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기반형 도시재생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 Greater University Circle Initiative(GUCI)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이원동,최명식 국토연구원 2017 국토연구 Vol.93 No.-

        This study aims to show how collaborative governance works for community-based urban regeneration. The Greater University Circle Initiative(GUCI) in Cleveland is obviously a different case from common public-led community development strategy in that it was launched by community stakeholders. We employed the theoretical model for collaborative governance to analyze key factors and processes that enabled GUCI to grow using within-case analysis and process-tracing methods. Since its beginning in 2005, GUCI has tried to improve the disinvested and deteriorated area by a variety of urban projects using local resources and embedded knowledge. Locally-based agencies such as community foundations and anchor institutions have been major force in designing the long-term regeneration strategy of GUCI. Moreover, diverse community organizations and civic associations have successfully engaged local resi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grassroots network. They served as a crucial channel for the preferences of community members to be reflected in urban planning process.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e sucess of collaborative governance in urban regeneration depends on empowering as many local stakeholders as possible and building community wealth based on public-private collaboration and cross-sector partnership. 본 논문은 클리블랜드의 장기 도시재생 이니셔티브인 Greater University Circle Initiative(GUCI)의 사례를중심으로 지역기반형 도시재생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2000년대 초반까지 극심한 인구 감소와 슬럼화 및 도심의 낙후화, 투자 저하와 만성적인 저개발 등의 악순환을 겪고 있었던Greater University Circle 지역에서는 민간이 보유한자원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을 위한 막대한 재원을 내생적으로 창출하였다. 또한 관련 프로젝트를 통해 축적된 커뮤니티 자산을 활용하여 주민들의 삶의 질을향상시키고 공동체의 민주적 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 이는 지역 개발에 대한 노하우와 풀뿌리 네트워크를바탕으로 커뮤니티 재단, 민간사업체(앵커시설), 비영리지역재생회사(CDCs), 주민 당사자 등을 포함한민간부문이 주도적으로 이니셔티브를 추진함으로써가능했다. 본 논문은 지역기반형(Community-Based) 도시재생 거버넌스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요인들을파악하기 위해 GUCI 사례에 대한 내부 분석 및 과정추적을 통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시사점을 도출해 내었다. 첫째, 민간이 행정의 대등한 협력 파트너로 인정받기 위한 초기 조건(Starting Conditions) 형성의 중요성, 둘째, 행위자들 간 협력을촉진하는 데 있어 풀뿌리 단체들의 긍정적 기여, 셋째, 투명한 정보공개와 공정한 평가의 필요성, 넷째, 도시계획 과정에 주민들의 의사를 반영하고 민간의가용자원을 적절히 활용하기 위한 거버넌스 위원회와 시의회의 기능, 다섯째, 사업영역별 목표 설정 및성과측정 과정에서 다중심적(Polycentric) 의사결정체계의 효율성, 여섯째, 협력적 거버넌스를 촉진하기위한 커뮤니티 역량 강화(Community Empowerment) 의 조력자로서 지역재단의 역할이 그것이다.

      • KCI등재

        AHP와 IPA를 활용한 지역사회 기반 관광 거버넌스에 대한 지역 주민 인식 연구

        김영남(Young-Nam Kim) 제주학회 2022 濟州島硏究 Vol.58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 기반 관광 거버넌스에 대한 지역 주민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주 세화마을의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AHP 분석과 IPA 분석을 하였다. AHP 분석 결과 지역 주민은 지역사회 기반 관광 거버넌스 형성 상위 요인 중에서 참여성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이어 파트너십과 제도화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지역사회 기반 관광 거버넌스의 세부 항목 중에서는 전문성과 자발성, 공동체 의식 순서로 중요 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또한, 일반 지역 주민은 자발성과 독립성, 역할 분담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반면, 관광 사업자는 전문성, 공동체 의식, 책임성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IPA분석 결과로 책임성과 역할 분담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관리, 전문성 항목의 개선 필요성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분석 결과에 기반한 지역사회 기반 관광 거버넌스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지역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끌어내는 방안과 지역주민 간 갈등을 예방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local residents’ perceptions of community-based tourism governa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HP and IPA research methods were used. Data was collected from 20 parties of community-based tourism, including local residents and merchants of Sehwa village in Jeju. The result of AHP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was participation, followed by partnership, and institutionalization. Additionally, there appeared to be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the results of governance factors between the local people and tourism business operators. As a result of the IPA, unremitting maintenance was required for the ‘responsibility’ and ‘role sharing’, and the ‘professionalism’ needed improvement of community-based tourism governance. These findings will provide local community-based tourism policymakers and activists with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local community-based tourism.

      • KCI등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ensemaking Approach to Community-based Disaster Risk Governance

        Choongik Choi,Hirokazu Tatano,Junho Choi 한국유통과학회 2019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 Vol.6 No.1

        This paper explores community-based flood disaster risk governance by applying a sensemaking approach. The conceptual sensemaking framework consists of individual experience, dialogue, and socialization components, which together comprise an interconnected system.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for applying this framework by using a concerns table and a SWOT analysis to examine the concerns of residents living in a flood plain. A series of community-based workshops on flood risk reduction was conducted with residents of the floodprone Muraida community in Shiga Prefecture, Japan. During the workshops, residents’ concerns regarding flood risk surfaced. This study used an idiographic approach to examine the proceedings of the workshops. SWOT issue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Muraida community’s internal capacities, and examine the opportunities and threats in the external capacities (e.g., local government). Additionally, a SWOT strateg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strategies for knowledge sharing and development of cooperative countermeasures that can be undertaken between the Muraida community and the local government.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cerns table can not only summarize the main concerns of all workshops, but als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alternative flood risk countermeasures that can be carried out.

      • KCI우수등재

        국유림의 경제적·환경적 효용을 극대화하는 최적 거버넌스 구축방안

        안유순(Yoo Soon An),허동숙(Dongsuk Huh),박수진(Soo Jin Park)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3

        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 정부와 민간 부문의 협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산림의 경제적, 환경적 효용을 극대화하는 최적의 산림관리 거버넌스는 어떠한 형태일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다행위자시스템 모형을 활용하여, 가리왕산 일대의 4개 마을(리)을 대상으로 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국유림관리소의 산지 관리 방식에 있어서 관 주도의 하향식 관리와 지역사회 중심의 민간 주도형 자율 관리에 이르는 다양한 주민 참여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모의하였다. 그 결과 지역 주민의 의사가 일부 반영되는 정부 중심의 거버넌스 형태가 경제적, 환경적 효용이 극대화될 수 있는 국유림 관리 거버넌스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산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자원관리의 최적 거버넌스 구축 논의에서 정량적인 연구 방법론의 기여점이 있다. A public-private partnership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has been growing in importance. This study aims to assess effective governance in national forest management that maximizes the ecological and economic benefits of ecosystem services. Using the Multi-Agent System approach,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case of Gariwang-san, South Korea. This paper attempts to build and simulate various forest management scenarios that range from government-led centralized (top-down) systems to community-based decentralized (bottom-up) frameworks. For the target area in ques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optimal scenario is a government-centered governance system with partial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This paper contributes to ongoing research on quantitative empirical models for sustainable natural resource management.

      • 지방자치와 지역관광개발정책의 선진화 방안

        안태열 한국관광정책학회 2001 觀光政策學硏究 Vol.7 No.3

        In 1995, the full-scale local autonomy era began in Korea through direct election of the heads of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However, considering the low participation rate of the community residents, insufficient management competency of local government and fragile financial independence, it will take quite a long time for a local government to get on the right track. From now on, both the local government and its residents should change their mind and have a new, positive way of thinking and attitude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In this context, the new local government's tourism development policy should be approached with an integrated, long-term view and its keynote should be based on the betterment of the community residents' welfare and life quality. Consequently, all the community-based tourism development policy should be driven not by any fragmentary development business focused on short-term profits, destroying the nature and ecosystem but by those based on the context of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concept.

      • KCI등재

        지역생태지식을 활용한 주민 참여형 자연 자원 관리 태국 타살라 사례를 중심으로

        김고운,이미홍 한국공간환경학회 2014 공간과 사회 Vol.24 No.3

        This study examines how local ecological knowledge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of community-base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through a case studyin Thailand. Community-base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CBNRM) has beenadvocated to create local ecological knowledge (LEK) and tackle ineffective managementby remote top-down planning and centralized management. However, otherscriticize this approach for complicatedness in governance practices and/or hiddencost of public participation. Thus, recent studies turn their focus to rather contextualdevelopment of mixed institutions than generalized application of single institution,moreover, to adopt heuristic approach based on the social learning of governancepractices at the community level. Theoretically, this study prompts to raise questionson to what extent CBNRM evolved as an institution by analysing multi-stakeholderparticipation. Empirically, this study aims to put forward the contemporary governanceliterature by investigating how environmental conflicts have been managedby the current governance structures in the Thailand, where top-down and bottom-up institutions are interconnected and/or contested one another. Furthermore,to understand grassroots movement of environmental resources through this researchmay shed lights on a bigger question: how South Korean public/civilian organizationswork together with Thai society for more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Mekongregion. 본 연구는 마을 공동체가 창출하는 지역생태지식을 활용한 자연 자원 관리에대한 사례 연구로서, 태국 남부 타살라 지역이 대상 사례이다. 주민 참여형 자연자원 관리는 비효율적일 수 있는 중앙집권적인 자연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꾸준히 제기되었으나, 제도가 도입된 이후 거버넌스의 복잡성 증가,과다한 참여 비용 문제 등 단점도 최근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관련 연구에 있어 제도의 혼합(institutional mix)을 제도 형성과 운영의 맥락(context)에 맞춰 해석하여 사회적 학습(social learning)을 하고, 이를 다시 제도 개선에 투입하는 ‘발견법(heuristic)’적 접근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태국 사례를 통해 구체화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태국의 마을공동체 주도형 자연 자원 관리 사례는 이론적 및 실증적 측면에서 다양한 시사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적으로는 참여형 자연 자원 관리가 발전해온 제도 발전의 맥락과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거버넌스가 연구 대상이 된다. 실증적으로는 상향식 및 하향식 제도 발전이 부딪치는 현장을 분석함으로써 주민들과의 갈등 기제와 이를 극복해나가는 거버넌스에 대한 성찰적 발전을가능하게 한다. 최근 메콩 지역에 대한 민간 차원의 교류와 연대가 빈번해지는요즘 이러한 태국을 대상으로 한 사례 연구는 한국 시민사회와 공공자원 관리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부산 사하 미래교육지구의 현황 및 개선 방향 탐색

        김필성,방해영,권다남 한국질적탐구학회 2024 질적탐구 Vol.10 No.1

        이 연구에서는 교육부의 미래교육지구 성장지원단 활동을 통해 부산 사하구의 미래교육지구 사업의 현황을 이해하고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미래교육지구는 혁신교육지구의 질적 도약을 위해 교육부가 추진하는 사업이다. 이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 지역의 사하미래교육지구 담당자의 내러티브에 공감하고 협력적으로 이슈를 탐색하는 컨설팅 지원을 했다. 연구결과, 사하미래교육지구는 민의 자생력 확보, 상급학교와 지역사회 기반 교육의 연계, 기초학력 및 문해력 교육 지원, 학교구성원과의 소통과 교육협력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에 대해 마을교육공동체들의 연대와 협력을 강화하고, 학교구성원과 소통을 강화하며, 마을교육공동체의 철학과 비전에 맞게 마을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함을 공감했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의 자발적인 참여 활성화, 마을강사의 역할과 정체성 정립, 교육청과 지자체가 협력하는 지역교육생태계 모델의 강화, 업무담당자 대상 전문적인 교육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In this study, we seek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future education district project in Saha-gu, Busan and explo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Future Education District Growth Support Group. The Future Education District is a project promo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make a qualitative leap in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we provided consulting support to sympathize with the narratives of Saha Future Education District staff in the Busan region and collaboratively explore issu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aha Future Education District was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securing the self-reliance of the people, connecting upper-level schools with community-based education, supporting basic academic skills and literacy education, and communicating and educational cooperation with school members. In response to this, it was agreed that it was necessary to strengthen solidarity and cooperation among local-communities of education, strengthen communication with school members, and improve local-community education programs in line with the philosophy and vision of local-community educatio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the need for activating schools’ voluntary participation, establishing the role and identity of village instructors, strengthening the local education ecosystem model in which the office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s cooperate, and providing professional education support for those in charge.

      • KCI등재

        녹색희망 공동체 조성 :

        한표환(Han Pyo Hwa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2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4 No.1

        본 연구는 21세기 한국사회와 국민적 수요 변화에 발맞추어 국민통합 및 경제발전, 삶의질 향상이라는 복합적·갈등적 명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주민의 협력과 통일된 사회적 의지의 추구라는 기조를 근간으로 삼는 새로운 지역발전모델을 정립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의 일환으로 지역주민이 체감할 수 있는 ``삶의 질이 선진화되는 녹색희망 공동체``를 조성을 제안 하였다. 최근 정책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함께 지역발전정책은 목표가치에서부터 추진전략, 대상지역 및 접근방식 등에 이르기까지 획기적인 변화를 경험하고 있어, 전통적 패러다임이 새로운 패러 다임으로 대체되는 이른바 ``패러다임 전환``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지역공동체를 근간으로 하 는 미시적 차원에서의 지역발전전략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는 지역발전정책의 목표가치가 중 첩·상충된 상황에서 이들을 조화롭게 수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단위가 바로 지역공동체이 고, 이의 활성화를 통하여 국가적 차원의 지역발전정책을 통해서 해결하기가 어려운 지역이슈 에 대하여 정책공백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녹색희망공동체 조성은 지역사회 단위에서 자족적 근린생활권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의 삶의 질과 경제적 경쟁력, 강력한 공동체의식을 겸비한 살기좋은 지역공동체를 주민이 주도적으로 조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참여성, 포괄성, 통합성, 협치성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어 기존의 유사사업과 여러 관점에서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다. 녹색희망공동체 조성은 지역 근린 생활권 단위에서의 경제성, 환경성, 형평성을 고려한 새로운 복합형 지역공동체를 창조하는 것 이다. 지역수요 맞춤형 사업, 지역주도의 자율적 사업, 지역공동체 차원의 선택과 집중형 사업, 복합적·융합적 사업을 추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비전, 주체/리더, 사업/프로젝트, 그리고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녹색희망 공동체의 추진모델은 쾌적하고, 경제활력이 넘치고 사회적 복지 망이 잘 구축된 새로운 지역공동체를 조성하기 위하여 주체나 리더간에 공유된 비전을 토대로 지역맞춤형 사업을 수행해 나가는 과정인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정부, 지자체, NGO, 지역주체간 협력관계를 유지하는 하부시스템이라고 할 네트워크 혹은 거버넌스 체계를 통해 세부사업의 효과성을 배가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 실정을 감안할 때 향후 녹색희망공동체 조성이 성공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과제로는 주민참여의 활성화, 지역공동체의 역량 강화, 그리 고 법·제도적 기반의 구축이라고 판단된다.

      • KCI등재

        관・학・민 협력 융복합 교육 캡스톤디자인 모델 제시: 아동권리증진을 위한 패션제품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차유미,김인경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19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Vol.21 No.1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esent a cooperative convergence education Capstone design operational model that can promote community relations by spreading excellent practices through governmental, academic, and civil cooperation, ultimatel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plans among cooperative groups for successful promotion, and the production high effects in the fashion sector. The case study presented a new model that combines convergence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the "Fashion Capstone Design" textbook.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posed model suggested three types of convergence- the convergence of government, academia and private cooperation, and the convergence of academic and civil organizations, depending on their role. The proposed educational model has the advantage of complementing and dealing with the difficulties presented by interdisciplinary education. It also has the effect of activating community linkages with colleg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colleges and community links can be optimized. Through the example of this study, we look forward to being used as a references for a variety of cooperative convergence education capstone design projects.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통합돌봄시스템’ 구축의 현황과 과제 - 일본 가와사키시에서의 대응사례와 한국에의 시사점 -

        김지미(Kim, JiMi) 동아시아일본학회 2024 일본문화연구 Vol.- No.89

        In the midst of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medical care and long-term care for the elderly along with the rapidly aging society in South Korea and Japan, a new care system called “community-based integrated elderly care” is being put forward as an elderly care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uper-aging society. In particular, this system being promoted in both countries is feasible in areas where elderly people live, and its success or failure depends on each local government’s actions. Since the governments in both countries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based integrated elderly care system, each local government has been working hard to develop a model that fits regional circumstances. However, in South Korea, the leading project that was promoted from 2019 to 2022 was terminated without finishing the main project, while in Japan, the concrete shapes of the system are being revealed by individual local governments ahead of 2025, the year of achieving the goal of establishing the system. In this study, the actions taking place in Kawasaki City, Japan for the establishment of a community-based integrated elderly care system will be concretely examined to check 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s at this point in time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Japanese case for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