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북한 초등 생명과학 내용 및 북한 소학교 3, 5학년 생명과학 단원 분석

        신원섭 ( Won-sub Shin ),신동훈 ( Dong-hoon Shin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1 생물교육 Vol.4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elementary life science i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life science units in the 3rd and 5th grades of primary schools in North Korea. The subject of life science education contents are the North Korea's 2013 1st universal 12-year curriculum and South Korea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Life science units of the 3rd and 5th grade of North Korea primary schools compared them with the 2015 revised science textbook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elementary life science education in the two Koreas differed in the scope and level of content by grade. Second, in the same elementary life science field, North Korea has more pages than South Korea, but South Korea has more average syllables than North Korea. Third, the number and type of illustrations differed between the two Koreas depending on the field of life science. Fourth, in life science, both South and North Korea were highly dependent on photographic illustrations. In addition, North Korea often used decorative and exemplary functions rather than explanatory and supplementary functions. Fifth, the number of exploration activities between the two Koreas was similar, and the level of exploration activities between the two Korea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field or content of life science. Sixth,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content of life science, and both the two Koreas were applying various forms of inquiry activities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생명과학활동이 유아의 생명과학개념과 생명체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주시연(Ju, Si-yeon),김경숙(Kim, Kyeong-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생명과학활동이 유아의 생명과학개념과 생명체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군에 위치한 S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38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18명)이었다. 실험집단은 8주 동안 주 2회 총 16회기 생명과학주제의 스토리를 듣고 생명과학적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스토리텔링 활동에 참여하였고 같은 기간 비교집단은 생명과학 관련 게임활동에 참여하였다. 스토리텔링을 활동한 생명과학활동의 교육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활동 전·후에 두 집단 유아들을 대상으로 생명과학개념과 생명체 친화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생명과학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생명과학개념과 생명체 친화적 태도에서 더 많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생명과학개념과 생명체 친화적 태도의 향상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생명과학활동이 활용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life science activity utilizing storytelling on young children s life science concept and pro-life attitude. The subjects of study were 38 children aged 5 years. Testing tools used include a testing of a young children s life science concept tool produced by Kim Hee-young (2014) and a pro-life attitude testing tool modified, adapted and restructured by Kim Mi-sun (2016) based on The Children 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 produced by Musser and Diamond (1999). An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was conducted on collected data using SPSS 21.0 program to verify effects of life science activity utilizing storytelling on a young children s life science concept and pro-life attitud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As a result of verifying effects of life science activity utilizing storytelling, the experimental group turned out to hav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both in the whole of young children s life science concept and its sub areas, such as characteristics and kind of life, structure and function of lif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nd cycle of life. Besides, the experimental group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did in young children s pro-life attitude. The study results suggests that life science activity utilizing storytelling can improve a young children s life science concept and pro-life attitude the activity may be a meaningful method of continues to develop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음악적 접근을 통한 창의적 생명과학활동이 유아의 생명과학개념, 과학적 태도와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남종희,김은정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6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creative life science activities through musical approach on young children’s life science concepts, scientific attitudes and musical creativities. Subjects were 48 five-year-olds(24 in the experimental group; 24 in the comparison group) in P kindergarte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creative life science activities through musical approach, and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general life science activities for 12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COVA using SPSS 20.0. The results show that creative life science activities through musical approach contribute significantly to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scientific attitudes and music creativities. Both activities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life science concep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tivities. The common life science activities would also help development of children’s life science concepts, however, creative life science activities through musical approach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not only on life science concepts, but also on development of scientific attitudes and musical creativities. These results proved the effects of integrated life science-music activities, and proposed ideas about integrated life science-music activities and creative activities for teachers. 본 연구는 음악적 접근을 통한 창의적 생명과학활동이 유아의 생명과학개념, 과학적 태도 및 음악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P유치원 만 5세 유아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각 24명, 총 48명이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실험집단에는 음악적 접근을 통한 창의적 생명과학활동을 적용하고, 비교집단에는 일반 생명과학활동을 훈련받은 담임교사가 12주 간 적용하였다.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t검증, 공변량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활동은 특히 유아의 과학적 태도, 음악창의성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유아의 생명과학개념은 두 집단 모두 사후 점수가 향상되었지만,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 생명과학활동도 유아의 생명과학개념 발달을 도울 수 있지만, 음악적 접근의 창의적 생명과학활동은 생명과학개념 뿐 아니라 과학적 태도와 음악 창의성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명과학과 음악의 통합교육활동의 효과를 실증하였으며, 교사들에게 생명과학과 음악의 통합활동과 창의적 활동의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

      •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혁신역량 변화 방향 제언

        이승규(Seung-kyu Yi),용태석(Tae-seok Yong),김진경(Jink-yung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8 No.11

        본고에서는 OECD의 더 나은 삶 지표(Better Life Index, 이하 BLI)와 COSTII를 이용해 우리나라의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삶의 질 관점에서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분석 결과 과학기술혁신역량이 삶의 질에 활용되는 정도가 OECD 34개국 중 최하위였다. 과학기술혁신역량을 구성하는 5개 부문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가 환경>성과>네트워크>활동>자원 순으로 높았지만 한국의 역량 수준은 OECD 34개국 중 역량별 순위가 활동>자원>성과>네트워크>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과학기술의 첫 번째 변화 방향은 과학기술혁신역량의 균형적 포트폴리오 확보라고 할 수 있다. 혁신성장과 삶의 질 향상의 균형 있는 추진이 가능하도록 기존의 자원, 활동 부문 역량 중심에서 탈피하여 환경, 성과, 네트워크 부문의 역량의 향상이 필요하다. 특히 지원제도, 문화, 다양한 협력 역량 등의 강화가 시급하다. 본고에서는 국민수요조사와 해외동향을 바탕으로 세부역량 강화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두 번째 변화 방향은 변화된 과학기술혁신역량 포트폴리오의 전문적 관리와 활용 기반 마련이다. 혁신역량의 모니터링과 관리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정책과 사업이 추진되는 시스템을 구축해가야 한다. 그 출발은 삶의 질과 사회문제 해결에 특화된 과학기술혁신역량 관리 체계와 전담 조직 운영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가칭)과학기술기반사회혁신지수’ 등의 개발, ‘사회문제과학기술정책센터’ 운영 등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세 번째 변화방향은 과학기술혁신역량의 사회적 활용 극대화를 위해 사회와의 소통과 연계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다. 국민 삶의 질과 사회문제 해결은 과학기술만의 힘으로 어려울 수 있다. 정부연구개발비 총액의 증가가 둔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삶의 질 향상과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재정투자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삶의 질과 관련성이 높은 재정이나 시민사회 분야와 같은 사회혁신역량과 과학기술혁신역량의 환경 부문 역량의 연계 방안은 국민 삶 향상에 대한 시너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지역문제, 사회적경제, ODA 등 다양한 분야 사회정책과의 연계도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In this paper, we show that Korea "s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has weak structure in terms of quality of life by using OECD" s Better Life Index (BLI) and COSTII. As a result, the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was the lowest among the 34 OECD countri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the 5 sectors that constitute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were ranked in order of environment>performance>network>activity>resource, but Korea"s competency level was ranked in order of activity>resource>performance>network>environment among 34 OECD countries. Therefore, the first change dir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s securing a balanced portfolio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In order to achieve balanced growth of innovation growth and quality of lif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mpetencies of environment, performance and network sector by moving away from the existing capacity of resources and activities.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strengthen support systems, culture, and various cooperation capabilities. In this paper, based on national demand research and overseas trends, we suggested ways to strengthen detailed capacity. The second direction of change is professional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changed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portfolio. Based on th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nnovation capabilities, we should build a system that promotes effective policies and projects. The departure can be a system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management specialized in the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and a dedicated organization. In this regard, the development of "(tentative) science and technology-based social innovation index" and the operation of "Social Problem Science Technology Policy Center" are given as examples. The third direction is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nd linkage with society in order to maximize the social utiliz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y. The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of the people can be difficult due to the power of science and technology alone. In a situation where the increase in the total amount of government R & D expenditures is slowing, the efficiency of financial investment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solving social problems should be raised. The linkage of social innovation capacity such as finance and civil society field with high quality of life and environmental capac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capacity can bring synergy effect to improvement of people"s life. The linkage with social policy in various fields such as regional problem, social economy, ODA will be a way to strengthen the social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생명과학개념에 미치는 영향

        김희영,나정숙,최현희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9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fe science activities on the recognition of life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 kindergartens in K – metropolitan city, H kindergarten. The subjects were 50 life science student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4 daily activities twice a wee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 - esteem perceptions of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life scienc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those of control group children. Seco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tudy, the life science concept of experimental group children changed more positively than the control group. This is because life science activities can be interpreted a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children's respect for life and the concept of life science. Life science activitie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recognizing life respect of infants and promoting the concept of life science. 본 연구는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생명과학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광역시 H유치원 만5세 50명으로 실험집단에는 생명과학 활동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생활주제에 따른 일반적 과학 활동을 매주 2회, 총14회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과학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생명존중인식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유의하게 더 향상되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후 실험집단 유아들의 생명과학개념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향상되었다. 이는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 및 생명과학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힘과 동시에 생명과학 활동이 유아의 생명존중인식과 생명과학개념 증진에 효율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생명과학과 인문학의 생명윤리정책에 관한 의사소통의 시론적 분석

        최준호,박기묵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人文硏究 Vol.- No.54

        Life science extends its domain transcending natural science to the field of health security, bioethics and morality based on remarkable performance in genetic modification, animal clone, stem cell and so on. As a result of that, life science has been risen in concern and the bioethics matters of animal clone and human clone has brought up big and heat controversies among scientists, ethicists and religious men. At this point, Korea is also under the circumstances of being risen pros and cons about bioethics and approving human clone and its hazard. With such discussion we can recognize that today's life science could be no more a part of natural science but a field of transcending natural science and having influence on the fields of ethics and philosophy. This study is focusing on life science's development and mutual interaction with human science.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between life science and human science and the utilization of human science in life science and the role of human science in bioethics matters. 생명과학은 최근 유전자 조작, 동물복제, 줄기세포 등과 같은 연 구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두면서 단순한 자연과학의 영역을 초월하여 국민의 안전문제, 생명윤리나 도덕 문제의 분야까지 확장되었다. 따라서 오늘날은 생명과학(공학)의 시대로 불릴 정도로 이 분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동물복제와 인간복제에 대한 생명윤리문제는 과학자, 윤리학자, 종교인들 사이에 커다란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생명윤리와 인간복제의 허용 및 위험성 여부에 대한 찬성과 반대가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는 오늘날의 생명과학은 인제 단순히 자연과학이라는 연구 분야를 초월하여 윤리 및 철학분야까지 미칠 수 있는 학문이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생명과학의 발전을 위한 인문학과의 의사소통의 필요성과 생명과학 분야에서의 인문학의 활용, 생명윤리 문제에서의 인문학의 역할과 관련된 논의 등을 제시함으로써 생명과학의 발전과 인문학과의 상호연관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KCI등재

        중학교 과학3 및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교과서 유전 단원의 개념 수준 및 연계성 분석

        김현섭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7 현장과학교육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if the genetic units of the middle school Science3 and high school Life ScienceⅠtextbooks considered well enough the students’ concept level and if the vertical connectivity of the concept reflected properly the continuity and sequence requir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 chose three different textbooks that each publisher published both Science3 and Life ScienceⅠ. The genetic units were divided into the genetic principles and human heredity based on the two small units which were used in the curriculum of Science3 and Life ScienceⅠ. The concept of learning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level into concrete concepts and formal concepts, and the vertical connectivity was analyzed by dividing into four factors: repetition, development, gap, redu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concepts is presented 51 in Science3 and 111 in Life ScienceⅠsubjects each. There are presented too many concepts in Science3 and Life ScienceⅠsubjects. The number of common concepts is presented 41 in Science3 and 75 in Life ScienceⅠsubjects each. Those are directly connect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ve requirement by the curriculum. For the concept level, the ratio of formal concept in Sciences3 subject was presented 48% in genetic principles and 22% in human heredity units each. That is, there was showed that the genetic principles unit was not considered well enough the students’ cognitive level. The ratio of formal concept in Life SciencesⅠsubject was presented 47% in genetic principles and 28% in human heredity units each. there was showed that the genetic principles unit was properly considered high school student’s cognitive level. However, there was showed that human heredity unit was not properly considered high school student’s cognitive level. For the vertical connectivity, the ratio of connectivity factors in genetic principles unit was presented by repetition 62%, development 17%, gap 5%, reduction 6%, respectively. This result means that the connectivity in genetic principles uni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learning sequence. In here, the concepts of gap were linkage related concepts dealing with at first in Life SciencesⅠsubject. And I think that the concepts of reduction, “dominant gene” and “recessive gene” require slight modification to “dominant allele” and “recessive allele” each for exact concept comprehension. The ratio of connectivity factors in human heredity unit was presented by repetition 42%, development 58%, respectively. There is need to lower the rate of repetition and raise the rate of development for the concrete concepts in human heredity unit. The connectivity for the formal concepts in human heredity units a certain degree properly mixed by connectivity factors in terms of the continuity and sequence.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된 중학교 과학3 및 고등학교 생명과학Ⅰ교과서의 유전 단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개념을 분석하여 교과별로 학습자의 인지수준을 충분히 고려하고 있는지,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계속성과 계열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유전 단원을 다루고 있는 과학3 및 생명과학Ⅰ교과서를 모두 출판한 세 출판사의 것들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두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소단원인 유전의 원리와 사람의 유전 단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교과별 학습개념 분석은 개념 수를 조사한 다음, 개념 수준을 구체적 개념과 형식적 개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수직적 연계성을 반복, 발전, 격차, 축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과학3 교과의 유전 단원에 제시된 전체 통합개념 수는 총 51개였으며, 생명과학Ⅰ교과는 총 111개로 많은 수의 개념들이 제시되고 있었다. 공통개념 수는 과학3 교과의 경우 총 41개, 생명과학Ⅰ 교과는 총 75개로 교육과정의 구성 요구에 따라 직접적으로 연계․심화되었다. 개념 수준은 과학3 교과의 경우, 형식적 개념의 비율이 유전의 원리 단원 48%, 사람의 유전 단원 22%로 나타나 유전의 원리 단원은 학생들의 인지 수준보다 높게 제시되었다. 생명과학Ⅰ 교과도 형식적 개념의 비율이 유전의 원리 단원 47%, 사람의 유전 단원 28%로 과학3 교과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사람의 유전 단원은 형식적 개념의 비율을 높이는 개념의 심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적 연계성은 유전의 원리 단원의 경우, 반복 62%, 발전 17%, 격차 15%, 축소 6%로 학습의 계열성 측면에서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격차 개념들은 생명과학Ⅰ에서 처음 다루고 있는 연관 관련 개념들이었으며, 축소 개념인 우성유전자’와 열성유전자’는 정확한 개념 이해를 위해 우성 대립유전자’와 ‘열성 대립유전자’로 수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람의 유전 단원에서는 반복 42%, 발전 58%로 제시되어 생명과학Ⅰ에서 구체적 개념의 단순 반복 비율을 낮추고 발전 개념 비율을 높이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식적 개념은 연계성 요소들이 어느 정도 적절히 배합된 결과로 나타났다.

      • 중학교 과학영재를 위한 생명과학 기반융합인재교육(STEAM)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강희선,서혜애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3 과학영재교육 Vol.5 No.3

        The research aims to develop a life science based STEAM program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science related attitudes when it was implemented for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a life science based STEAM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adopting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The developed STEAM program was implemented for 24 middle school science gifted students at a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for four periods of three-hour classroom teaching. In order to assess the STEAM program effectiveness, 24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9 students for science gifted group and 15 students for control. Their changes in science-related attitudes were measured using TOSRA (Fraser, 1981) and their satisfaction was also assessed. It was found that science gifted group showed 172 강희선∙서혜애higher in science-related attitudes, in particular, science learning enjoyment than control group. Most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satisfied with STEAM program. Science gifted students described that they learned contents as self-directed manner, realized relatedness between life science and technology, and aware of close relationship of science to daily life at the life science based STEAM program. In conclusions, the life science based STEAM program is effective for science gifted students to improve their science related attitudes. 본 연구는 생명과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학교 과학영재들에게 적용한 후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개발한 STEAM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 목적에 따라, STEAM의 요소를 반영하고 문제중심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과학영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광역시 영재교육원 소속 중학교 3학년 학생 24명에게 적용하였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TOSRA) 및프로그램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24명 가운데 일반학급 학생들보다 뛰어난 학생 9명을 선정하여 과학영재집단으로 편성하고 나머지 15명은 일반학급 학생들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은 학생들로서 통제집단으로 편성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첫째, 과학영재집단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에서‘수업의즐거움’영역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과학탐구 및 직업관심의 영역에서도 유의하지 않지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 조사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답변하였다. 특히 과학영재학생들은 STEAM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생명과학과 기술이 연결되며, 과학이 일상생활과 밀접히 연결되는 점을 만족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하여 적용한 생명과학 기반 STEAM 프로그램은 과학영재에게 과학에 대한태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의 생명과학의 이해 관련 단원의 탐구활동 분석

        한화정,심주혜,심규철 한국생물교육학회 2019 생물교육 Vol.4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of the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unit‘Understanding of Life Science’ of the life science textbooks. The textbooks were developed and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Types of the inquiry activity were categorized into ‘experimental observation’, ‘investigation’, ‘data interpretation’, ‘debate’, ‘science writing’, ‘reading’, and ‘simul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had been diversified as the curriculum changes. Especially, the science writing was presented newly in life scienceⅠ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imulation activities are presented newly in Life ScienceⅠ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even though the curriculum changed, theme, type, and frequency of inquiry activities still varied with textboo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riteria for the theme, type, and frequency of exploration activities should be made at the national level and considered when developing textbooks, and the need to reorganize inquiry activities by referring to other textbooks.

      • KCI등재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이영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1

        과학의 본성(NOS)에 대한 이해는 과학 교육에서 중요한 과학적 소양의 요소 및 학습 목표가 되어왔다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Millar & Osborne, 1998;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2000). 이 과학 교육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교과서를 포함하는 교과 과정에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적절한 견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함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생명 과학 I 교과서 첫 단원에 포함되어 있는 과학의 본성을 질적 내용 분석함으로써 일반적으로 과학이란 무엇이며 과학이 어떻게 발달되어 왔는지를 설명하는 도입단원에 적절한 수준의 과학의 본성 측면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교과서 분석에 많이 이용되는 양적 분석이 아닌 연구자의 통찰과 직관에 많이 의존하는 질적 내용 분석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양적 분석으로는 찾기 어려운 숨어있는 의미를 발견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분석 결과는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생명 과학 I 교과서들은 다양한 과학의 본성을 제한된 수준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생명 과학 I교과서들은 도입 단원에서 과학 지식의 가변성이나 다양성과 같은 지식으로서의 과학의 본성보다는 생명 과학의 대상인 생물체에 대한 내용 설명에 치중하고 있었다. 또한 본문에서 다양한 과학사례와 과학자들의 소개를 포함하고 있으나 그 속에 내포된 과학적 사고의 특징이나 태도보다는 사회 속에서 과학사의 발달을 강조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교과서들이 여러 과학의 본성 중에서 주로 '과학과 기술, 그리고 사회와의 관계 (STS)'적인 과학의 본성 측면을 "STS코너"라는 별도의 분류 등으로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탐구 방법을 묘사하는데 있어서 구체적 실험 사례를 통해 "보편적 과학의 방법 (단계적 실험 과정)"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것은 다양하고 복잡한 과학과 탐구의 본성을 이해하기에 매우 제한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cience (NOS) has been a major component of scientific literacy and an important learning goal in science education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Millar & Osborne, 1998;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2000).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include appropriate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curriculum including a textbook.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the first chapter of four Korean high school life science I textbooks, which typically discusses what life science is and how it works. Examination using a qualitative analysis reveals that most of life science I textbooks limited to include a variety of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the introductory chapters while some textbooks have included more aspects of the nature of science than others. Specifically, high school life science I textbooks have focused on the content knowledge itself relating with living organisms rather than the nature of scientific knowledge such as tentativeness and diversity of knowledge in the chapters. Also, although the textbooks have introduced a variety of scientific episodes in history as well as scientists, generally they emphasiz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science in society not the nature of scientific thinking and attitude of scientists. Significantly, most of life science I textbooks emphasized on the STS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spect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focused on the steps of “the scientific method” to explain the inquiry process. This is deficient to show an authentic view of the nature of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