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당보상 구현을 위한 손실보상 제도의 개선방안

        허강무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32 No.-

        Since the 2000s, public services have been carried out simultaneously across the country. In the midst of the land expropriation process for public services in which more than 20 trillion won is expended in land compensation costs annually, the confusion and social costs caused by the conflict between project promoters and land expropriatees are at a serious level. Acutely required are legislative efforts for establishing land expropriation and its consequential compensation system based on fair property value without unjustly infringing on the people's property rights. The compensation for land rights, etc. in the process of executing public services, is taking the most important position. A project promoter is trying to rapidly proceed with their project within the range of business plan while a land proprietor is always trying to get perfect or more than perfect compensation for land. Therefore, it's too natural that both sides are in conflict in the process of land compensation. The land appraiser-led assessment of compensation cost for loss is the means in preparation for solving such conflictory relationships rationally. Accordingly, the way to improve the loss compensation system should be discussed with a focus on fulfilling just compensation for land proprietor while inducing a program to be smoothly promoted. Especially the loss compensation system in public services is required to be urgently solved in the sector of enhancement of neutrality in selection of appraisers, actualization of the appraised value of land, systematic operation of verification system of compensation appraisal, and improvement in the device for recapturing development gains in the neighboring area of public services. 2000년대 이후 공익사업은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매년 20조원 이상의 토지보상금이 지출되는 공익사업 토지 수용과정에서 피수용자와 사업시행자간의 갈등으로 인한 혼란과 사회적 비용이 심각한 수준이다. 따라서 국민의 재산권을 부당하게 침해하지 않고 공정한 재산가치에 입각한 수용 및 보상 체계를 확립할 입법적인 노력이 요청된다. 공익사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토지 등의 권리에대한 보상은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사업시행자는 사업계획 범위 내에서 신속하게 추진하고자 하고, 토지소유자는 항상 완전 또는 그 이상의 보상을얻고자 한다. 따라서 양 당사자가 보상과정에서 갈등관계인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감정평가사에 의한 손실보상액 산정은 이러한 갈등관계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마련된 수단이다. 따라서 손실보상제도의 개선 방향은 사업이 보다원활히 추진되도록 하는 한편 토지소유자에게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특히 공익사업 손실보상제도는 감정평가사 선정의 중립성 제고, 기타요인보정의 합리화, 공시지가의 현실화, 보상평가 검증시스템의 체계적 운영, 공익사업 주변지역 개발이익환수 장치 개선 등을시급하게 해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손실보상액 산정절차와 보상액 결정기준에 관한 연구

        박성규 한국법경제학회 2022 법경제학연구 Vol.19 No.1

        It is very important how to establish a system to achieve just compensation. Various discussions and experiences on compensation are stipulated in the Takings and Compensation Act. However, in determining the scope of compensation and the amount of compensation, the principles set by the Act are not properly observed. This is because individual laws have various exceptional measures. Each year, more than 3,000 projects are developed by eminent domain. But, Less than 1% of projects are implemented based on the Act. 99% of projects are initiated by exceptional 93 laws. This process is called the ‘quasi-permission of a public project.’ The institution for only facilitate the takings process functions to reduce the scope of compensation and the amount of compensation in Korea. Also, there should be only a year time-lag between acquisition through negotiation and compulsory acquisition. ᅲBut, this period can be extended by 77 laws. The increase in land prices during this period is not properly reflected in compensation valuation. Exceptional legal provisions in favor of the developer should be deleted for just compens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new compensation rule. First, it is to give more compensation to owners who hold it for a long time. Second, it is to share the development surplus with the owner in economic development projects. 공용수용의 핵심 요건인 ‘정당보상’을 달성하기 위해 제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는 매 우 중요하다. 다양한 논의와 경험의 결과가 현재의 토지보상법 규정들이다. 하지만 보상대 상을 결정하거나 보상액을 정할 때 토지보상법에서 정한 기준대로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 원인은 개별 법률에서 각종 예외적 조치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매년 3,000건이 넘 는 개발사업 중 토지보상법에 따라 사업인정을 받는 비율은 1% 이하에 불과하며, 99%는 개별 법률에 근거한다. 특히 93개 법률에 규정된 ‘사업인정의제’ 조항은 단지 수용절차를 쉽 게 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보상대상을 줄이거나 보상금을 축소하는 기능까지 한다. 77개 법 률에 규정된 ‘재결기간 예외’ 조항은 보상액 산정의 기준시점을 사업시행자에 유리하게 하 여 구조적인 과소보상 편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저자는 정당보상을 위협하는 개별 법률의 이리한 특혜적 예외조항의 삭제를 주장한다. 아울러 정당보상을 위한 추가적 논의로 장기 보유자에게 더 관대하게 보상을 하거나 공익성 낮은 개발사업에서 소유자와 개발이익을 나누는 것 등을 제안한다.

      • KCI등재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의 관점에서 바라 본 보수규제 - 보수 환수제도를 중심으로 -

        임정하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서울법학 Vol.24 No.3

        Recently it was discovered that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Hanjin Shipping, Hyundai Merchant Marine paid enormous amount of severance pay and compensation to ex- and incumbent executives while the companies was crumbling due to mismanagement and liquidity crisis. Accordingly, regulation of compensation policy has caught social and academic attention. Under the current commercial code, directors' compensation is required to be determined by the resolution of a general meeting of shareholders of a company unless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provides for it. Publicly listed companies are required to disclose each director's compensation which is not less than 500 million Korean won and the specific standard and method to calculate the compensation. Unfortunately, the current regulation have not functioned well against the purpose of the regulation. It is necessary to have not only en-post but also ex-post regulation for the effective compensation regulation. As an en-post regulation, it is required to calculate compensation complying with the calculation standard. Clawback policy would function as an ex-post regulation. Compensation could be defined as payment to a director who performs his or her duties carefully and faithfully. Further, compensation should be determined reasonably proportional to director's duties and compensation shall not be unreasonably excessive considering debts and business performance of a company. According to Provision 1 of Article 399 of the Commercial Code, if directors have acted in violation of the laws or articles of incorporation or have neglected to perform their duties, they should be liable jointly and severally for the damages of the company. In case where reasonably proportional relation does not exist between directors' duties and compensation or compensation cannot be regarded as legal and appropriate payment for the performance of directors' duties, it is highly likely that directors would be liable for the damages of the company.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ove liability establishing requirements such as breach of directors' duties, occurrence of damages, causality. Thus, there is limit to pursue liability claims under the Provision 1 of Article 399. The clawback policy can function as a special regulation to the liability pursuing according to the Provision 1 of Article 399. Thus, the clawback policy needs to be structured to supplement the limits of the Provision 1 of Article 399. When considering the clawback policy as the method to pursue directors' liability, directors' compensation shall be clawed back in excess of the legitimate payment. Further, although the payment is not excess, the compensation shall be clawed back when directors commit misconduct performing their duties. 최근 극심한 경영난과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 한진해운, 현대상선, 대우조선해양이 전ㆍ현직 임원에게 막대한 퇴직금과 보수를 지급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임원의 보수규제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행법상 이사의 보수는 정관이나 주주총회에서 정하도록 하고 있고, 상장법인은 5억원 이상 임원 개인별 보수와 그 구체적인 산정기준 및 방법을 공개하고 있으나 보수규제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효율적인 보수규제를 위해서는 사전적으로는 보수 산정기준을 준수하여 적정한 보수를 산정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고 사후적으로는 적정하지 못한 보수를 환수하도록 규제할 필요가 있다. 보수란 이사가 주의의무를 다하여 직무를 수행한 경우에 주어지는 대가이다. 또한 이사의 직무와 보수 사이에는 합리적 비례관계가 유지되어야 하며, 회사의 채무 상황이나 영업 실적에 비추어 합리적인 수준을 벗어나서 현저히 균형성을 잃을 정도로 과다하여서는 아니 된다. 상법 제399조 제1항에 의하면 이사의 법령ㆍ정관위반 또는 임무해태로 인하여 회사에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이사는 회사에 대해 손해배상책임을 져야 한다. 이사의 직무와 보수 사이에 합리적 비례관계가 없는 경우나 이사의 보수가 적법ㆍ적정한 직무수행에 대한 대가로 보기 어려운 경우 등에는 이사의 회사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이 성립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사의 주의의무 위반, 손해와 인과관계 등의 책임발생요건 입증의 어려움으로 인해 상법 제399조 제1항에 의해 이사의 책임을 추궁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보수 환수제도는 상법 제399조 제1항에 의한 이사책임추궁 방법에 대한 특칙으로서 상법 제399조 제1항의 한계를 보완하는 제도로 도입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보수 환수제도를 이사의 손해배상책임의 추궁방법으로 이해하는 경우에는 과다한 보수는 물론 과다하지 않은 보수의 경우에도 이사의 부정행위가 있는 경우에는 환수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손실보상과 토지재산권의 범위

        정연주 한국공법학회 2008 공법연구 Vol.37 No.1

        Compensation should be paid not according to the discretion of state or lawmaker but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and several principles which concretize it. Article 23 of the Constitution which addresses about the right of property provides as follows: (1) The right of property of all citizens shall be guaranteed.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thereof shall be determined by Act. (2)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shall conform to the public welfare. (3) Expropriation, use or restriction of private property from public necessity and compensation therefor shall be governed by Act: Provided, That in such a case, just compensation shall be paid. According to the Article 23 (3) of the Constitution, the just compensation should be paid for the damage caused by the expropriation, use or restriction of private property from public necessity. Therefore, the key word concerning the compensation according the constitutional spirit is the ‘just compensation’. So, what is the ‘just compensation’. It is the ‘Interests Balancing Compensation’ which considers and balances all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related with the public use and expropriation. The pertinent statutes should provide the detailed principles and rules regarding the just compensation which harmonizes the public necessity and the right of property of all citizens. In this aspect, some clauses of the statutes are problematic. The bond compensation, for example, is unconstitutional because it encroach upon the property rights excessively, so against the spirit of just compensation. Such provisions should be amended in order to be conformed the constitution. 손실보상은 결코 그때그때의 시대적 상황, 국가정책, 재정상태 또는 입법자의 자의에 따라 좌우될 성질의 것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헌법규정과 정신에 따라 정해진 원칙에 의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이것이 바로 국민의 재산권보장과 법적 안정성의 이념을 실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는 손실보상의 본질 및 이에 관한 헌법상의 이론과 원칙에 대한 올바른 규명이 있어야 할 것이고, 이것이 바로 이 글의 목적인 것이다. 결국 손실보상의 문제의 실마리는 헌법규정에서 찾아야 하는데 이에 대하여 현행 헌법 제23조 제3항은 “공공필요에 의한 재산권의 수용·사용 또는 제한 및 그에 대한 보상은 법률로써 하되, 정당한 보상을 지급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헌법이 기본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손실보상과 관련한 원칙은 ‘정당보상의 원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손실보상의 범위가 올바르게 정해질 때 가치보장으로서의 토지재산권의 보장 범위가 구체화되는 것이다. 공익사업을위한토지등의취득및보상에관한법률 제1조가 “이 법은 공익사업에 필요한 토지등을 협의 또는 수용에 의하여 취득하거나 사용함에 따른 손실의 보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공익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통하여 공공복리의 증진과 재산권의 적정한 보호를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듯이 공용침해와 이에 따른 손실보상은 공공복리의 증진과 재산권의 적정한 보호를 도모하기 위함이고, 이러한 공공복리와 재산권보장의 이념이 조화롭게 실현되기 위해서는 이 글에서 언급할 사항들, 특히 헌법상 정당보상의 이념을 실현하는 제원칙들이 준수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는 토지재산권의 범위와 관련하여 토지재산권에 대한 공용침해를 전제로 한 손실보상의 문제를 다루면서 아울러 관련 판례와 법령의 문제점도 다루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임원의 보수에 관한 연구

        임재연 대한변호사협회 2008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85

        Under common law, directors were not compensated for their work, but today statutes generally provide that directors can set their compensation. Compensation policy is generally established within the ordinary course of business. In that sense, compensation issues are the kind of decisions that should be protected by the business judgment rule and not be subject to direct judicial scrutiny. But compensation can also be a form of self-dealing where those who manage reward each other excessively, at the expense and exclusion of the shareholders. However, because compensation is a common business decision, even if it involves self-dealing, it differs from other interested director transaction which may not be in the usual course of business. Most publicly traded corporations have some independent directors with the intent of having the decision protected by the business judgment rule. Compensation may take different forms, salaries, bonuses, pensions and stock options. Generally, there is little judicial scrutiny of salary and bonuses although stock options have been subject to some review. In some cases, when the market has declined, directors have the repriced options, lowering the exercise price. The repricing alone would not constitute waste when the market price is declining, because there may be no added value to the option holder for the new lower priced options. Plaintiffs challenging the excessive compensation schemes try to have the courts apply a fairness test, while defendant argue for the business judgment rule or a waste standard. If a majority of the directors are voting compensation for themselves, then there is self-dealing with fairness as the standard and the burden of proof on the defendants. When there is an independent board or disinterested shareholder ratification of the self-dealing compensation, then courts must decide what standard applies. Generally the business judgment rule will apply when the disinterested directors approve and a waste test will apply when the shareholders approve. SEC adopted new disclosure guidelines for the express purpose of providing a clear presentation of senior executive compensation. SEC requires a line-graph plotting for five years of the relationship of executive compensation to overall corporate performance as embodied in a measure of cumulative total shareholder return, which itself is contrasted with an acceptable stock index. Article 388 of Korean Commercial Code provides “If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directors has not been determined by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it shall be determined by the resolution at the general meeting of a shareholders.” In principle, the general meeting of a shareholders should determine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the individual director. However, the right to determine the amount thereof is by convention delegated to the board of directors. For the protection of minority shareholders, the introduction of the disclosure system regarding the executive compensation under U.S. securities laws is highly recommended. 임원의 보수는 한국은 물론 미국에서도 회사지배구조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폐쇄회사인지 공개회사인지를 불문하고 회사에 있어서 회사와 임원 간의 보수와 같이 민감하고 중요한 것은 없을 것이다. 미국에서는 전통적으로 보통법상 특약이 없는 한 이사의 보수청구권을 부인하였으나, 오늘날의 제정법은 일반적으로 이사들은 그들 자신의 보수를 결정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경영진의 보수계획은 통상의 경영활동의 일환으로서 결정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결정은 원칙적으로 경영판단원칙에 의하여 보호받아야 하고 사법심사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사의 보수는 자기거래의 일종으로서, 과다한 경우에는 결국 주주가 그 손해를 입게 된다. 물론, 이사의 보수는 통상의 경영활동의 일환으로 결정되는 것이라는 점에서 그렇지 않은 다른 자기거래와 차이가 있다. 경영진의 보수를 이해관계 없는 이사가 결정하여야 경영판단원칙에 의한 보호를 받기 때문에, 오늘날 많은 공개회사는 이사회의 과반수를 이해관계 없는 이사로 구성하고, 이해관계 없는 이사만으로 구성된 보수위원회가 고위경영진의 보수를 정하도록 하는 예가 많다. 미국에서 이사에 대한 보수는 정액급여, 상여금, 실적급 및 연금의 형태로 지급되는데, 일반적으로 실적급의 성격인 stock option에 비하면 정액급여나 상여금이 사법심사의 대상이 되는 경우는 드물다. 미국에서 통상 과다보수에 관한 분쟁에 있어서 원고는 공정성 기준의 적용을 주장하고, 피고는 경영판단원칙에 의한 보호 또는 훼손 기준의 적용을 주장한다. 보수에 대한 결정은 자기거래에 해당하므로 이해관계 있는 이사들의 승인에 의하여 결정된 경우에는 공정성 기준이 적용되고 공정성을 증명할 책임도 피고에게 있다. 일반적으로 이해관계 없는 이사에 의한 승인 사안에 서는 경영판단원칙이, 이해관계 없는 주주에 의한 승인 사안에서는 훼손 기준이 적용된다. SEC는 임원의 보수를 명백히 공시하기 위하여 새로운 공시지침을 채택하였다. SEC는 주가지수와 대비한 주주의 누적 총수익의 수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내어 5년간 회사의 경영실적과 경영자의 보수 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작성하여 공개하도록 한다. 상법 제388조는 “이사의 보수는 정관에 그 액을 정하지 아니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이를 정한다”고 규정할 뿐, 더 이상의 구체적인 절차나 기준은 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업실무상 주주총회에서 총이사에게 지급될 보수의 한도액만을 결의하고 각 이사에게 지급될 구체적인 보수액의 결정은 이사회에 위임된다.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이사(등기이사)가 아닌 임원, 즉 주주총회에서 선임되지 아니한 임원(비등기임원)의 보수에 대하여는 상법상 아무런 규제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공시방법이 필요하다. 이 점에서, 소액주주의 보호를 위하여 미국의 경영진 보수에 관한 공시제도의 도입은 검토할 가치가 높다.

      • KCI등재후보

        대상청구권에 관한 판례의 검토

        김준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0 法學硏究 Vol.20 No.1

        When an obligor who has the burden of the contract performs his obligation, a creditor is supposed to take profits by the completion of the contract by the obligor. However, there is a situation that even though the obligor has been discharged by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he can still be benefitted under the contract. In this situation, the creditor may have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mean the creditors’ right of recourse on the profit against the obligors when debtors make profits on vicarious compensation of the object to be fulfilled by the same causes which raised the insolvency. The Korean civil law has no provision on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Nevertheless, it is proper to acknowledge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under the Korean civil law. However the range of application should be comprehensively considered on a case by case basis,not applied to all cases in the same lights. The Korean case law has recognized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only in an interpretive way on the grounds that in a contract, the compensation should be decided by the parties’ intent, while in a statutory bond, protection of parties’ rights under the law should be a main ground since parties should not be influenced by an unforeseen contingency; objective impossibility.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are also applicable to the Korean Civil Code Section 537; obligor’s risk of loss. Because, even though the creditor is entitled to have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the circumstances are not going to be unfavorable for the obligor. In this regard, the court correctly concluded, but lacked specific explanation. A possessor’s claim right of record acquired by acquisitive possession should be protected by the law. Thus, when an owner is given the compensation by the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the possessor should be allowed to have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as a substitute for the right to record. Meanwhile,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do not require the party’s liability. Because, the purpose of vicarious compensation is to give the same affect the original burden of a contract, if the vicarious compensation is deemed to be equal to the original burden of the contract. Therefore, the liability is not necessarily a requirement for a vicarious compensation. In this regards, the court incorrectly ruled to require liabilities for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in the case of acquisitive possession. If a non-performing party and a performing party of a bilateral contract are discharged by the impossibility of performance due to fault with each other, providing compensation to each other would be unnecessary to maintain the original creditor-obligor relationships. Moreover, it is proper that the court denied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when the party who has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willfully changed his burden of contract to vicarious compensation since the possible abuse is concerned. 급부를 불능으로 하는 사유에 기하여 채무자는 채무를 면하면서 그 이익을취득하는 수가 있는데,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였다면 그러한 이익은 채권자에게 귀속될 것이었다는 데 기초하여, 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하여 그 이익(대상)의이전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이 ‘대상청구권’의 개념이다. 민법은 급부의 불능에관해 여러 규정을 두면서도 이와 관련되는 대상청구권에 관해서는 명문의 규정을 두고 있지는 않지만, 이를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그 인정범위는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개별적으로 정할 것이지, 대상청구권에만 중점을 두어 일률적으로 이를 인정할 것은 아니다. 판례는 대상청구권을 해석상 인정할 수 있다고만 할 뿐인데, 그 근거로는, 계약의 경우에는, 그 대상을 본래의 급부에 대신하고자 하는 ‘당사자의 의사’에서 찾아야 하고, 이에 대해 법률의 규정에 의해 채권ㆍ채무가 생기는 법정채권의 경우에는, 목적물의 급부불능이라는 우연한 사정에 따라 권리자가 영향을 받게 해서는안 되므로, ‘(법률로 정한) 권리의 정당한 보호’를 그 근거로 삼아야 한다. 민법 제537조 소정의 ‘채무자 위험부담주의’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대상청구권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 이유는, 첫째 민법 제537조가 채무자에게 대상이 생긴 것을 전제로 한 규정은 아닌 점에서, 그 대상이 생긴 경우에까지 동조가 반드시 적용되어야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둘째, 부정설은 그 논거로서, 대상청구권을 인정하게 되면 채권자에게만 유리한 것이 되어 계약 당사자모두의 이익의 형평을 깨뜨려 문제가 있다고 하지만, 채권자에게 대상청구권을인정하고 그 행사 여부를 그에게 맡기더라도 채무자가 종전보다 불리하게 되는것은 아닐뿐더러, 그것이 채권자에게만 유리하여 계약 당사자 모두의 이익의형평을 깨뜨리는 것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이 점에서 민법 제537조가 적용되는경우에도 판례가 대상청구권을 인정한 것은, 그 구체적인 설명이 없는 점에서 는 문제가 있지만, 결론에서는 타당하다고 본다. 취득시효 완성으로 등기청구권을 갖게 된 점유자의 정당한 권리는 보호받아야 한다. 따라서 그 불능으로 인해 소유자가 대상을 얻은 경우에는 점유자가본래의 등기청구권에 대신하여 그 대상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 대상청구권을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한편 대상청구권은 귀책사유를 요건으로 하는 것이아니고 본래의 급부와의 동일성이 인정되는 이상 본래의 급부와 같은 것으로보자는 데 그 취지가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 귀책사유가 요건이 되어야 할 이유는 없다. 이 점에서 판례가 취득시효의 경우에 대상청구권의 요건으로서 귀책사유를 부가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쌍무계약에서 당사자 각자의 귀책사유로 각자의 채무가 이행불능이 된 경우,양자가 서로 대상으로 주면서까지 본래의 채권관계를 유지할 필요는 없고, 또대상청구권을 갖게 되는 자가 자기의 급부의무를 자의로 대상으로 바꾼 경우에까지 이를 인정하는 것은 대상청구권의 남용의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는 점에서,대상청구권을 부정한 판례는 타당하다.

      • KCI등재

        군인재해보상법에 따른 보상과 국가책임 법제

        조성제 한국비교공법학회 2022 공법학연구 Vol.23 No.4

        The core of legal relations in the event of The suicided soldier by self-injury is the issue of recognition of persons of national merit or persons eligible for veterans' compensation. Recognition of persons of national merit or persons eligible for veterans' compensation is the only means for The suicided soldier by self-injury during military service. Even if the Supreme Court precedent died of suicide, it was changed to be recognized as a person of national merit if it was judg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with education and training or job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e court also broadly recognizes the self-harm deaths of compulsory service workers as veterans' compensation targets. However, contradictions arise in expanding national responsibility for mandatory military service soldiers due to the different screening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in charge of this. Of course, the state i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soldiers enlisted in the military to fulfill their military service obligations. Awareness of the problem, it was fundamentally requested to revise the law to presume that soldiers who died during the period of mandatory service were presumed to be on the job in principle. It is a significant step forward for the revision to take effect on July 5, 2022. The Military Accident Compensation Act was enacted by separating the military accident compensation system from the Military Pension Act. According to the law, only disability compensation and death compensation are applied to soldiers. Improvements are needed so that the Military Accident Compensation Act is applied to the soldiers as well. The proviso to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National Compensation Act prohibits state compensation in the event that a soldier, etc. is killed or killed or suffered a death or injury in connection with the execution of his/her duties, such as combat or training. In the event that military personnel, etc. have suffered damage as a result of their general duties, they may claim national compensation. In case of death, military service, or casualty in connection with the performance of duties, such as combat or training, compensation for disasters such as the National Merit Act, which falls short of the level of national compensation, shall be received. However, there are criticisms that it lacks equity and rationality. Accordingly, the scope of application should be reduced through a rational and limited interpretation with respect to the scope of duties related to the execution of duties such as combat and training. The law prohibits claiming state compensation after the accident compensation has been paid. First, compensation-related laws should be fully developed to provide sufficient and substantial compensation. Furthermore, legislative improvement is needed to claim national compensation even when disaster compensation is paid. Ultimately, the proviso to Article 29 Paragraph 2 of the Constitution and Paragraph 2 Paragraph 1 of the State Compensation Act, which restricts the right to claim national compensation, should be deleted. 자해사망시 법률관계의 핵심은 국가유공자 또는 보훈보상대상자 인정의 문제이다. 직업군인이 공무와 관련한 사유로 자살한 경우에는 군인재해보상법에서 유족급여가 지급되는데 반해, 직업군인보다 더한 희생을 강요당하는 의무복무장병의 자해사망에 있어서는 국가유공자 또는 보훈보상대상자 인정이 유일한 수단이다. 대법원이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하여 자살로 인한 사망이라 하더라도 교육훈련 또는 직무수행과 상당인과관계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국가유공자로 인정하는 것으로 변경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의무복무자의 자해사망에 대해 폭넓게 보훈보상대상자로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이를 담당하는 국방부와 보훈처의 심사기준이 상이한 관계로 의무복무장병에 대한 국가 책임성 확대와 관련하여 불일치가 발생하고 있다. 병역의무 이행을 위해 군에 입대한 장병들에 대한 관리 및 보호책임은 당연히 국가 에 있으며, 의무복무장병의 사망시 1차적 책임은 국가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의무복무기간 중 사망한 군인에 대해서 원칙적으로 순직으로 추정하는 법개정이 근본적으로 요청되었던 바, 이에 대한 개정이 2022년 7월 5일부터 시행된 것은 의미있는 진전이다. 군인 재해보상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라를 위한 숭고한 희생에 대한 국가의 예우와 책임을 강화하기 위하여 재해보상 수준의 현실화 등을 통하여 공무수행 중 발생한 재해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고 재해보상 급여에 대한 심사 절차를 개선하는 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군인 재해보상제도의 발전을 위하여 군인연금법에서 군인 재해보상제도를 분리하여 군인 재해보상법을 제정하였다. 동법에 의하면 병사들의 경우에는 장애보상금과 사망보상금만 적용된다. 그러나 병역의무를 이행하다 재해를 입은 사람과 직업군인과의 처우가 다른 것이 과연 합리적인 것인지 의문이 아닐 수 없다. 국가의 예우와 책임은 나라의 부름을 받고 병역의무를 이행하고 있는 장병들에게도 두루 적용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차제에 병사들에게도 군인재해보상법이 전면적으로 적용되도록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현행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단서는 군인 등이 전투․훈련 등 직무집행과 관련하여 전사․순직하거나 공상을 입은 경우에 국가배상을 금지한다. 그러나 군인 등이 자신들의 일반적 직무행위에 의하여 손해를 입은 경우에는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있게 하고, 전투․훈련 등 직무집행과 관련하여 전사․순직하거나 공상을 입은 경우에는 국가배상 수준에 못 미치는 국가유공자법 등 재해보상금을 받도록 하는 현행 개정법률 역시 형평성과 합리성이 결여되고 있다는 비판을 여전히 받고 있다. 따라서 전투․훈련 등 직무집행과 관련의 범위에 관하여는 합리적․제한적 해석을 통해서 그 적용범위를 축소하여야 할 것이다.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 단서가 개정되기 전의 현행법 하에서는 판례가 재해보상금을 지급받은 후에는 국가배상을 청구할 수 없도록 하고 있으므로 먼저 충분하고 실질적인 보상이 되도록 보상관련 법령이 완비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재해보상금을 지급받은 경우에도 국가배상을 청구할 있도록 입법적 개선이 필요하다. 종국적으로는 보상 또는 배상의 청구 선후에 관계없이 보상과 배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될 것이다.

      • KCI등재

        공익사업으로 인한 환경피해에 대한 손실보상과 손해배상

        박균성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20 행정판례연구 Vol.25 No.2

        The judgment subject to the commentar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precedent as operating losses by public services is included in the scope of compensation for business losses outside the public service enforcement district under Article 64, Paragraph 1 of the Enforcement Rule of the Act on Acquisition of and Competition for Land, Etc., Public Services(hereafter refer Act on Acquisition of and Competition for Land, Etc., Public Services as the Land Compensation Act). However, even according to precedents, there may be indirect losses that cannot be applied extensively or by analogy under the Enforcement Rule of the Land Compensation Act. In this case, it is reasonable to recognize the direct effect of Article 23, Paragraph 3 of the Constitution or Article 79, Paragraph 2 of the Land Compensation Act to compensate for indirect losses without explicit compensation provisions. What is desirable in legislative theory should be clearly stipulated in Article 79, Paragraph 2 as a direct rule of indirect loss compensation, and should also clarify that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Land Compensation Act on indirect loss compensation are exemplary enumerations. Conventional precedents have conceded compensation for damages in cases where damages exceeding the allowable limit are caused to nearby residents due to the operation of facilities installed for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services. However, the judgment subject to the commentary has considered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noise or vibration in the operation of a facility installed for the requirements under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Land Compensation Act, as a public service compensation. And it decided that the claims for indirect compensation of loss caused by public services and liability for damage caused by operating pubic utilities are separated, and are admitted after competing each other. However, if it is considered that both claims for damages of the same content can be exercised at the same time, the problem of double compensation arises, so only one can be selectively exercised, and both claims cannot be exercised at the same time. But, if indirect loss compensation is admitted in theory,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at the loss compensation should be requested first, and to allow additional liability for damage only when the damage has occurred beyond the allowable loss compensation. 이 논문은 대법원 2019. 11. 28. 선고 2018두227 판결을 평석한 논문이다. 현행 법령의 해석론상 공익사업으로 인해 설치된 시설의 운영으로 인한손해에 대해서 간접손실보상을 인정할 수 있는지, 인정한다면 그 법적 근거는 무엇인지, 그리고 이 사건 호남고속철도 열차의 운행으로 인한 손해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의 주체 및 법적 근거 그리고 이 사건 손실보상과 손해배상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대상 판결은 공익사업으로 설치된 시설로 인한 간접영업손실도 토지보상법 시행규칙 제64조 제1항의 공익사업시행지구 밖 영업손실에 대한 보상의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 최초의 판례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그러나, 판례에 따르더라도 토지보상법 시행규칙상 간접손실보상규정을 확대적용 또는유추적용할 수 없는 간접손실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헌법 제23조 제3 항 또는 토지보상법 제79조 제2항의 직접효력을 인정하여 적용 또는 유추적용할 보상규정이 없어 손실보상을 해줄 수 없는 간접손실을 보상해주는 것이타당하다. 입법론상 바람직한 것은 제79조 제2항을 간접손실보상의 직접적인일반근거규정으로 명확하게 규정하고, 간접손실보상에 관한 토지보상법 시행규칙이 예시적 열거라는 점도 명확히 하여야 한다. 종래 판례는 공익사업의 시행으로 인해 설치된 시설의 운영으로 인해 인근 주민에게 수인한도를 넘는 피해를 발생시킨 경우 손해배상의 방식으로 손해전보를 해주고 있었다. 그런데, 평석 대상 판결은 공익사업으로 설치된 시설의 운영상 소음・진동 등으로 인한 환경피해가 토지보상법 시행규칙상 간접손실보상의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에 간접손실보상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보고, 공익사업으로 인한 간접손실보상과 공공시설의 운영으로 인한 손해에 대한 배상을 별개의 청구권으로 보면서 경합하여 인정되는 것으로 보는 입장을취하였다. 다만, 같은 내용의 손해에 관하여 양자의 청구권을 동시에 행사할수 있다고 본다면 이중배상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행사할 수 있을 뿐이고, 양자의 청구권을 동시에 행사할 수는 없다고 본다. 그러나, 이론상 간접손실보상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손실보상을청구하여야 하는 것으로 보고, 손실보상이 인정되는 손실을 넘어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한하여 손해배상을 추가로 인정해주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임원의 보수규제에 관한 고찰 - 최근의 국제적 동향과 입법례를 중심으로 -

        최문희 한국경영법률학회 2010 經營法律 Vol.20 No.3

        The topic of 'Executive Compensation' generates heated discussion in the past decade. Few other issues have generated as much interest in the corporate governance as executive compensation. Major corporate scandals, such as Enron, Worldcom, and Mannesmann, were associated with flawed executive compensation structures and the related generation of perverse management incentives. Shareholder interest in executive compensation has remained acute in recent years. Several legislations and regulations have been enacted in multi-jurisdictions, such as EU, Germany, USA, and Japan. Excessive risk-taking in the financial sector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major financial crisis of 2007-2009. Many people believe that compensation practice at large financial institutions are one factor among that contributed to the financial crisis. The collapse last year of major financial institution run by extraordinarily well-paid executive compensation has brought intense focus to executive compensation. High short-term profits led to generous bonus payment to executives and employees without adequate regard to the longer-term risks they imposes on their firms. These incentives could have encouraged excessive risk-taking. These problem has widely accepted in the aftermath of the financial crisis. These deficiencies call for legislative and official action to ensure that compensation practices in the financial sector are sound. The FSB(Financial Stability Board) Principles for Sound Compensation Practices and Implementation Standards are intended to response to the problem in compensation structure. A promoting legislative approach to reining in executive compensation, such as a mandatory shareholder vote on pay, disclosure on compensation, etc. has been took in multi- jurisdictions. Korean Financial Supervisory Commission(FSC) has also complied the FSB Principles, and korean financial self-regulatory organs have participated in these regulatory responses by making best practice standards on compensation. In contrast, further regulations are still called for in korean executive compensation regime, such as clear and comprehensive disclosure about compensation practices.

      • KCI등재

        생활보상의 법적 성격에 관한 연구 - 대법원 판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

        김승종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서울법학 Vol.23 No.1

        Livelihood compensation means the recovery of previous life circumstances, not property compensation, for residents forced to leave from the public expropriation. There has been a lot of debates for the concept and scope of livelihood compensation among scholars. Even though Supreme Court mentions livelihood compensation, it clearly doesn’t express it’s own opinion on the concept, scope, and constitutional grounds of livelihood compensation. With critical analysis of Supreme Court’s precedents related to the livelihood compensa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each livelihood compensation under the current laws. In order to achieve it, this paper reviewed the concept and constitutional grounds of livelihood compensation and individually analyzed Supreme Court’s precedents related to relocation measures, livelihood restoration measures, moving expenses compensation, relocation allowance, and resettlement payment under the current laws. Focusing on studying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livelihood compensation measures this paper reviewed the background and history of them and suggested a critical opinion on the Supreme Court’s precedents related to the livelihood compensation. The debate for the concept, scope, and constitutional grounds of livelihood compensation in the flame of current legal system might be trapped into a circular logic because scholars show different opinions on it. Accordingly the legislation policy approach is needed to differentiate property compensation from livelihood relocation measure by recovering property loss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Just Compensation’ on the Art. 23 of the Constitution by the specification of property loss from relocation and reorganize the livelihood compensation system disentangle livelihood restoration measures on the Art. 34 of the Constitution from the livelihood compensation system of previous life circumstances, not property compensation. 생활보상은 공용수용으로 인해 주거이전이 요구되는 주거용 건축물의 소유자와 임차인에게 재산권 보상으로 회복할 수 없는 종전의 생활기반을 회복하기 위한 보상을 말한다. 현재 생활보상에 대한 개념과 범위는 학설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대법원은 생활보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는 있지만, 생활보상의 개념, 범위 및 헌법적 근거에 대해 명확한 태도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 논문은 현행법상 생활보상의 내용을 살펴보고, 관련 판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개별적인 생활보상의 법적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생활보상의 개념과 헌법적 근거에 관한 학계의 논의를 검토하고, 현행법상 이주대책, 이주정착금, 생활대책, 이사비 및 주거이전비에 관한 대법원 판례를 분석하였다. 각각의 생활보상제도에 대해서는 도입배경 및 연혁을 살펴보고, 그 법적 성격을 제시하면서 대법원 판례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하였다. 생활보상에 대한 견해는 학자들 간에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생활보상을 현행법의 틀에서 그 개념, 범위 및 헌법적 근거를 논의하는 것은 생활보상에 대한 순환논법에 빠지게 된다. 따라서 기존의 생활보상제도가 장래의 재산상 손실을 보전하기 위한 제도인지를 기준으로 재산권보상과 생활대책으로 구별하는 접근이 요구된다. 즉, 이주민에게 발생할 수 있는 재산상 손실의 내용을 상세화하여 헌법 제23조에 따른 정당보상의 기준을 명확히 하고, 장래 발생하는 재산상 손실에 대한 보상 이외에 종전의 생활상태를 회복시키기 위한 제도는 헌법 제34조에 근거한 생활대책으로 구분하여 생활보상제도를 개편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