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화교육 연구의 경향 검토와 방향 모색

        오세정 ( Se-jeong Oh ) 청람어문교육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5 No.-

        Recently, various studies of Korean folktale have been actively promoted and the results of studies have been mass-produced. In particular we have come up with a number of research results in the field of folktale education research. At this point, we need to review the trends and consider the direction of the folktale education research. First of all there is a serious problem in the frame of the logic in the research.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r value of the folktale genre or individual text has become a powerful premise. Most discussions are derived from this premise. In addition, also there are problems in interpreting and selecting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The texts as subject of studies are too limited and the interpretations of the texts have been standardized. Let``s explore the directions of the studies on folktal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take the abductive approach rather than deductive approach in research for the folktale genre or individual texts. And we should not forget the main feature of the folktale, folktale contains a much diverse and rich contents and sociocultural meanings compared to the written literat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search and develop methodology for various interpretations. There is a need for a paradigm shift in the research of Korean folktale education.

      • KCI등재

        구술기억자료의 체험주의적 해석과 학술적 가치

        표인주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호남학 Vol.0 No.64

        First, the memory about the question what is memory is the thing try to currentize the past thing which person experienced, and it takes important role to transmit culture to persist society. Second, the physical base of oral memory is able to become the natural, social, historical environment etc. Third, the research of oral memory needs to be accomplished to expand the prospect of research and the cultural, literatural, historical materials. Fourth, the extension of research prospect can promote interpreting the oral memory data in terms of experientialism. These periods of interpretation have strength that ① can figured out multi-layered structrue of human experience ② can extract symbolic meaning of psychological experience, ③ can pursue basic source of psychological experience. Fifth, the oral memory data has the cultural, narrative literature, historical value as a prespective of research. 기억은 인간의 경험했던 과거의 것을 현재화하려는 것으로, 문화가 전승되고 사회가 지속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억하려는 것은 망각하지 않으려는 인간의 욕구 때문인데, 개인의 기억과 집단적 기억으로 나누어지고, 개인의 기억은 행동주의적인 측면에서 의식적 기억과 무의식적 기억으로 나누어진다. 의식적 기억은 과거에 대한 의식적 자각이라면, 무의식적 기억은 기억하고자 하는 자각 없이 자동적으로 재생되는 습관이다. 이처럼 기억이 개인의 소유물이기도 하지만 대중적으로 활용되는 사회적 수단의 산물로서 집단적 기억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집단적 기억은 집단 구성원 세대 간의 연대를 통해 형성되고, 집단의 특성과 정통성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집단적 기억은 공식적인 재현을 통해 역사화 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는 비공식기억인 구술기억으로 전해지는 경우도 많다. 구술기억의 물리적 기반은 자연적, 사회적, 역사적 환경 등이라고 할 수 있다. 구술기억이 삶의 경험을 토대로 형성되고, 하나의 문화의 표현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문화가 자연환경이나 사회 및 역사적 환경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처럼 구술기억 또한 마찬가지이다. 인간의 삶에서 자연환경이 생업방식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생업방식은 가족과 사회를 유지시키는 물질적인 기반이다. 가족은 사회 구성의 최소 단위로서 문화 형성의 기본 토대이고, 가족을 매개로 마을이 형성되고 도시 및 국가가 형성되기 때문에 구술기억 형성의 원초적 기반인 셈이다. 특히 개인적인 구술기억은 사회적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역사적 환경, 즉 임진왜란, 동학혁명, 한국전쟁, 민주화운동 등의 역사적 사건도 개인이나 집단적 구술기억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구술기억의 조사는 문화자료, 문학자료, 역사자료의 확보와 연구 지평을 확대하기 위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문화자료라 함은 민속자료를 일컫는 것으로서 그간의 민속 연구가 문헌자료와 구술기억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주로 구술기억자료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문학자료는 구술서사자료를 말하는 것으로 기록문학과 구비문학의 관계 속에서 관심을 가지기도 했지만, 구술문학 혹은 구비문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었다. 최근에는 구술서사의 이야기꾼에 관심이 많아지면서 개인의 생애담이나 집단적인 경험담에 관한 구술 자료가 많이 수집되고 있다. 그리고 역사자료로서 새로운 역사를 쓰기 위해서도 구술기억 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역사적 사건의 경험주체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확인하고 사건의 다양한 재현을 위해서 기록되지 않는 구술기억자료를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체험주의적 측면에서 구술기억자료를 해석하여 연구 방법론의 확대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해석 방법은 ①구술기억자료에 나타난 인간 경험의 중층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고, ②정신적인 경험의 기호적 의미를 추출할 수 있으며, ③정신적 경험의 원초적 근원을 추적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구술기억자료는 학술적인 측면에서 문화적, 서사문학적, 역사적 가치를 갖는다. 구술기억자료는 문화와 관계된 다양한 학문의 영역에서 관심을 갖기 때문에 그 학술적 가치가 크고, 구술기억자료를 역사지리학적 방법을 비롯해 구조주의나 현장론적 방법 등 서사문학적으로 해석하려 ...

      • KCI등재

        연구논문 : 구술생애사를 텍스트로 만들기: 제주해녀 고이화의 두 가지 텍스트 비교

        유철인 ( Chul In Yo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1 韓國文化人類學 Vol.44 No.2

        본 논문은 다른 사람이 채록한 구술자료 텍스트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문자화된 구술자료 텍스트만으로 인터뷰 상황에서 구술된 이야기가 텍스트로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제주해녀 고이화의 생애사에 대해 서로 다른 구술채록자가 만든 두 가지 텍스트를 서사형식(narrative form)을 비롯한 텍스트의 구성과 구술채록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연대기적으로 서술된 "제주해녀 고이화"라는 제목의 텍스트(전경옥·김은실·정기은 2004: 83-165)는 당초의 연구계획이 구술생애사 텍스트를 만드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제주어를 잘 이해하지 못하고 해녀와 물질에 대한 사전 지식도 부족했다는 구술채록자의 속성도 구술생애사 텍스트를 만드는 데 영향을 미쳤다. 구술된 순서로 서술된 "고이화의 삶 그리고 역사"라는 제목의 텍스트(제주도여성특별위원회 2004: 79-114)에는 구술채록자의 질문이나 반응 같은 서사맥락(narrative context)이 제시되지 않았다. 구술채록자가 구술생애사 텍스트의 화자(話者)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은 것이다. 구술로 생산된 자료가 구술사로서의 가치가 있으려면, 구술채록자가 아닌 다른 사람도 그 구술자료를 연구할 수 있어야 한다. 다른 사람이 채록한 구술자료텍스트를 제대로 읽으려면, 구술아카이브나 출판된 구술사 자료집의 텍스트에 서사맥락이 포함되어 있어야 하고, 텍스트화 과정에서 구술채록자의 해석이 개입되는 과정이 있는 그대로 드러나 있어야 한다. 또한 문자화된 텍스트와 함께 녹음된 음성자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In order to examine how the written text is constructed from oral storytelling, this paper compares two oral life-history texts narrated by Jeju haenyeo, Ko Ihwa,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the texts and the structure of the oral history interview. The text titled "Jeju Haenyeo Ko Ihwa" is presented chronologically. It is mostly shaped by the research plan and also by the interviewer who does not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Jeju dialect and the haenyeo, the women divers. A contrasting text titled "Life of Ko Ihwa and History"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flow of interviews. Since the interviewer does not play the role of speaker of this written text, it does not provide a narrative context. An interview becomes an oral history when the text is available for general research, reinterpretation, and verification. When the written text has a narrative context and an interviewer`s interpretation, and if the recording is provided in addition to the written text, we can read it very well.

      • KCI등재

        「서술산 여신 신화」와 「선도산 여신 신화」의 서사 윤곽과 구비문학적 면모

        윤혜신 한국구비문학회 2012 口碑文學硏究 Vol.0 No.34

        As oral literature, a myth generally tends to have various versions of the different times. This study intended to arrange narrative’s line of two myths of goddess which has various temporal features. From the temporal features, ‘antiquity’ of myth at the time of pre-ancient kingdom and ‘the ancient feature’ at the time of ancient kingdom are searched. In widespread narratives after 13C, a goddess of ancient kingdom Shilla, Holy mother Seosul[Seosul-seongmo], would be called in the name of the goddess Seondo[Seondosan-sinmo]: Two character, one identity. This understanding became popular after the 13C book “Samguk yusa” and subsequent Josun dynasty’s various books. However, these myths are difficult to see as myth of same goddess. Different world views are perceived : Mythological world view, Buddhist world view, Taoistic world view. It could be presumed two myths had been formed through separate courses. To examine the separate courses, according to main character of Seosul and Seondo, episodes were divided. Over the several motifs and episodes, logical questions were arisen : Why the version of “Samguk yusa” has different motifs, like hawk, Chinese emperor, emperor’s letter etc., while “Samguk yusa” quoted “Samguk sagi” which delivered the Seondo myth for the first time in Koryo. As an answer of the question in this study, the motifs, episodes were analysed by their temporal features and were belonged to a proper myth. In conclusion, the myth of goddess Seosul had been changed at least 5 times through more than 1,000 years from the first formulation of prehistoric time, before Ancient kingdom Shilla to 13C(cir. 1281 A.D.), in which the myths were recorded in “Samguk-yusa” of Koryo dynasty. - The first version of Seosul myth : Antiquity of myth before ancient kingdom with nature worship in a short narrative. - The second version : Birth episode of Shilla Geoseogan[king] Park Hyeok was added(cir. 57 B.C.E. according to a history book “Samguk-sagi”). - The third version : Buddist episode was added(cir. 565-632 A.D.) by the buddist king. - The fourth version : Episode of king Kyeongmyong and a hawk was added. (cir. 924 A.D.)- The fifth myth : goddess Seosul and goddess Seondo regarded as the same identity.(cir.1281 A.D.)Meanwhile, the myth of goddess Seondo was delivered from China in Koryo dynasty (cir.1145 A.D.) by Kim Busik, the author of “Samguk-sagi”. Therefore, logically, goddess Seondo could not been a narional mother goddess of Shilla, the country before Koryo. With very political reason to reinforce the power of Buddism, the second variation was made by Il Yeon, the author of “Samguk-yusa”. He intended to use the traditional dignity of Seosul and make Taoistic Seondo as Buddism supporting goddess. So, one powerful goddess were born. After this version, two goddesses would been regarded as one goddess. Through variations of two goddesses myths, several signifiers based on various world views and beliefs could had been clustered and made new meanings[signified] which had political power and influenced to the opposing group off the author Il Yeon. Those interpretations can be understood as post-evental interpretation with premises of Lacanian pychoanalysis perspective. It means through various signifiers, a goddess of mythological gained new meanings over the first mythical meaning. The signifiers such as ‘a goddess surpporting buddism’, ‘a goddess who has divine power over the nature’, ‘Taoistic goddess’ could generate the new signified by metaphor. 이 논문은 서술성모와 선도산 신모를 동일한 여신이 아닌, 서로 다른 여신으로 파악한 선행 연구의 관점을 계승하면서, 상대적으로 미진했던 문학 측면의 연구를 보강하려는 시도에서 이루어졌다. 결론적으로 「서술산 여신 신화」는 서사가 형성된 이래 1000년 이상의 시간을 거치면서 최소한 5차에 걸친 변개가 이루어졌으며 「선도산 여신」는 2차에 걸친 변개가 적층적으로 이루어졌다. 각각의 서사가 갖추었을, 최소한의 윤곽을 이 논문의 결론부에서 제시하였다. 여신 서사가 변개되는 과정을 통해 일정한 시선과 세계관에 의해 서사가 사후적으로 재구성되는 구비문학적 면모를 볼 수 있다. 박혁 거서간 탄생담에 언급된 여신은, 시간적 위상을 고려해볼 때 선도산 여신이 아니라 서술산 여신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선도산 여신 신화」는 고려 시기에 중국으로부터 김부식에 의해 전해졌으므로 박혁 거서간의 탄생담에 등장하는 신라 건국 즈음의 여신은 시기상 서술산 여신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술산 여신 신화」가 고려 시대에 전해진 「선도산 여신 신화」보다 오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여신 신화가 기록된 초기 문헌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을 받아들일 경우, 논리적 모순이 생겨 여신 서사를 재배치할 필연성이 생긴다. 『삼국사기』에 없는 솔개·황제 개입 모티프 등의 몇몇 모티프가 『삼국유사』에서 발견되는 사실에서 각 시기의 구비전승자가 여신 신화를 바라본 사후작용의 시선, 세계관의 차이가 감지할 수 있다. 여신 신화에는 신화적 세계관, 불교적 세계관, 도교적 세계관이 혼재되어 있는데 주체와 세계관에 따라 서사적 사건을 분리하면 두 여신의 서사가 다른 경로를 거쳐 형성되었음이 드러난다. 라캉주의 이론을 원용하여 서사 변개의 당대적 의미를 살펴보면, 여신 서사가 재구성되면서 신화적 여신의 기표(signifier)가 불교적 여신, 도교적 여신, 불교를 옹호하는 도교적 여신 등 다양한 여럿이 되고 이 기표 덩어리가 새로운 기의(signified)인, 전래의 권위와 도교적 권위를 아우르는, 강력한 권위를 가진 불교적 여신의 의미를 발생시켜 당시의 고려 사회에 상당한 정치적 파급 효과를 미쳤을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

        미국 통일상법전상의 구두증거배제법칙과 계약의 해석

        김영주(Young Ju Kim) 한국비교사법학회 2016 비교사법 Vol.23 No.2

        본 논문에서는 UCC상의 구두증거배제법칙의 적용과 관련한 이론 대립의 초점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학설⋅판례 분쟁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구두증거를 배제하는 법리가 제도적으로 수용되는 과정을 시작으로, UCC 법칙을 개관하고 이에 대한 적용상의 쟁점사항들과 존폐론 및 법칙의 역할적 측면들을 살펴보았다. 구두증거배제법칙에 관한 이론적 대립은 양비론적 성격을 지닌 것으로, 어느 일면만이 옳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구두증거배제법칙의 사회적 역할을 재확인하고자 한다. 우선, 구두증거배제법칙의 법적 역할이다. 이는 ① 사기나 위증과 같은 계약의 일방적 변경을 제한하여 당사자의 계약상 권익을 보호하는 법익보호적 기능, ② 재판과정에서의 사실확정을 위한 증거선별을 유도하는 소송절차적 기능, ③ 당사자간 협상과정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합의들을 최종적 의사표시의 문서형태로 정리하여, 당사자의 궁극적인 의도를 해명하는 계약해석적 기능, ④ 최종적 합의서면의 작성을 통해 거래를 증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당사자들의 무분별한 소송을 막는 거래보장적 기능이다. 다음으로, 구두증거배제법칙의 경제적 역할이다. 구두증거배제법칙은 당사자 또는 법원에서 외부증거를 찾고 심사하며 판단하는데 들어가는 일체의 거래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나아가 구두증거배제법칙과 같은 일정한 규제법리의 파급효과가 점진적으로는 거래전반의 비용을 절감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 전체의 경제적 효율을 달성한다는 것이다. 우리법상으로도 구두증거배제법칙과 유사한 기능을 하는 처분문서의 증명력이라는 법리가 존재한다. 물론 ① 구두증거배제법칙과는 달리 절차법적 원칙이라는 점, ② 증거의 제출 범위에 있어 엄격한 제한을 받는 구두증거배제법칙과는 달리 반증이 허용되는 한 자유심증에 따른 증거제출이 인정된다는 점에서 처분문서의 증거력은 법칙과는 본질적인 차이점이 있다. 다만 여기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점으로는, UCC의 경우에는 상관습 요소들을 중시하여 이를 법칙의 명시적인 예외로 규정하였다는 점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법관의 판단에 확정적인 경험칙을 부여하고 일정한 비용절감의 효용도 거두고 있는데, 명문의 상관습 정의 조항이 없는 우리 상법상 향후의 발전적 과제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시사를 줄 수 있다고 본다. The parol evidence rule disallows evidence to be admitted to contradict, vary, add, to or subtract from the terms of a written contract or a part of a contract that has been completely recorded in writing. The rule is intended preserve the integrity of a written agreement and allow it to be interpreted using well-established principles of contractual construction, which promotes certainty in resolution of legal disputes, without interference from pre-contractual negotiations, draft contracts and other extrinsic matter. Accordingly, where party looks to admit evidence to do so, it is not relevant and is likely to be excluded from the evidence considered by the court. Under Section 2-202 of Article 2 of the Uniform Commercial Code(U.C.C.), parol evidence cannot contradict a writing intended to be the final expression of the agreement integrated but may explained or supplemented by (a) a course of dealing or usage of trade or course of performance, and by (b) evidence of consistent additional terms unless the writing was also intended to be a complete and exclusive statement of the terms of the agreement. This paper looks at how the U.C.C. and the courts have attempted to define parol evidence rule, the difficulty of consensus on its application and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of UCC sections and analysis of various cas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본문이 살아나는 성경 봉독법

        임도균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0 복음과 실천신학 Vol.56 No.-

        공중예배에서의 성경 봉독(Public Scripture Reading)은 초대 교회뿐 만 아니라 개혁교회의 전통에서 매우 중요한 순서이다. 하지만 현대의 편리주의와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문화가 예배에 영향을 주면 서 성경 봉독이 축소 또는 소홀히 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성경 봉독 을‘성경적으로, 신학적으로, 설교학적으로’고찰하여 볼 때 예배에 있 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성경 봉독과 성경에 충실한 말씀 선포는 이분화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선상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 국교회의 예배 중 성경 봉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본문이 살아나 게 하는 성경 봉독 방법의 준비와 실제적인 전달 방법을 소개한다. 효 과적인 성경 봉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봉독자는 먼저 본문에 의도 된 의미와 들려지는 효과를 올바르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봉독자는 본 문의 중심 단어, 중심 메시지, 장르, 주된 감정, 움직임 등을 파악할 필 요가 있다. 봉독자가 소리 내어 읽을 때는 발음, 소리크기, 높낮이, 봉 독 속도, 봉독 중 중지 등을 고려하여 읽어야 한다. 봉독자의 자세에 관 해서는 강대상에 입장하는 걸음걸이, 성경을 잡는 자세, 봉독자의 표 정, 청중과의 시선 접촉, 호흡 등을 고려해야 한다. Public Scripture reading is an important procedure in pubic worship service. In the early church and reformed church tradition it is altogether crucial. However modern day convenience entertainment culture causes scripture reading in worship to be reduced or neglected. With a reflection of Scripture reading biblically and theologically, it is such a valuable element in worship service. Scripture reading and scripture faithful sermon are not bisect areas but need to be treated equally. This study will emphasize the significant of Scripture reading in worship. More over, this study will introduce Scripture reading preparation and delivery method that makes the text alive. In order to make effective scripture readings, Scripture readers need to understand the intended meaning and aural effects in the Scripture. Scripture readers need to comprehend the central word of the text, a main idea of the text, the main emotion of the text, and the movement of the text. While they read a Scripture, they need to consider verbal delivery elements: pronouncement, volume, pitch, rate, and pause. Moreover they need to consider non-verbal elements: walk, grip, facial expression, breath, and eye-contact.

      • KCI등재

        「서술산 여신 신화」와 「선도산 여신 신화」의 서사 윤곽과 구비문학적 면모

        윤혜신 한국구비문학회 2012 口碑文學硏究 Vol.0 No.34

        이 논문은 서술성모와 선도산 신모를 동일한 여신이 아닌, 서로 다른 여신으로 파악한 선행 연구의 관점을 계승하면서, 상대적으로 미진했던 문학 측면의 연구를 보강하려는 시 도에서 이루어졌다. 결론적으로 「서술산 여신 신화」는 서사가 형성된 이래 1000년 이상의 시간을 거치면서 최소한 5차에 걸친 변개가 이루어졌으며 「선도산 여신」는 2차에 걸친 변 개가 적층적으로 이루어졌다. 각각의 서사가 갖추었을, 최소한의 윤곽을 이 논문의 결론부 에서 제시하였다. 여신 서사가 변개되는 과정을 통해 일정한 시선과 세계관에 의해 서사가 사후적으로 재구성되는 구비문학적 면모를 볼 수 있다. 박혁 거서간 탄생담에 언급된 여신은, 시간적 위상을 고려해볼 때 선도산 여신이 아니라 서술산 여신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선도산 여신 신화」는 고려 시기에 중국으로부터 김부식에 의해 전해졌으므로 박혁 거서간의 탄생담에 등장하는 신라 건국 즈음의 여신은 시기상 서술산 여신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서술산 여신 신화」가 고려 시대에 전해진 「선도산 여신 신화」보다 오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여신 신화가 기록된 초기 문헌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을 받아들일 경우, 논리적 모순이 생겨 여신 서사를 재배치할 필연성이 생긴다. 삼국사기에 없는 솔개·황 제 개입 모티프 등의 몇몇 모티프가 삼국유사에서 발견되는 사실에서 각 시기의 구비전 승자가 여신 신화를 바라본 사후작용의 시선, 세계관의 차이가 감지할 수 있다. 여신 신화 에는 신화적 세계관, 불교적 세계관, 도교적 세계관이 혼재되어 있는데 주체와 세계관에 따라 서사적 사건을 분리하면 두 여신의 서사가 다른 경로를 거쳐 형성되었음이 드러난다. 라캉주의 이론을 원용하여 서사 변개의 당대적 의미를 살펴보면, 여신 서사가 재구성되 면서 신화적 여신의 기표(signifier)가 불교적 여신, 도교적 여신, 불교를 옹호하는 도교적 여 신 등 다양한 여럿이 되고 이 기표 덩어리가 새로운 기의(signified)인, 전래의 권위와 도교 적 권위를 아우르는, 강력한 권위를 가진 불교적 여신의 의미를 발생시켜 당시의 고려 사회 에 상당한 정치적 파급 효과를 미쳤을 것으로 해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