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지말기 지배담론과 국민문학론

        이원동(Lee Won-dong) 우리말글학회 2008 우리말 글 Vol.44 No.-

        This paper is aimed at analyzing a relationship of a dominant discourse and subordinate discourse at the end of the colonial era. So far, discourse of kukminmunhak(國民文學) imitated and differentiated from a dominant discourse, but this paper insist that discourse of kukminmunhak reproduced the dominant discourse. The reason is as follows. Firstly, the subject from discourse of kukminmunhak, the subordinate subject, was without a clack. In other words, the subject of discourse was not de-constructive. The subordinate subject had a clear ambition as the imperial-subject, and realized the meaning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Pacific War. Secondly, the discourse of kukminmunkak was estranged from the realty. In this discourse, korean imagined the subject as the role of the world of history. But Actually, korean was the object of the mobilization order for imperialistic war. The covering up the gap between discourse and reality was possible, by virtu of the imagination that the editors of kukminmunhak. They thought that korean farmer was the representation of korea.

      • KCI등재

        담론의 균열과 지식인의 위치

        이상옥(Lee, Sang-ok)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7 No.-

        이 글은 식민지말기 제국 담론의 균열에 관한 새로운 접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논의에서는 대개 지배 담론을 모방, 반복/확대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균열의 흔적들을 제국 담론의 본질적 한계로 해석하고는 한다. 하지만 균열의 문제는 그리 단순하지 않다. 왜냐하면 중일전쟁(1937.7)에서 태평양전쟁(1941.12)으로 이어지는 식민지말기의 전시상황에서, 제국 담론 균열은 제국/식민지 담론공간이 생성되는 기원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주지하듯이 중일전쟁의 고착화/장기화로 인해 제국 일본은 전시체제의 구축을 위해 식민지 조선과의 관계를 재정립한다. 흔히 황국신민화 정책이라 일컬어지는, 황국신민의 서사 제정, 조선교육령 개정, 육군지원병제도 실시, 국어(일본어) 전용, 창씨개명 등 식민지 조선(인)의 적극적인 전시협력/전쟁동원을 요구/명령하기 위한 일련의 제도적 장치들은 그 구체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제는 원활한 전시협력/전쟁동원을 요구/명령하기 위해 식민지 조선을 제국의 경계 내부로 포섭/포획하려고 하면서도 제국의 지위를 그대로 유지하고자 했던 식민 지배 권력의 이율배반성이다. 이로 인해 “국책담론”은 일관성이나 구체성을 가지기 어려웠고, 담론적 이상과 현실 사이의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동안 이와 같은 균열의 흔적들은 제국 담론의 불완전성/비완결성을 증명하는 근거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식민지말기 전시국가 총동원(총력전)체제 구축을 위해 만들어진 다양한 국책담론들은 애초부터 완결되지 않은 상태로 식민지에 던져진 것이었고, 당연히 조선의 현실에 적용되었을 때에도 다양한 문제점이 표면화될 수밖에 없었다. 그렇지만 피식민지인의 적극적인 전시협력이 “필수불가결한” 사항으로 부각된 식민지말기의 상황에서 그러한 담론의 균열은 어떻게든 봉합되어야만 하는 것이었다. 조선의 지식인들이 제국/식민지 담론공간으로 호명된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었다. 그리고 “서구 근대의 파국”으로 상징되는 세계사적 정세를 바탕으로 “근대의 초극”이라는 일본의 탈근대적 이상을 새로운 시대의 패러다임으로 받아들였던 식민지 조선의 친일파시즘 지식인들은 “국책담론”에서 나타나는 균열을 봉합하는 “지식인의 책무”를 수행함으로써 자신들의 지적 담론공간과 위치를 창출할 수 있었다. 이렇게 볼 때, 식민지 지식인들은 제국 담론의 균열 속에 존재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plain the crack of colonial discourse in the late colonial era. Existing discussions interpreted as inherently limits of colonial discourse, imita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and the cracks that appear in the process. However, the problem of crack is not so simple. Because, in the situation of the late colonial period, leading to the Sino-Japanese war in the Pacific War, the crack of colonial discourse is the origin that forming the space of empire/colonial discourses and discourse system of interpellation and response. Since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mperial Japanese is Redefining the relations with Colonial Korea to build a system of war. But the problem is contradictions of dominant power that subsumed to the colony inside the boundaries of the empire, but wanted to retain the status of the empire. As a result, the cracks between the discursive ideal and the reality will occur. Meanwhile, signs of cracks has been used as evidence to prove the imperfection of the dominant discourse. But the dominant discourse was thrown into the colony as a non-completion status. That"s why they called intellectuals of this colonial korea. Based on the world-historical situation, chosun intellectuals that embraced it as a new paradigm Japan"s postmodern ideal, has created a discourse space and intellectual position through the stitching of cracks appearing in the national discourse.

      • KCI등재

        법의 지배에 관한 연구

        한상수 한국법철학회 2009 법철학연구 Vol.12 No.1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ule of law in the viewpoint of discourse theory. Discourse is language as social practice determined by social structures. Actual discourse is determined by socially constituted orders of discourse. Orders of discourse are ideologically shaped by power relations in social institutions and in society as a whole. Discourse has effects on social structures and contributes to social continuity and social change. Legal discourse is a special type of discourse which operates in the realm of law. Legal discourse as a kind of official discourse has defining and regulatory effects on other social discourses and practices: that is, legal discourse has the effects of incorporating and excluding other social discourses and practices. Rule of law discourse is a type of legal discourse. Rule of law discourse has many dimensions: rule of law as general discourse, rule of law as interdiscourse and intradiscourse, rule of law as counter discourse and dominant discourse, rule of law as means discourse and end discourse. Through the discursive investigation of the rule of law, we can understand many aspects of the rule of law such as formal legality and substantive legality, rule by law and rule of law, rule of law and rule of reason etc. But further study of discourse theory is needed to clarify the meanings of the rule of law.

      • KCI등재

        초등 체육 수업에 대한 지배 담론으로서 게임 중심 수업 : 그것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 조건들의 체계

        정호진(Chung, Ho 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싱가포르의 각급 초등학교에서는 싱가포르 교육부에서 배포된 국가 수준 체육과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체육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싱가포르의 초등 체육 수업에 대한 지배 담론은 게임 중심 수업이다. 싱가포르 교육부는 2002년 이후 초등 체육 수업을 신체 단련이 강조되었던 전통적 체육 수업에서 좀 더 체계적인 교육학적 요소들이 포함된 게임 중심 수업으로 전환해왔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초등 체육 수업에 대한 지배 담론으로서 게임 중심 수업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 조건들의 체계를 드러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2016년 5월 23일부터 2017년 12월 20일까지 문헌 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문헌 분석의 절차에 기초하여 자료를 분류하였고, 분류된 자료들은 푸코의 고고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푸코는 그의 책 지식의 고고학에서 어떤한 담론이 형성되면 그것들의 형성에 기여하는 보이지 않는 조건들의 체계가 존재한다고 강조하였다. 고고학적 분석은 무슨 조건에서 어떤 담론이 발생했는지에 대한 구조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그것은 주체의 지위, 제도적 정위, 그리고 사회적 상황과 같이 분명한 세 가지 요소를 통해 파악된다. 이 연구에서 주체의 지위는 담론의 발화자로서 합법적 자격을 부여 받은 초등학생들이라는 신분이고, 제도적 장소는 담론이 생산되는 곳으로서 초등학교이며, 사회적 상황은 초등학생들이 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세대로서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Singapore primary schools conduct their PE classes based on the Physical Education(PE) syllabus which is gui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in Singapore. The Games Concept Approach(GCA) is at the centre of discourse of Singapore primary school PE. Since 2002, MOE has put a large amount of efforts to shift the primary school PE from a traditional and physical-training focused approach to the GCA which has more structured pedagogical elements. This study aims to disclose possible conditions to the formation of the GCA as a dominant discours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documents from May 23, 2016 to December 20, 2017 and categorised based on the document analysis procedures. An archaeological analysis approach was employed to analyse the classified data. Foucault emphasises in his book “The Archaeology of Knowledge and the Discourse on Language” that there is a system of possible conditions that contributes to formation of discourse in order for discourse to be formed. The archaeological analysis approach is useful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possible conditions to discourse. It can be found based on the three distinct elements: the status of subject, the institutional site and the social situa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status of subject in this study is the primary school students who are qualified as a speaker of discourse; the institutional site is the primary school where the discourse gets created; the social situation is that primary school students are deemed a future generation for the substantial development of the country.

      • KCI등재

        『조선국민문학집』과 내선일체의 정치학

        이원동(Lee Won-dong) 한국어문학회 2009 語文學 Vol.0 No.103

        『Joseonkukminmunhakjip』(朝鮮國民文學集) was pulished by the Literary Men’s Association of Joseon(朝鮮文人協會) in 1943. This book, compressed the polit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in those days, was in response to the Nae-seon-il-chae(內鮮一體), dominant discourse of the colonial era. And in that point, this book mentioned how the dominant discourse took concrete shape, the novelistic form. Nae-seon-il-chae, the dominant discourse, aimed to making of the a secondary image that Joseon and japan was one body. The methods of this dominant discourse to concrete the novelistic form is as follows: The research for an epoch of Nae-seon-il-chae, a trip for viewing from inside, observation of a colony, and regarding transcendental existence in the same light as spirit of japan. But this process of materialization has dissimilarity and exception. This process includes ‘the position of reflection to the modernity’ and ‘insensible outsider’s life on every day life’. This dissimilarity and exception laid underneath the dominant discourse.

      • KCI등재

        이승만 정부 초기 자유민주주의론과 냉전담론의 확산

        김봉국(Kim, Bong-Guk)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6

        이 글은 분단정부의 출범과 함께 가속화된 남한의 냉전 반공국가로의 재편과정을 냉전담론과 그것에 밀착된 자유민주주의론의 확산현상에 주목해서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이 글은 ‘냉전’ 개념 자체를 미국과 이승만정권의 당파적 세계인식의 논리와 시각으로 문제시하고, 그것의 정치성과 확산양상을 검토했다. 이 과정에서 당대 복수의 진영담론과 反냉전담론이 경쟁・공존했음에도 불구하고 냉전담론이 어떻게 지배와 저항의 메커니즘과 맞물려 확산되었는가를 분석했다. 동시에 이 글은 당대 냉전논리와 시각의 확산을 집권세력에 의한 위에서 아래로의 일방적 선전과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위와 아래가 모두 그것에 긴박되어갔던 양상에 주목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출범 초기 취약한 남한의 체제 및 지배정당성의 확보를 위해 이승만정권의 ‘이데올로기적 담론’으로 기능했던 냉전담론이, 역으로 체제 내 비판세력의 저항논리와 자원으로 전유되었음을 밝혔다. 즉 지배의 자원인 냉전논리와 그것에 밀착된 자유민주주의 이념이 역으로 저항의 논리와 이념으로 전유되어 지배권력을 비판하는 양가적 현상을 발생시켰음을 주장했다. 그리고 바로 이와 같은 지배와 저항의 구조와 맞물린 냉전적 시각과 논리의 순환구조에 의해 남한 내 냉전담론의 사회적 확산이 이루어졌음을 강조했다. 요컨대, 이 글은 이승만 정부 초기 냉전논리와 시각을 기축으로 지배와 저항의 동학이 발생시킨 사회상에 주목해서 냉전담론의 확산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승만 정부 초기 특정 ‘보기의 방식’ 중 하나였던 냉전논리와 시각이 세계인식의 틀로 체제화 되어갔던 과정을 분석했다. 동시에 냉전담론의 확산과정에서 부상한 자유민주주의 이념이 남한의 지배적 가치와 규범으로 자리잡아갔던 양상 역시 검토했다. This study examined South Korean accelerated reconstruction into the Cold War and anticommunist state with the advent of the divided government by focusing on Cold War discourse and diffusion of liberal democracy attached to that. First of all,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Cold War’ as partisan logic and world view of the United States and Rhee Syngman Government, and questioned its politicality and diffusion. And also it analyzed how Cold War discourse got diffused under interlock with dominance-resistance mechanism despite the competition and coexistence of multiple bloc discourses and anti-cold war discourses. In the process, the study reviewed that Cold War logic and the diffusion of such a view was not made by one-sided propaganda or pressure of top-down approach by the governing power, but both top and down got bound with that. The review showed that the Cold War discourse used by Rhee Government as an ‘ideological discourse’ to secure vulnerable South Korean regime and its legitimacy to rule at its beginning, on the contrary, was appropriated as resistance theory and resources of the critical force in the regime. That is, cold war logic and liberal democracy attached to as the resource of dominance was contrarily appropriated as the logic and ideology of resistance which criticized the ruling power, ambivalent phenomenon. The study emphasized that cold war view and circulation structure of logic interlocking with the dominanceresistance mechanism led to social diffusion of Cold War discourse in South Korea. In conclusion, the diffusion of Cold War discourse was examined centering around the social aspect caused by the dominanceresistance dynamics based on the Cold War logic and view in the early period of Rhee Government. Through the review, the study analyzed the process that the theory and view of Cold War as one of specific ‘ways of seeing’ of early Rhee Government got ideologized as the framework for world view. At the same time, the study reviewed how the ideology of liberal democracy emerging during the diffusion of Cold War discourses got settled into the dominant value and norm in South Korea.

      • KCI등재

        텔레비전 역사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의 이중 담론

        백경선 한국극예술학회 2014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43

        Existed studies of television historical-drama Deep-rooted Tree discuss counter tendency by focusing on new possibility as television historical-drama mainl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analyzing counter and dominant tendency by considering universal property of public narrative that it has duality of discourse. And it is contemplating how meaning of the drama turns through double-voiced discourse, too. Deep-rooted Tree deactivates historical recode on purpose by noting blank of historical recode, especially makes Sejong unfamiliar. Reinterpretation about Sejong starts from naming him Lee Do. The drama calls in imperfect and human Lee Do instead of Sejong as a great king. It is located Lee Bangwon and Jung Gijoon at the opposite. By maximizing overcoming of adversity and confrontation of Lee Do and antagonist reinforces heroic growth narrative. Focusing persuasion, integration in overcoming of adversity and character of the common people-Soi, Gang chaeyoon is interesting. It reflectes the now-here public desire. That is the very point where it distinguishes Deep-rooted Tree from existed television historical-drama. By standing out this point, Deep-rooted Tree yields counter discourse. But it is not all. This drama has checked reflecting the now-here public desire and enforcing heroic growth narrative by deactivating history before. By enforcing heroic growth narrative, this drama produces dominant ideology beyond counter discourse. Deep-rooted Tree is fantasy that meets now-here public under the power and king top of the power in history. But by running into limitation that history and heroic growth narrative, this drama can not make perfect fantasy. 텔레비전 역사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주로 역사드라마로서의 새로운 가능성에 집중하면서 이 드라마의 저항적 성향을 논하였다. 본 논문은 담론의 중층성이란 대중서사의 보편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뿌리 깊은 나무>의 저항적 성향과 함께 지배이데올로기적 성향을 분석하고, 이중 담론을 통해 드라마의 의미가 어떻게 굴절되는가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뿌리 깊은 나무>는 역사 기록의 빈 칸에 주목하면서 의도적으로 역사를 해체하는데, 특히 세종을 낯설게 만들었다. 세종에 대한 재해석은 그를 ‘이도’로 호명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드라마는 위대한 왕으로서의 세종 대신 불완전하고 인간적인 이도를 소환하고, 역사 기록을 왜곡하면서 이방원과 정기준을 이도의 반대편에 위치시켰다. 이로써 이도의 고난 극복 과정(한글을 창제하고 반포하는 과정)과 이도와 적대자의 대결구도를 극대화하며 영웅서사를 강화하였다. 고난 극복 과정에서 설득과 통합을 강조하고, 주요 조력자로서 백성인 소이와 강채윤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은 흥미로웠다. 이는 지금-여기 대중의 욕망을 반영한 것으로 이 드라마가 기존 역사드라마와 변별되는 지점이었다. 이 지점이 부각되면서 <뿌리 깊은 나무>는 저항적 담론을 생산하는데, 그것이 전부는 아니었다. 앞서 드라마는 역사를 해체함으로써 지금-여기 대중의 욕망을 반영하는 동시에 영웅서사를 강화하고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영웅서사가 강화되면서 드라마는 저항 담론 너머로 지배이데올로기를 생산하고 있었다. <뿌리 깊은 나무>는 지금-여기 권력의 아래에 있는 대중의 욕망과 역사 속 권력의 정점에 있는 왕의 욕망이 만난 판타지이다. 하지만 그것은 역사 혹은 영웅서사라는 한계에 부딪치면서 완벽한 판타지가 되지 못하였다.

      • KCI등재

        위계의 내부와 담론의 바깥 - 서정인의 『달궁』 연구 -

        김한식 ( Kim Hansik ) 겨레어문학회 2021 겨레어문학 Vol.67 No.-

        『달궁』은 발표 초기부터 독특한 형식으로 주목을 받았다. 그런데, 형식적 특징에 쏠린 관심에 비추어 볼 때 정작 이 소설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 그것의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한 탐구는 깊이 있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논문은 서사와 인물 그리고 주제 등에 주목하여 『달궁』을 살펴보았다. 『달궁』은 주인공의 불행한 삶의 추적과 그녀가 살아가면서 만났던 인물들에 관한 탐구를 동시에 수행한다. 첫 번째 흐름을 따르면 이 소설은 여인의 고난을 다룬 전기적 서사로 읽힌다. 두 번째 흐름을 따르면 이 소설은 하나의 지배적인 목소리가 아닌 다양한 목소리를 통해 우리 사회를 재현하는 작품이다. 두 가지 서사를 통해 작가가 드러내고자 하는 작품의 주제는 한국 사회의 위계질서 탐구와 하위층은 영원히 패배할 수밖에 없는 지배 담론에 대한 비판이다. 위계질서가 흔히 말하는 능력에 의해 정해진다는 것, 그것이 계급사회의 기초라는 점이 비판의 핵심이다. 이 능력에 따른 위계질서라는 관념은 계급사회를 지탱하는 가장 중요한 이념적 기반이다. 따라서 하위층의 저항은 현재와 다른 담론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소설은 그러한 담론의 필요성에 대해 말한다. 복잡한 형식을 통해 새로운 소설을 지향했음에도 이 소설은 새로운 유토피아를 꿈꾼다는 점에서 1980년대 우리 소설의 상상력과 그리 멀리 있지 않다. 비록 주인공 인실의 삶이 비극적으로 끝나긴 했지만, 그가 보여준 새로운 세계를 향한 바람마저 의미 없지는 않다. 현재 우리가 가야 할 방향이 그쪽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더욱 그러하다. “Dalgung” carries out the pursuit of the protagonist's unhappy life and the exploration of the people she met during her life. Following the first story, the novel is read as a traditional narrative dealing with a woman's suffering. Following the second story, this novel reproduces our society through various voices rather than one dominant voice. The subject of this novel is an exploration of the Korean social hierarchy and a critique of the dominant discourse in which the lower classes are bound to be defeated forever. The core of the criticism is that hierarchies are determined by what is often called competence, and that it is the basis of our society. The notion of hierarchical order according to this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ideological foundation that supports our society. The resistance of the lower classes must be made through a different discourse than the present. This novel speaks of the necessity of such a discourse. Although the novel aims for a new novel through various formal experiments, it is not far from the imagination of our novels in the 1980s in that it dreams of a utopia. Although Insil’s life ended in tragedy, the desire for a new world her showed is not without meaning. It is even more so when we consider that is the direction we need to go now.

      • KCI등재후보

        1960년대 지배담론의 수사와 「서울 1964년 겨울」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박진영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4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27 No.-

        This paper studies on politics of the 1960s’ literatur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vel of Kim Seung-Ok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discourse at that time. In particular, it is considered that a study of intertextuality can reveal a new meaning in the novel of 1960s. It serves as a model of public hegemonic discourse in this paper, for example, the implementation of contemporary and symbolically dominant discourse of President Park Chung Hee, and linguistic features of the Declaration of 4.19 revolution. Developmentalism in the 1960s was a national strategy. The features of this period in the political discourse can be summarized at ‘modern-growth-develop ment’.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novel of Kim Seung-Ok, 1964 winter in Seoul embodies a sort of antagonism against them, as a counter discourses. That appears a strange and bizarre conversations. Especially, implications of triviality strategy carries out a kind of resistance, by means of their ‘meaningless’ language against the ‘meaning-full’ public dominant discourse of a strong command of the nation subject. 이 연구는 1960년대를 지배했던 정치사회적 담론과 김승옥 소설의 상관관계를 살핌으로써 김승옥 문학이 갖는 1960년대적인 의미를 새롭게 밝히려는 목적을 갖는다. 특히 당대의 지배담론을 상징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박정희 대통령의 담화문, 4․19혁명 선언문의 수사적 특징을 밝힌 후, 이들과 길항하며 일종의 대항담론을 형성하고 있는 김승옥 소설의 정치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1960년대는 주로 발전주의의 미명 하에 국민의식을 고취하려는 동원체제의 특징을 보인다. 이 시기의 정치담론은 빠른 시일에 ‘근대-성장-발전’을 달성할 것을 촉구하는 국가 주체의 강력한 명령 언어의 형태를 띤다. 무엇보다도 그것은 ‘권력의 언어’로 전체주의적 사고를 개인에게 강요하는 효과를 낳는다. 김승옥 소설은 이와 관련해 퇴폐적 내면의 언어와 자유의 담론 을 통해 지배담론과의 역학관계를 형성한다. 「서울 1964년 겨울」(1965)에는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두 젊은이의 낯설고 기이한 대화는 무의미한 언어를 통해 ‘의미로 충만한’ 공적 지배담론에 대한 대항의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1960년대 『여원』 연재소설 연구 - 연애담론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송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여성문학연구 Vol.19 No.-

        In this study, we tried to know how to structuralize modernistic romantic love in love story of yeowon's serial nove in 1960's in relation to love dicourses. Novel is a representative mode of story representing love affairs, that is can be regarded as a love discourse itself. But novel has the aesthetic reflection that resists against dominating discourses. So we search for the structure of love story in romantic novels in regard of dynamic relationship of dominating discourses focused on change of times. Love discourses in 1960's show conservative discrimination constantly that set woman's sex and social status below man's. A ideology of virginal purity was reproduced, love discourses were placed below the wife's helping dicourse, the subject of emotional sympathy between husband and wife was regarded as minor thing. The problem of love was looked upon as skill of allure, a love was degraded as a manner suggesting rest for husband. The moral justice for that discriminating dicourse was a 'Home' that was spoken figuratively as a 'heaven' or 'holy place'. 'Home' that controlled all of marriage, love, family at that time was enthroned with absolute value, and got to be moral justice which produced conservativeness of love discourse. In relation to that discourse, a serial novel in yeowon showed distinctive transit in middle of 1960's. The first half period showed a resist and criticism,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half period integrated to the dominating conservative discours. In the former, love had a social meaning that caused a modern awakening, a political power promoting social reform, and critical justice. But In the latter, novels made love story sexual affair that hop up popular interest. In this novel woman's sexuality was managed with the 'home' and woman who didn't keep their virginal sex had to endure moral blame. 본고는 1961-68년까지 『여원』에 연재된 여성작가들의 소설을 대상으로 낭만적 사랑의 기획이 사랑이야기 속에 어떻게 구조화되고 있는지를 잡지에 실린 연애담론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소설은 사랑이야기가 재현되는 가장 대표적인 양식으로 소설 자체가 연애담론이라고 할 수 있지만 소설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성찰의 계기가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따라 지배담론과 거리 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연애소설의 사랑이야기가 어떻게 당대 지배담론과 관계 속에서 구조화되는가를 시기적인 변화에 주목하여 알아보고자 했다. 60년대 연애담론은 여성의 성과 사회적 위치를 남성보다 열등한 것으로 배치하는 보수적 차별성을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순결이데올로기가 재생산되면서 연애담론은 내조담론의 하위담론으로 배치되고, 부부간의 정서적 교감의 문제는 주변화된다. 내조의 하나가 된 성과 사랑은 성적 기술의 문제로 수렴되고, 여성의 성과 사랑은 남편에게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도구로 전락한다. 그럼으로써 연애담론에서 이상적 여성은 ‘순결한 마돈나’의 모순적 이미지로 재현되는데 ‘낮에는 현부, 밤에는 창부’가 되는 타자화의 모순에 노출된다. 이러한 젠더화된 연애담론에 윤리적 명분을 제공하는 것이 ‘가정’으로, 성역 혹은 천국으로 비유되는 ‘가정’은 성과 연애, 결혼과 가족 관계까지를 규율하는 절대 가치로 등극하면서 60년대 연애담론의 보수성을 생산하는 윤리적 명분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연애담론과의 관계에서 볼 때 60년대 『여원』에 발표되었던 여성작가의 연재소설들은 65년을 계기로 뚜렷한 변화를 보여준다. 전반기의 작품들이 지식인 청년들의 순수한 사랑을 중심으로 지배담론에 대한 비판과 저항을 보여준다면 후기의 작품들은 부부관계의 갈등을 중심으로 특히 외도의 문제에 집중하면서 지배담론에 통합된다. 전기의 작품들에서 연애는 근대적 각성의 계기가 되거나, 사회를 변혁하는 정치적 힘으로, 또 자본주의적 속물성과 봉건적 관습을 비판하는 준거로 의미가 확장됨으로써 낭만적 사랑의 기획에 내포된 근대적 성찰의 계기를 일정하게 반영하고 있다. 반면 후기로 갈수록 작품들은 파격적인 사랑이야기를 흥미 유발을 위한 소재로 사용하면서 ‘가정’을 절대화한다. 여성의 성은 과잉 노출되면서 호기심을 자극하는 멜로물의 대상으로 재현되고, 연애는 삶을 결정적으로 파괴하는 비극적 조건으로, 타락한 청년들의 오락 정도로 취급된다. 여성의 성은 ‘가정’을 통해서만 안정과 화해를 찾게 되는데, 순결을 상실한 여성에게 도덕적 응징이 가해지면서 여성 억압이 강화된다. ‘로맨스빠빠’의 형상을 통해 봉건적 아버지와 외적 맥락은 다른, 그러나 실제 내용은 그대로 계승한 가부장의 아버지를 재정립한다. 로맨스 빠빠와 현모양처의 아내, 그리고 순결과 절제의 윤리성이 내부동력으로 규율하는 ‘가정’이 바로 65년 이후 연애소설의 중심 내용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