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이미지가 관광정보의 신뢰성과 확산성에 미치는 영향

        표원정 ( Won Jeong Pyo ),사효란 ( Xiao Lan Shi ),정석중 ( Suk Jung Jeong ) 관광경영학회 2013 관광경영연구 Vol.55 No.-

        Regional image is a subjective idea and a subjective attitude on the region. In other words, the negative image on the region causes the negative attitude on the region. The potential tourists think of the image in their mind and match it with the reason of travel to decide the candidates for the tourist destination. Then, they start to search information about the regions. Thus, there is a need for the research on how the reliability of tourist inform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al image that tourists hav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ocal image. In this study,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image and the reliability and spreadability of tourist information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 natural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 the reliability of the tourist information, which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ntinuous efforts to form a favorable image at the national level as well as the regional level.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potential tourists` information search trend is found so that the alternative of information pathway is provided in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On the other hand, it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a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that other factors of the regional image such as cultural image, kind image, convenient image, etc. influence the reliability of the tourist information is not identified because the regions are not specified.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every aspect of the cognitive regional image and the reliability of the tourist information by specifying the regions.

      • KCI등재

        지역 이미지의 다차원적 요인이 지역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조성도,김경은,김학도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논집 Vol.17 No.2

        본 연구는 기업 이미지와 국가 이미지 연구에서 제시된 이미지 차원들을 기초로 지역 이미지 차원을 도출하고 이 차원들이 지역 브랜드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 하였다. 경제 이미지, 관계 이미지, 지역민 이미지가 지역 능력 이미지를 통해 지역 브랜드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결과 경제 이미지는 지역민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지역 능력 이미지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 이미지는 지역민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지역 능력 이미지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지역민 이미지는 지역 능력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지역 능력 이미지는 지역 브랜드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추가적으로 자기 지역 중심주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는데 국가 이미지 연구의 자민족 중심주의와 달리 유의한 조절 역할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역 이미지 관련 다차원 모형은 전반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dimensions of regional image based on the factors of corporate image and country image, and empirically tests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ose variables through survey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economy image influences regional ability image positively and regional people imag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gional ability image. But relational image influences regional ability image through relational image. Secondly regional ability image enhances regional brand evaluations. Additionally the moderating role of respondents' regionalism between regional ability image and regional brand evaluations is exa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the moderating role of regionalism is not significant.

      • 긍정적,부정적 프라이밍이 동남아시아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이선화 ( Sun Hwa Lee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2011 地理敎育論集 Vol.55 No.-

        세계 사회가 지식·정보 사회로 발달해감에 따라 세계 교류가 더욱 활발해지면서 나라 간의 장벽이 허물어진 지구 공동체 사회가 되었다. 하지만 인터넷, TV 등의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인해 학습자는 지역에 대한 개개인의 주관적인 이미지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지역에 대한 고정관념과 차별적인 시각을 지니고 있다. 또한 특정 지역에 대한 부정적 지역이미지는 학습자의 지역이해를 방해할 것이기 때문에 지역에 대한 편협한 시각을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특정 지역에 대해 갖고 있는 학습자의 부정적인 생각과 태도를 개선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일환으로 프라이밍 효과를 활용하고자 한다. 긍정적·부정적 개념의 프라이밍이 학생의 지역이미지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다른 지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낱말 완성 프라이밍 과업을 구성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지역이미지 향상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긍정적 프라이밍에 노출된 집단의 동남아시아 지역이미지가 부정적 프라이밍에 노출된 집단이나 프라이밍에 노출되지 않은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즉, 긍정적 프라이밍은 긍정적인 지역이미지 인식에 영향을 주었고, 부정적 프라이밍은 부정적인 지역이미지 인식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역에 대한 사전 이미지보다는 프라이밍 효과가 지역이미지에 더 영향력을 미치는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전 이미지의 유형과 프라이밍의 유형이 일치할 때 학생의 지역이미지 형성에 더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업 현장에서 교사가 내용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의미의 개념을 담은 언어를 이용할 경우, 학습자들의 지역이미지가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world society became a global community whose walls among the nations were removed while it was developed to b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and global exchanges became more active. However, learners are forming individual subjective image for the region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such as internet, TV, etc. So, they have stereotypes and differentiated sights for a particular region. If the biased and differentiated attitude for the particular region solidifies, there is great potential to be developed to sociocultural conflicts. Also, negative images for the particular region will hinder learner`s understanding for the region, so it`s necessary to assume the positive attitude coping with the biased sights for the region actively. So, this study intends to apply priming theory as a part of efforts to set improvements of leaners` negative thoughts and attitude for the particular region. Under the purpose to reveal which effects the priming of positive and negative concepts made on student`s awareness of regional images, the experiment comparing improvements of regional images of middle school freshmen was conducted by organizing the word-completion priming tasks so that their positive image for other regions can be improved.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Southeast Asia`s regional image of group exposed to positive priming was higher than group exposed to negative priming or group who doesn`t be exposed to priming. In other words, the positive priming made effects on the awareness of positive regional image and the negative priming made effects on the awareness of negative regional image. Also, priming theory made more effects on regional images than previous images for the region. And, when the form of previous image is same as the form of priming, stronger effects were made on students` forming of regional image. Through th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positive effects can be made by simple and easy method. Therefore, learners` regional image can lead the changes of positive awareness when teachers use languages of positive meaning for conveying the contents in teaching field.

      • KCI등재

        축제 서비스스케이프가 정서적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심상욱(Sim, Sangug) 한국상품학회 2011 商品學硏究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nfluences of the cognitive servicescape image on the regional image in festival settings. For the analysis, the model consisted of five constructs: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the two affective images of pleasure and arousal, the satisfaction, and the regional image. The model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cognitive-affective image models of previous studies. First, the direct influence of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on the regional image was analysed, and next, the indirect influence mediated by the satisfaction and the affective image was analysed. For the empirical test of the model, 10 hypotheses were constructed, and 670 samples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given to the visitors of Yungam Wangin Cultural Festival and Goryung Deagaya Experience Festival in 2009,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of the sex and age cohorts. The SPSS 14.0 and AMOS 7.0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From the sample results, the following six points were confirmed. First,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direct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regional image. It may be assumed that visitors will associate the regional image with the perceived physical environment, the services cape. Second,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ffective festival images, the pleasure and the arousal. According to the effectiveness analysis, it is clear that the direct influence of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on the pleasure is equal to the indirect influence through the arousal. Third,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has a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and also has a significant indirect influence through the pleasure, but the arousal doesn't have a significant indirect influence. The amount of the direct influence is equal to the indirect. Fourth, for the relation between affective festival images and the regional image, the pleasure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gional image, but the arousal has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Fifth, the satisfaction of the visito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gional image, and this means that the satisfaction is a mediator between the cognitive services cape image and the regional image. Sixth, concerning the influence of the cognitive services cape on the regional image,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first visitor group and the multi-visitor group. For the first visitor group, the direct effect is stronger than the indirect effect, but for the multi-visitor group, the indirect effect is stronger than the direct effect. 본 연구는 축제의 서비스 스케이프인지적 이미지가 지역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축제의 서비스 스케이프인지적 이미지, 축제의 정서적 이미지 중 즐거움과 각성, 만족행동의도, 지역이미지를 변수로 한 구조모형을 수립하여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추가적인 분석으로 방문회수에 따른 지역이미지에 대한 영향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축제의 서비스 스케이프인지적 이미지는 지역이미지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둘째, 축제의 서비스 스케이프인지적 이미지는 축제의 정서적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지역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축제의 서비스 스케이프인지적 이미지는 만족행동의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즐거움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축제의 정서적 이미지 중 즐거움은 지역이미지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각성은 유의 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섯째, 만족행동의도는 인지적 이미지의 지역이미지에 대한 영향에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다. 여섯째, 축제의 서비스 스케이프인지적 이미지가 지역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방문자의 방문회수는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처음 방문자는 직접적인 효과가 큰데 비하여 재방문자는 간접적인 효과가 큰 것이 밝혀졌다.

      • KCI등재

        고령군의 지역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임석회 한국지역지리학회 200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4 No.4

        Formation of positive regional image is critically important in place marketing for regional development. This article considers Goryeong-Gun's policy agenda for regional development, analyzing its current regional image. In recent years, Goryeong-Gun has established its positive regional image of Daegaya in virtue of Daegaya Experience Festival. It should be highly evaluated. But, it has also some problems based on a certain local history or not supported by proper brand, slogan and logo to promote the image. In this point, Goryeong-Gun needs to rethink planning strategies related to Daegaya regional image. If necessary, Daegaya regional image would be expanded on the base of general value system. 지역 활성화를 위한 장소마케팅에서 긍정적인 지역이미지의 형성은 장소마케팅의 성공 여부를 판가름 할 만큼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 논문은 현재 형성되어 있는 고령군의 지역이미지를 분석하고 지역발전전략의 일환으로 그 이미지를 개선하고 활용하는 정책과제를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령군은 대가야체험축제를 통하여 불과 몇 년 사이에 ‘대가야’란 이미지를 확고히 구축할 수 있었으며, 이는 고령군을 대외적으로 알리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대가야 이미지 전략은 이런 점에서 매우 성공적이나 한편으로는 다른 장소자산과 잘 연결되지 않고 보편적 가치에 기반을 두기 보다는 특정 지역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 이미지 형성으로 그 한계가 노정되고 있다. 또한 대가야 이미지를 프로모션하는 브랜드 슬로건, 로고 등이 적절하지 않고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고령군은 대가야 이미지 기획을 전반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인위적 장소자산의 조성을 통해 대가야 이미지를 보다 보편적 가치를 가진 이미지로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 KCI등재

        지역 축제의 한국춤 브랜드 전략이 지역 경쟁우위, 지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박남영(Park, Nam-Young),정승혜(Jung, Seung-Hye),안병주(An, Byong-Ju) 한국체육과학회 202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1 No.5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the Korean dance brand strategy of regional festival affected regional competitive advantage and regional image. In addition, the effect of regional competitive advantage on regional image was also tested.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subjects who had experience watching Korean dance performances at the Baekje Cultural Festival and the Baekje World Heritage Festival in the Baekje Cultural Zone (Gongju/Buyeo/Iksan).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7 days from May 6 to May 13, 2022. The online survey was distributed to 1,062 people, of which 201 (18.9%) completed their response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martPLS statistical program,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fluence of the Korean dance brand strategy of regional festival on regional competitive advantage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brand strategies of Korean dance, economic value and regional valu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regional competitive advantage. However, cultural value, lasting value, and globalization valu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The influence of the Korean dance brand strategy of regional festival on regional image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brand strategies of Korean dance, lasting value and globalization valu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regional image. However, economic value, cultural value, and regional valu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influence of regional competitive advantage on regional image was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egional competitive advantag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regional image.

      • KCI등재

        지역축제브랜드가 지역이미지 및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정은정 ( Eun Jung Jung ),김창수 ( Chang Soo Kim ) 관광경영학회 2012 관광경영연구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 effect of local festivals` brand on the regional image and development. The literature and empirical studies were done togeth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literature study composed factors based on the precedent studies about local festivals` brand, the regional image and the regional development and set research models and research hypotheses. In the empirical study, the survey was intended for visitors of Muju Firefly Festival by developing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factors which were drawn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and frequenc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for data analysis. The main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examined as follow.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local festivals` brand on the regional image was analyzed that the festival`s contents and convenience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regional image.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regional image on the regional development was analyzed that the regional images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nd tourist effects. Third,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regional festival`s brand on the regional development was analyzed that the festival`s contents, convenience, preference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effects and its convenience, uniqueness have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and cultural and tourist effects.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이미지제고를 위한 문화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이완복(Lee Wan-Bok),정진도(Chung Jin-Do)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5

        1995년 지방자치제의 본격적인 실시로 지역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각 지자체들은 지역 고유의 이미지를 홍보하고 상품화 하고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사람들의 다양해진 여가 및 관광형태의 변화와 문화정책의 변화로 인하여 지역이미지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지자체들은 관광객과 지역민에게 해당지역을 매력적인 곳으로 인식시키기 위한 문화전략으로 지역의 이미지를 제고시키고, 지역개발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문화마케팅을 선택하고 있다. 지자체들은 지역개발과 지역민의 문화욕구 충족을 위하여 지역이 지닌 고유한 역사나 문화 등의 문화자원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지역이 미지를 구축하고자 다양한 문화마케팅 전략들을 계획하여 실시하고 있다. 특히 문화 자원을 활용한 지역축제와 국제이벤트는 지역개발 및 지역이미지제고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문화마케팅 전략으로서 성공할 수 있는 토대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마케팅 전략 중에서 지역축제 및 국제이벤트를 중심으로 사례를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지자체들이 문화마케팅을 통하여 지역개발은 물론 지역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도록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Competition between regions has been deepened due to operation of local autonomy system in 1995 and each local governments has devoted itself to promoting and commercializing unique image of the reg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present detailed plans to improve regional image due to change in culture policy, type of tourism and leisure diversified. In this regard, the authority selects cultural marketing as a part of efforts to improve regional image and to promote regional development so that regional residents and tourists can recognize the region attractive. Local government has planned and carried out various kinds of cultural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construct differentiated regional image, based on cultural resources such as unique history or culture to satisfy cultural desire of resident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particular, events and local festival using cultural resources work as a foundation for success of cultural marketing strategy since they are excellent in improving regional image and obtaining regional develop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analyze actual cases of international events and local festivals among various cultural marketing strategies and to present strategic plans for local government to improve regional image as well as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cultural marketing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 KCI등재

        지역 이미지 창출에 있어 예술 작품의 영향 -전시 《댕기머리 마산 기행》을 중심으로-

        김정란(Kim, Jung-ran) 동서미술문화학회 2024 미술문화연구 Vol.28 No.28

        본 고는 예술 작품이 지역 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연구자의 기획전시 《댕기머리마산 기행》의 의미를 논증하는 글이다. 지방소멸의 위기 가운데 지자체들은 지역 활성화 방법의 하나로 지역의 이미지를 대변해 줄 수 있는 문화를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마다 비슷한 문화정책은 오히려 지역정체성을 흐리고 예산 낭비 등의 부작용을 산출하고 있어 지역 이미지 형성에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반면, 작가 혹은 예술 주체에 의해 창작된 결과물인 예술작품이 자연스럽게 지역의 이미지를 만든 경우를 볼 수 있다. 모네의 작품 〈수련〉의 배경으로 알려진 지베르니, 낭만적 이미지를 만들어 낸 가요 〈여수 밤바다〉, 생존의 문제에서 벗어나 활기 있는 마을로 변모한 〈동피랑 벽화마을 프로젝트〉가 그 사례이다. 같은 맥락에서 연구자의 전시 《댕기머리 마산 기행》 프로젝트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예술 작품은 감상자에게 심미적 체험을 경험하게 하는 것으로 예술 작품의 근원인 예술가의 감각을 공유하며 형식에만 집중된 정책과는 달리 감성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깊은 인상, 즉 이미지를 만든다, 본 고에서는 지역 이미지 형성에 있어서 예술 작품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것은 지역 이미지 형성을 위한 정책과제와 달리 예술적 접근을 다룬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다. This paper verifies the influence of works of art on the formation of regional images and argues for the meaning of the researcher’s special exhibition 《Daenggimeori Masan Journey》. Amid the crisis of regional extinction, local governments are seeking a culture that can represent the image of the region as a way to revitalize the region. However, similar cultural policies for each local government can actually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the regional image, as they produce side effects such as blurring regional identity and waste of budget. On the other hand, we can see cases where a work of art, which is the result of an ar tist or ar tistic subject, naturally creates an image of a region. Examples include Giverny, known as the setting for Monet’s work 〈Water Lilies〉, the song 〈Yeosu Night Sea〉, which created a romantic image, and 〈Dongpirang Mural Village Project〉, which transformed into a vibrant village free from problems of survival. In the same context, the meaning of the researcher’s exhibition 《Daenggimeori Masan Travel》 project was examined. A work of art allows the viewer to experience an aesthetic exper ience. It shares the artist’s sense, which is the source of the work of art, and unlike policies that focus only on form, it is accepted with emotion, creating a deep impression, that is, an image.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orks of art in forming regional images.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deals with an artistic approach, unlike the policy task for forming regional images.

      • 국제영화제 이미지가 개최 도시 이미지와 관광객의 관광지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수빈(Subin Han),임수빈(Subin Im),김가은(Gaeun Kim),박주애(Juae Park) 글로벌응용인문학회 2024 글로벌응용인문학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국제영화제의 이미지가 개최 도시의 이미지와 관광지 평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부산국제영화제(BIFF)의 사례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산의 이미지를 향상하는 데 필요한 시사점을 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국제영화제의 이미지는 개최지역 이미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제영화제의 이미지 요인중 행사 내용이 지역 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 둘째, 부산국제영화제의 이미지는 관광객의 관광지 평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국제영화제 이미지의 요인 중 행사 내용, 행사 정보가 관광지 평가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영향을 준다. 셋째, 지역 이미지는 관광객의 관광지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지역 이미지 요인인 정서적 이미지, 인지적 이미지, 인프라 모두 관광지 평가에 유의적인 수준으로 영향을 미친다. 국제영화제 이미지 척도는 문화관광객들의 경험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성공적인 축제의 진행과 잠재적 문화관광객들의 문화 욕구 자극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유용성을 가지며, 동시에 지역 이미지와의 영향 관계는 축제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의 방향성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rough the case of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IFF) how the image of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ffects the image of the host city and the evaluation of tourist destinations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give the necessar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image of B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age of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age of the host region. Among the image factors of 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event content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gional image. Second, the image of the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ad a significant Among the factors of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mage, event contents and event informa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ourist destination evaluation. Third, regional ima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ourists’ evaluation of touristdestinations. Regional image factors such as emotional image, cognitive image, and infrastructure a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ourist destination evaluation. As a tool to measure the experience of cultural tourists,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mage Scale has practical utility for successful festivals and stimulating the cultural desires of potential cultural tourists, 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with regional image is significant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regional economic revitalization through festiv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