 활용할 필요가 있고, 직무스트레스를 겪고 있는 교사에 대한 정확한 실태조사를 해야 하며, 잠재된 교사 직무스트레스 유형을 밝혀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초교사와 교대출신 교사의 교직수행 특성 비교 연구

        이광현 ( Lee Kwanghyun ),권용재 ( Kwon Yongjae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연구논총 Vol.41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양성과정출신에 따른 내적동기, 교사효능감, 교직소명감, 전문직 교직관, 교사만족도, 교사 간 협력 등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2011년도와 2014년도 한국교육개발원의 초등학교 수준 및 실태분석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중다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성별, 경력, 학교규모 등 제반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 중초교사, 즉 중등출신 초등교사가 교대출신 초등교사보다 교직선택에 있어서 내적 동기가 더 높았으며 교직소명감, 교직관, 만족도 등에서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사 간 협력의 경우 교대출신이 중초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교사 간의 협력 부분을 제외하고는 교직 소명감, 전문적 교직관, 내적동기 등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역량에서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성별, 연령, 경력, 학교규모 등 제반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 중초교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목적형 양성체제로서 교직관과 소명감이 높아야 할 교대출신 초등교사가 중등출신 초등교사보다 더 낮다는 점은 현재 교대의 학생선발과 양성과정에서 여러 고민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Analyzing data ranging from 2011 and 2014 in ‘Analysis on the Level of School Education and Its Actual Status of Korean Schools : Elementary School’ provided by th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we investigated whether academic backgroun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ffect teachers’ intrinsic motivation, teacher efficacy, sense of calling to teaching, views of teaching as a profession, teacher satisfaction and cooperation among teachers. Using explanatory variables with gender, experience years and school size being controlled for, we ran multiple regressions and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a secondary school teacher license showed higher or better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sense of calling to teaching, views of teaching as a profession and teacher satisfaction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with education. However, the level of cooperation among teachers was higher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graduated as education majors than in those with a secondary school teacher license or those who graduated from tempor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or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In summary, we could not find evidence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a secondary school teacher license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do not have th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finding demonstrates that current admissions and education systems for education programs in universities in order to recruit elementary teachers may not be effective.

      • KCI등재

        초등학교 입학연령 하향화 안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형숙,김설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1

        Korean Government proposed looking downward the elementary school entering age from 6 to 5 in November 25, 2009. The government officials stated that the proposal of looking downward the elementary school entering age would help increase birthrate in Korea. It is necessary to review in the educational perspective if the policy of looking downward the elementary school entering age would help increase the birthrate. In this point,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w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the proposal. They can determine very well if 5-year-olds are capable to adapt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y have practical knowledge and experiences with young children. To ascerta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notions of the proposed looking down- ward elementary school entering age, a total of 931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nationwide were surveyed and 11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d that most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were surveyed in this study were against looking downward the elementary school entering age from 5 to 6. They think that the 5-year-olds are not developmentally ready. The also think that elementary teachers and schools are not prepared to teach them in good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low teaching-efficacy for young children because they didn't learn how to teach young children properly and 5-year-olds were too young to learn the academics in elementary school.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clude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nt not to change school entering age. They proposed that government should provide more quality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young children in the contex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implies that Korean government should cancel the proposal of looking downward the school entering age and provide more financial and educational support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3 to 5 year-olds. 본 연구는 2009년 11월25일 미래기획위원회에서 저출산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발표한 초등학교 입학연령을 만 5세로 하향화하려는 정책안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해 초등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국의 초등 현직교사 9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가운데 1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교사들은 만 5세 취학안에 대해 대다수가 만 5세아의 발달적 부적합, 초등 교사의 교육능력 부족 및 환경의 부적합성을 근거로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또한 만 5세 취학안이 정부의 기대와 달리 저출산에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초등교사의 관점에서 초등학교 취학연령 하향화 방안은 철회되어야 하며, 선진국의 방향과 같이 유아교육체제를 더욱 공고히하고 지원을 늘여나가는 것으로 저출산에 대응하는 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 특성 비교분석

        최진성 ( Jin Seong Choi ),신진숙 ( Jin Sook Shin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초등학교 특수교사가 보이는 회복탄력성의 전반적인 특징을 알아보고, 인구사회학적인 변인에 따라 회복탄력성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이 두 집단에서 보이는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경상남도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일반교사 398명과 특수교사 2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Reivich와 Shatte(2003)의 회복탄력성 지수검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일반교사의 회복탄력성은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하위요인은 공감능력이며, 다음으로 충동통제력, 정서조절력, 원인분석력, 낙관성, 자기효능감, 적극적도전성 순이었다. 그리고 일반교사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인-결혼여부, 성별, 학력, 연령, 교직경력,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학교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은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인 하위요인은 공감능력이며, 다음으로 충동통제력, 원인분석력, 정서조절력, 자기효능감, 낙관성, 적극적도전성 순이었다. 그리고 초등학교 특수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학력, 연령, 교직경력,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회복탄력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overall aspect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 teachers``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variables. Moreov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ilience and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The subject s of this study were 398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259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Gyeongnam regional. The research tool utilized was RQT(Resilience Quotient Test) developed by Reivich and Shatte(2003).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ilience scores (total and subordinate factors) was above averag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highest score was empathy, followed by impulse control, emotion regulation, casual analysis, optimism, self-efficacy, reaching out. An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marriage, sex, education level, age, teaching career, working posi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ilience total and each of the subordinate factors. Second, the means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scores (total and subordinate factors) was above average. In terms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e highest score was empathy, followed by impulse control, casual analysis, emotion regulation, self-efficacy, optimism, reaching out. An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ex, education level, age, teaching career, working posi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total and each of the subordinate factors. Thir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 탐색

        고재천(Ko Jae Ch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지 각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는 어떠한가이다. 이를 위해 K광역시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학급담임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개념 도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은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을 교사-학생과 지도- 지원의 두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은 4개의 군집으로 나타났으며,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의욕과 능력 부족, 학부모의 관심 저조, 교사의 열의 부족 및 지도여건 미비, 학교의 지원체제 미흡이었다. 셋째,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4개 군집별 중요도 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았으나, 교사의 열의 부족과 지도여건의 미비 요인과 학교의 지원체제 미흡 요인보다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의욕과 능력 부족 요인과 학부모의 관심 저조 요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이 인식한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은 학습부진학생 자신인 학 생, 학부모, 교사, 그리고 학교의 요인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 학교 학급담임 교사들은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교사 요인과 학교 요인보다는 학습자 요인과 학부모 요인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이 연구가 초등학교 학급담임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부진학생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개 념적 구조를 밝혀 줌으로써 학습부진학생 지도 관련 이론의 정립과 이와 관련된 정 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using concept mapping methods.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the conceptional structures are and what importance of the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are. This study analyzed data taken from interviews with 15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in tw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s a result, 45 final statements were extracted and 15 participants classified and rated them. The method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ere employed to estimate and categorize the dimensions and factors of stat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recognized this difficulties as ‘teacher-student dimension and ’instruction-support dimension. Secon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were recognized in four clusters: lack of motivation and ability of underachievers, poor attention of parents, lack of teacher’s passion and instructional conditions, and lack of support systems in school. Third,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difficulties of ‘lack of motivation and ability of underachievers’ and ‘poor attention of parents’ were highly appreciat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perceived four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were related with factors such as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schools.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eachers were more highly important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and parents factors than other factors of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last, this study will provide appropriate basic data to identify the conceptual structures of the difficulties instructing underachiev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