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속공간의 비극성을 통한 현실 인식 : 최승호 시의 은유 분석 Metaphorical analysis of Choi, Seung-ho's poems

        연남경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문학회 2002 이화어문논집 Vol.20 No.-

        Animal image dominates the city that is the core and background of Choi, Seung-ho's poems. This paper studied about such a city and focused on the creation process of grotesque animal image. Unpredictable and active metaphors and metonymys in Frames of Reference from B. Hrushovski and Spatial Metaphor from M. C. Haley were used in order to analyze 「Dried Pollack」, 「Bus which has advertisement」 and 「I am breathing」, Choi, Seung-ho's three poems. In his poems, space represents the space of death. Animals in that space show transformation to Dried Pollack and again to fish tough metonymy. At the same rime, those grotesque animals are treated metaphorically the same as man. Therefore, man becomes tragic existence who doesn't even realize being locked in a breathless space. Moreover, every artificial thing, created by man but now threats his freedom, turns out to be the reason of the space of death. Ultimately, those poems alert man living an automated city life through metaphorical and metonymical creation and transformation process.

      • KCI등재

        기억의 문학적 재생

        연남경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8 No.-

        최인훈의 문학세계는 ‘기억’의 발견으로 인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든다. 그 대표작인 <화두>는 기억을 따라가는 자유롭고 새로운 소설 형식을 보여주며 서술자의 기억 행위를 통해 개인의 과거사뿐 아니라 20세기 세계 역사를 기록해 놓은 소설이다. 뿐만 아니라 기억 원리 자체를 설명하는 메타 텍스트이기도 하다. 사실 1970년대 말 최인훈은 희곡 <한스와 그레텔>에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유태인 대학살과 관련한 독일인의 경우를 통해 역사적 경험기억 문제를 주제로 삼은 바 있으며, 이를 볼 때 세기말 홀로코스트 증인세대와 관련한 기억 담론이 대두되기 이전에 이미 기억에 관한 선구적 시각을 형성했다고 평가된다. 그 후 최인훈은 소련 멸망과 세기 변동으로 인한 경험기억의 위기 상황에 직면하여 본격적인 기억에 관한 소 설 <화두>를 내놓게 된다. <화두>의 유일한 후속작인 <바다의 편지>는 이전 소설 두 편의 일부를 재인용하는 형식을 통해 개체 소멸 이후에도 역사의 기억과 인류 문명의 내림은 영원하다는 사실을 말하고자 한다. 특히 문학 안에서 재생되는 기억은 단순 반복을 넘어 새로운 것으로 바뀌는 ‘대항-기억’의 의미를 획득한다. 이렇게 최인훈은 자신의 문학에 기억을 들여 놓음으로써 불화했던 개인과 역사의 화해를 조심스럽게 꿈꾸기 시작한다. Choi In-Hoon’s literary world enters a new phase with the discovery of ‘memory’. The exemplary work Hwadoo is a novel that shows a liberal and new form of novel which follows a memory, and through the narrator’s act of remembering it records not only his personal past but also the world history in the twentieth century. It is also a meta-text that explains the process of memory itself. The fact is, at the end of 1970s, Choi has discussed the issue of the memory of historical experience with the example of a German involved in the Holocaust during the World War II in his play Hans and Gretel and on observing it, it can be assessed that he had already formed a pioneer view on memory even before the discussion of memory as it relates to the generation of Holocaust witnesses. After that, Choi, facing the crisis befalling the memory of experience due to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turn of the century, produces Hwadoo which discusses memory in earnest. The Letter of Ocean, the only work to follow Hwadoo, uses the format of quoting parts of two novels that proceeded it in order to speak of the fact that even after the annihilation of an object, the memory of history and the inheritance of human civilization are everlasting. Memory revived in literature acquires the meaning of ‘counter-memory’ that goes beyond mere repetition to become new. Thus, Choi In-Hoon carefully begins to hope for the reconciliation between indivindividual and history by placing memory in his literature.

      • KCI등재

        사변적 페미니즘으로 본 SF 현상과 연결됨의 윤리 - 「얼마나 닮았는가」, 「리셋」, 「오래된 협약」을 중심으로 -

        연남경 이화어문학회 2023 이화어문논집 Vol.60 No.-

        한국문학사 최초로 SF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현재 한국문학장에 형성된 ‘SF 공동체’는 SF 팬덤과 페미니스트-독자들의 행위성이 맞물려 이루어졌 다. 따라서 지금의 ‘SF 현상’은 김지영 현상을 잇는 후속 흐름으로 보이며, ‘해방된 독자’에서 ‘저항하는 독자’를 거쳐 이번에 SF를 손에 쥔 이들은 사 회적 타자와 ‘연결된 독자’들이다. 동시에 최근 한국의 SF는 정통 SF의 장 르적 엄정성을 내려놓는 한편, SF 장치의 힘을 통해 여성이 기대하는 대안 적 현실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사변적 페미니즘으로 확장하여 사고할 필 요가 있다. 김보영의 「얼마나 닮았는가」는 접합의 사변을 통해 인간과 연결됨으로 써 난민들을 구조하는 AI를 재발명하여 인류 절멸을 가져오는 초지능 AI 플롯을 대신한다. 정세랑의 「리셋」은 변신의 사변을 통해 여성의 지렁이- 기계-괴물-되기를 구현한다. 이때 타자성의 연결은 인류세의 멸종 시나리오에 맞서 지구를 재건하려는 대안적인 움직임이다. 김초엽의 「오래된 협 약」은 공생의 사변을 통해 개체주의의 환상에서 벗어나 상호 관계 맺기가 중요함을 알려준다. 이와 같이 사변적 페미니즘은 관계성을 생산하고 유 연한 사고를 제공하기에, 지금-여기, 인간중심주의와 자연-문화가 타자화 한 비인간 존재자들을 향한 대안적 사유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현재의 SF 현상은 연결되어 있는 감각에 익숙한 독자들에 의한 것이기에, SF 공동체 가 읽고 쓰는 작품은 접합과 변신과 공생의 사변을 통해 어떻게 관계 맺 고 함께-될 것인가를 사유하며, 더 나은 미래를 모색한다.

      • KCI등재

        냉전 체제를 사유하는 방식 - 최인훈의 『총독의 소리』를 중심으로

        연남경 상허학회 2015 상허학보 Vol.43 No.-

        Works of Choi, In-hun, mobilizing words such as ‘diaspora’ ‘division’ and ‘evacuation,’ have shown how the lives of individuals depend on political ages. Based on the artistic pace sensitive to the political climate, rapid fluctuations of domestic and foreign affairs between the late 1960s and early 1970s seemed to significantly affect his later works.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tries to investigate Choi, In-hun’s series of novel, The Voice of the Governor General, as a way of reasoning and corresponding to the Cold War. The Voice of the Governor General was released from 1967 to 1976,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Korea at the time. Part 1 is a response to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and Part 2 deals with military security and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in conjunction with penetration of armed communist guerrilla and USS Pueblo hijacking in 21st January, 1968. Part3 is about Nobel Prize winning of Japanese writer Yasunari Kawabata, seeing the world system as nationalism. On the other hand, Part4, published in 1976, tries to interpret international fluctuations due to the détente, and the political issues of the joint communique of 4 July 1972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of Korea. However, for détente phase, reconciliation of China and U.S., and the joint communique all occurred in 1972, Part4 of The Voice of the Governor General has a time difference as in responding to political issues, compared to previous parts. Thus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Part 4, calling the South and the North as the subject and requesting self-reliance, in terms of the writer’s stay in United States and the end of Vietnam War. Staying from 1973 to 1976, the writer discovered a Janus-faced America, applying different standards to other countries from its own. In addition, America’s response to the Vietnam War shows nationalism operated only to prevent its own citizens. This ambivalent attitude of the United States the writer found, in conjunction with the confusing situations of Korean peninsula due to the Nixon Doctrine, leads him to have a schizophrenic self, calling for dependence on and independence from U.S. at the same time. U.S-leading Asian reconciliation mode is distorted as a tense situation of Korea by Park, Chung-hee regime and leads to a Yushin(reformation) proclamation. Choi, establishing a literary response in the US, came back to Korea, proving that Part 4 of The Sound of the Governor General is a corresponding response. The novel has a unique structure, highlighting the text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speaker’ and the ‘audience.’ The format of the sound broadcasting substitutes the Governor General, subject of Locution, and have various voices. In particular,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presence of the poet, having rather been ignored previously. The Poet, who is overlapped with the writer, has responsibility to build new words. Therefore, The Voice of the Governor General, on one hand, has theme which politics around Korean peninsula in Cold War and détente, and on the other hand, has politics of esthetics by exceptional composition of languages and forms. 최인훈의 작품 세계는 개인의 삶이 ‘분단’, ‘피란’, ‘디아스포라’와 같은 어휘를 동원하며 시대와 정치에 종속적이었음을 밝히는 데 천착해 왔다. 정치적 풍토에 예민했던 작가적 행보에 근거했을 때, 1960년대 말부터 1970년대 초반의 국내외 정세의 급격한 변동은 그의 후반부 작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냉전 체제를 사유하고 그에 대응하는 방식으로서 최인훈의 <총독의 소리> 연작을 살펴보았다. <총독의 소리> 연작은 1967년부터 1976년까지의 기간에 걸쳐 발표되었으며, 당시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 변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1편은 ‘한일 국교 파동(한일협정)’에 대한 대응으로 쓰였으며, 2편은 1968년 1·21 무장공비 침투사건과 푸에블로호 납치 사건과 관련하여 군사안보와 대북관계를 다루고 있다. 3편은 같은 해 일본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노벨문학상 수상과 관련하여 세계체제의 원리를 국수주의로 파악하고 있다. 그리고 1976년에 발표된 4편에서는 데탕트로 인한 국제정세의 변동과 7·4 남북공동성명의 정치적 이슈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고 있다. 그런데 데탕트 국면과 중미 화해, 7·4 성명은 1972년에 발생한 사건들로 <총독의 소리> 4편은 전편들에 비해 정치적 이슈와 그에 대한 대응에 있어 시간차가 발생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남과 북을 주체로 호명하고 ‘자주(自主)’를 요청하는 4편은 작품 발표 직전 작가의 미국 체류와 베트남 종전이라는 상황과 결부지어 해석할 필요가 있다. 1973년부터 1976년까지 작가의 미국 체류는 자국과 타국에 다른 잣대를 적용하는 야누스의 얼굴을 가진 미국의 발견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1975년 베트남전의 종전과 미국의 대응은 철저한 자국민의 이익 논리에 의한 국가주의가 작동함을 보여준다. 국제 정세를 주도하는 미국에 철저히 종속적인 상황에서 미국에 의해 부여된 ‘자주’는 생경한 단어가 되어 혼란을 낳는 한편, 미국 주도의 아시아 화해 모드는 박정희 정권에 의해 한반도 긴장 상황으로 왜곡되고 유신선포로 이어진다. 마침내 문학적 책무와 대응을 마련한 작가는 귀국길에 오르고 <총독의 소리> 4편은 이에 응답하는 작품임이 입증된다. <총독의 소리>는 ‘화자’-‘청자’의 텍스트 소통 구조만이 부각되어 있는 형식적 특수성을 담보한 소설이다. 공적 언술에 해당하는 총독의 소리는 오히려 여러 목소리들이 혼재된 공간이 되며, 그동안 주목받지 못한 시인에게는 새로운 말을 건설해야 할 책무가 부과된다. 작가 최인훈의 모습이 겹쳐지는 시인의 모습에서 미학적인 동시에 정치적인 글쓰기의 과제와 고충이 찾아진다. 그리고 그 결과물로서의 <총독의 소리>는 냉전 체제와 데탕트 국면을 둘러싼 한반도 내외의 정치를 주제로 삼고 있으며, 소설 언어와 형식의 파격을 통해 고정된 형식이나 의미에 저항한다는 점에서 미학적 정치성을 갖는다.

      • KCI등재

        포노 사피엔스의 ‘워라밸’과 자본주의 횡단하기 : 장류진의 일의 기쁨과 슬픔을 중심으로

        연남경 이화어문학회 2021 이화어문논집 Vol.53 No.-

        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를 뜻하는 ‘포노 사피엔스’는 코로나19 사태, 전염병의 역습으로 인한 팬데믹-패닉 상태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실제 언택트 시대에 먹고 사는 일을 가능하게 하고 인간관계를 이어준 것이 포노 사피엔스 문명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포노 사피엔스의 문명을 가장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시장 혁명의 논리로 돌파해나가는 낙관론과 빅데이터와 스마트폰에 잠식당한 일상이 신자유주의적 통치성을 가속화한다는 비판적 입장 모두에 전적인 동의는 유보하되 양자를 참고하며, 포노 사피엔스 문명에서 자본주의를 가로지르는 서사로서 장류진의 작품을 분석해보았다. ‘판교 테크노밸리의 하이퍼 리얼리스트’로 불리는 장류진은 포노 사피엔스의 일상을 구체적 상황 제시를 통해 누구보다 잘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장류진은 스마트한 플랫폼으로서의 온라인 세상을 제시한다. 포노 사피엔스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공적인 영역과 사적인 영역이 넘나들고, 급여가 소비로, 일의 슬픔이 취미 활동의 기쁨으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워라밸’을 추구한다. 그러나 같은 플랫폼이 음험한 욕구가 배설되는 통로이자 폭력을 조장하는 장소로서 활용되는 현장도 놓치지 않는다. 장류진은 포노 사피엔스 문명으로 포장된 가속화된 시장 논리에 포함되지 못한 채 낙오된 사람들과 상시적인 폭력에 노출된 사람들이 있음을 또한 기억한다. 한편 포노들의 문명에서는 효율성에 대한 맹목적 추구를 보이는 경제적 인간, ‘호모 에코노미쿠스’가 발견되기 쉬운데, 이들은 자유로운 선택의 주체라는 신자유주의 통치성의 원리가 불합리한 예속화의 원리와 다름없음을 깨닫고 예속에서 나아가 선물이라는 행위를 더해 소비의 가치를 증폭시킬 줄 안다. 이렇게 소비로부터 온기의 가치를 찾아내고 창출해낼 수 있는 이들은 ‘호모 엠파티쿠스’이기도 하다. 결과적으로 장류진은 시스템의 예속화와 주체화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포노 사피엔스의 양면성을 통해 소비의 주체와 공감의 주체가 섞이고 공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는다. 'Phono sapiens', which means a new humanity created by smartphones, is gaining new attention in the midst of the pandemic-panic caused by the COVID-19 crisis. Phono sapiens civilization has made it possible to live in the world of Untact and connected human relationships. This paper analyzes Jang, Ryujin's work as a narrative crossing capitalism into Phono sapiens civilization. Jang presents the online world as a smart platform. Phono sapiens pursue ‘work-life-balance’ in a way that crosses the public and private areas on an online platform, pays for consumption, and turns the sadness of work into the joy of hobbies. However, she do not miss the aspects where the same platform is used as a channel through which insidious desires are excreted and a place that promotes violence. Jang also remembers that there are people who have fallen behind and are exposed to constant violence that have not been included in the accelerated market logic paved by the Phono sapiens civilization. Meanwhile, in the civilization of the phono, it is easy to find an economic human, "homo economicus," who shows a blind pursuit of efficiency. These humans discover that the principle of neoliberal governance, which is the subject of free choice, can be compatible with the principle of irrational subjugation, and they know how to amplify the value of consumption by adding the act of a gift to go beyond subordination. They are also “homo empaticus”, who can find and create the value of warmth from consumption. As a result, Jang finds the possibility that the subject of consumption and the subject of empathy can be mixed and coexist through the duality of Phono sapiens, which reciprocates between the subordination and subjectification of the system.

      • KCI등재

        남성 주체의 수치심과 윤리의 행방 - 이청준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의 여성 재현에 주목하여 -

        연남경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9 No.-

        Lee, Cheong-jun's "Unwritten Autobiography" is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about the author's situation before and after starting his literary career. The story covers 10-days in the life of the narrator, who has been a journalist for a woman's magazine and submits a resignation letter, then ponders whether to return to work. This paper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e subject's anxiety and shame with regards to female college students. The area around the women's university is an allegory of the reality for the time:,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are a representation of luxury. The narrator feels ashamed that he cannot be free in a feminized society, and suffers anxiety due to the crisis of establishing a subject. He tries to prove his completeness by attacki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he problem is that negative social phenomena-such as dividendism and snobism brought about by the development economy after the coup in May 1961-converged with the luxury enjoyed by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hame of male subjects at this time therefore corresponds to narcissism. For the author, literature was something ethical, that set him apart from the world of snobs, but on the other hand, it was ambivalent because it became a means of survival in the post-May 1961 world. At this time, the subject's ethics are secured when standing against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masses, and the new literary subject implies elitism and strong male solidarity. In the end, the literary orientation of the writer is set, representing the limitations of Lee, Chung-jun's literature as representative of the 4.19 generation. 이청준의 『씌어지지 않은 자서전』은 『새여성』사에 적응하지 못한 기자 이준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직장으로 복귀할 것인가를 고민하며 보내는 열흘의 이야기로 실제로 『사상계』에서 『여원』으로 이직했던 작가의 행보와 일치한다. 이 소설은 등단 전후의 상황을 담은 자전적 서사로서 창작에 임하는 작가의식이 엿보이는 작품이다. 본고는 남성 화자가 굳이 여대 앞에서 열흘을 보내며 매사에 수치심을 느낀다는 작위적 설정에 문제의식을 갖고, 소설에 전경화되어 있는 여대생(여성)을 향한 남성 주체의 수치심을 작가의 문학적 지향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작가에게 문학은 속물적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분리함으로써 윤리적 태도를 확보하는 일이었지만, 한편으로는 5.16 이후의 세상에서 살아남는 방편이 되었다는 점에서 양가적이다. 이때 부정적 사회 현상이 유독 여대생의 사치로 수렴되면서 공격의 대상이 되는 방식은 자아의 완전함을 가로막는 강한 대타자의 속성까지도 오히려 취약한 집단에게 투사하여 해소하려 한다는 점에서, 남성 주체의 수치심은 불안한 자신의 상황의 원인을 타자에게 전가함으로써 완전함을 회복하려는 나르시시즘일 뿐이다. 결국 작가의 문학적 지향이 설정되어 있는 이 작품은 대중과 여성을 타자화하는 엘리트주의, 즉 돈독한 남성 연대를 특징으로 한다는 점에서 4.19세대의 대표 작가로서 이청준 문학이 내포한 한계를 여실히 증명하는 텍스트인 셈이다.

      • KCI등재

        김경욱 소설의 영화적 상상력

        연남경 이화어문학회 2004 이화어문논집 Vol.22 No.-

        We are living in the era of visualization, which means we are more familiar with movies than we are with literature, and with mass media than with books. However, it is hard to define this trend negatively, because images and loners cannot be substituted for one another. They accept their differences, and even share intertextual exchanges and relations. Therefore, movies us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and novels use the imagination and techniques of movies in new ways. Kim Kyeong Wook's noel Bagbdad Cafe Doesn't」 Have Coffee provides a good example of utilizing movies in the World Of literature. first, this novel adopts motifs and techiques from movies and displays visual images. Second, photography, editing, and lighting techniques are used in the text. Third using the cinematic technique of montage, the writer deconstrucrs the unitary focus of the modern viewpoint. Fourth, this novel avoids the overdetermined and predictable naming of characters, and instead uses a perceptual and visual naming through the writer's observation. In conclusion Kim Kyeong Wook's novels are a meaningful attempt to represent a harmony between visual images and conceptual letters, and one of the answers to the question of where literature is currently loc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