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운동 기술발달: 생애 신체활동을 위한 개념 모델

        고선숙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2

        As The use of different terminology for different age groups when describing human movement is a demonstration that movement development takes place throughout one's life. The reason why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motor development that can be carried out throughout life is that motor development in childhood/childhood and adolescence is related to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roughout life until old ag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asic motor development model, which is the existing conceptual model of motor development, is expanded to examine the basic motor development model, which is a motor development model for the whole life. The importance of the basic movement skills stage is because it is the time to create the foundation for a wide range of motor skills throughout the life and to manifest the greatest potential for the next level of motor skills acquisition. Existing studies on motor development were expanded by broadening the classification of motor skills that are important fo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which are defined as basic motor skills, recognizing the potential cultural and geographical specificity of motor skills, and embodying properties such as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weight status, and psychological structure that affects lifelong motor development. The core of the motor development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ol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rough the interactio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the development of movement skills throughout life. Therefore, ongoing discussions on this topic will help advance the application of motor development principles within the field of health education. 인간 움직임을 설명할 때 연령대에 따라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움직임 발달이 전 생애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전 생애에 걸쳐 수행될 수 있는 운동발달의 이해가 중요한 이유는 유/아동기 및 청소년기의 운동발달이 노년기까지 전 생애에 걸쳐 건강 및 삶의 질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운동발달 개념 모델인 기본운동발달 모델을 확장하여 전 생애에 걸친 운동발달 모델인 기초운동발달 모델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본 움직임 기술 단계의 중요성은 전 생애를 통해 광범위한 운동기술 능력을 위한 토대를 생성하고 다음 단계의 운동기술 습득을 위한 가장 큰 잠재력을 발현하기 위한 시기이기 때문이다. 기초운동 기술로 정의되는 신체활동 참여에 중요한 운동기술의 분류 폭을 넓히고, 운동 기술의 잠재적인 문화적, 지리적 특수성을 인식하고, 건강관련 체력, 체중 상태, 생애 움직임 운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구조와 같은 속성을 내재함으로써 기존 운동발달 연구를 확장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운동발달 모델의 핵심은 전 생애 에 걸친 움직임 기술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 요인과 심리적 요인의 상호작용을 통한 신체 및 심리적 요인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주제에 관한 지속적인 논의는 건강 교육 분야 내에서 운동 발달 원리들의 응용을 진전 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교과 기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노희연,조재순,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PPEP) based on Home Economics(HE) subject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PEP based on HE subject in this study followed ADDIE model except implementation through 4 processes such a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First, program development directions were set in three aspects such as ʻgeneral developmentʼ, ʻcontentsʼ, and ʻteaching and learning methodsʼ. Themes of the program are 11 in total such as ʻ1. Parenting, what is being a parentʼ, ʻ2. Choosing your spouse, happy marital relationship, the best gift to your childrenʼ, ʻ3. Pregnancy and birth, a moving meeting with a new lifeʼ, ʻ4. Taking care of a new born infant for 24 hoursʼ, ʻ5. Taking care of infants, relationship with my lovely baby, attachmentʼ, ʻ6. Taking care of young children, my child from another planetʼ, ʻ7. Parents and children in healthy familyʼ, ʻ8. Parent-child relationship, wise parents to make effectiv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ʼ, ʻ9. Parents safety manager at home,ʼ, ʻ10. Practice to take care of infantsʼ, and ʻ11. Practice of community nurturing support service developmentʼ. In particular, learning activities of the program have major characteristics such as 1) utilization of cases including practice problems related to parenting, 2) community exchange activities utilizing learned knowledge and techniques, 3) actual life project activities utilizing learning contents related with parenting, 4) activities inducing positive changes in current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5) practice activities for the necessities of life such as food, clothing and shelter supporting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sign. Teaching-learning plans and materials for 17 class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11 themes. The developed plans include class flow and teacherʼs reference. It starts with receiving a class-related message from a virtual child at the introduction stage and ended with replying to the message by summarizing contents of the class and making a promise as a parent-to-be. That is the basic frame of class flow. Learning materials included various plans and reports necessary for learning activities and they are prepared in details so that they can be play the role of textbooks in regular curriculum. Third, evaluation of developed program was executed by a 5 point Likert scale survey on 13 HE experts on two aspects of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nd program development results. In the evaluation of development process, mean value was 4.61 and index of content validity was 97.4%. For development results, mean value was 4.37 and index of content validity was 86.9%. These values showed that validity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s in this study was highly secured and confirmed that PPEP based on HE was appropriate and valid to enhance parent qualifications of high school learner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정교과 기반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여, 예비부모인 고등학생 학습자들이 훗날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보살필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하며 동시에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의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을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은 일반적체제설계모형인 ADDIE 모형을 따랐으며, ADDIE모형 중 실행단계(Implement)를 제외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4가지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요소 추출과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얻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2015 개정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 문서를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가정교과 이 외의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예비부모교육의 9 가지 주제(1.자기이해, 2.예비부모의 성, 3.결혼, 4.임신과 출산, 5.부모됨, 6.부모역할, 7.부모 자녀관계, 8.부모와 가족, 9.부모와 사회)와 해당 내용요소들은 이미 가정교과 교육과정에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9가지 주제 이외에 가정교과만의 독자적인 주제(1.생애설계, 2.가정생활 내 의・식・주 실천역량, 3.가정생활과 자녀안전, 4.가족문화)와 해당 내용요소들을 별도로 확인함으로써 예비부모교육 시행에 있어 가정교과가 지닌 강점(청소년과 가정과 사회를 바라보며 부모교육 내용 뿐만 아니라 식・의・주・소비 생활 전반을 포함하는 총체적 관점의 교육과 실제로 부모 준비를 실천하게 하는 교육)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설계는 가정교과와 예비부모교육 간의 접점을 찾고 이를 프로그램 구성요소(목적, 개발방향, 주제, 내용요소, 학습목표, 학습활동)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길러낼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지녀야 할 관련 지식, 태도, 가치관,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을 고등학생 학습자가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을 일차 목적으로 두며, 부모됨의 준비 관점에서 학습자가 현재 생활 점검 및 개선을 통해 생활자립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이차목적으로 둔다. 궁극적으로 이 두 가지 목적 달성을 통해 학습자가 장차 부모로서 살아갈 가정생활 영역과 개인적 성취와 관련된 직업생활 영역 그리고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삶의 영역간의 균형을 이뤄 이를 조화롭게 영위할 수 있는 성숙한 부모로의 성장을 돕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방향은 ‘전체 전개’, ‘내용구성’, ‘교수・학습법 구성’으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설정되었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총 11개로 ‘1. 부모 됨: 부모가 된다는 건’, ‘2. 배우자선택: 행복한 부부관계, 자녀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 ‘3. 임신과 출산: 새로운 생명과의 감동적인 만남’, ‘4. 신생아 돌봄: 24시간 신생아 돌봄’, ‘5. 영유아자녀돌봅: 사랑스러운 나의 아기와의 관계, 애착’, ‘6. 유아기 자녀 돌봄: 별에서 온 내 아이, 유아기 자녀 돌보기’, ‘7. 부모와 건강가정: 건강가정 속 부모와 자녀’, ‘8. 부모 자녀 관계: 현명한 부모, 자녀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기’, ‘9. 가정생활 내 자녀안전: 가정생활 속 안전관리자, 부모’, ‘10. 영유아 돌봄 실습 ...

      • KCI등재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HRD Ecosystem Model and Indicators

        김주석(Kim, Juse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지식기반사회 및 100세 시대에 돌입하면서 지속가능한 교육생태계 구축 및 이를 지원 할 수 있는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연구는 매우 필요한 주제이다. 또한, 미래사회에 대처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지속가능한 인재육성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필요하지만, 이러한 활동이 얼마나 잘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국가별 진단 및 평가는 부족한 실정이다.방법 기존의 각 국별 교육성취도 및 인적자원능력을 측정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지속가능한 인적자원체계를 비교 평가하는 지표로서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인적자원개발 지표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결과 이 연구는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지속가능한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이론적 검토 및 기존 인적자원개발 지표들을 비교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인적자원개발 지표개발 과정을 소개한다. 셋째,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지표를 바탕으로 인적자원개발 지속가능성 국가 순위를 도출한다.결론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선정한 지표는 각국의 지속가능한 인재육성 체제를 평가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주요국가들과의 비교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각 국가의 지속가능한 인적자원개발 시스템과 관련된 정책을 평가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각국별 인적자원개발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Despite the knowledge-based society and the age of 100, research and practical tools for sustainable education ecosystem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can support it are currently very scarce. In addition, building a sustainabl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is very important for improving human life quality and coping with the future society, but there is a lack of diagnosis and evaluation of how well these activities are performed. While there are efforts to measure national educational achievement and human resource abilities, there are limitations as indicators for comparing and evaluating sustainable human resources system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index of sustainable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can be compared and evaluated internationally. Methods This study consists of three major parts. The first part is a comparison between the theoretical review of sustainable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index related to exist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e second is an introduction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sustainabl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dex based on these prior studies. The third part compares the national ranking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ustainability based on the indexes developed through this process. Results The indexes selected in this study will not only be used to assess sustainabl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s in each country, but will also enable them to compare with those of major countries in the world. Conclusions The indexes selected in this study will not only be used to assess sustainabl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s in each country, but will also enable them to compare with those of major countries in the world. It is expected that countries around the world will be able to evaluate policies related to sustainabl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ystems and use them as a basis for decision-making to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KCI등재

        The Process of Ideological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Mongolia and Further Approach

        Gungaa Baljinnyam(발진냠)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사회과학연구 Vol.27 No.3

        Research work in titled “The process of ideological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Mongolia and further approach” considered Mongolian sustainable development trends and its strategy implementation,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orld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reform on the ground of studying origin, evolution and theory of the concept “Sustainable Development”. The research article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Historical analysis on Sustainable Development, World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Mongolian based on World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Conclusion and References. Introduction commented rational and necessities of the study issue. The following chapter mentioned about the study of origin, evolution and theory of the concept “Sustainable Development”. The third chapter marked out the World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and its reforming process. The research on Mongolian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y, trends and its International collaboration survey explained in the fourth chapter of this article. Finally Mongol wisdom of living in harmony with the nature becomes one of basic principles of the Global Sustainable Development. Thus there’s drawn a general conclusion that is important to implement through determining collaborative strategy and creating new laugh outs to improve sustainable development level and its successful implementation in Mongolia.

      • KCI등재

        윤리적 소비동기의 발달: 도덕성 발달 이론을 중심으로

        전상민 ( Sang Min Jun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윤리적 소비동기가 소비자의 도덕성 발달 단계에 따라 어떻게 위계적으로 유형화되는지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을 중심으로 탐색하고, 소비자의 도덕성 발달이 윤리적 소비동기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16명의 성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근거이론방법론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ㆍ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의 도덕성 발달 6단계에 따라 총 10개의 윤리적 소비동기가 유형화되었다. 도덕성 발달 단계인 6단계에서는 상생과 신념ㆍ양심, 희생적 배려, 죄책감의 4개의 상위범주가 생성되었고, 5단계는 공익을 위한 목소리 내기와 다음 세대를 위한 환경보존, 4단계는 올바름, 3단계는 타인 지향, 2단계에는 개인 이익, 1단계는 강제적 제도 범주가 생성되었다. 윤리적 소비동기의 핵심범주는 ‘개인주의 및 도구주의적 도덕성에 기반을 둔 개인 이익과 보편적 도덕원리 지향의 도덕성에 기반을 둔 상생의 양립’으로 분석되었다. 윤리적 소비동기의 주된 발달 단계는 개인 이익(도덕성 발달 2단계)이 충족된 상태에서 다음 세대를 위한 환경보존(도덕성 발달 5단계)을 거쳐 상생 및 신념ㆍ양심(도덕성 발달 6단계)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소비자의 도덕성 발달 수준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도덕성 발달 P(%)점수가 50점 이상(0∼95점)인 경우, 상생 이상의 윤리적 소비동기로 발달하였다. 윤리적 소비동기의 발달이 개인 이익이나 다음 세대를 위한 환경보존에서 중단되면, 제한적 윤리적 소비 혹은 윤리적 소비의 회피ㆍ포기로 이어진 반면, 상생과 신념ㆍ양심으로 발달한 경우에는 포괄적 윤리적 소비인 지속적인 구매와 구입제품 범위의 확대가 나타났다. 윤리적 소비동기의 촉진요인은 가족주의, 윤리적 매장과 제품 이용의 편리함, 풍부한 정보, 성장배경으로 파악되었고, 저해요인은 지식적ㆍ시간적ㆍ경제적 여유 부족과 낮은 우선순위, 이기심ㆍ불신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윤리적 소비의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how ethical consumption motiv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consumers`` moral developmental stage and how the moral development level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ethical consumption motives based on the theory of moral development by Kohlber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6 adults and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used. We found 10 types of ethical consumption motives, which were matched with six stages of consumers`` moral development. There were four types of ethical consumption motives in the highest stage(sixth stage) of moral development: coexistence, belief/conscience, altruistic care, and guilty conscience. Other types of ethical consumption motives were recorded as follows: speaking out for public interests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for the next generation(fifth stage), rightness(fourth stage), other-orientation(third stage), personal gain(second stage), and compulsory system(first stage). Core categories of ethical consumption motives included personal gain based on self-interest driven morality(second stage) and coexistence based on universal ethical principles driven morality(sixth stage). Ethical consumption motives have developed from personal gain(second stage) to coexistence and belief/conscience(sixth stage) via environment preservation for the next generation(fifth stage). The level of moral development positive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ethical consumption motives. Respondents who received 50 or more in P(%) scores of moral development had coexistence and belief/conscience which had developed from environment preserv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and personal gain. When the development of ethical consumption motives stopped in the personal gain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for next generation, it led to restrictive ethical consumption or avoidance of ethical purchase. In contrast, ethical consumption motives which developed to coexistence and belief/conscience led to comprehensive ethical consumption, such as continuous ethical purchase and expansion of ethical product range. The study showed the promotive factors (i.e., familism, convenience of buying, having enough information, and backgrounds) and intervening factors (i.e., lack of knowledge, time and money, poor evaluation of ethical products, and selfishness/ distrust) of the development of ethical consumption motiv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practical and useful ways to boost ethical consumption.

      • KCI등재후보

        可持續發展的網絡治理模式: 中國城市發展轉型的深圳經驗

        朱旭峰 ( Zhu Xufeng ),张超 ( Zhang Chao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19 중국사회과학논총 Vol.1 No.1

        Development is the core theme for the forty years’ progress since the Reform and Open in China. Unlike the single target of economic growth, the development in Chinese cities has gradually incorporated various values and meanings. Especially, Sustainable Development, as a development approach requesting the coordination of economy, society and environment, has been a main trend now.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has launched the greatest ever policy experiment for human-beings, and it also provides a precious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researches on public management. However,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economic growth, the exist literature cannot fully reply on the questions of how is public governance works in Chin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hat’s has changed in the governance models along with the transfer of development targets? How will different actors coordinate and cooperate for achieving SDGs? As a typical city of Reform and Open and also a demonstration zon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enzhen acts as a model providing precious experiences for reference. Based on multiple rounds of interviews and on-site visits, this study chooses Shenzhen as a case of transformational development. With a discussion on the theories of governance, this paper points out a network governance model, integrating governments, companies and society, for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Shenzhen model is illustrated by “Small government” of public service, “Big society” of improving wellbeing, and “Companies leading” of an innovative approach.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solid and beneficial refer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other cities.

      • KCI등재

        중학교 지리 교과서에 재현된 개발 담론 분석

        조철기(Cho, Chul-K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4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0 No.4

        이 연구는 개발 담론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중학교 지리교육과정 및 지리교과서에 재현된 개발 담론의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개발 담론은 근대화이론, 종속이론, 신자유주의, 풀뿌리 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탈식민 주의·탈구조주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에 근거하여 지리교과서에 재현된 개발담론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 및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개념 정립과 조작적 정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발의 척도는 주로 1인당 국내총생산 또는 1인당 국민총소득과 같은 평균적인 경제적 척도에 의존하고 있었다. 교육수준과 평균수명을 포함한 인간개발지수는 일부 교과서에서만 언급되고, 젠더 지수는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았다. 셋째, 특정 교과서는 개발도상국 대신에 편견적인 저개발국, 최저개발국이라는 용어를 여전히 사용하고 있었다. 넷째, 경제적 불 평등 및 지리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에서는 국제적, 국가적, 비정부조직의 차원에 대한 강조에 비해 개인적 측면에 대한 고려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개발 있어서 세대 간 공정만 언급할 뿐 세대 내 공정은 간과하고 있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접근은 주로 생태중심적 접근보다는 기술중심적 접근에 토대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볼 때, 지리교과서 서술에 있어서 개발 담론에 대한 더욱 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aches of development discourse and its representation in geography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middle school in Korea. The paper examines the spectrum of development discourse in terms of modernization theory, dependency theory, neoliberalism, grassroots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postcolonism, post-structuralism and post-development. The findings on geography textbook analysis based on them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xtbooks don"t include the definition and operational definition on develop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econd, development indicators rely on normal economic indicators like GDP or GNI per capita. HDI that includes GDP per capita, level of education and life expectancy is treated in some of the textbooks, and gender index is never presented. Third, a textbook still uses biased terms such as developed and most developed countries instead of developing countries. Fourth, in plans to solve economic unequality and geographical problems, personal level is treated less than the global, nation and NGOs. Finally, statemen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contain only intergenerational equity, not intergenerational equity. And approaches on sustainable development are based on technocentric approaches more than ecocentric approaches. Thus geography textbooks should be carefully written on development discourse by authors.

      • KCI등재

        일본 지리교육과정을 통해 본 개발교육의 도입과 전개

        조철기(Cho, Chul-K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2

        개발교육은 1960년대 이후 유럽의 일부 선진국을 중심으로 출현하기 시작했다. 일본은 1960년대 고도의 경제성장과 1970년대 후반 삶의 질에 대한 자각이 이루어지면서 개발교육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유럽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개발교육은 개발NGO의 주도하에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외무성 산하의 일본국제협력기구 (JICA)와 문부성의 협력 속에 개발교육은 공교육으로 점차 스며들기 시작한다. 일본의 학교교육에서 개발교육은 범교과적인 학습을 위한 총합학습 시간과 개별 교과의 학습을 통해 이루어진다. 학습지도요령 및 교과서를 통해 볼 때, 지 리 교과의 경우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후반에 이르는 시기에는 세계 속의 일본인 육성을 강조한 개발교육의 맹아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지리교육과정에는 큰 변화가 이루어지는데, 그것은 지구적 시민성 육성을 강조하면서 본격적으로 개발교육이 실시되게 된 것이다. 그리고 1990년대 후반에는 지리교육과정에 서 개발교육을 더욱 강조하면서 개발교육이 최고로 확장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009년에 이루어진 가장 최근의 지리교육과정 개정에서는 개발교육에 대한 강조가 다소 주춤해지는 성숙기를 경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Development education started in some of developed countries of Europe since 1960s. Japan was interested in the development education with realizing the impotance of quality of life in the late of 1970s after high economical growth in 1960s. Just like Eroupe, development education in Japan was done to citizen by development NGOs. But under close cooperation with JICA and MOE, development education was gradually absorbed in formal education. Development education in Japan is done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the subjects.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in Japan show that the subject aimed to nurture Japanese in the world in the period from the late of 1960s to the late of 1970s. Thus the period can be named the sprouting time of education of development. But with entering the late of 1980s,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started to focus on fostering global citizenship to students. The turn in the educational aims can be counted as practical start of education of development. And education of development through geography was extended the most in the late of 1990s. But in the recent revised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emphasis on education of development is reduced a little. It can be told that education of development in Japan arrives at the level of the full growth.

      • KCI등재

        Development of Agricultural Cooperative in Cambodia - Lessons from South Korea -

        리치 시던(Reach Syden),이미숙(Mi Sook Lee) 한국농촌지도학회 2016 농촌지도와 개발 Vol.23 No.2

        캄보디아는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농업중심 국가로 농업부문의 개발과 성장을 통한 빈곤감소와 경제성장에 크게 관심을 두고 있다. 특히 쌀 수출 목표(백만톤/2015)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의 강력한 홍보 및 새로운 농업협동조합을 창설하였다. 그러나 현재 정부, 비정부기구 및 민간 부문에서 강력한 지지가 있으나 농업분야 성장이 느리게 진행되고 있고 농협의 운영상의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농협의 발전을 교훈 삼아 캄보디아 농협운영에 대한 개선책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캄보디아의 농업개발정책을 살펴보고, 양국의 농협발전 과정과 비교를 통해 캄보디아 농협 운영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분석의 기준은 양국의 농협설립과 운영시스템, 정부와 민간의 개입 정도, 농협의 발전과정과 지역사회개발에 있어 농협의 기여 정도에 관하여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캄보디아 정부가 협력 사업의 운영 및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하며, 캄보디아 농협과 농협연맹(ACF) 의 통합을 제안한다. 둘째 공동 관리 및 운영은 정부가 권한을 가지며, 농업관련 부서는 지역사회수준에서 농협의 지원 및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부관점에서 협력위원회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전략 계획을 수립하고 정부가 표준 농산물 시장 가격을 보장하고 농협에 대한 농업협력사업진행을 위한 예산 지원 및 생산자와 구매자 사이의 정기적인 회의 등 합리적인 의사전달체계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The study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in Cambodia seek to explore the progress of agricultural cooperative( AC) development in Cambodia and South Korea. The experiences of Korea AC development are used to improve the Cambodian ACs. The results of study gave a lessons that the Korea ACs, which were multipurpose cooperatives were formed and owned by the government and had been considered as a successful development strategy for rural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As the government directly managed the businesses and other operations, available budgets, close with monitoring, and active member’s participation the AC in Korea progressed rapidly for both the members and business scopes and it hugely contributed to rural development of Kore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AC in Cambodia recommendations based on lessons from Korea AC will give a message to government and NGO. Rural Development always related with farmer’s life. To live well in rural area provide effective mechanism to income increase. To development of AC in Cambodia is future of rural development.

      • KCI등재

        변화하는 제주도 개발 담론과 마을 주민 성원권의 젠더정치

        김상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23 여성학논집 Vol.40 No.1

        Recent discourses on the development of Jeju Island have raised the issue of 'being a resident' in relation to development in complex ways.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s of local development and being a member of a local community, showing that the gender politics of village membership, place and community underlie the discourse of 'village development'. In Bengdi village, the meaning of local development was constructed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village life. While the development of Jeju was understood as a socio-economic process independent of the village, the development of the village was seen as essential for the social reproduction of the village.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were based on gendered participation, bringing different experiences of development to men and women in the village. This draws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local people' that development, progress or conservation normatively presupposes is not a homogeneous group with a single set of interests, but a complex community of gendered members. Using a feminist post-development approach, this article shows that the power relations that local development discourses reshape are rooted in gender politics. 최근 제주도 개발을 둘러싼 담론에서는 개발과 관련하여 주민의 권리 및 자격, 참여 등 ‘주민됨’의 문제가 복잡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는 제주도 마을의 현장 연구를 통해, 지역의 개발과 주민됨의 의미를 탐구하고, 마을이라는 장소, 그리고 공동체를 둘러싼 성원권의 젠더정치가 ‘마을 발전’ 담론의 근간을 이루고 있음을 드러내고자 했다. 연구 현장인 ‘벵듸’마을에서 지역 개발과 발전의 의미 구성에는 마을에 기반한 삶의 맥락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 개발이 마을과 무관한, 마을의 것이 아닌 사회경제적 과정으로 이해되었다면, 발전은 마을의 사회적 재생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같은 맥락에서 추진된 마을 발전 프로젝트는 주민들의 젠더화된 참여를 바탕으로 진행되었고, 마을의 남성과 여성에게 발전과 관련한 서로 다른 경험을 가져다 주었다. 이는 개발과 발전, 혹은 보존이 규범적으로 전제하는 ‘지역 주민’이 이해관계가 단일한 동질적 집단이 아니라, 젠더화된 성원으로 이뤄진 복잡한 공동체라는 점에 주목하게 한다. 이 글은 지역의 개발과 발전에 대한 페미니스트 포스트-발전주의적 접근을 통해 지역의 개발과 발전 담론이 재편하는 권력 관계가 젠더정치에 기반하고 있음을 밝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