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가정과교사의 자기이해 변인이 변화역량에 미치는 영향

        노희연,임소진,김승희,박미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competency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self-concept clarity, career identity, and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6 pre-teachers attending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National Univers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30 to December 16, 2019, and the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 showed a higher change competency than his/her own understanding, and the self-understanding showed the highest career identity, followed by self-conceptual clarity and self-efficacy.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nge competency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according to the general factors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grades,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s, and course taking experienc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change competency and the related variables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Fourth, the sub-variables of self-understanding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ange capacity. In this research, it is significant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curriculum development to strengthen the change ability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 본 연구는 예비 가정과교사의 자기이해 하위변인인 자기개념 명료성, 진로정체성, 자기 효능감과 변화역량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전국의 예비 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2019년 11월 30일부터 12월 16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총 15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요인분석,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Pearson 적률상관계수,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가정과교사는 자기이해 정도보다 변화역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이해에서는 진로정체성이 가장 높았고 자기개념 명료성, 자기 효능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 가정과교사들의 변화역량은 예비 가정과교사들의 일반적 요인(학년, 교육실습 경험, 과목 수강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예비 가정과교사들의 변화역량 및 관련 변인들은 서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비 가정과교사들의 자기이해 하위변인들은 변화역량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예비 가정과교사의 변화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자료 제공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1세 영아 ‘놀이’의 의미 탐색

        노희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4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meaning of play for a toddler. The researcher wanted to give the educational views to the care and rearing field for the infants and toddlers. This research used the qualitative method and the researcher observed a one-year old toddler for a year.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by the participation observations, interviews with the mother, blog of the mother, and field notes of the researcher.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using qualitative method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meaning of play is ‘communication’, ‘experiment’, ‘practice’, ‘achievement’, ‘challenge’, ‘care’, ‘imitation’, ‘application’, and ‘sharing’. Finally the carer must understand the meaning of play for toddlers and support them appropriately. 본 연구는 1세 영아의 생활모습을 질적으로 관찰하여 이를 이해하고 영아에게 있어서 놀이의 의미를 탐색해 봄으로써 영아의 양육과 보육에 교육적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1세 영아를 대상으로 1년 동안의 삶 속에서 관찰과 어머니와의 인터뷰, 어머니의 블로그, 연구자의 현장일지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1세 영아 놀이의 의미는 ‘소통’, ‘실험’, ‘연습’, ‘성취’, ‘도전’, ‘돌봄’, ‘모방’, ‘적용’, ‘공유’로 나타났다. 놀이는 결국 영아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므로 양육자는 영아의 놀이의 의미를 인식하고 적절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어린이집 영아가 경험하는 갈등상황과 갈등해결 전략에 대한 탐색

        노희연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oddlers’ troubles and resolution course. This study included 14 2-year-old toddlers at a daycare center in Seoul.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daily work of the daycare center to observe the daily lives of the toddlers, to interview the teachers and to collect other related information and data. Through data analysis, the toddlers’ trouble and resolution course at the daycare center were identifi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toddlers have trouble with peers, teachers, their environment, and daily work at the daycare center. Second, the toddlers resolved their trouble by self-caring, play, compromising with peers and avoiding trouble. Through these results, the teachers of daycare center should understand the feeling of at their daily work and support individual feelings and experiences of infants. 본 연구는 영아반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갈등 상황과 영아가 이러한 갈등을 어떻게 해결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K 직장어린이집 2세반 영아반의 하루일과를 3개월 동안 총 24회 참여관찰 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아들은 어린이집에서 생활하며 하루 일과 중 또래와의 갈등, 교사와의 갈등, 환경과의 갈등, 일과와의 갈등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와의 갈등은 주로 놀잇감을 공유해야 할 때, 그리고 놀이방식이 다를 때 나타났으며, 교사와의 갈등은 교사와 소통이 되지 않을 때 교사의 지시와 권유가 영아의 요구와 맞지 않을 때 나타났다. 환경과의 갈등은 주로 놀잇감이 자신의 뜻대로 조작되지 않을 때, 너무 익숙한 놀잇감으로 인해 지루하거나 놀잇감이나 공간이 부족할 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과와의 갈등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더 하고 싶은데 다른 일과와 부딪힐 때, 하고 싶지 않은 일과를 수행해야 할 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영아는 자신돌보기, 갈등상황 피하기, 놀이로 해결하기, 버티며 타협하기 등의 전략을 활용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고등학생을 위한 가정교과 기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노희연,조재순,채정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PPEP) based on Home Economics(HE) subject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PEP based on HE subject in this study followed ADDIE model except implementation through 4 processes such a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First, program development directions were set in three aspects such as ʻgeneral developmentʼ, ʻcontentsʼ, and ʻteaching and learning methodsʼ. Themes of the program are 11 in total such as ʻ1. Parenting, what is being a parentʼ, ʻ2. Choosing your spouse, happy marital relationship, the best gift to your childrenʼ, ʻ3. Pregnancy and birth, a moving meeting with a new lifeʼ, ʻ4. Taking care of a new born infant for 24 hoursʼ, ʻ5. Taking care of infants, relationship with my lovely baby, attachmentʼ, ʻ6. Taking care of young children, my child from another planetʼ, ʻ7. Parents and children in healthy familyʼ, ʻ8. Parent-child relationship, wise parents to make effective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ʼ, ʻ9. Parents safety manager at home,ʼ, ʻ10. Practice to take care of infantsʼ, and ʻ11. Practice of community nurturing support service developmentʼ. In particular, learning activities of the program have major characteristics such as 1) utilization of cases including practice problems related to parenting, 2) community exchange activities utilizing learned knowledge and techniques, 3) actual life project activities utilizing learning contents related with parenting, 4) activities inducing positive changes in current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and 5) practice activities for the necessities of life such as food, clothing and shelter supporting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 the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sign. Teaching-learning plans and materials for 17 classe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11 themes. The developed plans include class flow and teacherʼs reference. It starts with receiving a class-related message from a virtual child at the introduction stage and ended with replying to the message by summarizing contents of the class and making a promise as a parent-to-be. That is the basic frame of class flow. Learning materials included various plans and reports necessary for learning activities and they are prepared in details so that they can be play the role of textbooks in regular curriculum. Third, evaluation of developed program was executed by a 5 point Likert scale survey on 13 HE experts on two aspects of program development process and program development results. In the evaluation of development process, mean value was 4.61 and index of content validity was 97.4%. For development results, mean value was 4.37 and index of content validity was 86.9%. These values showed that validity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results in this study was highly secured and confirmed that PPEP based on HE was appropriate and valid to enhance parent qualifications of high school learner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정교과 기반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여, 예비부모인 고등학생 학습자들이 훗날 우리 사회의 주역이 될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보살필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되는데 필요한 역량을 갖추도록 하며 동시에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의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을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예비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과정은 일반적체제설계모형인 ADDIE 모형을 따랐으며, ADDIE모형 중 실행단계(Implement)를 제외한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4가지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먼저, 분석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요소 추출과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을 얻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2015 개정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 문서를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가정교과 이 외의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예비부모교육의 9 가지 주제(1.자기이해, 2.예비부모의 성, 3.결혼, 4.임신과 출산, 5.부모됨, 6.부모역할, 7.부모 자녀관계, 8.부모와 가족, 9.부모와 사회)와 해당 내용요소들은 이미 가정교과 교육과정에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9가지 주제 이외에 가정교과만의 독자적인 주제(1.생애설계, 2.가정생활 내 의・식・주 실천역량, 3.가정생활과 자녀안전, 4.가족문화)와 해당 내용요소들을 별도로 확인함으로써 예비부모교육 시행에 있어 가정교과가 지닌 강점(청소년과 가정과 사회를 바라보며 부모교육 내용 뿐만 아니라 식・의・주・소비 생활 전반을 포함하는 총체적 관점의 교육과 실제로 부모 준비를 실천하게 하는 교육)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설계는 가정교과와 예비부모교육 간의 접점을 찾고 이를 프로그램 구성요소(목적, 개발방향, 주제, 내용요소, 학습목표, 학습활동)에 반영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미래세대를 현명하게 길러낼 수 있는 성숙한 부모가 지녀야 할 관련 지식, 태도, 가치관, 실천적 문제 해결 능력을 고등학생 학습자가 갖추도록 지원하는 것을 일차 목적으로 두며, 부모됨의 준비 관점에서 학습자가 현재 생활 점검 및 개선을 통해 생활자립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을 이차목적으로 둔다. 궁극적으로 이 두 가지 목적 달성을 통해 학습자가 장차 부모로서 살아갈 가정생활 영역과 개인적 성취와 관련된 직업생활 영역 그리고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시민으로서의 삶의 영역간의 균형을 이뤄 이를 조화롭게 영위할 수 있는 성숙한 부모로의 성장을 돕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방향은 ‘전체 전개’, ‘내용구성’, ‘교수・학습법 구성’으로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설정되었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총 11개로 ‘1. 부모 됨: 부모가 된다는 건’, ‘2. 배우자선택: 행복한 부부관계, 자녀에게 주는 최고의 선물’, ‘3. 임신과 출산: 새로운 생명과의 감동적인 만남’, ‘4. 신생아 돌봄: 24시간 신생아 돌봄’, ‘5. 영유아자녀돌봅: 사랑스러운 나의 아기와의 관계, 애착’, ‘6. 유아기 자녀 돌봄: 별에서 온 내 아이, 유아기 자녀 돌보기’, ‘7. 부모와 건강가정: 건강가정 속 부모와 자녀’, ‘8. 부모 자녀 관계: 현명한 부모, 자녀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기’, ‘9. 가정생활 내 자녀안전: 가정생활 속 안전관리자, 부모’, ‘10. 영유아 돌봄 실습 ...

      • KCI등재

        1세 영아의 어머니와의 분리과정 탐색

        노희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1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independent and active figure of the toddler in the course of the separation from the mother. So the researcher observed qualitatively the toddler who tried to separate from the mother and became independent. A toddler who was 13 month and her mother were chosen as the participant.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wit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the interview with the mother, the blog of the mother and the journal of the researcher. The data were analyzed by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s the results, the toddler wanted to be with her mother as a shadow in the early period of one-year-old. But the toddler became interested in the new thing and explored by herself more and more. Instead of being with mother, the toddler only checked the existence of the mother or demanded help when she played. The toddler then clung to her mother again, which this behavior of the toddler was not the dependence on her mother but the care for herself because of the anxiety for new thing and situation. Finally, the toddler became concentrate on the play by herself for a long time and so became independent in the relation with the mother. 본 연구는 1세 영아가 1년 동안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스스로 분리를 시도하고 독립해 가는 과정을 질적으로 관찰하여 어머니와의 분리과정에서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영아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1년 동안 1세 영아 한 명과 그의 어머니를 관찰하고, 어머니와의 면담, 어머니의 블로그, 연구자의 현장일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1세 영아는 초기에 어머니 곁에만 머물려고 했으며, 마치 어머니의 그림자처럼 따라다녔다. 하지만 점점 어머니와 떨어져 혼자 탐색하고 놀이했으며, 잠깐씩 어머니의 존재를 확인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며 상당히 독립적인 모습으로 변해갔다. 그러나 다시 어머니에게 와서 매달리고 짜증내며 칭얼대기도 하는 혼란스런 모습을 보이게 되는데, 이는 어머니를 안전기저로 하여 온전한 분리를 위한 연습을 하고 있는 과정이며, 결국에는 혼자서 오랜 시간동안 놀이에 몰입하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독립적인 모습을 보였다.

      • 1세 영아를 위한 발달지원놀이 프로그램 개발 연구

        노희연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2016 아동중심실천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1세 영아의 주요 발달과업을 이해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 에 적용 가능한 내용을 제안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1세 영아의 발달과 놀이에 관한 문헌을 검토 하고 현장전문가와 이론전문가와 함께 1세 영아에게 중요한 발달과업과 지원내용을 선정하였다. 1세 영아를 위한 주요 발달과업으로 감각능력, 대소근육 발달, 자기인식 능력, 언어능력, 인지적 능력을 선정하였으며 각 영역별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활동을 구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 램의 목표는 감각능력, 대소근육 발달, 자기인식 능력, 언어능력, 인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며, 내용은 오감각 경험 제공을 통한 감각능력발달, 영아의 몸을 움직이는 경험과 다양한 교재교 구를 다루어 보는 경험을 통해 신체 각 부분의 균형감각과 조절능력을 향상시키며, 1세 영아의 신체적 자아와 심리적 자아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교사나 교재교구와 상호작용하며 다양 한 어휘와 문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다양한 교재교구와 상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교수학습방법은 제시 하기, 탐색하기, 놀이하기, 놀이 확장하기이며, 교사의 역할은 동기유발자, 상호작용자, 시범자, 촉 진자, 관찰자, 평가자이며 평가는 교사 관찰을 통한 체크리스트, 일화기록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 진다.

      • KCI등재

        배변훈련을 통해 본 영아의 분리와 전이 경험

        노희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xperiences of separation and transition of toddler focusing on toilet learning. So this case study will give an empirical and practical information to mothers and teachers for toddlers. For this purpose, toddler's and mother's behaviors were observed for toilet learning and the meaning of toilet learning was analyzed for toddler. As a result of analysis, the behavior patterns of toddler were 'being interested in toileting and imitate way of toileting', 'anxiety and resistance', 'a chance success and being familiar with toilet', 'repeated failing', and 'being a natural with toilet and showing off his success'. The behavior patterns of mother were 'waiting a chance of toilet learning', 'trying to do something for toilet learning', 'being disappointed and conflict', 'holding her own against the toddler with surprise and expectation', and 'becoming a routine'. In the process of separation and transition focusing on toilet learning were represented, toddler was interested in something new, but sometimes he depended on something familiar, finally toddler was familiar with change. Nevertheless the experiences of separation and transition were dynamic and changeable, and toddler overcame step by step. 본 연구는 영아의 분리와 전이 과정에 대한 경험적 지식을 주고자 배변훈련을 하고 있는 영아의 사례를 연구한 것으로 배변훈련 과정에서 나타나는 영아와 어머니의 행동양상을 살펴보고, 배변훈련이 영아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분석해 보았다. 배변훈련 과정에서 영아가 보인 행동양상은 ‘배변 장면에 관심가지고 흉내 내기’, ‘불안과 거부, 그리고 기저귀 고집하기’, ‘한 번의 성공과 변기와 친해지기’, ‘실수의 연속, 능숙한 배변조절과 자신의 성공 과시하기’ 로 나타났으며, 어머니가 보인 행동양상은 ‘기회 엿보기’, ‘작은 시도 해보기’, ‘실망과 갈등으로 지켜보기’, ‘놀라움과 기대와 긴장으로 영아와 맞서기’, ‘편안한 일상으로 받아들이기’로 나타났으며, 배변훈련 과정이 영아에게 주는 의미를 분석해본 결과 ‘새로운 변화로의 발 디딤’, ‘친숙한 것으로의 후퇴’, ‘새로운 변화와의 친숙함’ 으로 나타났다. 결국 영아들은 계속적으로 새로운 것에 대한 관심과 도전을 하게 되며 이러한 반복적 경험을 통해 새로운 것은 영아 생활의 일부가 되어 안정적으로 전이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어린이집 영아반 하루일과의 의미 탐색: 0, 1세 영아반의 배변 및 기저귀 갈기, 낮잠자기, 간식 및 식사 시간을 중심으로

        노희연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ningmeaning of infant's daily work at the daycare center, especially focused on the diapering, sleeping and lunch time. For this study, research was taken for 8 months at the a daycare center of Seoul. There were 16 participants, There were six 0-year-old infants and ten 1-year-old.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daily work of the daycare center to observe daily lives of the infants, to interview with the teachers and to collect related information and data. By analyzing these this informations and data, the meaning of infants' daily work at the daycare center was identified. The following i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1. The meaning of the diapering is ascertaining caring of teacher, one to one relationship and playing. 2. The meaning of the sleeping is the duty, the time needed help and safety. 3. The meaning of the lunchtime is ascertaining ability, encountering unfamiliar objects and playing. Through these results, the teachers of the daycare center have to understand the feeling of infants at the daily work and support individual feelings and experiences of infants.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의 하루일과를 관찰함으로써 영아들에게 있어서 어린이집의 하루일과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 지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아의 입장에서 긍정적인 보육이 일어날 수 있도록 현장에 시사점을 주고자 하는 질적 연구이다. 특히 영아반의 일과 중 배변 및 기저귀 갈기, 낮잠자기, 간식 및 식사 시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어린이집 영아반에 방문하여 참여관찰과 더불어 교사면담, 현장일지 등을 통해 질적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귀납적인 분석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과는 배변 및 기저귀 갈기의 경우 ‘보살핌을 받는 시간’, ‘양육자와 관계를 맺는 시간’, ‘즐거운 놀이를 할 수 있는 시간’의 의미가 있었다. 낮잠자기의 경우는 ‘낮잠을 자는 것에 부담감을 느끼는 시간’, ‘의무적으로 자야만 하는 시간’, ‘포근함을 느끼는 시간’의 의미가 있었으며, 간식 및 식사시간의 경우 ‘자율성이 필요한 시간’, ‘낯설음이 존재하는 시간’, ‘놀 수 있는 시간’의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