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학적 염원과 타나토스의 충동: 60년대 이청준 소설의 구원의식에 교합된 정신의학 지식과 비판미학

        송인화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1 문학과종교 Vol.26 No.3

        이 글은 60년대 이청준 소설을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아도르노 비판미학과의 관계 속에서 탐구하였다. 의학지식의 대중화를 통해 문학 분야에 적극 유입 됐던 프로이트 정신분석학과 한국 지식담론장의 비판인식에 영향을 끼쳤던 아도르노 비판미학이 어떻게 구조화되었는지를 탐구한 것으로 이를 통해 구원의 서사로서 이청준 소설이 갖는 의미를 해명하고자 했다. 이청준 소설은 이윤의 목적성에 훼손된 근대의 부정성을 공격하며 자본의 논리에서 자유로운 무목적적 미의 세계를 유토피아로 투시한다. 현실에 대한 분노를 가학적 공격성을 통해 표현하는데 여기에 문화지식이 중층적으로 개입된다. 타나토스의 본능을 위험한 충동으로 부정한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이 고통으로만 구원이 투시될 수 있다고 강조한 아도르노 미학을 경유하여 비판적으로 전유되고 있다. 소통과 화해 대신 분노와 불화를 통해 구원을 모색하는 것으로 격자소설 양식, 성찰적 서술자 운용, 거짓말과 말없음 등 전통 문법을 해체하는 형식적 고안들도 비판미학과 연결된다. 이를 통해 문화지식담론을 전유하며 유토피아를 희구한 이청준의 구원의식과 사회의식이 온당하게 이해되며 70년대 이후로 비판미학의 수용 시기를 진단한 연구도 재론될 수 있다. 이론이나 잡지와 함께 소설은 문화지식 수용의 텍스트로 의미를 가지며 그러한 점에서 60년대 이청준 소설은 아도르노미학 수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salvation consciousness of Lee Cheong-jun’s 1960’s novels in the relationship with Freud’s Psychoanalysis and Adorno’s critical aesthetics. Lee’s novel attacks the reality dominated by the purpose of making profit. His novels attack reality complete with negativity by Thanatos’ impulse. In that anger, both cultural knowledges are intervened. Freud’s psychoanalysis, which denied the death drive as dangerous, is critically appropriated via Adorno’s aesthetic, which emphasized that salvation could only be possible through suffering. It seeks salvation through anger and discord instead of communication and reconciliation, the formal designs that deconstruct traditional grammar such as framed novel style, reflective narrator operation, and lies and silence are connected with critical aesthetics.

      • KCI등재

        정연희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윤리성 연구

        송인화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4 문학과종교 Vol.19 No.3

        본고는 정연희가 기독교를 수용한 70년대 중반 이후 발표된 작품을 대상으로 기독교 윤리가 구조화되는 방식을 해명하였다. 외형적으로 이전의 사회비판 소설과 동일한 형태를 취하지만 인식과 구조, 미학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이들 작품에서 종교적 윤리성이 구성되는 방식과 내용, 윤리적 실천 양태를 작품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정연희 기독교 소설은 그동안의 폐쇄적, 특권적 내면에서 벗어나 타자와의 공감을 회복하면서 사회적 윤리성을 구성하게 된다. 이후 신의 시선을 내면화한 자아가 그 시선으로 자아와 세계를 인식하고 비판하는데 신에 속하지 않은 대상에 대해 분노, 질타하면서 질타의 초점을 인간의 욕망에 맞추고 있다. 이는 욕망을 문명적 창의의 긍정적 에너지로 추앙했던 이전 소설들과 극적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정연희 기독교 소설의 중요한 변곡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분노, 불안, 공포가 고압적으로 노출되면서 사회비판 소설의 서사적 객관성을 넘어서는데 이는 현재의 부정성을 통해 미래의 종말을 계시하려는 묵시록적 서사를 취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창작을 통해 멸망의 징후를 예고하려는 종교적 실천의 결과인 것으로, 부정성을 부정함으로써 최후의 멸망을 부정하려는, 역설적 긍정을 내재한 미학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JEONG Yeon-Hee’s portrayal of Christian ethics after her acceptance of Christianity in her novels published after the mid-1970s. Although the novels seem to retain the same form as her earlier novel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t is thus worthwhile to research how her later novels reveal the nature and practice of religious ethics. When one’s ego comes out from a closed, privileged, and inner-concentrated mind, and shows sympathy to others, a form of social ethics comes into being. The ego that internally bears the eyes of God comes to recognize and criticize not only the self but also the outside world through the eyes of God.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JEONG’s attitude to the idea of desire between her earlier fiction and later Christian fiction. Desire is condemned in her Christian fiction while it is hailed as a positive creative energy in her early novels. Such negative emotions as compulsive anger, anxiety, and fear in her later novels can be understood as an expression of horror of destruction, an emotional expression of the moral consciousness, and a sense of fear in the apocalyptic narrative foreshadowing the end of the world.

      • KCI등재

        하층민 체험에 기초한 사회주의 서사의 성취와 한계: 강경애 『인간문제』

        송인화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21

        This article is aimed at reading the novel 『Human Problem』, which is recognized as the best realist novel of the colonial period, and seeks to examine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work with a focus on the “experience”. While creating works based on socialist ideologies, which were actively embraced by colonial intellectuals as the progressive ideology of the transformation of reality, he focused on the experience of the lower classes, which is characteristic of the fiction that transforms from contemporary socialist works, and focuses on how to approach and solve the problem of the lower classes, the universal human problem of capitalist society. In the meantime, the research and achievements of 『The Human Problem』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methodology of socialist realism, but it is believed that the meaning of the work as well a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work can be broadly understood by reading the work through the unique themes and aesthetic features emphasized in the work without agreeing with certain ideologies, but also as an attempt to figure out how to read the work as a classic for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when reading 『The Human Problem』 with a focus on the experience of the lower class, the work depicts the unjust oppression and suffering that the lower class peasants receive from their landowners and capitalists, mainly in the rural areas and cities. By emphasizing the experience of the characters and recreating the experience from their perspective, the suffering and oppression of the lower classes are realistically revealed. The contradiction of underclass' inability to enjoy human dignity and life by exploiting the price of their labour by landowners and capitalists is represented in this process. The experience of the work of the lower classes serves as an inevitable occasion for them to grow into agents of future real transformation, so that in the work labor is presented as the only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lower classes. Therefore, the intellectual, who is a theoretical warrior who accepts and educates socialist ideology, is located outside of the experience of work and is not recognized as the main body of social movement. Thus the privileged conception of labour as a homogeneous concept leads to the secondary or suppression of disparate contradictions within. The beautification of women's work as a woman's natural task and the reproduction of highly educated new women through images of the body as icons of luxury and debauchery fail to secure critical distance from the male-centered perspectives that internaliz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Progressive transformation through socialist ideology and conservative consciousness coexists in contradictions. 이 글은 식민지 시기 최고의 리얼리즘 소설 중 하나로 평가되는 강경애 장편소설 『인간문제』를 대상으로 작품에서 강조된 ‘체험’을 중심으로 작품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사회주의 이념을 기초로 작품을 창작하면서도 동시기 사회주의 작품들과 구별되는 강경애 소설의 특징적 요소인 하층민 체험에 초점을 맞추어 자본주의 사회의 보편적 인간문제인 하층민 문제를 어떻게 접근하고 해결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동안 『인간문제』에 대한 읽기는 사회주의 이념에 동의한 리얼리즘의 방법론을 통해 이루어졌으나 교양교육의 고전읽기를 위해 특정 이념의 시각보다 작품에 강조된 고유한 주제나 미학적 특징에 주목하여 작품을 읽고자 하였으며 내재적 방법으로 읽음으로써 작품의 의미는 물론 성과와 한계가 폭넓게 드러날 수 있었다. 하층민 체험을 중심으로 『인간문제』를 읽게 될 때 작품은 농촌과 도시를 중심으로 하층민 소작농이 지주와 자본가로부터 받는 부당한 억압과 고통을 그리고 있다. 노동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빼앗기고 인간다운 존엄과 생활을 누리지 못하는 하층민의 현실이 그들의 체험을 통해 절실하게 제시된다. 노동 체험은 이들이 향후 현실 변혁의 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필연적 계기로 작용함으로써 노동은 하층민 문제해결을 위한 핵심적 요인으로 강조된다. 사회주의 이념을 이론적으로 수용한 지식인은 노동 체험 밖에 위치하고 있어 진정한 사회운동의 주체가 될 수 없다고 배척된다. 그런데 하층민의 노동이 유일한 특권적 가치로 개념화됨으로써 노동 내부의 이질적 모순이 부차화하거나 억압된다. 여성의 가사 노동이 당연한 여성의 임무로 미화되고 고등교육을 받은 신여성이 사치와 방탕의 아이콘으로 육체의 이미지를 통해 재현됨으로써 남성중심적 시각과 비판적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회주의 이념을 통한 진보적 열망과 보수적인 여성의식이 모순적으로 공존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이태준 문학과 예술 자율성

        송인화 상허학회 2004 상허학보 Vol.13 No.-

        In this paper, I want to show the accomplishment and the limit of lee tae joon’s literature through the structure and logics of the art in his novel. Lee’s novel was against to the philistinism of modern capitalism. His art was one of the main reaction to that, so the art had the meaning including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at. But before researches approached that just as a formal skill, so they could not explain of lee’ art well. In lee Tae Joon’s novel, the concept of art includes a contradictory idea for collective nations. Because he understand the unfairness of modern philistinism as the same realities of the colonial, he regarded art as a true practice for peoples who supper from the japanese colonist. Therefore his concept of art combines with nationalism ‘in the beginning’. That regulates the quality and achievement of his art. After the mid 30’s, lee tae joon was in pursuit of art in earnest but the inner world that included enlightenment impetus regulated critical tension of art. His novel was in pursuit of the images and spatial structure which against the cognition of the modern capitalism. however that could not go ahead to the level of ideology. Late in the 30’s, Lee’s novel certainly showed the impetus for enlightenment. But that did not maintain critical insight, so his novel went wrongness. 본고는 이태준 소설이 추구하는 예술의 구조와 논리를 시기에 따라 살펴봄으로써 예술 자율성을 통해 상허 문학이 성취한 의의와 한계를 해명하고자 했다. 상허 소설은 이윤추구의 목적성이라는 경제논리에 따라 진행되는 자본주의적 근대의 속물성을 30년대 식민지 현실의 주요한 모순으로 인지하였고 ‘예술’은 그러한 근대의 속물성에 대한 문학적 대응의 방식으로서 상허 소설의 인식과 실천을 포괄하는 의미가 있다. 상허의 예술 개념에는 집단적 이념으로서의 ‘민족’이 모순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식민지 근대의 속물성을 그것의 강압적인 주체인 일제와 연결시키는 상허는 근대의 부정성에 침윤된 생활현실을 벗어나 경제논리에 훼손되지 않은 예술을 추구해야 하는 이유를 민족적인 현실에서 찾는 것이다. 따라서 그의 예술 개념은 처음부터 민족주의라고 하는 식민지 지식인의 계몽적 윤리감과 결합됨으로써 상허 소설이 보여주는 예술 자율성의 질과 성과는 이로부터 제한을 받게 된다. 30년대 중반 이후 상허는 미적인식을 기반으로 새로운 대상인식을 통한 예술을 추구하지만 예술가의 내면에 존립하는 계몽주의자의 이질적인 충동이 예술의 근대비판적 장력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미지와 공간적인 구성은 형식을 통해 근대의 동일시적인 사유와 효용적 지배연관에 대한 항의를 표현하지만 여전히 근대에 대한 부정성을 이념적인 차원으로까지 고양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것은 30년 후반 그가 예술의 비판적 가능성을 포기하고 행동적인 실천을 추구하는 데서 더욱 분명하게 드러난다. 예술의 자율성이 전제로 하는 생활과의 분리를 거부하고 현실 속에서의 행동적 실천을 강조하는 것인데, 그러나 현실과의 비판적 거리를 상실하고 현실의 유입과 행동적 실천 자체가 목적으로 추구됨으로써 현실참여를 강요했던 일제의 지배 이데올로기에 흡수되는 동참의 위험을 보여주는 것이다. 30년대 후반 근대주의의 맹목성이 폭력적으로 관철되는 시기 상허는 예술의 자율성을 포기함으로써 오히려 지배현실을 추수하는 오류를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장애’의 정치성과 비폭력의 윤리

        송인화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6 문학과종교 Vol.21 No.3

        손창섭 소설은 장애인물이 특징적으로 많이 등장하며 그러한 점에서 그의 소 설은 ‘병리적,’ ‘병적,’ ‘장애소설’로 지칭되었다. 기존의 논의들은 장애를 반사 회, 비도덕, 불건강한 것으로 규정하고 그것을 작가 개인의 전기나 전후라는 사 회적 알레고리로 해명하고 있다. 따라서 장애를 통해 말하고자 의미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분석되지 않았는데 이 글은 장애 인물의 시각에서 손창섭 소설을 살 펴보았다. 손창섭 소설은 ‘같은 인간’의 시각에서 주류 사회의 가치를 추종하는 인물을 불건강한 인물로 배치함으로써 ‘건강’과 ‘건전’의 신화를 전복한다. 미결 정의 시각에서 양자의 경계를 무화시킴으로써 자본주의적 근대의 속물성을 공 격하고 있다. 또한 언어와 시선이 구성하는 폭력성을 간파하며 하위 배치된 영 역에 대한 공감과 소통을 요구하고 있다. 제도권 언어가 자기중심적 이기성과 폭력성에 물들어 있음을 비판하며 불구/신체를 가진 장애 인물들의 신음과 목소 리를 적극 복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손창섭 소설은 장애를 통해 중심 권력과 지배 담론의 폭력성을 고발하고 주변화 된 존재에 대한 공감을 촉구하 는 타자의 윤리를 담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o many disability persons are appeared in Son Chang-seop’s novel, and his novel has been referred to as a ‘pathological,’ ‘pathological,’ ‘disorder novel.’ Most of researches defined disability as ‘anti-social,’ ‘immoral,’ and ‘unhealthy.’ And It was not analysed accurately about what the novel want to say with a disability. So this study tries to elucidate objectively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isability itself. In Sonchangseop’s novel, a person who follows the value of the mainstream society was considered as the ‘unhealthy’ person, regarded they a ‘same person’ as the disability. By removing the boundary of hierarchical dichotomy through the sight of the pendency, they are attacking the snobbism of the capitalist modernization. Criticizing the violence structured to the language and the their eye’s of the institutional area, it has requested the sympathy and mutual understanding to the sub-arranged area. Disability is a result of minority politics accusing oppressive power and violence of the dominant discourse and ethics.

      • KCI등재

        ‘모던 걸’의 공포와 ‘동지’의 수사학 : 『인간문제』에 나타난 강경애 사회주의 여성의식 재고(再考)

        송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7 No.-

        The works of Kang Kyeong ae, which were recognized as the best realistic works during the colonized period, female consciousness was approached in terms of realizing the socialist ideology. The existing studied said that the sense of socialisitic woman's liberation was realized well, or that the man oriented-socialist idelogly was accepted without criticism so that a sens of the patriarcal was appeared on the whole, These studies were not different in that they explained consciousness of women with socialist ideology even being different direction of evaluation. They regarded the socialist ideology as a idelology of single content and linked its weak point and its virtue to success and failure of consciousness of women. However that of Kang Kyeong ae’s works was not a single ideology without seam. Rather than, the contradicted difference was structured in socialism. In that, the old fashioned patriarchal view intersected with the ideology of modern class liberation, in the same socialistic area, there was the difference between feminists as well.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heterogeneity and the disparity which was overlooked in the stud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Moderngirl discourse. The self-consciousness of New women or Moderngirl discourse that depreciated intellectual women with debauchery, vanity, and empty shells was regarded as the main cause of such oppression and contradiction. As the fear of 'modern girl' became internalized in the intellecture women, it pursued the identity of woman who is opposite to it. It can be seen that the discourse of the Newwomen caused oppressiv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not only to liberal feminists but also to the socialist women 's consciousness through the discussions of the colonialism as' red romance'. 강경애는 식민지 시기 최고의 사회주의 여성작가로 인정받았고 여성의식 역시 이념적 관점에서 접근되었다. 여성해방의식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거나 혹은 사회주의 이념에 구조화된 남성중심성을 수용하였다는 기존 연구의 주장은 평가의 방향은 다르지만, 사회주의라는 단일 이념으로 여성의식을 해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다. 사회주의를 단일한 내용을 갖는 하나의 이념으로 상정하고 그것의 약점과 미덕을 강경애 여성의식의 성패와 연결시키고 있다. 그러나 강경애 작품을 통해 드러나는 여성의식은 이음새 없는 단일한 이념으로서의 사회주의 여성의식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보다는 오히려 사회주의 안에 모순된 이질성을 구조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근대적인 가부장적 시각과 근대적 계급해방의 이념이 교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사회주의 진영 안에서도 다른 여성주의자들과의 낙차도 발견된다. 이 글은 그간의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이러한 이질성과 차이를 당대 신여성 담론과의 관계 속에서 점검해보고자 하였다. 방탕과 허영, 그리고 빈껍데기로 지식인 여성을 비하했던 모던걸 담론이 강경애 소설에 가한 억압과 모순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여성의식을 다시 점검하였다. ‘모던 걸’의 공포가 강경애에게 내면화되면서 사회주의 여성의식 안에 남성중심적 시각을 모순적으로 구조화하고 있으며 사회주의 여성활동가들과도 다른 여성의식의 낙차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여성 담론이 자유주의 여성에게만 아니라 사회주의 여성의식에도 모순과 갈등을 야기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1960년대 『여원』 연재소설 연구 - 연애담론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송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여성문학연구 Vol.19 No.-

        In this study, we tried to know how to structuralize modernistic romantic love in love story of yeowon's serial nove in 1960's in relation to love dicourses. Novel is a representative mode of story representing love affairs, that is can be regarded as a love discourse itself. But novel has the aesthetic reflection that resists against dominating discourses. So we search for the structure of love story in romantic novels in regard of dynamic relationship of dominating discourses focused on change of times. Love discourses in 1960's show conservative discrimination constantly that set woman's sex and social status below man's. A ideology of virginal purity was reproduced, love discourses were placed below the wife's helping dicourse, the subject of emotional sympathy between husband and wife was regarded as minor thing. The problem of love was looked upon as skill of allure, a love was degraded as a manner suggesting rest for husband. The moral justice for that discriminating dicourse was a 'Home' that was spoken figuratively as a 'heaven' or 'holy place'. 'Home' that controlled all of marriage, love, family at that time was enthroned with absolute value, and got to be moral justice which produced conservativeness of love discourse. In relation to that discourse, a serial novel in yeowon showed distinctive transit in middle of 1960's. The first half period showed a resist and criticism,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half period integrated to the dominating conservative discours. In the former, love had a social meaning that caused a modern awakening, a political power promoting social reform, and critical justice. But In the latter, novels made love story sexual affair that hop up popular interest. In this novel woman's sexuality was managed with the 'home' and woman who didn't keep their virginal sex had to endure moral blame. 본고는 1961-68년까지 『여원』에 연재된 여성작가들의 소설을 대상으로 낭만적 사랑의 기획이 사랑이야기 속에 어떻게 구조화되고 있는지를 잡지에 실린 연애담론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소설은 사랑이야기가 재현되는 가장 대표적인 양식으로 소설 자체가 연애담론이라고 할 수 있지만 소설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성찰의 계기가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따라 지배담론과 거리 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연애소설의 사랑이야기가 어떻게 당대 지배담론과 관계 속에서 구조화되는가를 시기적인 변화에 주목하여 알아보고자 했다. 60년대 연애담론은 여성의 성과 사회적 위치를 남성보다 열등한 것으로 배치하는 보수적 차별성을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순결이데올로기가 재생산되면서 연애담론은 내조담론의 하위담론으로 배치되고, 부부간의 정서적 교감의 문제는 주변화된다. 내조의 하나가 된 성과 사랑은 성적 기술의 문제로 수렴되고, 여성의 성과 사랑은 남편에게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도구로 전락한다. 그럼으로써 연애담론에서 이상적 여성은 ‘순결한 마돈나’의 모순적 이미지로 재현되는데 ‘낮에는 현부, 밤에는 창부’가 되는 타자화의 모순에 노출된다. 이러한 젠더화된 연애담론에 윤리적 명분을 제공하는 것이 ‘가정’으로, 성역 혹은 천국으로 비유되는 ‘가정’은 성과 연애, 결혼과 가족 관계까지를 규율하는 절대 가치로 등극하면서 60년대 연애담론의 보수성을 생산하는 윤리적 명분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연애담론과의 관계에서 볼 때 60년대 『여원』에 발표되었던 여성작가의 연재소설들은 65년을 계기로 뚜렷한 변화를 보여준다. 전반기의 작품들이 지식인 청년들의 순수한 사랑을 중심으로 지배담론에 대한 비판과 저항을 보여준다면 후기의 작품들은 부부관계의 갈등을 중심으로 특히 외도의 문제에 집중하면서 지배담론에 통합된다. 전기의 작품들에서 연애는 근대적 각성의 계기가 되거나, 사회를 변혁하는 정치적 힘으로, 또 자본주의적 속물성과 봉건적 관습을 비판하는 준거로 의미가 확장됨으로써 낭만적 사랑의 기획에 내포된 근대적 성찰의 계기를 일정하게 반영하고 있다. 반면 후기로 갈수록 작품들은 파격적인 사랑이야기를 흥미 유발을 위한 소재로 사용하면서 ‘가정’을 절대화한다. 여성의 성은 과잉 노출되면서 호기심을 자극하는 멜로물의 대상으로 재현되고, 연애는 삶을 결정적으로 파괴하는 비극적 조건으로, 타락한 청년들의 오락 정도로 취급된다. 여성의 성은 ‘가정’을 통해서만 안정과 화해를 찾게 되는데, 순결을 상실한 여성에게 도덕적 응징이 가해지면서 여성 억압이 강화된다. ‘로맨스빠빠’의 형상을 통해 봉건적 아버지와 외적 맥락은 다른, 그러나 실제 내용은 그대로 계승한 가부장의 아버지를 재정립한다. 로맨스 빠빠와 현모양처의 아내, 그리고 순결과 절제의 윤리성이 내부동력으로 규율하는 ‘가정’이 바로 65년 이후 연애소설의 중심 내용이 된다.

      • KCI등재

        60년대 여성 정신병의 재현과 히스테리 : 젠더권력으로서의 의학지식과 성애화된 ‘내면’

        송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1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 women’s mental illness in the 60s is represented in literary works in relation to contemporary medical knowledge with the subject of the novel 『Carousel』, which was elected by the Hankook Ilbo in 1962. This is to find out how psychoanalysis as dynamic psychiatry, eugen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patriarchal theology superimposedly regulated and regulated women in the work of the 60s, when the discourse on psychosis was expanded due to the system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psychiatric knowledge. In the work, women are overly sexualized as a threat to the community, and women with mental illness are represented as immature anomies that are not managed by the superego. It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ugenic punishment by defining psychosis as a sin inherited through generations. The inner part of women was recreated as an object of fear that threatened the family, the basic community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in the 1960s. Eugen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sychoanalysis, the latest Western medical knowledge, intervened in a double way to suppress women. Furthermore, in the cause and remedy of female psychosis, psychoanalysis attacks women in combination with patriarchal theology. By presenting the cause of psychosis as a result of love with a cousin who violated the taboo and focusing the problem on the breakdown of paternal ethics, not pathological disease, the sin of deviating from the tradition and group order is transferred to women in the manner of retribution of psychosis. The son’s sense of guilt, who betrayed the voice of the father and practiced personal love and marriage, is at work, and by transferring the cause of the sin to the woman, the identity of a woman is defined as excess eros. Psychoanalysis is combined with patriarchal theology to sexualize as an eros that seduces women, and this gender discrimination is also confirmed in the salvation method.Unlike women who only preserve life through suicide, murder, death of a soldier, or self-denial that confines themselves in a convent, men are suggested to create culture and art by appropriately suppressing and sublimating guilt. Through this, men are presented as mature cultural creators who manage libido, and women are presented as immature anomies of excess eros that threaten the family community. The immature, sexually filled woman’s interior is always subject to surveillance and punishment threatening the community. 이 글은 1962년 한국일보 현상모집에 당선된 장편소설 『회전목마』를 대상으로 60년대 여성 정신병이 문학작품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당대 의학지식과의 관계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신의학지식의 체계화와 대중화로 정신병에 대한담론이 확장되었던 60년대 작품에 역동정신의학으로서의 정신분석과 일제 식민지기 우생학, 그리고 가부장이데올로기가 여성을 어떻게 중첩적으로 규율하고 단속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작품에서 여성은 공동체를 위협하는 대상으로 과잉 성애화 되고 정신병을 가진 여성들은 초자아에 의해 관리되지 못한 미성숙한 아노미로 재현된다. 또한 정신병을 세대를 통해 유전되는 죄로 규정함으로써 우생학적 처벌의 필연성을 강조한다. 여성이 60년대 기초 공동체인 가족을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으로 재현된 것으로 일제 시기 우생학과 최신 서구 의학지식인 정신분석이 이중으로 개입하여 여성을 억압한다. 나아가 여성 정신병의 원인과 구제 방식에서도 정신분석이 가부장이데올로기와 결합하여 여성을 공격한다. 정신병의 원인을 금기를 어긴 사촌과의 사랑 때문인 것으로 제시하고 문제의 초점을 병리적 질병이 아닌 부계 윤리의 파계에 맞춤으로써 전통과 집단의 질서를 이탈한 죄를 정신병의 응징이라는 방식으로 여성에게 전가한다. 낭만적 사랑에 의해 아버지를 배반하고 개인적 사랑과 결혼을 실행한 아들의 죄의식이 작동한 것으로 죄의 원인을 여성에게 전가함으로써 여성의 정체성은 과잉 에로스화 된다. 정신분석학이 가부장이데올로기와 결합되어 유혹하는 에로스로 여성을 성애화하는 것으로 이러한 성차별은 구제 방식에서도 확인된다. 여성이 자살, 살해, 병사로 죽거나 수녀원에 스스로를 가두는 자아 부정을 통해 생명을 보존하는 것과달리 남성은 죄의식을 적절하게 억압하고 승화시킴으로써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는 고뇌하는 지성으로 나타난다. 남성은 리비도를 관리하는 성숙한 문화적 창조자로, 여성은 가족 공동체를 위협하는 에로스 과잉의 미성숙한 아노미적 존재로 재현된다. 미성숙하고 성애로 채워진 여성의 내면은 언제든 공동체를 위협하는감시와 처벌의 대상이 되는 것이고 정신의학은 가부장이데올로기, 우생학 등과 중첩적으로 결합하여 젠더화된 과학/지식으로 체계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 KCI등재

        『난지도』에 나타난 생태의식과 젠더 윤리 - 욕의 배설(排泄)과 돌봄의 윤리 -

        송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여성문학연구 Vol.33 No.-

        This paper intends to analyse the ecological imagination in 『Nanjido』 especially from gender point of view. It tries to explain ecological 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would like to know how the voices of others, especially woman present or represent in the work who repressed by objectification thinking derived from capitalist materialism,『Nanjido』 is accused of human-centered violence made from capitalist civilization with the dump background. It shows a objectification human relations dominated the purpose of profit as a big problem. Emphasizing the domination of capital through the moral depravity,It dramatically highlights the oppression of women sex with a prostitute. That shows the work define s the cause of women's oppression as capitalist materialism. 『Nanjido』 found a way to cope with the violence, a counteractive coexistence in irrational abusive. Through the sadism, sexual gratification, destroying sanctuary, abusive attacks the rationality of the capitalist system. In this process, man’s falsehood is attacked humorously. And sacrificial meaning given to the body of the women disappears through the abuse of underclass women. With her smiling, naked, playing, woman body is equal with men, and be reproduced as an autonomous body. Therefor it surpass dichotomy way of thinking such as woman/man, rational/irrational, body/mind, and hierarchical suppression structured in the dichotomy. In addition, the work explores a new alternative relationships with ethic of women-caring. That practice caring and helpful to others in concrete experience and environment. Through the caring that is embodied in the women it projected the aspirations of coexistence and reconciliation. They help others not in altruistic sacrifice but in the extent that they can be based on the deep sympathy in relation to others.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men's ethics based on the norms and definitions organized into abstract principles. 『Nanjido』 presents a real relationship to overcome the violence of the capitalist mode of awareness that threaten ecosystems through gender ethics of caring. 본고는 1983년 발표된 정연희의 『난지도』를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을 분석하되, 특히 젠더 관점에서 그것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생태주의적 인식을 해명하고자 한 것으로 자본주의적 물질주의가 초래한 대상화된 사유 방식과 그로 인해 억압된 타자 특히 여성의 목소리가 작품에 어떻게 재현 혹은 표현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난지도』는 자본주의 문명이 만들어낸 인간중심적 폭력성을 쓰레기매립장을 배경으로 고발하고 있다. 자본의 논리로 황폐화되는 자연과, 이윤 창출의 목적성에 지배된 대상화된 인간관계를 문제적으로 제시하는데 전면화된 자본 지배를 윤리적 타락을 통해 강조하면서 특히 자본가 노인의 성매매를 통해 억압성을 극적으로 부각시킨다. 자연은 물론 여성 억압의 원인을 자본주의적 물질주의로 규정하는 것이다. 『난지도』는 이러한 폭력에 대한 대항적 공존을 비합리적 규범 밖의 언어인 욕설을 통해 모색한다. 욕설이 가지고 있는 가학성, 성적 희열, 성역 파괴를 통해 자본주의적 체계의 합리성을 공격하는 것으로, 하층민 여성들의 욕설을 통해 남성들의 허위성을 해학적으로 공격하는 동시에 여성-육체의 불결함과 희생적 의미를 넘어선다. 발가벗고 웃는, 놀이를 통해 여성-육체는 남성들과 동등한, 자율적 육체로 재현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여성/남성, 육체/정신, 합리/비합리의 이분법적 경계와 그것의 위계적 억압성을 뛰어 넘는다. 생태 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이분법적, 위계적 인식의 경계를 무너뜨림으로써 양자 사이에 대항적 공존을 모색하는 것이다. 또한 작품은 돌봄의 여성 윤리를 통해 새로운 대안적 관계를 모색한다. 구체적인 경험과 환경 속에서 타인에 대한 배려와 도움을 실천하는 것으로, 여성들을 통해 구체화되는 돌봄을 통해 공존과 화해의 열망을 투사한다. 이들은 전적인 희생보다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깊은 공감을 바탕으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도움을 실천한다. 이는 규범과 정의에 기초하여 추상적 원리로 체계화된 남성 윤리와 구분되는 것으로, 작품은 돌봄의 젠더윤리를 통해 생태계를 위협하는 자본주의적 인식의 폭력을 극복할 진정한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