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류세 도래에 따른 녹색전환의 가치와 중장기 전략 발굴 연구

        김도균,안소은,정우현,주문솔,이재혁,서은주,류환희,최명애,홍덕화 한국환경연구원 2022 기본연구보고서 Vol.2022 No.-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기후위기는 ‘인류세’로 지칭되는 새로운 지질시대의 도래를 알리는 핵심 증거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코로나19 이후의 새로운 기준은 코로나19의 종식을 넘어서서 기후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녹색전환’이 되어야 함 - 활력 있는 지구 생태계는 인간 문명 없이 존재할 수 있지만 인간 문명은 생태계와 별개로 존재할 수 없다는 단순하지만 분명한 사실에서 정부의 정책이 출발해야 함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류세 논의를 바탕으로 코로나19 이후 우리 사회 뉴노멀의 방향을 녹색전환으로 제안하고, 그 실현을 위한 중장기 연구과제를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연구의 범위와 수행 체계 - 인류세 논의가 녹색전환에 주는 함의를 검토한 후 구체적인 연구과제를 제안함 - 연구과제 발굴의 내실화와 공론화를 위하여 한국환경사회학회와 협업하여 6차례 전문가 포럼 진행 Ⅱ. 인류세 도래에 따른 녹색전환의 의미와 기본방향 □ 인류세 논의가 녹색전환에 주는 함의 - 인류세는 인간의 힘이 지구 표면을 바꾸는 결정적인 힘이 되면서 도래한 새로운 지질시대를 가리키기 위해 제안된 이름 - 이 개념은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대기화학자 파울 크뤼천(Crutzen)과 생태학자 유진 스토머(Stoermer)가 2000년에 처음 제안 - 인류세는 환경 논의의 규모를 지구(행성) 차원으로 확장하며 ‘행성적 한계’를 강조함 - 인류세 논의가 녹색전환에 주는 함의 ㆍ첫째, 인류세의 행성적 한계는 녹색전환의 방향이 생태적 한계 속에서 경제와 사회를 녹색화하는 ‘내포 관계’를 지향해야 함을 강조 ㆍ둘째, 인류세 논의가 강조하는 행성적 한계는 성장중심주의와는 다른 사회·경제 구조로의 전환을 강하게 요구함. 즉, 성장중심주의와 대비되는 ‘탈성장’이라는 새로운 전환 논의로까지 확장 ㆍ셋째, 인간 활동을 생태위기의 원인으로 지목하면서도 다종적 정의 개념을 통해 ‘인간 이외의 존재’까지 포용하는 환경정책을 요구 ㆍ넷째, ‘창의적 실험’을 통한 미래 지향의 탐색 활동을 강조 □ 녹색전환 연구과제 발굴 - 한정된 보고서에서 폭넓은 연구 영역의 연구과제를 제안할 수 없는 현실을 고려하여 <그림 1>과 같이 5개의 녹색전환 연구과제 제안 - 순환경제 영역에서 두 가지 연구과제 제안 ㆍ인류세의 행성적 한계는 성장중심주의를 넘어서고자 하는 탈성장 논의로까지 확장 ㆍ성장중심주의를 넘어서고자 하는 탈성장 논의가 새로운 자원 투입 없이 자원을 순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정상 상태의 사회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탈성장과 순환경제는 그 지향점을 공유함 ㆍ연구과제 1, 거시적 차원에서 탈성장 논의와 순환경제 정책을 연계하는 연구 ㆍ 연구과제 2,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지역공동체 단위의 미시적 실천전략과 연결하는 연구 ㆍ이는 인류세에서 강조하는 미래 지향의 창의적 전환실험이라고 할 수 있음 - 노동, 미래세대, 육식 중시 관행을 넘어서는 식생활(채식)에 관한 연구과제 제안 ㆍ또한 인류세의 원인은 자본주의의 불평등한 사회·경제적 관계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 따라서 인류세 논의를 반영한 녹색전환 과정에서는 ‘정의로움’ 같은 사회 가치 강조 ㆍ특히 급격한 녹색전환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노동(계)의 문제를 어떻게 포용할 것인가, 그리고 전환 과정에서 현세대를 넘어서 미래세대의 의견과 이해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같은 세대 간 정의 문제를 고려해야 함 ㆍ연구과제 3, 노동을 포용하는 정의로운 전환 연구 ㆍ연구과제 4,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미래세대의 참여 연구 ㆍ인류세의 다종적 정의 논의는 정의의 영역을 ‘인간 너머’로까지 확장. 채식 위주의 저탄소 식단은 인류세의 대표적 환경위기인 기후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민 실천방안으로, 동물의 내재 가치(intrinsic value)를 인정하는 동물권과 결합 ㆍ연구과제 5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식생활의 녹색전환 연구 Ⅲ. 녹색전환을 위한 중장기 연구과제 제안 □ 세부 과제와 로드맵 ㅇ 5개의 중점 연구과제별로 세부 전략연구를 제안해 보면 <그림 2> 및 <표 1>과 같음 Ⅳ. 기대 효과 ㅇ 연구과제가 추진된다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 - 첫째, 순환경제 이행 모니터링을 위한 거시 지표를 개발하여 국내에 적용하고, 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순환경제 연구의 폭을 넓힐 수 있음 - 둘째, 기존의 순환경제 실천 관련 지원 제도와 거버넌스를 개선한 새로운 지역 기반 순환경제 생산모델을 제시하여 단선형 경제에서 순환형 경제로 시스템 전환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음 - 셋째, 녹색전환 정책이 ‘정의로움’이라는 사회적 가치와 조화를 이루도록 하고, 녹색 전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갈등을 예방함으로써 관련 정책의 효과적인 추진 기반을 강화할 수 있음 - 넷째, 환경위기의 직접 당사자가 될 미래세대의 목소리가 정책 설계와 결정, 집행과정에 실효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법제, 정치, 그리고 사회적 토대를 마련하여 세대 간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음 - 다섯째, 환경위기를 불러온 우리 삶의 방식을 변화시키고 비인간 존재까지 배려하는 시민 실천전략으로서 채식 장려 정책을 추진하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 Ⅰ. Introduction □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ㅇ The climate crisis is considered a key evidence marking our entry into a new geological era named Anthropocene. The new normal after the COVID-19 Pandemic should be “green transformation” which can tackle climate change, not limited to putting an end to the pandemic. ㅇ Government policies should be based on the fact that the earth’s ecosystems can exist without human civilization while human civilization cannot exist without ecosystems. ㅇ In this context, this study suggests green transformation as our society’s new normal after COVID-19 based on the discussion of Anthropocene; the study aims at identifying mid- and long-term in-depth research topics to achieve green transformation. □ Scope and procedure of the study ㅇ Reviewing the implications of the Anthropocene discussion for a green transformation and suggesting specific research projects ㅇ Holding six expert forums in partnership with the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to enhance the quality of research projects and publicize them Ⅱ. Identifying Research Topics in Green Transformation in the Advent of Anthropocene □ Implications of the Anthropocene discussion for a green transformation ㅇ Anthropocene is a proposed geological epoch dating from the commencement of significant human impact on the earth’s surface. ㅇ This concept was first proposed in 2000 by Paul Jozef Crutzen, who was an atmospheric chemist and awarded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and an ecologist Eugene F. Stoermer. ㅇ The Anthropocene discussion expands the scope of the environmental discussion to the earth (planet) level and emphasizes “planetary boundaries.” ㅇ The implications from the Anthropocene discussion for a green transformation can be summarized as below: - First, the planetary boundary of the Anthropocene emphasizes that the direction of a green transformation requires the pursuit of an “inclusive relation,” which would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a green economy and society within ecological limitations - Second, the planetary boundary emphasized by the Anthropocene discussion requires a transformation to a social economy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growth paradigm. In other words, it is expanded to the discussion of a new transformation called “post-growth” in contrast to the growth paradigm. - Third, it was highlighted that human activities are the cause for the ecological crisis and addressing this crisis requires inclusive environmental policies that take “non-human beings” into consideration with the concept of multispecies justice. □ Investigation of green transformation study projects ㅇ Five green transformation study projects are suggested considering limited space of the report. ㅇ Two study projects are suggested in the circular economy area - The planetary limits of the Anthropocene is expanded to the post-growth discussion going beyond the growth paradigm. - The discussion of post-growth going beyond the growth paradigm pursues a society with a normal state by using resource circulation without the input of new resources; post-growth and circular economy share the same goal. ㆍ First, a study project that connects the post-growth discussion with circular economy policy at the macrolevel ㆍ Second, a study project connected with microscopic practical strategies which could be a future-oriented, creative transformation experiment emphasized by the Anthropocene ㅇ Also, study projects on labor, future generations, and promoting diets that consume less meat are proposed. - The causes of the Anthropocene are closely related to the socioeconomic inequality resulting from capitalism. Therefore, social values such as rightfulness are emphasized in the process of achieving the green transformation reflecting the Anthropocene discussion. -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consider how issues faced by labor groups can be addressed in the process of a rapid green transformation; it is also important to consider the issues of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such as ensuring the capacity to accommodate future generations’ opinions and extend our understanding beyond the current generation in the process of a transformation. ㆍ Third, a just transition study project embracing labor ㆍ Fourth, a participatory study project of the future generation for a sustainable society - The discussion of multispecies justice of the Anthropocene extends the scope of justice beyond human beings. The low-carbon diet with plant-based meals is a civil action plan to solve climate crisis, which is a major environmental crisis of the Anthropocene, and it would also address animal rights recognizing the intrinsic value of animals. ㆍ Fifth, a study project on a green transformation in diets for a sustainable society Ⅲ. Proposal of Medium and Long-Term Study Projects for a Green Transformation □ Detailed projects and the roadmap ㅇ Specific strategic study suggestions for five major study projects are illustrated below: Ⅳ. Expected Outcomes ㅇ The study is expected to have the outcomes outlined below: - First, macro indicators for monitoring the understanding of circular economy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to domestic circumstances and relevant data will be collected, which will contribute to broadening the scope of circular economy research. - Second, supporting system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ircular economy will be improved and a new, local community-based circular economy model will be presented. - Third, harmony between green transformation policies and social values of justice will be encouraged, and the foundation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related policies will be strengthened by preventing social conflicts in the process of green transformation. - Fourth, legal, political, and social foundations will be established to effectively reflect the voices of future generations who will face the environmental crisis on policy design and decision as well as its implementation while improving equity among generations. - Fifth, the policy foundation for vegetarianism will be laid as one of citizen engagement strategies that can transform our lifestyle which has caused the environmental crisis and take into account non-human beings as well.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Anthropocene)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추성경(SungKyung Chu),윤혜경(HaeGyung Yoon),변소연(SoYeon B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가 지구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통해 인류세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D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OOO연구소 인류세 프로젝트 참여자 1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총 4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모든 자료는 전사과정을 거쳐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인류세의 ‘어제’, ‘오늘’, ‘내일’ 등으로 3개 주제, 10개 의미범주, 20개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인류세 어제’에서는 ‘인류세’를 생소한 단어로 인식하였으나 본 프로젝트를 통해 인류세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주변을 돌아보는 성찰의 계기가 되었고, ‘인류세 오늘’에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류는 대가를 치르고 있고, 이로 인해 기상이변, 환경파괴, 쓰레기섬을 확인함으로써 인류세 위기심화에 우려를 표출하였다. ‘인류세 내일’에서는 인간의 활동에 대한 반성, 개인과 국가 차원에서 관심과 실천 그리고 장기적인 대응방안으로 인공돔, 인공태양, 냉동방주, 교양 인류세 콘텐츠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 지구환경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인류세를 초래한 근본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통찰을 통해 지구생태의 위기를 이해하고, 인류세 문제대응과 관련하여 대학생으로서 실천활동으로 연계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Recognizing that anthropolog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global environment at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we intend to seek ways to deepen and respond to the anthropological crisis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four times for 14 students of the Anthropocene Project at OOO Research Institute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at D University. It was conducted four times in consideration of the ethical aspects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all data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rough the transcription process. Results Three themes, 10 semantic categories, and 20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rom the Anthropocene's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In “Anthropocene Yesterday,” “Anthropocene” was recognized as an unfamiliar word, but through this project, it becam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environment with awareness of the anthropocene crisis, and in “Anthropocene Today,” mankind is paying a price for human activities. As a result, concerns were expressed about the deepening of the anthropological crisis by confirming weather changes,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garbage islands. “Anthropocene Tomorrow” proposed artificial dome, artificial sun, frozen ark, and liberal arts anthropocene Contents as reflections on human activities, interest and practice at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and long-term countermeasures. Conclusions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the global environment of the Anthropocene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understands the crisis of global ecology through insights into the root causes and solutions that led to the Anthropocene problem.

      • KCI등재

        인류세 담론의 의미와 한계

        손민달 한민족어문학회 2023 韓民族語文學 Vol.- No.102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논의된 인류세 담론의 의미와 한계를 점검하여 보다 정치하면서도 실천적인 인류세 담론으로 이끌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확정되지 않고 있는 인류세의 기점과 인류세를 대체하는 용어의 혼란 등을 확인하고 인류세 담론의 의미와 한계점을 정리하였다. 인류세의 기점과 관련해서 농업혁명과 신대륙의 발견은 오염 물질의 생성이나 전파와 관련하여 의미가 있으나 전 지구적 공통 시간대에 존재하지 않고 일부 지역에 한정된 문제가 있다. 산업혁명과 대가속 기점은 지질학적 시간으로볼 때 짧은 기간으로 인해 급격한 환경변화나 생물상의 변화를 확인하기 어렵다. 인류세를 대체하는 용어로 자본세와 대농장세는 인류세 시대로의 진입하게 된 원인을 다양하게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정치·사회적 문제의식이 내포된 용어이거나 지구시스템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규정하지 못한 점이 있다. 툴루세는 문제의 원인이 인간중심적 사고에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지만, 비인간 존재가 인류세적 위기 상황에 어떤 구체적인 대처가 가능할 것인지 구체화하지 못했다. 인류세 담론의 의미는 문제의 원인과 해결의 주체가 확정된다는 점과 생태담론에서 비교적 부족했다고 할 수 있는 절박성을 인식시킨다는 점, 지구 시스템 전반을 위한 다양한 융복합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이 있다. 인류세 담론의 한계점은 인류 보편적 책임으로 전가되는 문제와 인류세 시대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탈인간중심주의와 신인간중심주가 대립하는 해결 방안의 혼란 문제, 이와 연관해서 인간의 통제 방법과 가치 변화의 어려움이 있다. This study aimed to check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Anthropocene discourse so far that led to a more exquisite and practical discours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examined the starting point of the Anthropocene that had not been confirmed and the confusion of terms replacing it. It also sorted out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Anthropocene discourse. Regarding the starting point of the Anthropocene, agricultural revolution and discovery of the new world held significance in relation to the generation and spread of contaminants. However, they were limited to certain regions instead of common global time zones. It was difficult to confirm rapid changes to the environment and biota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Great Acceleration due to their short geological time. Capitalocene and Plantationocene are terms that can replace Anthropocene. They have the advantage of offering diverse explanations for the cause of entry into the Anthropocene era. However, they connote political and social problematic consciousness. They cannot define changes brought to the Earth system. Chthulucene has pointed out clearly that the cause of the problems lies in anthropocentric thinking. However, it offers no specific ideas about concrete measures that non-human beings can take in a crisis situation of the Anthropocene. The Anthropocene discourse holds a couple of meanings. It confirms the cause of the problem and the subject of its solution. It makes people perceive the desperateness relatively lacked in the ecological discourse. It emphasizes a need for various convergent approaches for the entire Earth system. The Anthropocene discourse also has its limitations including its transfer as a universal responsibility of humankind, the confusion of solutions in which non-anthropocentrism and new anthropocentrism confront each other as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Anthropocene era, and difficulties with people's control methods and value changes related to them.

      • KCI등재

        인류세 과학교양의 방향성 모색과 수업모형 설계 : 기본역량, 문제해결역량, 과학지식에 대한 통합적 접근을 중심으로

        손향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2 No.1

        This study started with the awareness that the Anthropocene-related science liberal education should contribute actively to seeking ways to adapt or mitigate the Anthropocene, sharing that recent reckless pursuit of self-interest by human actors may lead to cracks in the homeostasis of the Earth's ecosystem and the extinction of the human spe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problems of current science liberal education and to present a teaching model of it to develop the basic competencies and problem-solving capabilities required in the Anthropocene efficiently.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improvement of science liberal education because there are few Anthropocene-related liberal education courses that adequately address the issue in universities, although the background of the nomenclature and the various studies about Anthropocene confirm the need to consider nonhuman actors. Second, in science liberal education, basic competencies such as convergent connec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awareness of multi-layered predicaments, critical reflection on anthropocentrism,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to sympathize with non-human actors as well as creative problem-solving capabilities will be promoted in an integrated way. Third, teaching models suitable for the Anthropocene problem include conflict-centered, value-attitude analysis, and creative problem-solving models can be designed. A operation plans for those models can also be specified. Fourth, scientific literacy can be promoted by learners in a self-driven way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ontext throughout the entire course from defining the Anthropocene problem to providing a solu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nthropocene problem can be dealt with in depth through science liberal education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that includes not only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ut also the explor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that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basic competencies from a convergence perspective can also be improved more effectively. It can be expected that more instructors will proper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cience liberal education in the Anthropocene and become interested in finding the direction of course and developing specific methodologies due to the discussion.

      • KCI등재

        인류세와 역사학의 미래 -디페시 차크라바르티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용우 한국사학사학회 2023 韓國史學史學報 Vol.- No.48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premise that a critical friendship between the Anthropocene hypothesis of natural scientists and humanist history is urgently needed. The field of Earth System science is arguably the most prominent and leading proponent of the Anthropocene hypothesis. In this article, I will focus first on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of Earth System science and then on historian Dipesh Chakrabarty's interpretation of the Anthropocene hypothesis in terms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 Chakrabarty's case illustrates the potential for a friendly dialogue between the Earth System sciences and the humanities, especially history, to open up new perspectives. Next, I will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hree new Anthropocene histories based on Chakrabarty's philosophical anthropology of the Anthropocene. While Chakrabarty's Anthropocene histories remain at the theoretical level, it does highlight the challenges and difficulties that historians must grapple with when considering the future of history in the Anthropocene. The predicaments and difficulties in Chakrabarty's theoretical discussion are also the predicaments and difficulties of the Anthropocene itself.

      • KCI등재

        지질학과 인류세의 미학

        이혜정(Lee, Hye-j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4

        본 글은 동시대의 생태 미술이 과거 생태 미술과 비교해 자연을 인식하는 방식에 변화를 보이고 있음을 주장하고 이러한 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인류세(Anthropocene)에 주목한다.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오늘날 우리 사회의 위기적 상황은 인류세가 낳은 현상 중 하나로, 현재 많은 과학자들은 지구가 인류세라는 새로운 지질 시대로 진입했음을 주장하고 있다. 인류세는 인간이 지구 시스템을 방해할 정도 막강한 힘을 가지게 된 시대로 인류세에서 인간은 환경 파괴의 주범으로 지목된다. 그러나 인류세에서 강조되어야 할 것은 지난 생태 미술에서 반복해 온 인간중심주의에 대한 반성이 아니라 지구 물질의 ‘지질학적 변화’이다. 인류세의 진정한 의미는 과거 지구와는 물리적으로 완전히 다른 지구에서 인간이 살고 있다는 것이며 동시대 생태 미술의 변화 양상에 대해서도 기존의 윤리적·관계적 접근이 아닌 과학적 차원에서 접근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글은 인류세가 가져온 미술의 변화를 지질학적 관점에서 살피고 동시대 생태 미술에서 초월적이고 추상화된 ‘자연’의 개념은 약해지고 물질로 이루어진 행성 ‘지구’로 인식이 전환되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This paper claims that, in comparison to previous ecological art, contemporary ecological art shows a shift in how nature is perceived, and that the Anthropocene is the primary cause of this shift. One of the phenomena caused by the Anthropocene is today s crisis situation in our society, which is represented by global warming, and many scientists now say that the Earth has entered a new geological era known as the Anthropocene. The Anthropocene is the era in which humans have grown powerful enough to interfere with the Earth System, and humans are blamed for much of the Anthropocene s environmental degradation. What should be highlighted in the Anthropocene, however, is a geological turn in Earth s substance, not a reflection on anthropocentrism as has been done in previous ecological art.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Anthropocene is that humans now live on a very different Earth than they did in the past, and changes in contemporary ecological art must be treated scientifically rather than ethically and relationally. As a resul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nthropocene s impact on art from a geological standpoint, concluding that the transcendent and abstracted concept of nature in contemporary ecological art is fading, and the sense of the planet Earth formed of matter is evolving.

      • KCI등재

        인류세 논의의 ‘유학적’ 의미

        김재경 한국철학사연구회 2022 한국 철학논집 Vol.- No.75

        I have a dream! This thesis starts from the problem awareness, 'What is the Confucian meaning of the Anthropocene discussion?' To solve this problem, first of all, the Anthropocene is defined as the era in which the Heavenly Way collapsed from a Confucian point of view. Next, this paper introduces academic discussions about the emergence of the term Anthropocene, the controversy over alternative terms, and the beginning of the Anthropocene. It also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post-anthropocentrism and new anthropocentrism, two axes of the Anthropocene discussion. The Anthropocene, an era of climate catastrophe, is the result of human predation of the Earth. Humans are responsible for the collapse of the Earth's autonomous system, but it is ultimately up to humans to restore it. Fortunately, Confucian thinking places humans as partners in their participation in the nurturing of all things, along with heaven and earth. Therefore, this thesis asserts that human beings are responsible for taking part in the nurture of all things as partners of the earth. This position is not anthropocentrism derived from the dichotomous view of nature in the past in the West. It is an attempt to seek and secure a new anthropocentrism from a Confucian perspective. The fulfillment of this duty begins with knowing and putting into practice which is the heavenly principle to save the earth in the daily life of the Anthropocene. The homeostasis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 heavenly and the humanistic in everyday life is to embody the nature of the earth (the non-human world) as nature, including the sky and the earth.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a shortcut to help the Earth create all things by such an autonomous system, while maintaining homeostasis again. 이 논문은 ‘인류세 논의가 지닌 유학적 의미가 무엇일까’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가장 먼저 인류세를 유학적 관점에서 천도(天道)가 무너진 시대라고 규정한다. 이어서 인류세라는 용어의 등장과 대체 용어 논란, 인류세의 시작 시기 등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소개한다. 또 인류세 논의의 두 축인 탈인간중심주의와 새로운 인간중심주의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도 살펴본다. 기후 재앙의 시대인 인류세는 인간이 지구를 약탈한 결과물이다. 지구 자율시스템 붕괴의 책임이 인간에게 있지만, 그것을 다시 회복하는 것도 결국 인간의 몫이다. 다행히 유학적 사유는 인간을 하늘과 땅과 더불어 만물의 화육에 참여하는 동반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래서 이 논문은 인간이 지구의 파트너(與天地參)로서 만물화육의 책임을 떠맡는(贊天地化育) 의무 수행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은 과거 서양의 이분법적 자연관에서 비롯된 인간중심주의가 아니다. 유학적 시야에서 새로운 인간중심주의를 모색하고 확보하려는 시도이다. 이 의무 수행은 인류세의 일상 속에서 어느 것이 지구를 살리는 천리가 되는지를 알고 실천하는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일상에서 행하는 천리⋅인욕 구별하기의 항상성(至誠)은 하늘과 땅을 비롯한 자연으로서의 지구(비인간 세계)의 본성을 구현하는 일이다. 이 논문은 그 일이 지구가 다시 항상성을 유지하면서 저절로 그러한 자율 시스템에 의해 만물을 생성하도록 돕는(參贊) 지름길이라고 주장한다.

      • KCI등재

        인류세 시대의 지구와 종교 - 지구종교론의 모색 -

        허남진,이우진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2 한국종교 Vol.51 No.-

        이 글은 현재 범학문적 담론의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인류세 담론’을 통해 ‘지구종교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인류세 담론의 중심축에 자리하는 ‘지구와 인간의 새로운 성찰적 관계를 모색’하는 입장에 따라, 지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최근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지구종교론’을 검토해 보았다. 지구에 대한 인식은 ‘기계론’과 ‘자연지배’라는 새로운 입장이 근대 세계의 핵심 개념으로 자리하기 전만 하더라도, 창조하고 양육하는 ‘어머니이자 부모로서의 지구서사론’은 어느 문화권에나 이야기되어 왔다. 이와 같이 지구와 인간을 절대적인 의존관계로 바라보았던 인식은 과학혁명 이후 심각히 약화되었다. 더욱이 상업주의, 산업화, 기술화를 거쳐 ‘자연지배’의 입장은 더욱 강화되었다. 이제 인간은 지구의 관계에 있어서 인간을 ‘행위주체자’로서 자리하게 된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지구에 거주할 수밖에 없는 존재이지만, 인간은 ‘지구에 거주하여 이 지구를 보살키고 구원’하거나 ‘지구를 탐구ㆍ분석하고 정복’하는 행위주체자로 자리하게 된다. 하지만 인류세 담론에서 지구는 지구시스템적 관점을 기반으로 ‘행위자’로서의 ‘가이아’로 이해되고 있었다. 더 이상 지구는 인간의 파괴와 지배에 더 이상 가만히 당하고 있지 않으며, 인간의 행위를 협박하고 저항을 드러내는 존재로서 자리하게 되는 것이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인류세의 담론과 맞물려 종교적 영역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두 개의 담론을 검토하였다. 그 하나는 ‘지구정치학의 입장’에서 펼쳐지고 있는 ‘시민종교로서의 가이안 지구종교담론’이고, 다른 하나는 ‘지구신학의 입장’에서 펼쳐지고 있는 ‘지구를 위한 종교로서 지구종교론’이다. 이 두 담론 모두 인류세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지구종교론’이었다. 결론적으로 인류세의 ‘지구론’이나 ‘지구종교론’은 지구위기가 ‘지구에 대한 공경심의 상실’에서 기인한다는 문제의식을 지니고 있었다. 바로 인류세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종교의 방향이 ‘지구에 대한 인간의 공경심을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모색되어야 함을 말해주고 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discourse on earth religions’ through ‘the Anthropocene discourse’, which currently occupies a central position in pan-academic discourse. In particular, from the standpoint of ‘seeking a new refl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 and human’ which is the central axis of the Anthropocene discourse, We have examine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Earth and the recent emergence of ‘discourses on Earth religions.’ Even before the new positions of ‘mechanism’ and ‘natural domination’ were positioned as the core concepts of the modern world, the ‘Earth Narrative as a Nurturing Mother and Parents’ who creates and nurtures has been discussed in every culture. Since the scientific revolution, this perception of the earth and human beings as absolutely dependent on each other has been seriously weakened. Furthermore, through commercialism, industrialization, and technologization, the position of ‘natural domination’ has been further strengthened. Now humans are positioned as ‘Agencies’ in relation to the Earth. Although humans are essentially inhabitants of the Earth, they are positioned as ‘Agencies’ that ‘live on the Earth, protect and rescue it’ and ‘explore, analyze and conquer it.’ However, in the Anthropocene discourse, the Earth was understood as ‘Gaia’ as an ‘Agecn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arth system. The earth was not to sit still any longer against human destruction and domination, but was to be positioned as an entity that threatens and resists human behaviors. Next, We examined two new discourses that have emerged in the religious realm in line with these discourses of the Anthropocene. One is the ‘Gaian Earth Religion Discourse as a Civil religion’ from the perspective of Earthpolitics, and the other is the ‘Earth Religion Discourse as a Religion for the Ear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ology for Earth. Both of these discourses were ‘Earth religion discourse’ to solve the crisis of the Anthropocene. Conclusively, the ‘Earth Discourse’ and the ‘Earth Religion Discourse’ of the Anthropocene were aware of the problem that the Earth crisis was caused by the ‘loss of reverence for the Earth’.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Anthropocene, the direction of religion had to be sought as ‘the direction to restore reverence for the Earth.’

      • KCI등재

        인류세 환경론과 목가주의의 잠재적 이반

        신두호(Shin, Doo-Ho) 문학과환경학회 2016 문학과 환경 Vol.15 No.4

        인간 활동으로 인해 전지구에서 영향을 받지 않은 곳은 없으며, 이제 인간은 지구의 환경과 운명을 좌우할 지질학적 힘을 지니게 되었다는 인류세적 세계관은 자연환경 및 인간-자연 간의 관계의 성격과 환경문제 해결에 대한 기존의 관점을 돌아보게 만든다. 무엇보다, 인류세는 환경문제와 인간활동의 상관관계를 전지구적 차원에서 그리고 과학적으로 증거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원인과 해결에 대해 그동안 (인)문학이 주된 비평적 준거로 삼아온 야생자연 윤리나 심층생태론적 해결책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반면, 환경문제에 대한 진단이나 해결책 제시에서 과학기술적 입장과 태도는 더욱 주목을 받는 듯 보이지만, 과학기술적 낙관론 역시 인류세적 상황에서 온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한계를 지니고 있다는 점 역시 지적되어야 한다. 인류세적 상황이 인문학에 던지는 과제는 어떻게 기존의 녹색환경론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조화롭고 균형 있게 배합시켜낼 수 있느냐에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즉, 미래의 지속가능한 세계를 지향하면서 지나치게 낙관적 혹은 비관적이지 않은 태도를 갖고 과학기술문명을 제한적이고 현명하게 이용하면서 동시에 인간의 가치관과 생태윤리를 통한 개개인 단위의 변화와 넓게는 전사회 차원, 더 나아가서는 전지구적 규모의 변화를 모색하는 것이 인류세가 우리에게 제기하는 과제이다. 본 연구는 (인)문학의 입장에서 이러한 과제를 ‘목가주의’ 개념을 도입하여 접근했다. 흔히, 목가주의는 문명으로부터 자연으로의 현실도피와 비현실적인 낭만적 취향, 자연에의 귀의 등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목가주의는 언뜻 인류세적 세계관, 특히, 과학기술문명을 적극 수용하는 밝은녹색 세계관과는 대척점에 있는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목가주의는 위와 같은 특성뿐만 아니라 산업문명 및 기술발달, 인간의 자연에 대한 과도한 개입과 같은 주제와도 밀접하게 연계된 개념이란 점에서 인류세 환경론 담론 정립에 유용한 개념으로 작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류세 세계관을 밝은녹색 환경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고, 목가주의의 ‘잠재적 이반’(oppositional potential) 성격을 통해 균형 잡힌 통합적인 인류세 환경담론을 모색 한 뒤, 찰스 시버트(Charles Siebert)의 자연문학 작품 『위커비-도시목가』(Siebert: An Urban Pastoral)를 분석하였다. There has been by now a general consensus in scientific community that we have reached a so-called the Anthropocene, whose literal meaning is "the Era of Humankind." Two important and interrelated aspects of the Anthropocene recognition with regards to our environment are as follows: first, human beings have emerged as a geological force and have brought in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second, consequently, we humans have a huge responsibility for keeping our global earth in sustainable condition largely through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eans. By and large two camps -- Humanities and light & dark green environmentalism on one hand and (social) sciences and new environmentalism on the other - agree on the first aspect. Each camp, however, disagrees on the second one: the latter takes it at its face value; the former rejects it accusing science and technology as the main instigators of the first aspect and instead still crediting deep ecological ethics. Each approach should be complemented by the other, because the Anthropocene status of humans as a geological force and Anthropocene’s ‘dark ecology’ indicate a want of both deep ecological ethics and a stewardship toward degraded environment from human beings. In the context of Anthropocene ecological concerns, the pastoral promises integration of both approaches through its ‘oppositional potential,’ which enables an imaginative construction of a alternative vision, even though in the context of ecological crisis the pastoral has been understood to be escapist and misleading and thus dismissed as an obsolete thinking and literary genre. Charles Siebert’s nature writing Wickerby: An Urban Pastoral embodies the Anthropocene dark pastoral’s oppositional potential.

      • KCI등재

        인류세 시대 대중문화의 포스트휴먼화와 레퓨지아의 윤리: <이어스 앤 이어스>(BBC)와 <서던리치: 소멸의 땅> (2018)의 ‘인간-이후’ 형상 비교

        손희정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22 젠더와 문화 Vol.15 No.1

        Donna Haraway has coined the term “Chthulucene” as an alternative name for the Anthropocene era, suggesting that the Anthropocene should be considered a “boundary event” rather than an “epoch.” She therefore urges us “to make the Anthropocene as short/thin as possible and to cultivate with each other in every way imaginable epochs to come that can replenish refuge.” Haraway further stresses that she sees herself as a compost-ist, rather than a posthuman-ist, in line with the philosophical practice of feminist neo-materialism. This philosophy criticizes the emphasizing of immateriality when postulating the “post-human,” and dismantles the modern epistemology that has divided humans into a body/soul dichotomy. In this context,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transhuman figures of the BBC TV series Years and Years, along with the post-human figures of the science fiction psychological horror film, Annihilation, which introduces an alternative world vision. The film’s hyperobject, “The Shimmer”, which subverts the modern world view of nature as an object of development, shows that the body/material and soul/mind are inextricably intertwined. In conclusion, it is proposed that this imagination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for the construction ethics of Refugia in a new geological period, the post-Anthropocene. 도나 해러웨이는 인류세를 ‘경계사건’으로 다루어야 한다면서 ‘툴루세’라는 용어를 제안한다. “우리의 임무란 인류세를 가능한 짧고 얇게 만드는 것”이며 “피난처를 다시 채울 수 있는 다음의 세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는 자신이 포스트휴먼주의자가 아니라 퇴비주의자라고 강조한다. 이는 자유주의적인 휴머니즘 논의들이 ‘인간-이후’를 상상하고자 할 때 지속적으로 비물질성을 강조하는 태도를 비판하고 인간을 육체-정신의 이분법으로 나누어 온 근대적 이분법을 해체하여 일원론적으로 인간을 사유하려는 페미니스트 신유물론의 실천과 맞닿아 있다. 본 논문은 드라마 <이어즈 앤 이어즈>의 트랜스휴먼 형상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뒤, 대안적인 재현으로 <서던 리치: 소멸의 땅>의 비판적 포스트휴먼 형상을 제안한다. 이 작품은 자연을 개발과 이용의 대상으로 봐온 근대적 세계관을 뒤틀고, 신체/물질과 정신은 서로 분리불가능하게 얽혀있으며 서로가 서로를 상관적으로 구성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