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혁신역량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허동숙(Dongsuk Huh)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6

        연구에서는 지역혁신역량의 주요 요인을 추출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반영하는 지표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지역혁신역량의 요인은 혁신자원/투입요인(제1요인), 혁신환경/인프라요인(제2요인), 협력/연계요인(제3요인)으로 구분되었다. 3개 요인들의 요인점수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한 지표(신설법인, 취업자 수)를 이용하여 패널 모형을 구축한 결과, 혁신역량 요인들은 모두 양(+)의 유의미한 값을 보였다. 또한 해당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지표들은 혁신투입요인, 협력요인, 혁신인프라요인 순으로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regional innovative capacity and to analyze the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ncluding newly-established corporation and job cre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14 variables were grouped into 3 factors, i.e. innovative input, infrastructure, and linkage. Second, the panel models were developed using the above factor scores and economic performance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newly-established corporation and employees. As a result, innovative capacity factors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newlyestablished corporation and job creation. The innovative inpu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determining the regional economic performance, followed by linkage and infrastructure.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olicy implications for the reinforcement of innovative capacity and regional competitiveness.

      • KCI등재

        농촌지역 산업 기술지식의 융합과 지식 네트워크: 순창군 장류산업을 중심으로

        허동숙 ( Dongsuk Huh ),박소현 ( Sohyun Park ),구양미 ( Yangmi Koo ) 한국경제지리학회 2016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기술지식의 융·복합화로 인해 특정 산업에서 다른 부분으로 영역이 확장되는 양상을 확인하는 것으로, 비수도권 농촌 지역인 전라북도 순창군의 장류산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특허출원 자료를 이용하여 기술융합분석과 지식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장류산업은 단순 식품, 식료품 제조 기술에서 기계·기기나 의약품 및 화장품 관련 기술로 폭넓게 융합이 이루어지는 반면 순창군의 장류산업은 발효미생물 관련 기술 방향으로 특화되고 있다. 이는 산업 전체의 융합 경향을 따라 여러 기술 분야로 확장하기 보다는 순창이 갖는 지역자산과 인력에 맞추어 지역산업을 특화시킨 결과라고 판단된다. 순창군 장류산업의 지식네트워크는 지방정부와 대학, 진흥원 등 공공부문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고, 최근 조합법인 형태의 출원자와 공공부문의 협력을 통해 지역 내 기술공유와 확산을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knowledge extension and diffusion trend among industries through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non-Capital rural areas. A case of Sunchang, Korea examines knowledge extension trend of fermented soy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Patent application data are used to make technology convergence analysis and knowledge network analysis. Patent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of knowledge extension trend between the whole country and Sunchang. Technologies of fermented soy product manufacturing in Sunchang is inclined to extend toward technologies related to fermented microorganism. Contrary to the whole country, knowledge extension in rural area like Sunchang is converged to technologies suitable for specialized but limited regional assets and human resources. Core actors of knowledge network of fermented soy product manufacturing in Sunchang are mainly public organizations such as local government, universities, and agencies or institutes. Recently technology sharing and extension is likely to occur through the cooperation between associative corporations and public organizations.

      • KCI우수등재

        국유림의 경제적·환경적 효용을 극대화하는 최적 거버넌스 구축방안

        안유순(Yoo Soon An),허동숙(Dongsuk Huh),박수진(Soo Jin Park)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3

        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해 정부와 민간 부문의 협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산림의 경제적, 환경적 효용을 극대화하는 최적의 산림관리 거버넌스는 어떠한 형태일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다행위자시스템 모형을 활용하여, 가리왕산 일대의 4개 마을(리)을 대상으로 하는 모형을 구축하였다. 국유림관리소의 산지 관리 방식에 있어서 관 주도의 하향식 관리와 지역사회 중심의 민간 주도형 자율 관리에 이르는 다양한 주민 참여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모의하였다. 그 결과 지역 주민의 의사가 일부 반영되는 정부 중심의 거버넌스 형태가 경제적, 환경적 효용이 극대화될 수 있는 국유림 관리 거버넌스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산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자원관리의 최적 거버넌스 구축 논의에서 정량적인 연구 방법론의 기여점이 있다. A public-private partnership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has been growing in importance. This study aims to assess effective governance in national forest management that maximizes the ecological and economic benefits of ecosystem services. Using the Multi-Agent System approach, this research will examine the case of Gariwang-san, South Korea. This paper attempts to build and simulate various forest management scenarios that range from government-led centralized (top-down) systems to community-based decentralized (bottom-up) frameworks. For the target area in question, it is concluded that the optimal scenario is a government-centered governance system with partial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This paper contributes to ongoing research on quantitative empirical models for sustainable natural resource management.

      • KCI우수등재

        지역적 조건을 고려한 산업단지의 구조적 전환 추진전략 모색

        최성웅(Sungwoong Choi),허동숙(Dongsuk Huh) 대한지리학회 2021 대한지리학회지 Vol.56 No.4

        산업단지는 최근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경쟁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더불어 산업단지 자체의 노후화, 고용 감소, 기업의 역외 이전 등 대내외적으로 여러 과제에 직면해있다. 이 연구는 산업단지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경제의 성장을 위해 지역적 조건에 따른 산업단지의 구조적 전환 추진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클러스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국가산업단지를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대표적인 산업단지-창원, 구미, 반월 · 시화, 군산, 여수, 광양-를 선정하여 해당 산업단지의 특성과 더불어 산업단지가 입지한 지역의 제조업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각 산업단지의 구조적 전환을 위한 방향성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industrial complex is facing several challenges internally and externally, including deterioration, employment decline, and firm relocation decision, along with the recent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rastic changes in the global competitive environment. This study explores the strategies for structural changes in industrial complex depending on regional condition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ial complex and to lead regional growth. A type of industrial complex is classified by the cluster analysis, and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manufacturing industries of the representative industrial complexes such as Changwon, Gumi, Banwol-Sihwa, Gunsan, Yeosu and Gwangyang complex are analyzed. The direction for structural changes in industrial complex and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다행위자시스템을 이용한 산림정책별 토지이용 변화와 영향 분석

        박수진(Soojin Park),안유순(Yoo Soon An),신유진(Yujin Shin),이수연(Sooyoun Lee),심우진(Woojin Sim),문지윤(Jiyoon Moon),정관용(Gwan Young Jeong),김일권(Ilkwon Kim),신혜섭(Hyesop Shin),허동숙(Dongsuk Huh),성주한(Joo Han Sung),박찬열(Chan R 대한지리학회 2015 대한지리학회지 Vol.50 No.3

        최근 지표환경변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복잡계적 특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다행위자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 한국의 산림정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산림개방의 문제를 사례로 토지피복변화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다행위자시스템(Multi-Agent System)을 개발하여, 강원도 평창과 정선의 가리왕산과 그 주변지역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다행위자시스템은 LUDAS(Land Use DynAmic Simulator)로 인문환경과 자연환경의 공간적인 이질성과 상호작용을 동적으로 구현하는 강점이 있으며, 산지개방에 따른 사회·경제 및 자연환경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비교·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모형은 인간 행위자와 그 의사결정으로 이루어져 있는 인문환경시스템, 자연환경과 산림생태계를 대표하는 자연환경시스템, 이를 연결하는 상호작용 연결고리와 정책 시나리오로 구성하였다. 모의 결과는 산림정책의 결과로서 지역주민의 소득과 생태계서비스의 가치, 소득 불평등의 정도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 최적의 산림정책 시나리오는 지형을 고려하여 산지를 개방하고,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개방하며, 휴양지 목적의 산지 개방으로 도출되었다. 이 연구는 산림정책 수립과 토지이용 관련 정책연구를 위한 의사결정시스템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resents a multi-agent system model of land-use and cover changes, which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Gariwang-san and its vicinity, located in Pyeongchang and Jeongseon-gun, Gangwon province, Korea. The Land Use Dynamics Simulator (LUDAS) framework of this study is well suited for representing the spatial heterogeneity and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natural environment, and capturing the impacts of forest-opening policy interventions to future socio-economic and natural environment changes. The model consists of four components: (1) a system of human population, (2) a system of landscape environment, (3) decision-making procedures integrating human(or household), environmental and policy information into forest land-use decisions, and (4) a set of policy scenarios that are related to the forest-opening. e results of model simulation by dierent combination of various forest management scenarios are assessed by the levels of household income, ecosystem service value and income inequality in the study region. As a result, the optimal scenario of forest-opening policies in the study region is to open the forest to local residential community for the purpose of recreation, considering the distinctive topographical feature. The model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and various land-use polici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