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70년대 문학장과 최인훈 - 1970년 전후 『사상계』 문학 비평을 중심으로

        배지연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6

        With considering that a literary text is closely related to diverse contexts in a paragraph with its production,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controversial point over Choi In-hun's novel, which had been continuously made in the literary field of the 1960s~1970s, and to a correlation between Choi In-hun's novel and review. Especially, the contemporary critical discourses were examined in relation to the April 19 anniversary discussion of Sasanggye(思想界) in 1970 that gave an impetus to the argument over realism in the 1970s. Choi In-hun's novels and plays, which are produced in accordance with it, were inquired in the aspect of a literary response. Sasanggye(思想界) before and after the year in 1970 was arranged the space that settles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and inspects possibility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Choi In-hun and his literature are being called at a major point. Choi In-hun is evaluated as a writer in middle generation who positively embraced an aesthetic ground and a social function in literature, and as an author who showed probability of Korean literature, by critics in the April 19 generation that had given advantage to the writers in the 1960s with a generational strategy. Among others, Choi In-hun's novel is comprehended dually amidst a controversy surrounding a concept and a scope of realism in those days, thereby functioning as the cover that will weigh up a critical terrain at that time. Choi In-hun is actively coping with this contemporary criticism through own literary text. In terms of what a critical issue is presented for the destruction in the novel form, Choi In-hun experimented the threshold value of the novel form through exclusively possessing the play form, through utilizing several media such as newspaper or through traversing a fiction and a fact. These series of tracks are giving circumstantial evidence to what Choi In-hun's literature continued to kick against a method of novelistic re-creation, which is represented as realism in the contemporary literary world, or against the fixed literary custom with a specific method. 본 논문은 문학텍스트는 그것이 생산되는 문학장의 다양한 맥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 1960~70년대 문학장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던 최인훈 소설에 대한 논쟁적 지점과 최인훈의 소설 및 비평 사이의 상관성에 주목했다. 특히 1970년대 리얼리즘 논쟁을 추동한 1970년 『사상계』 4.19 기념 좌담과 관련된 당대 비평담론들을 살펴보고, 그에 대응하여 생산되는 최인훈 소설 및 희곡들을 문학적 반응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1970년을 전후로 한 『사상계』 문학특집란은 1960년대 한국문학을 결산하고 1970년대 한국문학의 가능성을 점검하는 계기로 마련되었는데, 이러한 비평의 맥락에서 최인훈과 그의 문학은 주요한 지점에서 호명되고 있다. 세대론적 전략으로 1960년대 작가를 우위에 두었던 4.19세대 비평가들에 의해 최인훈은 문학의 미학적 근거와 사회적 기능을 적극적으로 포섭한 중간세대 작가이자 한국문학의 가능성을 보여준 작가로 평가된다. 무엇보다도 최인훈 소설은 당시 리얼리즘 개념과 범위를 둘러싼 논쟁 속에서 중층적으로 독해됨으로써 당대 비평적 지형을 가늠할 표지로서 기능한다. 소설양식파괴에 대한 비판적 문제 제기에 대해서 최인훈은 희곡 양식을 전유하거나, 신문 등 각종 매체를 활용하는 한편, 허구와 사실을 횡단함으로써 소설양식의 한계치를 실험하는 등 자신의 문학텍스트를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궤적들은 최인훈 문학이 리얼리즘으로 대표되는 소설적 재현의 방식이나 특정방식으로 고착화된 문학 관습에 대해 끊임없이 저항했음을 방증하는 바, 당대 문학장과 최인훈 문학 사이의 관련성을 보다 미세하고 다양한 지점에서 논구함으로써 ‘최인훈과 그의 시대’를 조망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 KCI등재

        판단을 유보한 진행형인 知性의 공간–『문학과지성』과 호명된 최인훈

        이수경 한국현대문학회 2020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60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trace book reviews on the 『Literature and Intelligence(文學과知性)』’s about Choi, IN-Hun(崔仁勳), who was one of the great figures of 60s’, which made category how to study of Choi, IN-Hun, on its way to seeking for its theoretical background of book reviews and for establishment of national literature. First book review was 「Escape of Intellect(知識人의 亡命)」 of Kim, Chi-Su, who focused on ex-realist style of Choi, IN-Hun, and educated person as a main character of him like the reason why 『Literature and Intelligence』 had called him at the first issue of the magazine. 「The Theory for Novel by Novelist(小說家의 小說論)」 of Kim, In-Whan also focused on same features of Choi, IN-Hun. Those two book reviews had been ahead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Choi, IN-Hun was published and had expressed empathy and paid their tributes of praise. After the period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Choi, IN-Hun, there were 「The Secret Room and The Square(密室과 廣場)」, by Chun, Iee-Doo, and 「The Conflict Awareness of World and Ego(自我와 世界의 對立的 認識)」, by Jung, Gua-Ree. Those are focused on details related with ex-realistic technique and educated person as a main character like earlier ones, but they also pointed out the limits of them. The returning to the secret room of main characters, like dream or memory, could not be the solutions to change the paradox of the world. After all, this study confirms that 『Literature and Intelligence』 and Choi, IN-Hun, coexisting in their space of thinking language, did their best to find out their way to establish the national literature and to enhance the ability to recognize the paradox of time and society. But this same reason also made the stereo type of how to study of Choi, IN-Hun’s. In order to overcome this , even though this trial was already started, we should return to the first aphorism, the preface of 『Literature and Intelligence』, What is the literature? Also, we should return to the writings for anti-ideology, the text of Choi, IN-Hun again. 본고의 목적은 70년대 비판적 지성의 장인 『문학과지성』이 ‘비평적 글쓰기’를 통한 자기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모색 과정에서 60년대의 화두였던 ‘최인훈 호명’에 문제의식을 갖고 『문학과지성』이 60년대의 화두였던 최인훈을 다시 호명하게 되는 근거를 『문학과지성』 지면에 실린 최인훈 관련 비평을 토대로 살펴보면서, 『문학과지성』과 최인훈의 공통분모를 확인하는 동시에 『문학과지성』에 실린 일련의 최인훈 관련 비평이 결국에는 최인훈 연구의 한 유형을 제시하게 되어 최인훈 연구의 성과이자 한계를 형성했다는 것을 추적해 보는 것이다. 최인훈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문학과지성』 창간호에 수록하는 것을 시작으로,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는 최인훈 연구의 유형을 형상화하게 된다. 김치수의 「지식인의 망명」, 김인환의 「소설가의 소설론」은 『문학과지성』에서 최인훈전집이 출간되기 전 시기에 해당되는 글로서, ‘혁명과 실패’를 내면화했던 60년대 연대의식은 호명으로서, 최인훈을 『문학과지성』 자장 안에 소환함으로써, 『문학과지성』과 최인훈의 교집합인 비판적 현실인식 대한 무한한 긍정과 갈채를 보내며, 최인훈의 ‘지성적 주인공’과 ‘반사실적 기법’에 주목한다. 최인훈전집이 발행된 후엔 김인환의 「過去와 現在」, 천이두의 「밀실과 광장」, 정과리의 「자아와 세계의 대립적 인식」이 발표되는데, 이전의 공감과 긍정에서 진일보하여 최인훈 작품에 나타나는 ‘사변성 극복과 가능성’으로 비평의 초점이 이동하였다. 『문학과지성』의 비평적 글쓰기는 『문학과지성』은 최인훈 연구의 의미 있는 지시등 역할을 함과 동시에 걸림돌이 되었다. 『문학과지성』 글쓰기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은 ‘문학이 무엇인가’라는 초기의 물음과 함께 다시 반이데올로기 글쓰기, 최인훈 텍스트로의 귀환이다.

      • KCI등재

        최인훈 소설의 연구사 연구

        최윤경(Choi, Yoon-gyeong)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5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27

        최인훈은 현대사를 집요하게 다루어온 작가이며 그의 작품은 소설에서 에세이에 이르기까지 여러 장르에 걸쳐 있다. 본고는 지금까지 최인훈의 소설 연구에 주목하여 그 성과와 남은 과제를 짚어본다. 최인훈의 1990년대 이전의 연구들은 작가의 반사실주의적인 경향을 둘러싼 논쟁이 주요하다. 그 중심에 『광장』이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탈식민주의적 관점에서 『광장』, 『회색인』, 『서유기』, 「크리스마스캐럴」 연작,「총독의 소리」, 『태풍』의 소설들이 분석되고 있다. 이는 최인훈 소설의 ‘근대성’과 ‘식민성’에 대한 탐구의 결과이다. 최근에는 『화두』를 중심으로 한 최인훈 문학의 의의에 대한 구명이 시도되고 있다. 최인훈이 ‘말할 수 없는 상황에서 말하면 큰일날 말’을 하기 위해 ‘검열자의 초점을 흐리기 위해 계산된 진술’을 그의 소설 〔문학〕으로 실험한 작가이다. 그리고 그러한 실험은 작가의 희곡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시도되고 문학이론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에 최인훈 문학의 의의 구명에 있어서 소설과 희곡, 그리고 문학이론을 망라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Choi In Hun is author who has persistently treated the modern history and His works have ranged from novel to essay acrossing multiple genres. This study, paying attention to research of the Choi In-hun’s novel till this day, try to point out the novel’s achievement and remaining tasks. The previous studies of Choi In-hun in the 1990s are primary debates about the criticism and advocacy for the writer’s tendency of anti-realism. The Circl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ose debates. In the 2000s, In viewpoint of leaving colonialism, The repeated writing of Circle, Grey people, Journey to the West, Christmas carol and The novel of Governor’s voice, Typhoon are analyzed. These are outcome of research for novel of Choi In-hun ‘modernity’ and ‘Coloniality’. Recently, centering on Big story, The overall prospects of Choi In-hun’s literature have been tried. In Big story, The novels of Choi In-hun have been referred to self reflection, there is much attention toward the deconstructive writing and the style of later life. The author, Choi In-hun, who has experiment the statement dissipate the focus of the corrector in his novels 〔Literature〕, trying to say the wards if he say these in the situation that can not be said, which will make big problem. and these experiments have been more aggressively attempted at writer’s play. Hereupon, in the field of literature of Choi In-hun, The study to be needed covering the overall prospects including his novel and plays.

      • KCI등재

        최인훈 <구운몽>의 제목과 형식

        이승수 ( Lee¸ Seung Su ),민선홍 ( Min¸ Seon Hong ),우미영 ( Woo¸ Mi Young ) 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 Vol.- No.75

        이 글은 최인훈의 <구운몽>(1962)을 김만중 <구운몽>(1690 즈음)에 대조시켜 서로에게 비치는 모습에서 문학사상의 연속성과 동질성 / 단절성과 개별성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최인훈 <구운몽>의 형식 특성을 규명한 것이다. 논의는 세 단계로 진행하였다. 첫째, 제목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구운몽’은 그 자체로 한국문학 역사상 하나의 사건이자 현상이며, 향후 다른 사건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지닌다. 최인훈의 ‘구운몽’은 현실과 미분리된 여러 환몽으로 나타나고, 영화라는 현대 문명으로 확장되었으며, 5·16군사정변으로 인한 사회적 악몽이라는 의미까지를 담고 있다. 둘째, 구조는 기호이자 의미라는 전제 아래 그 여러 특징을 살펴보았다. 최인훈 <구운몽>의 구조는 ① 사건 전개와 인물 관계에 있어 인과성과 유기성이 결여된 부정합의 이음매를 지니고 있으며, ② 이는 현실과 환몽 사이의 경계 표지 없는 흐름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지닌다. 그러한 가운데 전체를 일관하는 흐름을 만들어주는 요소가 있는데, 그것은 여러 여성 인물에 보이는 ‘왼 뺨의 검은 점’과 ‘처절한 바람 소리’이다. 셋째, 삽입 시문의 양상과 기능을 검토하였다. 최인훈 <구운몽>에 활용된 시문들은 김만중 <구운몽>의 그것과 달리, ① 갈등과 대결의 구도를 만들거나 불편한 현실을 드러나게 하고, ② 서사의 맥락을 일탈하여 강한 목소리로 자기 존재를 팽창시키고 있으며, ③ 시시비비를 가리려는 논변의 경향을 지닌다. 최인훈은 외적인 인과성과 유기성이 없는 부정합의 구성으로 모순과 불일치로 가득한 당대 현실을 드러내었다. 최인훈의 <구운몽>은 형식이 곧 주제이다. 외형은 환상이지만, 온몸으로 당대 현실을 증언하고 있다는 점에서 리얼리즘을 초월한 리얼리즘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inuity and homogeneity / discontinuity and individuality of literary history observed from the comparison between Guunmong by Choi In-hun(1962) and that by Kim Man-jung(estimated to be written in 1690).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s, we identified the features of form of Choi In-hun’s Guunmong. First, We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itle. Guunmong itself is an event and a phenomen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has the potential to be expanded to other events in the future. Choi In-hun’s Guunmong describes diverse kinds of fantasy dreams which are not separated from the reality and was expanded to the modern civilization, that is, the movie. Furthermore, it contains the meaning of ‘social nightmare’ caused by the military coup on May 16, 1961. Second, We investigated several features of the structure of Guunmong on the assumption that the structure is the signifier as well as the signified. The structure of Choi In-hun’s Guunmong ① has the incongruent connection lack of causality and systematicity in the deployment of events and relationship among characters. ② This feature is expressed by the borderless flow between the reality and the fantasy dream. In such a structure, there are the elements that maintain the consistent flow in the whole structure. They are ‘a black dot on a left cheek’ of several female characters and ‘sound of desperate wind.’ Third, we analyzed the patterns and functions of poetry and prose inserted in Choi In-hun’s Guunmong. Unlike Kim Man-jung’s Guunmong, poetry and prose in Choi In-hun’s Guunmong ① create the structure of conflict and confrontation or expose uncomfortable reality, ② expand themselves with strong voice out of the narrative context, and ③ show the feature of argument to decide on right and wrong. Choi In-hun exposed the reality of his times filled with contradiction and discord by incongruent structure without external causality and systematicity. In Choi In-hun’s Guunmong, the form is the theme. While the external form is fantasy, this work is the realism beyond the realism on the fact that it desperately testifies the reality of the times.

      • KCI등재

        부활과 혁명의 문학으로서의 ‘시’의 힘-최인훈의 연작소설 「총독의 소리」를 중심으로-

        이행미 ( Lee Haeng-mi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9

        이 논문은 최인훈의 「총독의 소리」 연작을 중심으로 하여 최인훈 문학에 나타나는 ‘시’와 ‘시인’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 과정에서 문학에서 현실을 재현하는 문제에 대한 작가 인식을 규명할 것이다. 최인훈은 방법론적 ‘환상’을 통해 현실 문제에 대한 문학적 해결을 시도했던 작가이다. 작가의 상상력을 매개로 현실에서 일어나진 않았으나 가능할 수 있는 바람직한 ‘무엇’을 재현하려는 이러한 시도는 더 나은 세계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문학에 대한 이해의 기저에는 근대 이전에 존재했던 예술의 시원(始原)이라 할 수 있는 ‘시’에 대한 탐구가 자리한다. 고대 문학에 속하는 ‘시’는 공동체를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게끔 하는 구성원 집단의 삶에 대한 갈망을 재현해 낸다. 이러한 집단화된 정서의 표현은 현실의 변화를 이끄는 행동과 연결되며, 그런 점에서 말과 힘이 분리되지 않는 문학의 형태이다. 최인훈은 이러한 ‘시’의 속성을 그의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환기하여,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감정에도 현실을 변혁시키고자 하는 열망을 불러일으키고자 했다. 이처럼 공동체를 더 나은 삶으로 바뀌어 나가게끔 하는 ‘시’의 속성은 최인훈 문학의 본질적인 면을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시’ 문학에 대한 탐구를 통해 정초된 최인훈의 문학 세계는 동시대 한국 문학의 환경 속에서 배태된 것이기도 하다. 최인훈은 서구에서 유입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변용을 거치지 않고서 한국 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여기는 당대 문단의 흐름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보였다. 한국적 풍속에 뿌리내리지 못한 관념은 그에게 있어 ‘풍문’에 불과했던 것이다. 이러한 성찰 아래 최인훈은 감각적 현실을 ‘자기’의 시각을 통해 살펴보고, 시대가 요구하는 ‘실재(實在)’를 그려내는 것이야말로 작가의 역할이며, 진정한 리얼리즘의 창작 태도라는 입장을 견지했다. 그런데 작가의 상상력이 재구성되는 차원 따라 현실을 재현하는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최인훈의 문학은 현실과 유사한 세계를 그려야 한다는 부담에서 벗어나 점차 상상력의 무한한 확장을 통해 주어진 세계와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문학적 재현을 취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 ‘차이’는 현실을 초월한 시대적 진실을 관념적 차원에서 제시하며, 현실을 바람직한 모습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제안으로 요청된 것이다. 최인훈 문학의 형식적 실험은 보편적 가치가 구현된 세계를 형상화하려는 작가의 의지와 맞물려 나타났다. 이와 같은 최인훈의 문학에 대한 이해는 ‘시’문학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전개되었고, 연작소설 「총독의 소리」는 이를 대표적으로 드러내는 소설이라 하겠다. This paper investigates Choi In-Hun’s recognition of ‘Poetry’ and ‘Poet(Dichter)’ shown in the series of Chong-Dok-Ye-So-Ri(The Voice of a Governor).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on, this paper examines Chois’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ity and literary representation. Choi tried literary representation about the problem of reality through fantasy. Choi makes a reproduction of a better world by the media of imagination. This world is impossible here, however, it is the most universal and ideal world. In background of Choi’s view, there is seeking for the ‘Poetry’ which is the origins of art existed in pre-modern. In this respect, ‘Poetry’ is an expression of the desire to lead the community in a better way by reproducing the collective emotions. In this literature, ‘a word’ and ‘a power’ are not separate. Furthermore, a lot of people have shared values about the community, and they have faith in potential possibility into the world through the imagination. That is what Choi seeks the power of poetry. On the one hand, Choi In-hun’s literature also is formed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Choi criticized for strict application of the rules of socialist realism on Korea literature. Choi puts in more value on the role of the author to reveal the ‘Reality(實在)’ by observing the perceptible world. Choi think that this is a real sense of realism. In this respect, the vision of author h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literary representation. Choi had a burden of representation similar to the reality. Here, it is increasingly accepted ‘difference’ that appears the representation of the given world through the unlimited expansion of the imagination. ‘The difference’ is obtained a universal truth by presenting the transcends verity in contemporary at conceptual level. Thus Choi In-hun’s recognition of ‘Poetry’ and ‘Poet(Dichter)’ have a decisive effect on Choi’s 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1960년 전후 『자유문학』과 최인훈 - 『자유문학』에 발표된 최인훈 소설과 비평을 중심으로 -

        배지연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 어문론총 Vol.84 No.-

        This paper examined the media ideology that 『Free Literature』 touts, the competitive aspect, and its meaning targeting Choi In-hun's novel and criticism of having been released in 『Free Literature』. In that the novels, which were published in this period, have a prototype in Choi In-hun's literature, the work of inquiring into a relationship with 『Free Literature』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in illuminating Choi In-hun's whole literature. Above all things, in the process of grasping the complex power relation with having the medium as 『Free Literature』 or other literary magazine in the literary field at that time, the multi-layered contexts that Choi In-hun's novel and criticism have could be inspected. The literary field in the 1950s is composed of a strong discourse and the contention of producing a text affected by it. Following the year in 1960, a crack is deepened between a discourse and a text that had formed the literary sphere. Before and after the year in 1960, Choi In-hun's novel and criticism of having been published in 『Free Literature』 dynamically show a change in literary field, which goes on to the 1960s from the 1950s, and are externalizing cracks immanent in the orientation of 『Free Literature』 on the one hand. 이 글은 『자유문학』에 발표된 최인훈의 소설과 비평을 대상으로 하여, 『자유문학』이 내세우는 매체 이념과 길항 혹은 균열하는 양상과 그것의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이 시기에 발표한 소설들이 최인훈 문학의 원형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자유문학』과의 관계를 살피는 작업은 최인훈 문학 전체를 조망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도, 당시 문학장에서 『자유문학』 혹은 여타 문학지를 매개로 한 복잡한 힘의 관계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최인훈의 소설과 비평이 지닌 다층적인 맥락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1950년대 문학장은 강고한 담론과 그것의 영향을 받는 텍스트 생산의 길항으로 구성되며, 1960년을 넘어서면서 문학장을 구성하던 담론과 텍스트 사이의 균열이 심화된다. 1960년을 전후로 『자유문학』에 발표된 최인훈의 소설과 비평은 1950년대에서 1960년대로 넘어가는 문학장의 변동을 역동적으로 보여주는 한편, 『자유문학』의 지향에 내재된 균열들을 표면화하고 있다.

      • KCI등재

        최인훈 문학에 나타난 “연작”의 의미

        노태훈(Tae Hoon Roh)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 현대소설연구 Vol.- No.60

        Choi In-hun is known, not just in name, but to truly be the greatest and deepest of all the Korean authors currently living today. Not only is he an author who penetrates history, but he is also a craftsman who never ceases to blaze new trails in his art. Over the years Choi’s works have attracted attention and been analysed equally as much for both their form and their plot, but there are still many aspects of his literature that have yet to be explored. This paper aims to contemplate the meaning of ‘serialization’ in Choi In-hun’s literary works. The path that Choi’s literature takes shows emphasis on the stories ‘serialized’ nature, a fact to which the author himself has also admitted. However that quality does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e concept of ‘serialized literature.’ In this paper I intend to discover what the meaning of ‘serialization’ is in relation to Choi In-hun’s novels which can clearly be labled as having been ‘serialized.’ Serialization was important to Choi at once for being an experiment with the literary form, as well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his personal exploration of the critical mind. This paper will discuss Choi’s three most important serialized novels, while attempting to avoid reading the author characters and their opinions as Choi’s personal views. Instead, I look to the author’s essays on ‘genre’ and attempt to extract his true opinions from there. For example, one must think of Choi In-hun’s never-ending process of refining his texts in the face of reality as a manifestation of his authorial point of view.

      • KCI등재

        최인훈론 : 피란(避亂)의 존재론과 경계지식인의 탄생

        연남경 이화어문학회 2015 이화어문논집 Vol.37 No.-

        최인훈은 한국전쟁 당시 월남한 피란민 작가이다. 그는 기존 문학사의 세대론적 분류에 따르면 구세대 ‘월남문인’이 아니며, 전후세대 중에서 6.25 이후 등단 작가군에 속한다. 이때 최인훈의 주요 작품들이 한국전쟁과 무관하지 않으며, 피란민의 존재감이 여러 작품 전반에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점은 주지할 만하다. 1960년 발표된 『광장』으로 최인훈은 4·19와 더불어 1960년대의 신세대작가군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소위 한글세대 혹은 새로운 감수성의 세대로 불리는 1960년대 작가들과 분리되어야 한다. 이처럼 기존 문학사의 세대론적 분류에서 애매한 입지에 처한 최인훈은 실지로 어디에도 확실한 소속감을 갖지 않은 작품세계를 형성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본고는 월남한 작가의 정체성이 예외적 작가세계를 형성하는 데 끼친 영향을 중심으로 꾸려보는 작가론의 성격을 가지게 된다. 최인훈의 일관된 작가의식은 현실정치에의 환멸, 서구 풍속을 포함한 집단과 체제에의 저항으로 요약된다. 그 단초를 초기작 『회색인』의 독고준의 근대선언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광장』과 「총독의 소리」와 같은 작품에서 드러나듯 체제에의 저항이 남한사회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서유기』로 연결되는 독고준의 행로는 북에 두고 온 고향 W시로 향한다. 주목할 점은 W시에 도착하기까지 논개, 이광수, 조봉암 등의 인물을 만난다는 설정으로 인해 근대사의 현장을 경유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에고의 정위를 위한 길 떠나기가 사회와 유리된 개인주의에 함몰되지 않았다는 점, 작가의 시야가 남쪽에만 국한되지 않고 한반도 전체를 포괄하는 넓은 지정학적 상상력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남과 북을 잇는 월남 작가의 존재론이 최인훈의 작품세계를 관통하는 일관된 주제의식이었음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광장』에서 제출되었던 ‘광장(사회)’과 ‘밀실(개인)’의 불화라는 화두가 『화두』에서 해명되기에 이른다. 소련의 붕괴와 조명희의 억울한 죽음이 밝혀지면서 현실의 부정성이 입증되고 작가는 이념의 예속에서 풀려나 에고를 정위하게 한다. 동시에 작품으로 망명하여 문학 안에서 올바름을 판가름하고자 했던 세월이 보상받게 된다. 현실과 마주했던 씨애질의 기록은 일관된 작가의식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해방공간과 한국전쟁을 통해 정치와 개인이라는 화두를 형성하게 된 작가 최인훈은 작가인생 내내 그 화두 풀이에 골몰한다. 그를 위해 근대 문인들과 빙의를 통해 식민지 시대를 문제 삼고, 한반도를 넘어서는 시야를 확보한다. 한국적(지방적)인 겪음을 통해 형성된 화두를 풀어나가는 일관된 작가인생을 통해 20세기 한반도를 넘어 세계사를 남다르게 기록하는 결과에 이른 것이다. 이처럼 고향이 환기하는 기왕의 헤게모니에서 이탈한 자로서 경계지식인 최인훈은 한국문단에서 예외적인 작가일 수 있었으며, 한국의 지성사에서 단연 돋보이는 지식인 작가임에 분명하다. Choi In-hun is a refugee writer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in the time of the Korean War. And, his main works are not irrelevant to the Korean War. It is noticeable that existence of refugees acts greatly in the works. Choi really formed his own work world that he did not have a confident sense of belonging to anywhere. Accordingly, this paper will have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s theory based on the influence that the identity of the writer defected to South Korea had on the exceptional writer's world. Consistent writer consciousness of Choi is summarized into disillusionment with realistic policies and resistance to groups and systems including Western customs. The clues can be found out in the announcement of modernization of Doggo Joon in A Gray Man as Choi's initial work. In that Doggo's path in life which is linked with Seoyugi heads of 'W' City as his hometown located in North Korea, it is found out that his resistance to political systems does not aim at only South Korean society. Therefore, ontology of the writer from North Korea which connects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unfolded to be consistent subject consciousness penetrating the work world of Choi In-hun. The talking point called discordance of "square (society)" and a "secret room (individual)" which were described in Gwangjang[Square] comes to be revealed. As the USSR collapsed and the wrongful death of Cho Myoung-hee came out into the open, negativity of reality was proved. So, the writer began to decide the location of his ego. Simultaneously, from being exiled into his works, the years when rightness was tried to be judged in the works are explained. Through the space of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Choi who formed topics of conversation called politics and individuals had been absorbed in solving the topics during his life as a writer. His coherent writing life where the talking topics formed through Korean (local) experiences had been settled brought the result that the world history was recorded uniquely over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0th century. As a person who deviated from the existing hegemony that a hometown arouses, border-intellectual Choi In-hun was an exceptional writer in the Korean litarary circles and must be a definitely notable intellectual writer in Koran history of mentality.

      • KCI등재

        최인훈의 『광장』에 나타난 잠재성 연구

        이나윤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6 No.-

        The concept of ‘Idea’ in Choi In-Hun’s novel usually evaluated as representing the opposition of reality or the ultimate goal of Choi In-Hun. It has also been pointed out that the ‘Ideal’ is merely an abstraction from the concreteness of reality. This thesis focuses on the fact that such ‘Idea’ is the subject's response to concrete, objective reality as Choi In-Hun himself reveals, and examines the idea of the ‘Square’ in Choi In-Hun's “The Square”. “The Square” is a story that the protagonist Lee Myeong Jun’s journey to define his ‘self’ responding to the external ‘condition’, to reiterate the rationality of the ‘conditions’ by repeating the failure of the self-regulation. However, since “The Square” shows minor or significant changes in the process of six revisions including the edition in 1976, such regulations should also be viewed differently as the contents change. The change of meaning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revision is also accompanied by the rearrangement of Myeong Jun's thought itself. In particular, the symbolism of the seagull, which has undergone a full-scale revision, is a key element that can provide a clue to the interpretation of Myeong Jun's self-regulation through “The square” as well as to define the meaning of a series of scenes surrounding Myeong Jun's death at the end of the work. In this thesis, the most recent revision in 2010 is used as the main text,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Square’ as the point of aim that Myeongjun sought in the narration of “The square” is in fact always-already latent in reality, and the process of revision was inevitably made for this. In order to clarify this, this study intends to closely examine the ending part of “The square”. The meaning of the seagull changed through the adaptation includes the combination with Eunhye that was latent in Myeong Jun's recognitive frame into the realm of reality, and makes their daughter the reference point of new recognition. Through this change, Myeong Jun retroactively reconstructs the “Square” that he had not found in his life. Therefore, through the adaptation of “The square”, it can be confirmed that Myeong Jun's “Square” is not an unrealizable fantasy but always-already existed in its place and appears as a new inner truth. 최인훈 소설에서 ‘관념’은 통상적으로 현실의 대립항 혹은 최인훈의 궁극적 지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어 왔으며, ‘관념’이 현실의 구체성으로부터 탈각된 추상에 불과한 것이라는 지적 역시 제기되어 왔다. 본고는 이와 같은 ‘관념’이 최인훈 스스로가 밝히듯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현실에 대한 주체의 응답이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최인훈의 광장 에서 나타난 “광장”이라는 관념에 대해 면밀히 살피고자 한다. 광장 은 주인공 이명준이 외부적 ‘조건’에 응답하며 ‘자기’를 규정하고자 하는 여정이며, ‘자기’ 규정의 실패를 반복함으로써 역으로 ‘조건’들의 합리성을 되묻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광장 이 1976년 문학과지성사 전집 판본의 개작을 포함하여 총 6차례의 개작 과정에서 소소하거나 중대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므로, 그와 같은 규정 역시 광장 의 내용이 변화함에 따라 달리 보아야 할 것이다. 광장 의 개작 과정에서 발생한 의미 변화는 명준의 사유 자체의 재정렬을 수반하기도 한다. 특히 전면적인 개정이 일어난 갈매기의 상징성은 작품의 결말에서 명준의 죽음을 둘러싸고 있는 일련의 장면의 의미를 규정하는 데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광장 을 관통하는 명준의 ‘자기’ 규정에 대한 해석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는 핵심적 요소라 할 수 있다. 본고는 가장 최근에 발간된 2010년도 문학과지성사 제7판 개정을 주요 텍스트로 삼아, 광장 의 서사 내에서 명준이 찾던 지향점으로서의 “광장”이란 사실상 언제나-이미 현실 속에 잠재되어 있던 것이라는 점이라 보고, 이를 규명하기 위해 광장 의 결말부를 면밀히 검토하고자 했다. 개작을 통해 변화된 갈매기의 의미는 명준의 인식틀 속에 잠재되어 있던 은혜와의 결합을 현실의 영역 속으로 포함시키며, 그 결과물인 딸을 새로운 인식의 참조점으로 삼게 한다. 이 변화를 통해 명준은 그간 자신의 삶 속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광장"을 소급적으로 재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광장 의 개작을 통해 명준의 “광장”은 실현 불가능한 환상이 아니라 언제나-이미 그 자리에 있었던 것으로서, 새로운 내적 진리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후기ㆍ식민지에서 소설의 운명

        장성규(Jang, sungkyu)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1

        최인훈이 4.19 혁명의 좌절 이후 그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지적인 탐구를 수행해왔음은 이미 여러 문학사적 연구를 통해 지적된 바 있다. 반면 그 탐구를 형상화하는 구체적인 형식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연구는 충분히 수행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최인훈이 4.19를 통해 남한을 후기-식 민지로 새롭게 인식할 수 있었다면, 이에 상응하는 소설 개념 자체를 재구성하는 작업 역시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최인훈은 후기-식민지에서 소설의 운명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을 보여주는 흔하지 않는 작가 중 하나이다. 후기-식민지가 식민지와 구별되는 것은 물리적 폭력의 방식이 아니라, 사유의 구조와 표현의 형식을 통해 제국의 통치를 실현한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후기-식민지에서의 소설은 그 표현의 형식에서 탈식민의 전략을 모색하지 못할 경우, 결국 재식민화의 일환으로 전락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위험하다. 최인훈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전 서사 장르에 대한 적극적인 전유의 전략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성과를 도출한다. 첫째, 「열하일기」, 「옹고집뎐」, 「서유기」 등을 통해 수행되는 식민주의적 전통 담론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다. 둘째, 「놀부뎐」, 「춘향뎐」, 「금오신화」, 「구운몽」 등을 통해 수행되는 후기-식민 현실에 부합하는 방식으로의 고전 다시-쓰기이다. 셋째, 『서유기』 등을 통해 수행되는 환타지적 가상 역사 서술과 이에 기반을 둔 소설론의 탐구이다. 이와 같은 성과는 그의 후기-식민지로서의 남한 인식이 단지 정치적 층위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미학적 층위에서까지 수행되었기에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인식을 통해 그가 후기-식민지에서의 소설의 운명에 대한 사유를 보여주었다는 점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후기-식민지에서의 소설이란 제국의 자기 표현 양식의 이식과 모방이 되기 쉽다. 아니라면 후기-식민지의 사유 구조를 표현하는 형식이 될는지도 모른다. 이것이 후기-식민지에서의 소설의 운명일 것이다. 그리고 우리 소설은 여전히 이 문제와 대면 중이다. 최인훈의 문학사적 의의는 여기에 있을 것이다. It is already pointed out that Choi In-hun had implemented intellectual exploration about the fundamental causes after the failure of the 4.19 Revolution, through various studies of literature history. On the other hand, it is true that more fundamental studies on specific forms shaping the exploration had not been implemented. If Choi could newly recognize South Korea as a colony in the post colonial period through the 4.19 Revolution, work to reorganize the novel concept itself corresponding to this is demanded essentially too. Choi is one of uncommon writers who show deep exploration on fate of novels in the post colonial period. The separation of the post colonial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not in the way of physical violence but in the point that the rule of an empire is realized through the structure of reasons and the form of expressions. Therefore, if novels of the late colonial period cannot seek post colonial strategies in the form of expressions, it is dangerous in that they can eventually degenerate into a part of recolonization. Choi In-hun extracts the next performances by using positive appropriation strategy about traditional narrative genres in order to recover this. First, it is critical awareness on colonial traditional discussions implemented through Yeolhailgi, Onggojipdyeon, and Seoyugi. Second, it is rewriting of traditional literature in away corresponding to the post colonial reality implemented through Nolbudyeon, Chunhyangdyeon, Geumosinhwa, and Guunmong. Third, it is fantastic virtual historic narratives implemented through Seoyugi and exploration of novel theory based on the narratives. These performances were possible because of his awareness of South Korea as a colony in the post colonial period even in aesthetic level, not confined to just political level. Additionally, through the awareness,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point that he showed causes and reasons on fate of novels in the colony of the post colonial period. It is easy that novels in the late colonial era become transplant and imitation of the self-expression mode of an empire. If not, they may be forms to express cause and reason structures of the late colonial era. This is the fate of novels in the post colonial period. And, our novels are still facing the problems. Meanings of literature history of Choi In-hun may be in 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