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어 평가시험 비교 연구,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이탈리아어능력시험(CILS)

        노재윤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23 이탈리아어문학 Vol.- No.70

        This study analyzed the evaluation standards and evaluation systems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and the Certification of Italian as a Foreign Language (CILS). First,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examin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scale standards presented by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CEFR). And, as for the evaluation system, the physical environment system was examined in the ‘test task characteristics framework’ presented by Bachman & Palmer (1996), which is a model representing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First, when looking a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both TOPIK and CILS, the basic language use level is TOPIK level 1-2, CILS A1-A2, and the independent language use level is TOPIK level 3-4, CILS B1-B2, and proficient language use level is TOPIK levels 5-6 and CILS levels C1-C2. Although the CEFR standard is the same, TOPIK's scale standard focuses more on the ability to understand content and perform functions, while CILS focuses on the process of forming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Next, when examining the evaluation systems of the two tests based on the ‘test task characteristics framework’ presented by Bachman & Palmer (1996),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evaluation tools and evaluation areas. TOPIK is a 2-type, 6-grade system: TOPIK Ⅰ for beginners and TOPIK Ⅱ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On the other hand, CILS is a 6-type, 6-grade system. Differences were also seen in the evaluation area. TOPIK I evaluates the ‘listening’ and ‘reading’ sections, and TOPIK II evaluates the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sections. Except for the writing section, all sections are multiple-choice questions. The topic speaking evaluation has been independently implemented since 2022 and is an integrated evaluation of grades 1 to 6. On the other hand, CILS evaluates all five areas of 'listening', 'reading', 'vocabulary/grammar', 'writing', and 'speaking' without any grade differentiation from A1, A2, B1, B2, C1, and C2. The types of problems are also diverse. In the global era, the importance of tests to evaluate native language proficiency as a foreign language is increasing. The certification obtained through this evaluation test has a great influence not only on university admission but also on employment and residence visas, etc. Therefore, many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not only on native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tests but also on evaluation tests in various countries. However, the introduction of European language evaluation tests is not yet active. In this situation, I think it is meaningful to compare TOPIK and CILS, the two countries' national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s and I hope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본 논문은 한국어능력시험(TOPIK)과 이탈리아어능력시험(CILS)의 평가 기준과 평가 체제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평가 기준은 유럽공통참조기준(CEFR)에서 제시한 총괄 척도 기준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평가 체제는 의사소통적 언어능력을 평가하는 Bachman & Palmer (1996)가 제시한 ’시험 과제 특성 틀‘에서 물리적인 환경 체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평가 기준을 살펴볼 때 TOPIK과 CILS는 모두 기초적인 언어사용 단계는 TOPIK 1급-2급, CILS A1-A2, 자립적 언어사용 단계는 TOPIK 3급-4급, CILS B1-B2, 숙달된 언어 사용 단계는 TOPIK 5급-6급, CILS C1-C2단계이다. CEFR기준을 같지만 TOPIK의 척도 기준은 내용을 이해하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에 좀더 중점을 두었고 CILS는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능력 형성과정에 힘을 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Bachman & Palmer (1996)가 제시한 ’시험 과제 특성 틀‘을 기준으로 두 시험의 평가 체제를 살펴볼 때 평가 도구와 평가 영역의 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TOPIK은 초급인 TOPIK Ⅰ과 중·고급인 TOPIK Ⅱ의 2종 6등급 체제이다. 반면에 CILS는 6종 6등급 체제이다. 평가 영역에 있어서도 차이를 보였다. TOPIKⅠ은 ’듣기‘, ’읽기‘ 영역을 평가하고 TOPIK Ⅱ는 ’듣기‘, ’읽기‘, ’쓰기‘ 영역을 평가하고 있고 쓰기 영역을 제외하고 모두 객관식 문제이다. 토픽과 별도로 말하기시험은 토익말하기평가가 시행되고 있으며 1급-6급을 통합 평가하고 있다. 반면에 CILS는 A1, A2, B1, B2, C1, C2까지 등급의 차등 없이 ’듣기‘, ’읽기‘, ’어휘·문법‘, ’쓰기‘, ’말하기‘의 5개 영역을 모두 평가하고 있고 문제 유형도 다양하다.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외국어로서의 자국어숙달도평가시험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이 평가시험을 통해 얻은 자격증은 대학 진학은 물론이고 취업, 체류 비자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자국어숙달도평가시험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의 평가시험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유럽언어권의 언어 평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양국의 국가어능력평가인 TOPIK과 CILS를 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이효인(Lee Hyo 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를 어려워하는 하는 이유 중 하나는 한국어 담화 체계에 적합한 글을 쓰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TOPIK 쓰기 문항에 적합한 쓰기 교육 방법으로 텍스트구조 유형과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 다. 이를 위해 먼저 TOPIK 쓰기 영역의 평가 내용을 분석하고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쓰기를 어려워하는 이유 중 하나로 한국어 담화 체계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글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장르 중심 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둘째, TOPIK 쓰기 문항 및 모범 답안의 텍스트구조 분석을 통해 TOPIK 쓰기 평가에 등장하는 텍스트구조 유형을 밝혔다. TOPIK 쓰기 53번 문항에서 요구하는 텍스트 유형은 ‘설명하는 글’이며, 텍스트구조 유형은 ‘나열구조’와 ‘대응구조’ 혹은 ‘인과구조’가 결합한 복합 구조임을 보였다. 그리고 가장 많이 사용된 텍스트구조 유형은 ‘나열구조’임을 밝혔다. 셋째, ‘나열구조’, ‘대응구조’, ‘인과구조’에서 주로 사용하는 텍스트구조 표지를 개념어와 연결어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텍스트구조 표지를 이용한 효과적인 TOPIK 쓰기 교육을 위해 ‘텍스트구조 파악하기’, ‘텍스트구조 표지 선택하기’, ‘텍스트구조 표지를 활용한 글 작성하기’로 이루어진 세 단계 ‘TOPIK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Among the TOPIK, the writing area is the most difficult for learners. One of the reasons why foreign learners of Korean are finding it hard to write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write a piece suitable for the Korean discourse system. This paper presented a method of writing training using text structure type and text structure labeling as a suitable method for writing TOPIK. To this end, the assessment of the TOPIK writing area was first analyzed. And the main reason why it is difficult for foreign learners to write in Korean language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organize their writing in a way that conforms to the Korean discourse system, and the need for genre-oriented writing education to learn the type of writing used by the Korean community. This paper revealed the type of text structure featured in the TOPIK writing assessment by analyzing the text structure of the TOPIK writing questions and best answers. The type of text required by paragraph 53 of TOPIK was shown to be a statement of text , and a text structure type was a combination of list structure and corresponding structure or cause and result structure . It also revealed that the most commonly used type of text structure is list structure . Next, text structure markers that are commonly used in List Structure , Response Structure and Cause and Result Structure a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terms, dividing them into conceptual and conjunctive terms. Finally, for effective TOPIK writing education using text-structure markers, three steps were proposed: Identify Text Structure , Select Text Structure marker and Write Text Using Text Structure marker .

      • KCI등재

        헝가리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현황과 과제 - 헝가리 한국어능력시험(TOPIK) 응시자의 특징 분석을 중심으로 -

        유소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한국언어문화학 Vol.16 No.1

        이 논문은 헝가리에서 실시되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시행 현황과 응시자들의 특징 분석을 통해 헝가리 응시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헝가리에서 시행되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은 2011년을 시작으로8회가 시행되었다. 이 지역의 응시자 수는 전체 응시자의 0.1% 이내로그 수가 극히 적지만, 응시자 분석 결과, 지원 목적 등에서 아시아 지역의 응시자들과는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응시자들의 성별이나 연령별 분포는 전체 응시자들과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응시자의 직업은 학생이 65%, 회사원을 비롯한 직장인이 30%로, 전체 응시자의 대부분이 학생인 것에 비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응시 목적도 전체 응시자의 대부분이 한국 대학이나대학원 진학이 목적인 데에 반해, 헝가리 응시자들은 한국 유학 목적이 33% 정도이고, 자신의 실력 확인이나 학술 목적과 한국문화 이해, 취업 등이 더 많았다. 또한, 응시 동기의 98%가 한국어 교육기관과 인터넷, 지인을 통해서 지원한 것을 보면 헝가리 지원자들이 응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도 많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특수한 시험 시행 상황과 응시자들을 고려해볼 때, 시험 주관 기관에서는 실시 지역에 맞는 홍보와 시행 회차 증설등의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교수자는 헝가리 지역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수업 방향을 개선할 수 있는 단초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6-1, 241-260.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quirements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applicants in Hungary through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OPIK in Hunga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plicants. TOPIK has been conducted in Hungary for 8 times since 2011. Examinees from Hungary account for only 0.1% of all applicants. Regardless of their small percentage, analysis in this study shows that they have distinctive factors compare to Asian applicants, in terms of professions and purposes of taking TOPIK. Most of the Asian applicants are students and their purpose of taking TOPIK is to enter a university in Korea. However there are only 65% of students among the applicants in Hungary, while 30% are employed. Moreover, their purpose of taking TOPIK is more about measuring their own Korean-language skills and Korean culture understanding, getting a job, or other academic purposes. Only 30% of applicants aim to enter a university in Korea. Consider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OPIK applicants in Hungary, as verified by the result of this study, I propose that the exam board consider extensive promotion and implementation of TOPIK, duly reflecting local and cultural distinctiveness.

      •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 20년 발전사와 최근 동향 -1997년 제1회 시험부터 2016년 제52회 시험까지-

        김정숙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7 한국어 교육 Vol.28 No.3

        Chungsook Kim. 2017. The Developmental History and Recent Trends of TOPIK: from the 1st TOPIK in 1997 through the 52nd TOPIK in 2016.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8-3: 1-24. This article explores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TOPIK over the last 20 years and its recent trends. Over the last two decades, TOPIK underwent two major systematic reforms, achiev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ver the course of its 52 testing sessions. TOPIK has utilized a six-level evaluation system from its inception to the present. The evaluation system was amended from the earlier six-test set - whereby each level corresponded with a separate test (1997~2005: the 1st~9th) - to the three-test set (2006~2014: the 10th~34th), and finally to the two-test set (2014~present: the 35th~42nd). In the earlier exams, abilities in Vocabulary· Grammar, Writing, Listening, and Reading were assessed. However, beginning with the 35th TOPIK, abilities in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only in TOPIK II) were assessed and the evaluation of the writing section was changed to a task-based process, improving TOPIK into a more qualified analysis of proficiency. Over the last 20 years, the number of countries TOPIK is administered in has greatly increased from 4 to 73 countries, and the annual number of test-takers h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692 to 250,141. The distribution of proficiency levels of the test-takers has shifted over time - initially “Beginner>Intermediate>Advanced” in the earlier exams, to “Intermediate>Advanced>Beginner” after the mid 2000s - as the number of those studying the Korean 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and continuing education increased. Test-takers have indicated a shift in their purpose for taking the exam, initially citing “to assess proficiency” and more recently selecting “to study abroad,” and this could also correlate with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test-takers’ proficiency level. In general, 85~95% of beginner, 50~65% of intermediate, and 45~60% of advanced test applicants passed the respective proficiency level. To date, no practices have yet been implemented to standardize the difficulty level longitudinally across test sets. (Korea University)

      • KCI등재

        한국어 능력 시험에 관한 신문과 수험자의 담론 분석

        지현숙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6 국어교육연구 Vol.38 No.-

        The present research examines what social issues current Korean proficiency test could bring forward; and, as a consequence,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test’s improvement. The articles about “Korean Language Test” and “TOPIK fever” in the five major Korean newspapers have been examined; and what discourses have been made in Korean society in concern of the test are studied. Also, 17 TOPIK test-takers were interviewed to elicit their understanding, attitude, feeling about the t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PIK and actual Korean learning. According to the newspaper articles, they, in general, see Korean Wave has increased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to increase also the number of the TOPIK test-takers. They repeatedly use phrases such as ‘the greatest in history, fever, the biggest number in history’ highlighting that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the TOPIK test-takers is historic. Some articles point out that the Asian Korean-learners tend to take the test due to economic causes and that the host institutions of the internationals students such as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universities have been maintaining them improperly. The TOPIK test-takers say that they take the test with an integral motivation, adapting to Korean culture better and gaining their self-esteem. TOPIK is regarded as an “only” test to identify their Korean language competency. Also it is regarded as a mean to get scholarship or financial support, a role of gate-keeping of living on in Korea. They think critically that TOPIK is ‘a test for test’, not ‘a real test for Korean language competency’ since it does not have a speaking test. They also claim that preparing for TOPIK has got nothing to do with their improving Korean ability. The present research, as a conclusion, suggests what follows to correct the problems in the Korean assessment. First, the international students attracting policy needs sweeping reconsideration and improvement. Second, TOPIK is not to be taken as a test covering all parts such as international students’ testing, issuing working visa, acquiring citizenship, and measuring Korean proficiency; individual tests must be made for different purposes. Third, intensive training programs or specific graduate schools for the Korean assessors need more practical interest and investment to make the Korean assessment specialized much more.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외국인 대상의 한국어 능력 시험이 어떠한 사회적 논제를 안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한국어 능력 시험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일간지 신문 5종을 대상으로 외국인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에 대해 한국사회 안에서 어떠한 담론들이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또 TOPIK 수험자 17명을 인터뷰하여 그들의 시험에 대한 인식, 태도, 감정, TOPIK과 한국어 학습과의 연관성 등을 살펴보았다. 신문 기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일간지 신문들은 ‘한류→한국어 학습자의 증가→한국어 시험 응시생 급증’으로 연결시키고 있었다. 또한 ‘사상 최대, 열풍, 역대 최다’ 와 같은 표현을 신문마다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TOPIK 응시자수의 증가가 역사적으로 놀랄 만한 사건임을 강조하고 있었다. 일부 신문은 아시아권 한국어 학습자가 경제적인 이유로 TOPIK에 응시하는 경향에 주목해야 한다고 하거나 정부나 교육기관의 유학생 관리 소홀을 우려하는 시선을 나타내었다. TOPIK 수험자들은 한국 문화권으로 더 잘 적응하고 자기 만족감을 얻기 위한 ‘통합적 동기’가 강하였다. 그들에게 TOPIK은 한국어 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시험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또 TOPIK 점수는 장학금이나 생활비 지원 혜택을 받게 해주는 수단이며 한국에서 살아가기 위한 문지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수험자들은 TOPIK을 ‘시험을 위한 시험’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말하기 시험이 없으므로 진정한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지 못한다고 비판하였다. 그들은 TOPIK을 준비한 경험이 한국어 구사력과 연계되지 않는다고 하면서 실제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별도의 한국어 공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고는 결론으로 한국어 평가 분야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음을 제안하였다; 첫째, 유학생 유치 정책의 전면적인 재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TOPIK 하나로 유학생 선발, 노동 비자 발급, 국적 취득, 한국어 숙련도 측정 모두를 할 것이 아니라 시험 점수의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각각의 한국어 시험이 만들어져야 한다. 셋째, 한국어 평가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집중 연수 프로그램이나 대학원 차원의 전공 교육에 더 많은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져서 한국어 시험의 전문화를 위한 실천적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 Ⅰ(TOPIK Ⅰ)에 나타난 읽기 텍스트 구조 특성

        최유신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3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reading text grading by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reading text in consideration of the status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I (TOPIK I)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study analyzed the five sets of TOPIK I’s reading text five times based on the rhetorical structure theory by Mann and Thompson (1988). As a result, TOPIK I’s relational proposition showed characteristics of not only explanatory text, such as elaboration, joints, and conditions, but also of relational proposition more evenly than listed joints or sequences of the relational proposition. The schematic structure showed the features of an incomplete one-stage configuration only observed in the key paragraph in the context and a variety of the highest grade of the relational proposition, which is a new finding on the evaluation of the highest grade of the relational proposition. Thus, analyzing the reading text of TOPIK I is expected to serve as a standard for teaching Korean learners and developing textbook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nd grading system of text structure for educator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능력시험 Ⅰ(TOPIKⅠ)이 갖는 위상을 고려하여TOPIKⅠ의 읽기 텍스트 구조를 분석하여 읽기 텍스트 등급화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이때 읽기 텍스트는Mann&Thompson(1988)의 수사 구조 이론을 바탕으로TOPIKⅠ의 읽기 텍스트 최근 5회차를 매회 5번 분석하였다.그 결과TOPIK Ⅰ의 의미 관계는 상세화,연결,조건,원인-결과,평가 등 단순히 나열하는 연결이나연속의 의미 관계보다 다양한 의미 관계들이 골고루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도식구조는 모두 본문만 나타나는 불완전한 1단 구성이라는 특징을 보이며 최상위 층위의 의미 관계도 다양하지만,평가 의미 관계가 최상위 층위에 나타나는 것은 새로운발견이라고 할 수 있다.따라서TOPIKⅠ의 읽기 텍스트 구조를 분석하는 것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 있는 교수자들에게 텍스트 구조의 특징과 등급화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의 교육과 교재 개발의 기준이 될 것이다.또 학습자들에게 일관된 텍스트 교육을통해 학습 능력을 향상시켜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독일과 우리나라 법조문에 나타나는 ‘토픽 Topik’의 문법적 특징 비교

        구명철 ( Koo Myung-chul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7 獨逸文學 Vol.58 No.3

        이 논문에서는 독일과 우리나라 법률, 특히 기본법과 헌법의 법조항을 대상으로 하여 그 구문상의 특성을 토픽구문에 집중하여 살펴본다. 피행위자 및 대상이 ‘주어진 정보’인 경우 즉 ‘주어진 피행위자’를 주제화하여 토픽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우선 수동변형을 통해 피행위자/대상을 주어로 변화시킨 뒤 토픽으로 만드는 방법과 목적어를 직접 주제화하여 토픽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독일 기본법과 우리나라 헌법 법조항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한 결과, 독일어에서는 ‘주어진 피행위자’가 나올 경우 수동을 통한 토픽이 재구조화를 통한 직접목적어의 단순 토픽보다 약 3.5배 정도 자주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우리나라 헌법에서는 수동을 통한 토픽과 단순 토픽의 빈도가 역전되는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를 크게 주어-현저성 언어와 토픽-현저성 언어 그리고 이 두 가지 특성이 혼재되는 언어로 구분하는 방식을 수정, 보완하여 주어-선호 언어와 토픽-선호언어를 추가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에 따라 독일어는 주어-선호 언어로, 한국어는 토픽-선호 언어로 분류할 수 있다. 법률 언어의 관점에서 본다면, 독일어의 경우에는 ‘주어진 피행위자(대상)’ 명사구가 나오면 수동변형을 통한 주제화를 주요 전략으로 사용하고, 한국어의 경우에는 ‘주어진 피행위자’ 명사구를 표현할 때 단순 토픽을 주요 전략으로 사용하되 ‘..되다’ 표현이 빈도 높게 사용되어 어휘화 효과가 나타나는 특정 동사들에서는 수동변형을 동반한 토픽을 허용한다고 정리할 수 있다. In diesem Aufsatz wurden syntaktische Eigenschaften von deutschen und koreanischen Gesetzesartikeln untersucht. Dabei haben wir uns auf Topik-Konstruktionen konzentriert. In den Fallen, bei denen es sich um ein ‘bekanntes’ Patiens bzw. Thema handelt, gibt es zwei Moglichkeiten, mit denen man es zum Topik machen kann: die Topikalisierung der Patiens-NP durch Passivierung (→ Passiv-begleitende Topik-Konstruktion) und die ohne Passivierung (→ einfache Topik-Konstruktion). Mithilfe einer Studie uber die Topikalisierung der Patiens-NP im deutschen Grundgesetz und in der koreanischen Verfassung lasst sich Folgendes feststellen: Im Deutschen kommt die Passiv-begleitende Topik-Konstruktion ca. 3,5-fach haufiger als die einfache Topik-Konstruktion vor; im Koreanischen kommt hingegen die einfache Topik- Konstruktion ca. 2,5-fach haufiger als die Passiv-begleitende Topik-Konstruktion vor. In diesem Sinne sollte die bisherige typologische Behauptung von Li/Tompson(1976) u.a. wie folgt korrigiert werden: Deutsch ist eine Subjekt-bevorzugende Sprache, wahrend Koreanisch eine Topik-bevorzugende ist. Durch die eben genannte typologische Schlussfolgerung wird eine syntaktische Strategie in Gesetzesartikeln deutlich: Im Deutschen ist bei einem ‘bekannten’ Patiens die Passiv-begleitende Topik-Konstruktion eine bessere syntaktische Strategie als die einfache Topik-Konstruktion und vice versa im Koreanischen.

      • KCI등재

        TOPIK과 JLPT에 반영된 언어문화 지문 비교 연구

        하채현(Ha Chaehyun),가네코 루리코(Kaneko Ruriko)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7 No.-

        이 논문은 TOPIK과 JLPT에 나타난 언어문화 지문의 양상을 비교 분석하여 두 언어 평가에서 언어문화 문항 개발 방향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 언어문화 지문이란 산문, 칼럼, 평론, 각본 등 목표어 중 가장 숙달도가 높은 학습자들에게 제공되는 언어예술을 다루는 지문을 말하는 것으로 임의로 정한다. 이를 위하여 TOPIK 10회부터 최근까지의 기출문제에 나타난 언어문화 지문 34개와 문항, JLPT에서 추출한 언어문화 지문 64개와 그에 따른 문항을 놓고 비교하였다. TOPIK 수필은 약 14%, 평론은 약 8%였고, JLPT 수필은 전체 중 약 27%, 평론은 50%였다. 소설의 경우 TOPIK 전체 언어문화 지문 중 약 64%, JLPT의 경우 0%였다. 문항의 구성에서는 주제를 묻거나 내용 이해를 묻는 것과 어휘를 묻는 문항, 인물의 감정을 묻는 문항 등이 발견되었다. 앞으로 TOPIK은 지문 구성 체계를 정교화하고 의사소통 수행을 위한 언어문화 지문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JLPT는 지문 체계를 유연화하고 다양한 텍스트를 적극적으로 평가 문항으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언어문화 지문은 목표 언어의 고차원적인 언어 이해로 가는 밑바탕이 되므로 외국어 학습자들에게 유용하다. 다양한 언어문화 텍스트가 골고루 반영될 뿐만 아니라 단순한 내용 이해에 머물기보다 주제에 대한 이해와 역사와 사회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언어문화 지문과 문항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language-culture item development in the evaluation of two languag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aspects of language-culture text in TOPIK and JLPT. Here, the language-culture text refers to a text that deals with the most advanced language art among the target words, which means a literary work, column, criticism, script, etc. For this purpose, 34 language-cultural texts and questions presented in the TOPIK 10th to the latest questions, and 64 language-cultural texts extracted from JLPT were compared. In the case of novels, about 64% of the total language-cultural texts of TOPIK, 14% of essays, and 8% of reviews were found. On the other hand, in the whole JLPT, novels were 0%, essays were about 27%, and critics were 50%. In the future, TOPIK will have to elaborate the text system and strive to develop language-culture text for communication performance. JLPT will have to make the text structure system flexible and actively develop various texts as evaluation items. Language-cultural texts are useful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as they are th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language at a higher level. Language-cultural text questions should be structured in such a way as to include an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nd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society rather than just understanding the content.

      • KCI등재후보

        한국어능력시험(TOPIK) 평가기준과 교재 분석

        최수정(Su-Jeong Choi),오현아(Hyeon-Ah Oh),우미경(Mi-Kyung Woo),토코후지시로(Fujishiro Tohko) 한국중원언어학회 2011 언어학연구 Vol.0 No.20

        This research is a textbook analysis on the valuation basis of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This research involves three goals. The first goal is to confirm whether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oreign students reflect a valuation basis on TOPIK or not in both macro and microscopic perspective. The second goal is to reconstruct one chapter to reinforce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textbook and the valuation basis on TOPIK. The third goal is to materialize the valuation basis on TOPIK. For these goals, we chose and analyzed three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Kyunghee University, Korea University and Yonsei University. And then, we selected one chapter of each textbook and measured its valuation basis on TOPIK in three levels: high, medium, and low. After that, we tried to modify the selected chapters to increase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textbook and the valuation basis on TOPIK.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is that Korean language textbooks need to be properly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nectivity with the valuation basis on TOPIK. Also, the materialization of the valuation basis on TOPIK is necessary.

      • KCI등재

        중급 TOPIK과 중급 신(新)HSK 교육용 어휘의 한자 조어단위에 대한 연구

        최금단 ( Choe Geum D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5

        본 연구에서는 2,870개 중급 TOPIK 어휘에서의 1,688개 한자 어휘와 900개 중급 新HSK 교육용 어휘 자료에 나타난 한자 조어단위의 결합 양상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고빈도 조어단위 목록을 구축하여 향후 언어능력평가시험과 어휘 교육에 있어서, 조어능력 평가검증과 어휘 변별력 제고를 기반으로 한 어휘 선정 자료로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하였다. 중급 TOPIK과 중급 신HSK 어휘의 조어단위 조어단어족 구성 비중에서 중급 TOPIK이 40.43.% 높게 통계되었고, 복합어 조어단위의 비중에서 중급 TOPIK이 73.80% 높게 통계되었으며 복합어의 비중에서 중급 TOPIK이 29.06% 높게 통계되었다. 모든 단일어가 반드시 복합어의 조어단위가 되지는 않지만 한자의 조어력을 감안했을 때 복합어 조어단위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언어능력평가시험에서의 어휘 변별력과 조어능력 평가검증에 저애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으므로 중급 TOPIK 교육용 어휘 선정에서의 조어단위와 단어족 구성 비중에 대한 재고가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mbined aspect of word-formation units in Chinese characters presented in the words of 1,688 Chinese characters from 2,870 words of intermediate TOPIK and in the 900 words for education from intermediate New HSK. By making the list of word-formation units of high frequency, the study can be used as a research material concerning selected words based on verifying evaluation of word-formation ability and improving discrimination for words in the Language Ability Test and education for words from now on. Statistically, intermediate TOPIK accounts for 40.43% in the word family of word-formation units, 73.80% in the word formation-units of compound words, and 29.06% in the compound words from intermediate TOPIK and intermediate New HSK. All the simple words are not the word-formation units of compound words, but when the power of word-formation units is considered, the high rate of word-formation units of compound words means that it can disturb the discrimination for words and the verification of the evaluation of word-formation ability in the Language Ability Test. Therefore, it is required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word-formation units and the composition of word family in selecting the words for intermediate TOPIK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